KR101729114B1 -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114B1
KR101729114B1 KR1020160163323A KR20160163323A KR101729114B1 KR 101729114 B1 KR101729114 B1 KR 101729114B1 KR 1020160163323 A KR1020160163323 A KR 1020160163323A KR 20160163323 A KR20160163323 A KR 20160163323A KR 101729114 B1 KR101729114 B1 KR 10172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dimmer
joint
light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우
Priority to KR102016016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조명이 그룹별로 연결 결합되어 피사체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을 컨트롤하고 그리고 다수로 연결 결합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Dimmer)(A)와, 상기 다수로 연결 결합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A)의 어느 한 디머(A)와 연결 결합되어 상기 디머(A) 전체이거나 어느 하나 이상의 디머(A)를 제어하는 콘솔(Console)(B)과, 상기 디머(A)에 구성되는 엘이디(LED) 전원 커넥터(8)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조명부(C)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C)는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로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는 중앙 외측부가 구형상의 스피어(100)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엘이디 조명(101)을 수용하는 내장실(102)을 구성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에 빛의 조사 폭을 조절하는 빛 조사 폭 조절수단(E)과,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박물관이나 쇼룸 등의 전시대에 설치하여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조명을 다수의 그룹별로 컨트롤함으로써 보다 많은 피사체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을 한 번에 그룹으로 컨트롤하며, 빛의 조사 방향, 빛의 조사 폭 및 광량의 범위 변경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피사체의 조명효과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Downlight 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물관 이나 쇼룸 등의 전시대에 설치하여 조명의 빛 조사 방향을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빛의 조사 폭을 조절하여 전시물(조명 빛이 비춰지는 대상물, 이하, '피사체'라 함)의 높이 또는 크기가 다르더라도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으며, 다수의 조명을 그룹별 또는 개별로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조명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물이나 고가의 전시품을 진열하는 장소에는 관람자들로 하여금 전시품의 시각적인 효과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종래, 전시품의 조명에는 주로 할로겐 램프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할로겐 렘프는 각각의 조명을 제어하는데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었으며 램프의 수명이 짧고 방출되는 열 또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감상을 목적으로 하는 미술관의 경우 전시물을 좀더 호감이 가도록 표현해야하는데 이러한 목적에 맞는 쾌적한 시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조도(Lux), 연색성(CRI), 색온도(CCT), 광효율(Lm/w) 등의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전시물 보호를 위하여 방출되는 열에 대한 대비가 중요하다.
박물관 같은 특수한 장소의 전시대는 전시물의 조명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수의 조명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시물에 조사하는 빛의 조절이 가능해야 함은 물론 빛의 방향 및 빛의 조사 범위 변경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조명은 전시물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 위치 및 광량의 범위 변경이 어렵고 각각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설치 비용이 증가하고 조명을 제어하는데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54964호(2011. 08. 0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박물관이나 쇼룸 등의 전시대에 설치하여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조명을 다수의 그룹별로 컨트롤함으로써 보다 많은 피사체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 빛의 조사 방향, 빛의 조사 폭 및 광량의 범위 변경 등을 한 번에 그룹으로 컨트롤하여 효율적으로 조명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고 피사체의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다수의 조명이 그룹별로 연결 결합되어 피사체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을 컨트롤하고 그리고 다수로 연결 결합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Dimmer)와,
상기 다수로 연결 결합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의 어느 한 디머와 연결 결합되어 상기 디머 전체이거나 어느 하나 이상의 디머를 제어하는 콘솔(Console)과,
상기 디머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와 다수의 디머 간에 점프선으로 연결되는 전원점프 커넥터와 디머를 제어하고 콘솔점프 케이블로 연결되는 콘솔 커넥터와 디머와 디머 간에 통신을 위해 디머 점프선으로 연결되는 점프 커넥터와 상기 각각의 디머에 구성되어 조명부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엘이디(LED) 전원 커넥터와 상기 디머의 일측부에 구성되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콘솔(Console)은 콘솔(Console) 몸체에 터치 엘시디(Touch LCD)로 이루어지고 터치 엘시디(Touch LCD)를 통해 표시되는 다수의 그룹별로 표시되며 상기 각 개별 그룹별로 온/오프시키는 터치 스위치와 그룹 전체를 온/오프 제어하는 터치 스위치와 전체 디밍 1단위 증가 터치부 및 전체 디밍 1단위 감소 터치부, 전체 디밍 10단위 증가 터치부 및 전체 디밍 10단위 감소 터치부 및 온/오프 설정 후 셋트를 눌러 콘솔과 디머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 터치부로 구성한다.
