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723B1 - 휴대용 랜턴 - Google Patents

휴대용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723B1
KR101192723B1 KR1020120007859A KR20120007859A KR101192723B1 KR 101192723 B1 KR101192723 B1 KR 101192723B1 KR 1020120007859 A KR1020120007859 A KR 1020120007859A KR 20120007859 A KR20120007859 A KR 20120007859A KR 101192723 B1 KR101192723 B1 KR 10119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delete delete
portable lantern
present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진길
Original Assignee
차진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진길 filed Critical 차진길
Priority to KR102012000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21V21/0965Magnetic devi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사방향의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랜턴은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여 빛이 조사되는 회로 모듈 및 내부는 상기 LED 회로 모듈의 내장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의 하단에 단면의 외곽선이 원형인 형태로 회전축이 형성된 광원 케이스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회전축의 삽입이 가능한 원형의 내벽을 갖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가 결합된 경우에 상기 광원부가 수직축에 대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관절부 및 상기 회전관절부가 수평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조사 방향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랜턴{A portable lanter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사방향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고, 랜턴의 사용용도에 적합한 형태의 광원부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휴대용 랜턴은 주로 한 손으로 들고 일정 방향을 조사하면서 사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기존의 랜턴은 한 손으로 랜턴을 들고 원하는 조사 위치를 비춰야만 했다. 따라서 기존의 랜턴은 작업시 한 손의 자유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바닥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넓은 바닥면을 갖는 랜턴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바닥면에 세워놓은 랜턴의 경우, 조사 방향의 선택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작업장에서 이용되는 랜턴은 좁은 곳을 조사하는 것도 필요하고, 매우 많은 광량을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 환경적으로 다양한 제한조건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랜턴은 이러한 다양한 제한조건에 따른 변경이 불가능하여 작업자가 다수한 형태의 랜턴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조사 방향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랜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광원부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광원부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랜턴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펄스 폭 변조를 통하여 전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시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휴대용 랜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랜턴은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여 빛이 조사되는 회로 모듈 및 내부는 상기 LED 회로 모듈의 내장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의 하단에 단면의 외곽선이 원형인 형태로 회전축이 형성된 광원 케이스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회전축의 삽입이 가능한 원형의 내벽을 갖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가 결합된 경우에 상기 광원부가 수직축에 대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관절부 및 상기 회전관절부가 수평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관절부는 상기 거치홈을 중심으로 양 측면 끝단이 원형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그립부는 상단에 내벽이 원형인 홈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관절부의 양 측면 끝단과 상기 그립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관절부가 수평축에 대하여 180도 이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는 내부에 전지를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장착된 전지와 상기 회로모듈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회로모듈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는 하단에 외부 전원 연결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 전원 연결 단자를 통하여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회로모듈로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휴대용 랜턴은 상기 거치홈과 상기 회전축의 결합시, 상기 거치홈과 상기 회전축은 4개 이상의 구분된 접촉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 측에 형성된 제1 접촉은 (+) 단자, 제2 접촉은 (-) 단자, 제3 접촉은 접지로 이용되며, 제4 접촉은 부도체로 구현되고, 복수의 광원부들을 교체하며 이용하는 경우, 일부 광원부의 회전축 측에 형성된 접촉들 중에서 상기 제1 접촉 또는 상기 제2 접촉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접촉을 부도체로 구현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부들의 교체 사용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외벽에는 돌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을 통하여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벽과 상기 거치홈의 내벽이 상기 돌기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모듈은 전기 신호의 펄스 폭을 일정 시간 단위로 변조할 수 있는 펄스 폭 변조를 통하여 상기 광원의 점멸을 수행 하는 특징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부는 상기 회전관절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상기 휴대용 랜턴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 광원부의 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복수의 광원부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모듈은 상기 광원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된 광 감응 센서에 따라 다단계로 상기 광원의 휘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는 뒷면 및 아랫면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자석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랜턴을 사용자가 자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에 부착시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사 방향을 자유로이 선택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부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광원부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펄스 폭 변조를 통하여 전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시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관절부와 그립부의 결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회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교체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백열전구,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ourscent Lamp) 등 쓰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조합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효율성과 수명면에서 뛰어난 LED를 대표로 설명하고자 하나, 다른 광원으로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랜턴은 광원부(110), 회전관절부(120) 및 그립부(130)를 포함한다.
