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903B1 -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903B1
KR101007903B1 KR1020090042802A KR20090042802A KR101007903B1 KR 101007903 B1 KR101007903 B1 KR 101007903B1 KR 1020090042802 A KR1020090042802 A KR 1020090042802A KR 20090042802 A KR20090042802 A KR 20090042802A KR 101007903 B1 KR101007903 B1 KR 10100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elastic member
hinge frame
screw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529A (ko
Inventor
이창혁
Original Assignee
(주)대영오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오앤이 filed Critical (주)대영오앤이
Priority to KR102009004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90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관절부의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가 개시된다. 헤드부와 받침대에 연결된 지지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관절부가 구비된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을 힌지방식에 의하여 연결하는 힌지 프레임;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 프레임의 상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헤드부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상부를 힌지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상부 수납부재;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 프레임의 하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지지대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하부를 힌지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하부 수납부재; 상기 상부 수납부재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상부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헤드부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메인 고정부; 그리고 일측은 상기 상부 수납부재의 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 프레임의힌지볼에 마찰접촉됨으로써 상기 메인 고정부를 보조하여 상기 헤드부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서브 고정부를 포함한다.
스탠드, 관절, 힌지, 볼, 각도

Description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STAND APPARATUS HAVING ENHANCED JOINT PORTION}
본 발명은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절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헤드부를 전후좌우로 전환할 수 있는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형광등, 백열등, 엘이디(LED) 전구 등 다양한 종류의 발광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필요에 따라 형광등과 같이 주택 등의 방에 설치되어 넓은 범위를 조명할 수도 있고, 스탠드와 같이 책상 등에 설치하여 좁은 범위만 조명할 수도 있다.
특히, 스탠드의 경우, 책상 등에 설치되어 필요시 제한적인 공간만 조명할 수 있음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탠드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상부에 돌출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매체가 구비되는 헤드부와, 상기 지지대와 헤드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절부를 필요시 지지대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로 꺽어서 고정시킴으로써 헤드부로부터 발광 되는 빛의 조명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탠드는 지지대와 헤드부를 1점에서 연결하는 구조, 즉 한 곳에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헤드부의 각도를 조절하기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탠드는 헤드부를 전후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꺽는 경우, 일정 각도로만 위치될 수 있고, 모든 각도로 제어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스탠드는 부품수가 증가하므로 스탠드의 조립 및 분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부를 2점 연결 구조로 하고,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모든 각도로 고정이 가능한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부와 받침대에 연결된 지지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관절부가 구비된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을 힌지방식에 의하여 연결하는 힌지 프레임과;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 프레임의 상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헤드부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상부를 힌지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상부 수납 부재;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 프레임의 하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지지대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하부를 힌지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하부 수납부재; 상기 상부 수납부재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상부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헤드부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메인 고정부; 그리고 일측은 상기 상부 수납부재의 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 프레임의힌지볼에 마찰접촉됨으로써 상기 메인 고정부를 보조하여 상기 헤드부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서브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는 지지대와 헤드부를 힌지구조에 의하여 2점 연결방식에 의하여 연결시킴으로써 헤드부의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절부에 볼형상의 힌지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헤드부의 꺽임방향을 전방위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장치의 "A"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절부의 상부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탠드 장치(1)는 받침대(3)와, 상기 받침대(3)의 상부에 돌출된 지지대(5)와, 상기 지지대(5)의 상부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헤드부(7)와, 상기 지지대(5)와 헤드부(7)를 서로 연결하는 힌지방식의 관절부(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7)는 빛을 발광하는 조명등(L)이 장착된다. 