상기 디머의 엘이디(LED) 전원 커넥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조명부는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로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는 빛의 조사 폭을 조절하는 빛 조사 폭 조절수단과,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수단은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의 중앙 외측으로 구형상의 스피어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엘이디 조명을 수용하는 내장실을 구성하며, 상기 내장실과 상측 외부로 연통되어 엘이디 조명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전선통과홀과, 상기 내장실에 체결볼트로써 체결 고정되고 빛을 발광하는 엘이디 조명이 구성된 기판과, 상기 내장실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진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는 상측부에 렌즈 장착홈을 형성하여 엘이디 조명의 빛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를 제1 렌즈 고정 부재로 고정하고, 상기 집광 렌즈의 하측에는 촛점 조절기능을 갖는 촛점 조절 렌즈를 제2 렌즈 고정 부재로 고정하며, 상기 촛점 조절 렌즈의 하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명 빛의 폭을 조절하는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를 구성하되,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은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를 장착하는 이동용 렌즈 홀더를 구성하고, 상기 이동용 렌즈 홀더는 상단 외측부에 볼트부를 형성하여 상기 렌즈 홀더의 내측에 형성된 너트부와 결합하며, 하측에는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를 장착하는 지지턱을 형성하며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의 상측으로 제3 렌즈 고정부재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하측부에는 이동용 렌즈홀더가 분리 이탈됨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이동용 렌즈홀더의 하측부에는 조명 빛을 가이드하는 후드를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고 이동용 렌즈홀더와 후드 간에는 고정볼트로 체결 고정한다.
상기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은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의 구형상의 스피어 외측으로 조인트 스피어 홀더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홀더의 내측에는 상기 구형상의 스피어 외측 볼록면과 자유롭게 구름운동을 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한 오목 구형상의 시트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 스피어 홀더의 외측에는 상측으로 지지 고정판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지지 고정판의 하측부인 조인트 스피어 홀더의 외측으로 밀봉력을 유지하여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밀봉용 패킹과, 상기 지지 고정판의 상측으로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은 내측으로 상기 스피어와 시트부의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어용 시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 고정판에는 상기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을 관통시켜 체결볼트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과 체결볼트의 머리부 간에는 제동력 조절용 코일 스프링을 결합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박물관이나 쇼룸 등의 전시대에 설치하여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조명을 다수의 그룹별로 컨트롤함으로써 보다 많은 피사체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을 한 번에 그룹으로 컨트롤하며, 빛의 조사 방향, 빛의 조사 폭 및 광량의 범위 변경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피사체의 조명효과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서 디머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서 콘솔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에 대한 빛 조사방향이 조절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에 대한 일부 발췌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발췌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조명이 그룹별로 연결 결합되어 피사체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을 컨트롤하고 그리고 다수로 연결 결합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Dimmer)(A)를 구성한다.
상기 다수로 연결 결합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A)의 어느 한 디머(A)와 연결 결합되어 상기 디머(A) 전체이거나 어느 하나 이상의 디머(A)를 제어하는 콘솔(Console)(B)을 구성한다.
상기 디머(A)는 전원 케이블(1a)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커넥터(1)와 다수의 디머(A) 간에 점프선(2)으로 연결되는 전원점프 커넥터(3)를 구성한다.
즉, 상기 다수로서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Dimmer)(A)는 첫번째 디머(A)의 전원 커넥터(1)에 전원 케이블(1a)에 의해 외부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첫번째 디머(A)의 전원 커넥터(1)와 두번째 디머(A)의 전원점프 커넥터(3) 간에 점프선(2)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이와 같은 연결은 반복하여 연결되며 이 경우 하나의 외부 전원으로 다수의 디머(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필요에 따라 각 디머(A)의 전원 커넥터(1)에 각각의 외부 전원을 접속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디머(A)를 제어하고 콘솔점프 케이블(4)로 연결되는 콘솔 커넥터(5)와 통신을 위해 디머 점프선(6)으로 연결되는 점프 커넥터(7)를 구성한다.