광원부(110)는 하나 이사의 광원을 포함하여 빛이 조사된는 회로모듈 및 하단에 회전축(111)이 형성된 광원 케이스를 포함한다.
회로모듈은 PCB 기판에 LED와 각종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의 점멸을 통하여 발광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때, 회로모듈은 전기 신호의 펄스 폭을 일정 시간 단위로 변조할 수 있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on; PWM)를 통하여 LED의 점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SMD5050 타입의 LED 소자 15개에 대해 AA사이즈 1.5V 건전지 4개를 기준으로 10시간 이상으로 가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회로모듈은 광원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된 광 감응 센서에 따라 다단계로 휘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외부가 밝으면 휘도를 높이고, 외부가 어두우면 휘도를 자동으로 낮추어 가용 시간을 더 늘릴 수 있다.
광원 케이스는 회로모듈이 내장 가능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의 하단은 단면의 외곽선이 원형이 형태로 회전축(111)이 형성된다. 즉, 회전축(111)은 외벽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이후 설명할 회전관절부(120)에 형성된 거치홈(121)에 끼워져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111)은 외벽에 돌기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돌기가 돌기홈(113)을 통하여 돌출된 상태로 구현된다. 그리고 회전축(111)과 거치홈(121)은 해당 돌기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홈(121)과 회전축(111)이 맞닿는 두 면 각각에 자석을 부착하여 돌기홈(113)과 돌기 없이도 광원부(110)와 회전관절부(12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회전관절부(120)는 상술한 회전축(111)이 삽입 가능한 거치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부(110)는 회전축(111)을 거치홈(121)에 삽입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사용자가 손쉽게 좌우의 조사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회전관절부(120)는 그립부(130)의 상단에 결합된다. 그립부(130)와 회전관절부(120)의 결합면은 원형으로 구현되어, 회전관절부(120)가 수평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바람직하게는 약 180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회전관절부(120)에 겹합된 광원부(110)가 앞뒤로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상하좌우로 조사방향의 변경이 자유로울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립부(130)는 내부에 전지(건전지 혹은 충전지)를 내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그립부(130)의 하단의 넓은 공간에 전지가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랜턴은 장착된 전지에서 상술한 회로모듈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모듈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립부(130)는 하단에 외부 전원 연결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가용시간의 제한이 없는 경우이다. 이때, 외부 전원은 110V, 220V 등의 AC 전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외부 전원 연결 단자에서부터 회로모듈까지 전기적 연결은 필수임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광원부(110)와 회전관절부(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 측면에서도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광원부(110)의 회전에도 전기적 연결이 유지되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광원부(110)와 회전관절부(12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전극면을 형성하여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111)의 외벽 일부와 거치홈(121)의 내벽 일부를 다단으로 나누어 접촉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회전축(111)과 거치홈(121)이 정합되도록 내부에 동심원 형태로 접촉면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즉, 회전축(111)과 거치홈(121)의 결합시 수직 단면이 복수의 요철(凹凸)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현하여, 접촉면의 수를 증가시키고, 각 접촉면이 전극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관절부(120)와 그립부(130)의 결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관절부(120)와 그립부(13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관절부(120)의 거치홈(121)을 중심으로 양 측면 끝단이 그립부(130)의 상단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거치홈(121)의 양 측면 끝단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구현된다. 그리고 그립부(130)의 상단은 거치홈(121)의 양 측면 끝단과 밀착될 수 있는 원형의 내벽을 갖는 2개의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거치홈(121)의 양 측면 끝단은 그립부(130)의 상단에 결합되어, 밀착면인 원형면을 따라 수평축에 대하여 180도 이내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치홈(121)에 광원부(110)가 결합된 경우,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회전관절부(120)의 수평축에 대한 회전으로 조사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상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그립부(130)의 뒷면과 아랫면이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랜턴은 그립부(130)의 뒷면과 아랫면에 하나 이상의 자석(210)이 형성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석(210)의 자력을 이용하여 휴대용 랜턴을 임의의 자성체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그립부(130)에 자석(210)을 위치시킴으로서, 광원부(110)의 조사방향 선택 기능에 더욱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회전 예시도이다. 도 3의 정면 조사 예시(310)를 참조하면, 광원부(110)는 정면을 향하고 있다. 반면에 도 3의 회전 조사 예시(320)를 참조하면, 광원부(110)가 정면 기준으로 우측으로 약 45도 회전되어 있고, 앞면으로 약 45도 회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광원부(110)의 조사 방향을 사용자가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10) 교체 예시도이다.