이때, 조명등(L)은 형광등, 백열등, 엘이디등과 같이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매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7)는 관절부(9)를 적절하게 꺽음으로써 일정한 각도로 제어하여 원하는 장소에 빛을 조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절부(9)는 지지대(5)의 상부 및 헤드부(7)의 일측을 힌지방식에 의하여 연결하는 힌지 프레임(11)과; 상기 힌지 프레임(11)의 상부를 감쌈으로써 지지하는 상부 수납부재(U)와; 상기 힌지 프레임(11)의 하부를 감쌈으로써 지지하는 하부 수납부재(D)와; 상기 상부 수납부재(U)와 힌지 프레임(11)의 상부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메인 고정부(21,60)와; 상기 메인 고정부(21,60)를 보조하여 상기 상부 수납부재(U)와 힌지 프레임(11)의 상부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서브 고정부(3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관절부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프레임(11)은 상부에는 볼형상의 상부 힌지볼(13)이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 프레임(11)의 하부에는 볼형상의 하부 힌지볼(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볼형상의 상부 및 하부 힌지볼(13,14)이 각각 상부 수납부재(U)의 제 1 및 제2수납홈(19,20)과 하부 수납부재(D)의 제 3 및 제4수납홈(15,17)에 각각 수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힌지 프레임(11)의 상부 및 하부 힌지볼(13,14)이 상부 수납부재(19,22) 및 하부 수납부재(15,17)에 각각 수납됨으로써 헤드부(7)는 지지대(5)에 대하여 전후방향 혹은 좌우 방향 등 전방위의 모든 각도에 대하여 힌지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납부재(U)는 헤드부(7)에 일체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분해 가능한 2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부 수납부재(U)는 제 1수납홈(19)이 형성된 제 1수납 플레이트(33)와, 상기 제 1수납 플레이트(33)에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수납홈(20)이 형성된 제 2수납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수납홈(19,20)은 반구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힌지볼(13)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1수납홈(19)에는 삽입홀(39)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고정부(21)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 힌지볼(13)에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수납홈(19,20)에 힌지 프레임(11)의 상부 힌지볼(13)을 수납하고, 제 1 및 제 2수납 플레이트(33,22)를 결합시킴으로써 힌지 프레임(11)의 상부는 헤드부(7)에 대하여 힌지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헤드부(7)는 이러한 볼방식의 관절부(9)에 의하여 지지대(5)에 연결됨으로써 전방위로 회전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 수납부재(D)는 지지대(5)에 일체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분해 가능한 2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부 수납부재(D)는 제 3수납홈(15)이 형성된 제 3수납 플레이트(34)와, 상기 제 3수납 플레이트(34)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4수납홈(17)이 형성된 제 4수납 플레이트(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및 제 4수납홈(15,17)은 반구형상을 갖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부 힌지볼(14)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힌지 프레임(11)의 하부 힌지볼(14)을 제 3 및 제 4수납홈(15,17)에 수납하고, 제 3 및 제 4수납 플레이트(34,35)를 결합시킴으로써 힌지 프레임(11)의 하부는 지지대(5)에 대하여 힌지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헤드부(7)는 볼방식의 관절부(9)에 의하여 지지대(5)의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전방위로 회전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7)와 지지대(5)는 관절부(9)의 상부 힌지볼(13)과 하부 힌지볼(14)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므로, 결국은 2점 연결방식에 의하여 헤드부(7)와 지지대(5)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2점 연결구조는 1점 연결구조에 비하여 헤드부(7)가 보다 용이하게 적절한 각도로 꺽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힌지볼(1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고정부(21)에 의하여 헤드부(7)에 일정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고정부(21)는 제 2수납홈(20)의 삽입홀(39)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힌지볼(13)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플레이트(43)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43)를 상부 힌지볼(13)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7)와; 상기 탄성부재(27)가 외력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관(25)과; 상기 안내관(25)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27)를 상부 힌지볼(13)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나사(29)와; 상기 가압나사(29)에 체결되어 회전시 상기 가압나사(29)를 상기 탄성부재(27) 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절나사(3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메인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43)는 일측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패드(41)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41)는 오목한 형상, 바람직하게는 상부 힌지볼(13)의 표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반구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패드(41)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43)가 탄성부재(27)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패드(41)가 상기 상부 힌지볼(13)의 표면에 마찰접촉을 함으로써 헤드부(7)가 일정한 각도로 