즉, 상기 다수로서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Dimmer)(A)는 첫번째 디머(A)의 콘솔 커넥터(5)에 콘솔점프 케이블(4)에 의해 콘솔(Console)(B)을 연결하고, 상기 첫번째 디머(A)의 점프 커넥터(7)와 두번째 디머(A)의 콘솔 커넥터(5) 간에 통신을 위한 디머 점프선(6)을 연결하며 이와 같은 연결은 반복하여 연결된다.
상기 콘솔 커넥터(5)와 점프 커넥터(7)는 디머(A)와 디머(A) 간에 통신을 위한 디머 점프선(6)이 연결되는 접속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각각의 디머(A)에 조명부(C)와 케이블(8a)로 연결되는 엘이디(LED) 전원 커넥터(8)를 구성하고, 상기 디머(A)의 일측부에 구성되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9)를 구성한다.
상기 콘솔(Console)(B)은 콘솔(Console) 몸체(10)에 터치 엘시디(Touch LCD)(11)로 이루어지고 터치 엘시디(Touch LCD)(11)를 통해 표시되는 다수의 그룹별로 표시되며 상기 각 개별 그룹별로 온/오프시키는 터치 스위치(12)를 구성한다.
그리고 그룹 전체를 온/오프 제어하는 터치 스위치(13)와 전체 디밍 1단위 증가 터치부(14) 및 전체 디밍 1단위 감소 터치부(15)를 구성하고 또한 전체 디밍 10단위 증가 터치부(16) 및 전체 디밍 10단위 감소 터치부(17)를 구성하며, 온/오프 설정 후 셋트를 눌러 콘솔(B)과 디머(A)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 터치부(18)로 구성한다.
이러한 디머(A)와 콘솔(B)은 다수의 조명부(C)가 단일 그룹으로 이루어져 단일 디머(Dimmer)(A)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이와 같은 조명부(C)와 디머(A)는 다시 다수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디머(A)를 컨트롤하는 콘솔(Console)(B)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을 한번에 일관성 있고 편리하게 컨트롤한다.
즉, 콘솔(B)에 의해 다수의 디머(A)(예컨대, 10개의 디머)를 각 개별 그룹별로 온/오프 시키는 터치 스위치(12)를 조작하여 그롭별 조명부를 온/오프하고 전체 디밍 1단위 증가 터치부(14) 및 전체 디밍 1단위 감소 터치부(15)를 조작하여 조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그룹 전체를 온/오프 제어하는 터치 스위치(13)를 조작하여 그롭 전체의 조명부를 온/오프하고 전체 디밍 1단위 증가 터치부(14) 및 전체 디밍 1단위 감소 터치부(15)는 물론 전체 디밍 10단위 증가 터치부(16) 및 전체 디밍 10단위 감소 터치부(17)를 조작하여 전체 조명부의 조도를 한번에 제어한다.
상기 디머(A)의 엘이디(LED) 전원 커넥터(8)와 케이블(8a)로 연결되는 조명부(C)는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로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는 빛의 조사 폭을 조절하는 빛 조사 폭 조절수단(E)과,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에 구성된 빛 조사 폭 조절수단(E)에 의해 빛의 조사 폭을 조절하고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에 의해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의 위치, 높이 또는 크기 등이 다르더라도 최상의 상태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피사체의 전시 효과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수단(E)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D)는 구형상의 스피어(100)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엘이디 조명(101)을 수용하는 내장실(102)을 구성한다.
상기 엘이디(LED) 조명(101)은 발광 다이오드(luminescent diode) 라고도 하며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때 생기는 발광현상은 전기 루미네선스(전기장발광)라고 하며, 크게 IRED(Infrared Emitting Diode)와 VLED(Visible Light Emitting Diode)로 나뉘어진다.
상기 내장실(102)과 상측 외부로 연통되어 엘이디 조명(101)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전선 통과홀(103)을 형성한다.
상기 내장실(102)에 체결볼트(104)로써 체결 고정되고 빛을 발광하는 엘이디 조명(101)이 구성된 기판(105)을 구성한다.