광원부(110)는 회전관절부(120)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광원부(110)의 회전축(111)에 돌기홈(113) 및 돌기가 형성되어 광원부(110)가 거치홈(121)으로부터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랜턴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 형태에 따라 복수의 광원부(110)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광원부(410)는 기본적인 형태이고, 제2 광원부(420)는 좁은 공간에서 활용도가 높은 형태이다. 그리고 제3 광원부(430)는 많은 광량이 필요한 환경에 적합한 형태이다.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광원부(110)만 구비하고 있으면, 사용자는 환경에 가장 적합한 광원부(110)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립부(130)도 전지형과 AC전원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제1 그립부(440)는 하단에 전지를 삽입하는 공간이 형성된 형태이고, 제2 그립부(450)는 아랫면 또는 뒷면에 외부 전원 연결 단자(미도시)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AC전원을 인가받는 형태이다.
제1 그립부(440)를 이용하는 경우, 휴대용 랜턴의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그립부(450)를 이용하는 경우, 휴대용 랜턴는 휴대성 측면에서의 제약이 있지만 가용시간의 한계가 없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광원부(410)와 제2 광원부(420)의 사용을 제1 그립부(440)로 제한하고, 제3 광원부(430)는 제2 그립부(450)에 대해 사용되도록 제한을 둘 수가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사용제한이 있는 경우, 제1 광원부(410)와 제2 광원부(420)의 회로모듈에 AC-DC 변환회로를 배제할 수 있으며, 제3 광원(430)의 광량을 극대화시켜 건전지나 충전지 사용시 사용시간이 극히 짧아지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용 랜턴은 회전관절부(120)의 거치홈(121)과 광원부(110)의 회전축(111) 사이의 전기적 연결에 기술적 특징을 더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홈(121)과 회전축(111) 사이의 접촉이 최소 4개 이상 되도록 구현한다. 그리고 제1 그립부(440)와 제1, 제2 광원부(410, 420)는 제1 접촉, 제2 접촉, 제3 접촉은 도전체로 구현하고, 제4 접촉은 부도체로 구현한다. 그리고 제2 그립부(450)와 제3 광원부(430)는 제1 접촉, 제3 접촉, 제4 접촉은 도전체로 구현하고, 제2 접촉은 부도체로 구현한다.
따라서 제1, 제2 광원부(410, 420)가 제2 그립부(450)에 결합된 경우, 최소 3개의 접촉(+단자, -단자, 접지)가 필요하므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제3 광원부(430)가 제1 그립부(440)과 결합된 경우에도 접촉이 2개만이 이뤄지므로 당연히 절연되어 이용이 불가하다.
굳이 상호 사용을 제한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AC-DC 변환회로가 배제된 경우에 제2 그립부(450)에 제1, 제2 광원부(410, 420)가 결합된 경우 과전류로 인한 회로 손상 우려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이고, 본 발명은 제1 광원부(410) 및 제2 광원부(420)에 AC-DC 변환회로를 포함하고, 제1 그립부(440)의 전지 용량을 높이거나 제3 광원부(430)의 소모전력을 낮추는 방식으로 전체적으로 상호 교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 경우, 4개의 접촉 중 2개를 접지로 이용함으로써, 전기적 안정성을 높일 수도 있다.