꺽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7)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일측(45)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43)의 후면에 지지되며, 타측(46)은 상기 가압나사(29)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7)가 가압나사(29)에 의하여 가압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27)의 일측(45)이 가압 플레이트(43)를 상부 힌지볼(13)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7)가 가압 플레이트(43)를 미는 힘에 의하여 패드(41)가 상부 힌지볼(13)의 표면에 압착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7)에 패드(41)와 상부 힌지볼(13)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외력을 가하여 미는 경우, 헤드부(7)가 일정 각도로 꺽이게 되고, 헤드부(7)가 일정 각도에 도달한 상태에서, 헤드부(7)에 작용하는 외력을 해제하면, 패드(41)와 상부 힌지볼(13)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헤드부(7)가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안내관(25)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체형상이며, 내부(49)가 육각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관(25)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7)와 가압나사(29)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압나사(29)의 외면은 육각형상이고, 내측에는 원형홀(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나사(29)가 안내관(25)의 내측을 따라 탄성부재(27)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27)가 이 가압나사(29)에 의하여 상부 힌지볼(13)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나사(29)의 원형홀(51)에는 상기 조절나사(31)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압나사(29)를 적절하게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나사(31)는 작업자가 손 등으로 잡는 손잡이(55)와; 상기 손잡이(55)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압나사(29)의 원형홀(51)에 체결된 볼트(5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55)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볼트(53)가 원형홀(5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볼트(53)가 원형홀(51)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손잡이(55)의 내측면이 가압나사(29)를 탄성부재(27) 방향으로 밀게 되어 탄성부재(27)를 압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7)를 일정 각도로 꺽어서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조절나사(31)를 체결함으로써 헤드부(7)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조절나사(31)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패드(41)와 상부 힌지볼(13) 사이의 마찰력을 약화시켜서 헤드부(7)를 다른 각도로 꺽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 프레임(11)의 하부에는 하부 메인 고정부(6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메인 고정부(60)는 힌지 프레임(11)의 하부 힌지볼(14)과 지지대의 상부를 힌지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하부 메인고정부(60)는 상부 메인 고정부(2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메인 고정부(60)는 제 4수납홈(17)의 하부 삽입홀(6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 힌지볼(14)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하부 가압 플레이트(64)와; 상기 하부 가압 플레이트(64)를 하부 힌지볼(14)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하부 탄성부재(66)와; 상기 하부 탄성부재(66)가 외력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안내관(68)과; 상기 하부 안내관(68)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탄성부재(66)를 하부 힌지볼(14)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 가압나사(70)와; 상기 하부 가 압나사(70)에 체결되어 회전시 상기 하부 가압나사(70)를 상기 하부 탄성부재(66)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 조절나사(7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메인 고정부(60)는 상부 메인 고정부(21)과 동일하게 상기 하부 가압나사(70)가 하부 안내관(68)의 내측을 따라 하부 탄성부재(66)의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하부 탄성부재(66)가 이 하부 가압나사(70)에 의하여 하부 힌지볼(14)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고정부(3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고정부(21)를 보조하여 상부 힌지볼(13)과 헤드부(7)간의 압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서브 고정부(38)는 상부 힌지볼(13)과 상부 수납부재(U) 사이의 압착력을 높인다.
상기 서브 고정부(3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고무재질의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 고정부(38)의 일측은 제 1수납 플레이트(33)의 제 1수납홈(19)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홈(37)에 삽입된다. 그리고, 타측은 상기 상부 힌지볼(13)의 표면에 마찰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서브 고정부(38)는 상부 힌지볼(13)의 표면에 항상 접촉함으로써 상부 힌지볼(13)의 이동을 제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 고정부(21)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헤드부(5)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서브 고정부(38)는 마찰부재의 마찰력에 의하여 헤드부(5)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브 고정부(78)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고정부(38)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하부 서브 고정부(78)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제 3수납 플레이트(34)의 제 3수납홈(15)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홈(76)에 삽입된다. 그리고, 타측은 상기 하부 힌지볼(14)의 표면에 마찰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서브 고정부(78)는 하부 힌지볼(14)의 표면에 항상 접촉함으로써 하부 힌지볼(14)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의 작동과정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탠드 장치(1)의 헤드부(7)를 꺽는 경우, 먼저 헤드부(7)에 외력을 가한다.