상기 내장실(102)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진 렌즈 홀더(106)와, 상기 렌즈 홀더(106)는 상측부에 렌즈 장착홈(107)을 형성하여 엘이디 조명의 빛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108)를 제1 렌즈 고정 부재(109)로 고정한다.
상기 집광 렌즈(108)의 하측에는 촛점 조절기능을 갖는 촛점 조절 렌즈(110)를 제2 렌즈 고정 부재(111)로 고정한다.
상기 촛점 조절 렌즈(110)의 하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명 빛의 폭을 조절하는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를 구성하되,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를 장착하는 이동용 렌즈 홀더(113)를 구성한다.
상기 이동용 렌즈 홀더(113)는 도 4에서와 같이 상단 외측부에 볼트부(114)를 형성하여 상기 렌즈 홀더(106)의 내측에 형성된 너트부(115)와 결합하며, 하측에는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를 장착하는 지지턱(116)을 형성하며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의 상측으로 제3 렌즈 고정부재(117)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 설치한다.
상기 렌즈홀더(106)의 하측부에는 이동용 렌즈홀더(113)가 분리 이탈됨을 방지하는 스톱퍼(118)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이동용 렌즈홀더(113)의 하측부에는 조명 빛을 가이드하는 후드(119)를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고 이동용 렌즈홀더(113)와 후드(119) 간에는 고정볼트(120)로 체결 고정한다.
위와 같은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수단(E)은 후드(119)를 회전시키면 고정볼트(120)로 고정된 이동용 렌즈 홀더(113)가 회전하고 이 경우 이동용 렌즈 홀더(113)는 렌즈 홀더(106)와 나사 결합 되어 있어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용 렌즈 홀더(113)가 이동함에 따라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 또한 이동하여 엘이디 빛의 조사 폭을 조절하게 된다.
즉,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가 촛점 조절 렌즈(110)로부터 멀어지면 빛 조사의 폭은 좁아지고,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가 촛점 조절 렌즈(110)로부터 가까워지면 빛 조사의 폭은 넓어진다.
따라서, 피사체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빛 조사의 폭을 넓게 하고, 피사체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빛 조사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최상의 상태로 조사할 수 있어 전시 효과를 높여준다.
그리고 상기 집광렌즈(108)는 엘이디 조명(101)으로부터 발광한 빛을 집광하여 투사되는 빛의 조도를 높여주고, 촛점 조절 렌즈(110)는 집광렌즈(108)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촛점을 조절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7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의 부호 중 도 4 내지 도 6의 도면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부재 및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한 내용을 원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반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조인트 스피어 몸체(D)의 내장실(102)에 엘이디 조명(101)의 빛을 집광하는 집광 기능과 조사기능을 갖는 렌즈(200)를 렌즈 고정부재(201)와 렌즈 홀더(202)에 의해 설치 구성하며, 상기 렌즈(200)는 소정의 테이퍼 각(θ)으로 이루어진 원추형(圓錐形 , coning)의 형상과 상부 중앙에는 집광 기능을 갖는 볼록 형상부(200a)로 이루어지며 하측 단에는 체결용 돌출부(200b)와 평면으로 이루어진 빛 출력부(200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 홀더(202)는 상기 내장실(102)에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 고정부재(201) 또한 렌즈 홀더(202)와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200)의 테이퍼 각(θ)은 15°, 30°, 45°, 60°75°등 필요한 소정의 각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엘이디 조명(101)으로부터 빛이 발광하여 투사되면 볼록 형상부(200a)에서 빛을 집광하고 원추형(圓錐形 , coning)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정의 테이퍼 각(θ)에 의해 빛의 조사 폭을 가지게 된다.
다음,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수단(E)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의 부호 중 도 4 내지 도 6의 도면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부재 및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한 내용을 원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반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D)는 구형상의 스피어(100)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엘이디 조명(101)을 수용하는 내장실(102)을 구성한다.
상기 내장실(102)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나사 결합으로 경통(300)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경통(300)의 내측에는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가 장착되고 거리조절기능과 빛의 조사를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후드 및 렌즈장착홀더(301)를 결합 구성한다.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는 엘이디 조명(101) 간에 거리를 조절하여 빛 조사의 폭을 조절한다.