110: 광원부 111: 회전축
113: 돌기홈 120: 회전관절부
121: 거치홈 130: 그립부
210: 자석
310: 정면 조사 예시 320: 회전 조사 예시
420: 제1 광원부 420: 제2 광원부
430: 제3 광원부 440: 제1 그립부
450: 제2 그립부

Claims (10)

  1. 휴대용 랜턴으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여 빛이 조사되는 회로 모듈 및 내부에 내장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의 하단에 단면의 외곽선이 원형인 형태로 회전축이 형성된 광원 케이스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회전축의 삽입이 가능한 원형의 내벽을 갖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가 결합된 경우에 상기 광원부가 수직축에 대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관절부; 및
    상기 회전관절부가 수평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랜턴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10)와 회전관절부(120)는 회전과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회전축(111)의 외벽 일부와 거치홈(121)의 내벽 일부를 다단으로 나누어 접촉면 사이를 전기적 연결시키고, 회전축(111)과 거치홈(121)의 결합시 수직 단면이 복수의 요철(凹凸)의 형태로 형성시켜 접촉면의 수를 증가시키고, 각 접촉면이 전극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며, 그립부(130)의 뒷면과 아랫면에 하나 이상의 자석(210)을 형성시켜, 자력을 통해 휴대용 랜턴을 자성체에 부착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07859A 2012-01-26 2012-01-26 휴대용 랜턴 KR10119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859A KR101192723B1 (ko) 2012-01-26 2012-01-26 휴대용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859A KR101192723B1 (ko) 2012-01-26 2012-01-26 휴대용 랜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723B1 true KR101192723B1 (ko) 2012-10-18

Family

ID=4728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859A KR101192723B1 (ko) 2012-01-26 2012-01-26 휴대용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7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39Y1 (ko) 2014-02-11 2014-04-11 (주)호수조명 Led랜턴
KR20170009450A (ko) 2015-07-17 2017-01-25 주식회사 이레테크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KR101755341B1 (ko) * 2016-05-31 2017-07-07 김태영 차량의 안전경고등 기능을 갖는 캠핑 레저겸용 조명장치
KR101755342B1 (ko) * 2016-05-31 2017-07-07 김태영 차량의 안전경고등 및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캠핑 레저겸용 조명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39Y1 (ko) 2014-02-11 2014-04-11 (주)호수조명 Led랜턴
KR20170009450A (ko) 2015-07-17 2017-01-25 주식회사 이레테크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KR101755341B1 (ko) * 2016-05-31 2017-07-07 김태영 차량의 안전경고등 기능을 갖는 캠핑 레저겸용 조명장치
KR101755342B1 (ko) * 2016-05-31 2017-07-07 김태영 차량의 안전경고등 및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캠핑 레저겸용 조명장치
WO2017209398A3 (ko) * 2016-05-31 2018-08-02 김태영 차량의 안전경고등 및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캠핑 레저겸용 조명장치
CN109195838A (zh) * 2016-05-31 2019-01-11 金泰荣 具有车辆安全警示灯及火灾探测功能的露营休闲用照明装置
EP3466760A4 (en) * 2016-05-31 2020-02-12 Tae-Young Kim LIGHTING DEVICE FOR USE FOR CAMPING AND LEISURE WITH VEHICLE WARNING LAMP AND FIRE DETECTION FUNCTION
AU2017276046B2 (en) * 2016-05-31 2020-11-19 Tae-Young Kim Lighting device which can be used for camping and leisure and has vehicle safety warning light and fire detection functions
CN109195838B (zh) * 2016-05-31 2022-03-04 金泰荣 具有车辆安全警示灯及火灾探测功能的露营休闲用照明装置
US11548435B2 (en) 2016-05-31 2023-01-10 Tae-Young Kim Lighting device which can be used for camping and leisure and has vehicle safety warning light and fire detection fun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734B2 (en) Modular flash light with magnetic connection
US8356920B2 (en) Lighting device
WO2019040734A1 (en) PORTABLE LANTERN WITH DIFFERENT OPERATING MODES
KR101192723B1 (ko) 휴대용 랜턴
JP2002304904A (ja) Led照明装置
KR101098001B1 (ko) 엘이디 모듈의 탈착 및 분리 가능한 엘이디 전구
US20130148338A1 (en) Light emitting diode table lamp
US2018022407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multi-functional folding straight light
US9055642B2 (en) Multi-purpose rechargeable LED lighting device
CN105650577A (zh) 一种多功能led台灯
JP2008269974A (ja) 照明装置
KR20150049802A (ko)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KR20120065552A (ko) 엘이디 데스크 스탠드, 이에 적합한 조사각 조절 장치
CN102483194A (zh) 移动式照明装置
CN211952361U (zh) 一种野营灯
KR101069990B1 (ko) 조명장치
CN210979616U (zh) 一种多功能警示灯
KR20180006210A (ko) 회전형 발광장치
CN205560308U (zh) 一种照明装置
CN215982083U (zh) 多功能手电筒
CN215489439U (zh) 一种高杆灯
CN203940248U (zh) 一种便携式led灯
CN203963523U (zh) 便携式探照灯
CN218295534U (zh) 一种照明用led灯
CN218178645U (zh) 一种笔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