이때, 상기 헤드부(7)는 힌지 프레임(11)의 상부힌지볼(13)에 상부 메인 고정부(21)와 상부 서브 고정부(38)에 의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메인 고정부(21)의 탄성부재(27)가 가압 플레이트(43)를 상부힌지볼(13)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패드(41)가 상부힌지볼(13)의 표면에 마찰접촉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헤드부(7)가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패드(41)와 상부 힌지볼(13) 사이의 마찰력 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상부 수납부재(U)가 상부힌지볼(13)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7)는 고정상태에서 해제됨으로써 다른 각도로 꺽이게 된다.
그리고, 헤드부(7)가 다른 각도로 꺽여서 일정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탄성부재(27)가 가압 플레이트(43)를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 힌지볼(13)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27)가 가압 플레이트(43)를 가압하는 경우, 탄성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하여 패드(41)가 상부 힌지볼(13)의 표면에 마찰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패드(41)의 마찰력에 의하여 헤드부(7)가 일정 각도로 지지대(5)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7)에 보다 큰 탄성력이 필요한 경우, 조절나사(31)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나사(31)의 볼트(53)가 가압나사(29)를 탄성부재 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가압나사(29)를 미는 경우, 가압나사(29)는 안내관(25)의 내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탄성부재(27)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41)가 상부 힌지볼(13)의 표면에 마찰접촉함으로써 헤드부(7)가 일정 각도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고정부(37)는 상부 힌지볼(13)의 표면에 마찰접촉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서브 고정부(37)는 메인 고정부(21)와 연동하여 헤드부(7)를 일정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부가 구비된 스탠드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절부의 상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절부의 상부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절부의 하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관절부의 하부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8)

  1. 헤드부와 받침대에 연결된 지지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관절부가 구비된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 및 상기 헤드부를 상부 및 하부 힌지볼에 의하여 연결하는 힌지 프레임과;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 프레임의 상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헤드부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상부를 힌지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상부 수납부재;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 프레임의 하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지지대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하부를 힌지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하부 수납부재;
    상기 상부 수납부재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상부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헤드부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메인 고정부; 그리고
    일측은 상기 상부 수납부재의 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 프레임의힌지볼에 마찰접촉됨으로써 상기 메인 고정부를 보조하여 상기 헤드부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서브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수납부재는 반구형상의 제 1수납홈이 형성된 제 1수납플레이트와, 상기 제 1수납플레이트에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며, 반구형상의 제 2수납홈이 형성된 제 2수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탠드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부재는 반구형상의 제 3수납홈이 형성된 제 3수납플레이트와, 상기 제 3수납플레이트에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며, 반구형상의 제 4수납홈이 형성된 제 4수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탠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고정부는 상기 상부 힌지볼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상부 힌지볼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외력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상부 힌지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나사와; 상기 가압나사에 체결되어 회전시 상기 가압나사를 상기 탄성부재 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스탠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볼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하부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하부 힌지볼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하부 탄성부재와; 상기 하부 탄성부재가 외력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안내관과; 상기 하부 안내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탄성부재를 상기 하부 힌지볼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 가압나사와; 상기 하부 가압나사에 체결되어 회전시 상기 하부 가압나사를 상기 하부 탄성부재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 조절나사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탠드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 및 하부 안내관은 중공형상의 관체를 각각 포함하며, 내부에는 육각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나사 및 하부 가압나사는 외면은 육각형상이고, 내측에는 원형홀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절나사 및 하부 조절나사의 볼트가 상기 원형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조절나사 및 하부 조절나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탠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하부 수납부재의 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 프레임의하부 힌지볼에 마찰접촉됨으로써 상기 힌지 프레임을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하부 서브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탠드 장치.