즉,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가 엘이디 조명(101) 간에 거리를 조절하는 일 실시예의 수단으로서 경통(300) 내에 너트부(302)를 형성하고 상기 후드 및 렌즈장착홀더(301)의 외측에는 볼트부(303)를 형성하여 결합한다.
위와 같은 빛 조사 폭 조절수단(E)에 대한 다른 실시 예는 후드 및 렌즈장착홀더(300)를 잡고 회전시켜 조작하면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가 엘이디 조명(101)으로부터 멀어지면 빛 조사의 폭은 좁아지고,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가 엘이디 조명(101)으로부터 가까워지면 빛 조사의 폭은 넓어진다.
따라서, 피사체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빛 조사의 폭을 넓게 하고, 피사체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빛 조사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최상의 상태로 조사할 수 있어 전시 효과를 높여준다.
이상과 같이 빛 조사 폭 조절수단(E)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사체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렌즈 배열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에 대해 설명한다.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은 도시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은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의 구형상의 스피어(100) 외측으로 조인트 스피어 홀더(121)를 결합 구성한다.
상기 조인트 스피어 홀더(121)의 내측에는 상기 구형상의 스피어(100) 외측 볼록면과 자유롭게 구름운동을 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한 오목 구형상의 시트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 스피어 홀더(121)의 외측에는 상측으로 지지 고정판(123)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지지 고정판(123)의 하측부인 조인트 스피어 홀더(121)의 외측으로 밀봉력을 유지하여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밀봉용 패킹(124)을 구성한다.
상기 지지 고정판(123)의 상측으로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125)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125)은 내측으로 상기 스피어(100)와 시트부(122)의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어용 시트부(126)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 고정판(123)에는 상기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125)을 관통시켜 체결볼트(127)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125)과 체결볼트(127)의 머리부 간에는 제동력 조절용 코일 스프링(128)을 결합 구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은 엘이디 조명의 빛을 필요한 방향으로 조사하고자 할 경우에 스피어(100)를 유동시키면 스피어(100)는 조인트 스피어 홀더(121)의 시트부(122)와 자유롭게 구름 운동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조절된다(도 5b참조).
즉,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후드(119)는 피사체를 향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엘이디(LED) 빛의 방향이 필요한 방향으로 조절이 이루어지면 코일스프링(128)의 탄발력으로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125)을 압착함으로써 제어용 시트부(126)가 스피어(100)의 외측면을 압착하여 스피어(100)와 후드(119)는 조절된 방향에서 임의로 유동됨이 없이 고정된다.
즉,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125)의 제어용 시트부(126)가 구형상의 스피어(100) 상측부에 결합되어 스피어(100)의 중심을 넘지 않은 상태에서 압착을 함으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홀더(123)와 지지 고정판(123) 간에는 패널(즉, 전시대 천장)(P)을 체결볼트(127)로써 체결 고정하며 이 경우 밀봉용 패킹(124)에 의해 밀봉력을 높여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전시대 내부로 침투됨을 방지하여 전시물을 보호한다.
이상과 같이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에 의해 엘이디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박물관이나 쇼룸 등의 전시대에 설치하여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조명을 다수의 그룹별로 컨트롤함으로써 보다 많은 피사체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을 한 번에 그룹으로 컨트롤하며, 엘이디 조명(101)의 빛을 집광하고, 빛의 조사 방향, 빛의 조사 폭 및 광량의 범위 변경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피사체의 조명효과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A: 디머(Dimmer) B: 콘솔(Console)
C: 조명부 D: 조인트 스피어 몸체
1: 전원 커넥터 2: 점프선
3: 전원점프 커넥터 4: 콘솔점프 케이블
5: 콘솔 커넥터 6: 디머 점프선
7: 점프 케넥터 8: 전원 커넥터
9: 스위치 10: 콘솔(Console) 몸체
11: 터치 엘시디(Touch LCD) 12, 13: 터치 스위치
14: 디밍 1단위 증가 터치부 15: 전체 디밍 1단위 감소 터치부
16: 전체 디밍 10단위 증가 터치부
17: 전체 디밍 10단위 감소 터치부
18: 저장 터치부 100: 스피어
101: 엘이디 조명 102: 내장실
103: 전선 통과홀 104: 체결볼트
105: 기판 106: 렌즈 홀더
107: 렌즈 장착홈 108: 집광 렌즈
109: 제1 렌즈 고정 부재 110: 촛점 조절 렌즈
111: 제2 렌즈 고정 부재 112: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
113: 이동용 렌즈 홀더 114: 볼트부
115: 너트부 116: 지지턱
117: 제3 렌즈 고정부재 118: 스톱퍼
119: 후드 120: 고정볼트
121: 조인트 스피어 홀더 122: 시트부
123: 지지 고정판 124: 밀봉용 패킹
125: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
126: 제어용 시트부 127: 체결볼트
128: 제동력 조절용 코일 스프링
200: 렌즈 200a: 볼록 형상부
200b: 체결용 돌출부 200c: 빛 출력부
201: 렌즈 고정부재 202: 렌즈 홀더
300: 경통 301: 후드 및 렌즈장착홀더
302: 너트부 303: 볼트부

Claims (7)

  1. 다수의 조명이 그룹별로 연결 결합되어 피사체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을 컨트롤하고 그리고 다수로 연결 결합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Dimmer)(A)와,
    상기 다수로 연결 결합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A)의 어느 한 디머(A)와 연결 결합되어 상기 디머(A) 전체이거나 어느 하나 이상의 디머(A)를 제어하는 콘솔(Console)(B)과,
    상기 디머(A)에 구성되는 엘이디(LED) 전원 커넥터(8)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조명부(C)와,
    상기 조명부(C)는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로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는 중앙 외측부가 구형상의 스피어(100)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엘이디 조명(101)을 수용하는 내장실(102)을 구성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에 빛의 조사 폭을 조절하는 빛 조사 폭 조절수단(E)과,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을 포함하고,
    상기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은 구형상의 스피어(100) 외측으로 조인트 스피어 홀더(121)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홀더(121)의 내측에는 상기 구형상의 스피어(100) 외측 볼록면과 자유롭게 구름운동을 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한 오목 구형상의 시트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 스피어 홀더(121)의 외측에는 상측으로 지지 고정판(123)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지지 고정판(123)의 하측부인 조인트 스피어 홀더(121)의 외측으로 밀봉력을 유지하여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밀봉용 패킹(124)과,
    상기 지지 고정판(123)의 상측으로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125)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125)은 내측으로 상기 스피어(100)와 시트부(122)의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어용 시트부(126)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 고정판(123)에는 상기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125)을 관통시켜 체결볼트(127)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제동력 조절판(125)과 체결볼트(127)의 머리부 간에는 제동력 조절용 코일 스프링(128)을 결합 구성하여 더 포함 된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콘솔(Console)(B)은 콘솔(Console) 몸체에 터치 엘시디(Touch LCD)(11)로 이루어지고 터치 엘시디(Touch LCD)를 통해 표시되는 다수의 그룹별로 표출되고 상기 각 개별 그룹별로 온/오프시키는 터치 스위치(12)와 그룹 전체를 온/오프 제어하는 터치 스위치(13)와 전체 디밍 1단위 증가 터치부(14) 및 디밍 1단위 감소 터치부(15), 전체 디밍 10단위 증가 터치부(16) 및 전체 디밍 10단위 감소 터치부(17) 및 온/오프 설정 후 셋트를 눌러 콘솔과 디머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 터치부(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빛 조사 폭 조절수단(E)은 내장실(102)에 경통(300)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경통(300)의 내측에는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가 장착되고 거리조절기능과 빛의 조사를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후드 및 렌즈장착홀더(301)를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내장실(102)에 엘이디 조명의 빛을 집광하는 집광 기능과 조사기능을 갖는 렌즈(200)를 렌즈 고정부재(201)와 렌즈 홀더(202)에 의해 설치 구성하며,
    상기 렌즈(200)는 테이퍼 각으로 이루어진 원추형의 형상과, 상부 중앙에는 집광 기능을 갖는 볼록 형상부(200a)로 이루어지며 하측 단에는 체결용 돌출부(200b)와 평면으로 이루어진 빛 출력부(200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5. 삭제
  6. 다수의 조명이 그룹별로 연결 결합되어 피사체의 특성에 맞는 조도 조절을 컨트롤하고 그리고 다수로 연결 결합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Dimmer)(A)와,
    상기 다수로 연결 결합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디머(A)의 어느 한 디머(A)와 연결 결합되어 상기 디머(A) 전체이거나 어느 하나 이상의 디머(A)를 제어하는 콘솔(Console)(B)과,
    상기 디머(A)에 구성되는 엘이디(LED) 전원 커넥터(8)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조명부(C)와,
    상기 조명부(C)는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로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는 중앙 외측부가 구형상의 스피어(100)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엘이디 조명(101)을 수용하는 내장실(102)을 구성하고,