KR1020090042802A 2009-05-15 2009-05-15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 KR101007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02A KR101007903B1 (ko) 2009-05-15 2009-05-15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02A KR101007903B1 (ko) 2009-05-15 2009-05-15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29A KR20100123529A (ko) 2010-11-24
KR101007903B1 true KR101007903B1 (ko) 2011-01-14

Family

ID=4340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802A KR101007903B1 (ko) 2009-05-15 2009-05-15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98B1 (ko) 2012-08-07 2013-11-06 (주)이코루미 조명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786B1 (ko) * 2010-12-03 2013-02-28 서해식 스탠드형 조명장치
KR101256183B1 (ko) * 2011-10-14 2013-04-19 김준형 조명시설의 방향조절이 용이한 전기스탠드
KR101435850B1 (ko) * 2011-12-2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장치
KR101309697B1 (ko) 2011-12-29 2013-09-17 정상민 조명 장치
KR101309698B1 (ko) 2011-12-29 2013-09-17 정상민 조명 장치
CN113007630B (zh) * 2021-04-09 2024-04-05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转动关节结构以及一种台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823U (ko) * 1997-03-17 1998-11-05 주석화 비디오 카메라용 착탈식 액정 모니터
KR20010022730A (ko) * 1997-08-08 2001-03-26 에프.지.엠. 헤르만스 ; 이.에이치. 리링크 Hiv-1의 모든 아형의 증폭 및 검출시 프라이머 및 프로브로서 사용할 수 있는 핵산 서열
KR20010030941A (ko) * 1997-10-06 2001-04-16 큐-도트, 인코포레이티드 델타-시그마 피이드백 제어를 갖는 비임형성된 초음파영상기
KR20050086212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댐퍼 체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823U (ko) * 1997-03-17 1998-11-05 주석화 비디오 카메라용 착탈식 액정 모니터
KR20010022730A (ko) * 1997-08-08 2001-03-26 에프.지.엠. 헤르만스 ; 이.에이치. 리링크 Hiv-1의 모든 아형의 증폭 및 검출시 프라이머 및 프로브로서 사용할 수 있는 핵산 서열
KR20010030941A (ko) * 1997-10-06 2001-04-16 큐-도트, 인코포레이티드 델타-시그마 피이드백 제어를 갖는 비임형성된 초음파영상기
KR20050086212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댐퍼 체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98B1 (ko) 2012-08-07 2013-11-06 (주)이코루미 조명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29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903B1 (ko)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
US7717375B2 (en) Rotation control device for support arm of a lamp
KR101309698B1 (ko) 조명 장치
US596729A (en) Support for electric lamps
US6419370B1 (en) Book lamp structure
CN105102166A (zh) 快速释放连接器
KR101309697B1 (ko) 조명 장치
JP5496065B2 (ja) 歪測定装置
US20110182063A1 (en) Table Lamp
AU2003237926B2 (en) Light fitting
US6758585B1 (en) Articulated, adjustable stand
AU2003237926A1 (en) Light fitting
US7735924B2 (en) Positioning device for chair
JP4676989B2 (ja) 光ファイバまたは光ファイバ束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
CN214369701U (zh) 灯具
KR101366690B1 (ko) 조명 장치
CN211650158U (zh) 一种用于移动照明设备的激光调节机构及移动照明设备
BR0106550A (pt) Dispositivo de estabilização
JP6407648B2 (ja) 照明装置
CN218833127U (zh) 一种便于调力的升降臂
CN211716146U (zh) 一种计算机可调节底座
KR100456398B1 (ko) 팔운동기구
CN211816664U (zh) 一种活动插座结构
KR101843911B1 (ko) 카메라 거치대용 이중 헤드 장치
KR200361705Y1 (ko) 조명등용 커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