    상기 조인트 스피어 몸체(Joint Sphere Body)(D)에 빛의 조사 폭을 조절하는 빛 조사 폭 조절수단(E)과,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빛 조사방향 조절수단(F)을 포함하고,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수단(E)은 내장실(102)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렌즈 홀더(106)와,
    상기 렌즈 홀더(106)는 상측부에 엘이디 조명의 빛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108)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집광 렌즈(108)의 하측에는 촛점 조절기능을 갖는 촛점 조절 렌즈(110)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촛점 조절 렌즈(110)의 하측에는 이동용 렌즈 홀더(113)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명 빛의 폭을 조절하는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를 구성하며,
    상기 이동용 렌즈 홀더(113)는 하측에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를 장착하는 지지턱(116)을 형성하고 상기 빛 조사 폭 조절용 렌즈(112)의 상측으로 제3 렌즈 고정부재(117)를 나사 결합하여 설치하며,
    상기 렌즈홀더(106)의 하측부에는 이동용 렌즈홀더(113)가 분리 이탈됨을 방지하는 스톱퍼(118)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이동용 렌즈홀더(113)의 하측부에는 조명 빛을 가이드하는 후드(119)를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고 이동용 렌즈홀더(113)와 후드(119) 간에는 고정볼트(120)로 체결 고정하여 더 포함하는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7. 삭제
KR1020160163323A 2016-12-02 2016-12-02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KR10172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23A KR101729114B1 (ko) 2016-12-02 2016-12-02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23A KR101729114B1 (ko) 2016-12-02 2016-12-02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114B1 true KR101729114B1 (ko) 2017-04-25

Family

ID=5870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23A KR101729114B1 (ko) 2016-12-02 2016-12-02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1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7891A (ja) * 1999-09-30 2001-06-2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調光システム
KR100856725B1 (ko) * 2008-05-29 2008-09-04 (주)성현하이텍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
JP2012221771A (ja) * 2011-04-11 2012-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7891A (ja) * 1999-09-30 2001-06-2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調光システム
KR100856725B1 (ko) * 2008-05-29 2008-09-04 (주)성현하이텍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
JP2012221771A (ja) * 2011-04-11 2012-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5112B2 (en) Adjustable optic and lighting device assembly
US10634324B2 (en) LED-based illumination assembly with adjustable irradiation angle
US20090237924A1 (en) Beam adjustment mechanism for an led light fixture
US20100046227A1 (en) Finite element and multi-distribution led luminaire
WO2011111622A1 (ja) 照明装置
US10386040B2 (en) LED luminaire
US20180156442A1 (en) LED Lamp with Expanded Illuminating Range
US9541262B2 (en) Shabbat bulb
CN103742843A (zh) 一种多配光模式的led吸顶灯及其多配光方法
GB2570813A (en) Lighting device
US9759407B2 (en) Opto-mechanically adjustable and expandable light fixtures
CN201368429Y (zh) 可调照明方向的led照明灯具
US20080291674A1 (en) Lighting device utilizing an LED light source for projection of a light pattern onto a surface
US20130141903A1 (en) Led lighting apparatus
JP2011222123A (ja) 照明装置
CN102301179A (zh) Led灯,灯座和运行led灯的方法
US10203073B2 (en) Shabbat bulb with gear controlled blackout mechanism
JP2015159028A (ja) 配光角可変型ダウンライト
KR101729114B1 (ko)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KR101775897B1 (ko) 저휘도 고효율 led 조명기구
JP5444484B1 (ja) Led照明装置
JP2011049154A (ja) Led照明灯
US10480756B1 (en) Light fixture with focusable LED light bulb from inside the heat sink
JP5580112B2 (ja) 電球形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101325098B1 (ko) 조명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