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210A - 휴대 기기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210A
KR20150084210A KR1020140003994A KR20140003994A KR20150084210A KR 20150084210 A KR20150084210 A KR 20150084210A KR 1020140003994 A KR1020140003994 A KR 1020140003994A KR 20140003994 A KR20140003994 A KR 20140003994A KR 20150084210 A KR20150084210 A KR 20150084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unit
base portion
charging modu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4000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4210A/ko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ko
Publication of KR2015008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 기기 충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및 베이스부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 모듈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 충전 장치{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성 및 휴대성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휴대 기기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들은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충전 여부가 결정되는데, 최근의 휴대 기기들은 그 종류 및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휴대 기기까지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반면, 종래의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모듈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휴대 기기를 충전하기 때문에,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가 제대로 무선 충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없어 외부 충격이 발생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였을 때 휴대 기기가 제 위치를 벗어나 무선 충전이 안되거나 무선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886호(2012.08.2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충전 모듈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거나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및 상기 베이스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정부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축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에 마련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나사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내벽에 상기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조정부의 축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나사부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이동 조정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정부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이동 조정부를 축 회전시켜 상기 축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슬릿; 및 상기 제1 가이드 슬릿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이동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레버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1 이동 레버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1 걸림 돌기; 및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이동 레버를 고정시키는 제1 걸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수직한 면에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수직한 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슬릿; 및 상기 제2 가이드 슬릿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이동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레버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2 이동 레버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2 걸림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2 이동 레버를 고정시키는 제2 걸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상기 베이스부 내에 형성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휴대 기기 거치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를 상기 전력 송신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 및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및 상기 베이스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며, 상기 휴대 기기로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송신부의 중심은,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으로부터 57 ~ 77mm에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θ1)가 90°미만이 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수직면이 이루는 각도(θ2)가 90°이하가 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알림부는,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거치부 내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휴대 기기 거치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거나 자외선 차단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유선 접속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유선 충전시킬 수 있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외부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 방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위치를 알려주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이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모듈을 베이스부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을 최적의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휴대 기기의 기종 및 크기에 관계 없이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를 거치시킬 때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해줌으로써, 휴대 기기의 위치를 무선 충전 모듈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 효율을 높이고 외부 충격이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태 알림부를 통해 휴대 기기 충전 장치 및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휴대 기기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를 통해 휴대 기기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거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부(102)의 내부를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베이스부(102), 지지부(104), 휴대 기기 거치부(106), 무선 충전 모듈(108), 충전 모듈 수납부(110), 이동 조정부(112), 제1 가이드부(114), 제2 가이드부(116), 자외선 조사부(118), 상태 알림부(120), 유선 접속부(122), 및 커버(12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02)는 휴대 기기(50)와 같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102)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정사각형, 오각형 등)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지지부(104)는 베이스부(10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104)는 제1 지지부(104-1) 및 제2 지지부(10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04-1)는 베이스부(102)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02)는 제1 힌지(13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제1 지지부(104-1)와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04-2)는 제1 지지부(104-1)의 종단에서 제1 지지부(104-1)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 지지부(104-2)는 장착면(F)에 접촉된다. 제2 지지부(104-2)는 고정 부재(133)를 통해 장착면(F)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지지부(104-2)는 접착제 등을 통해 장착면(F)에 부착될 수도 있다. 장착면(F)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가 장착되는 곳으로, 예를 들어, 테이블, 책상 등의 표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차량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거치부(106)는 베이스부(102)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거치부(106)는 베이스부(102)의 일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거치부(106)는 휴대 기기(50)를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 거치부(106)는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수납 공간(S1)을 구비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는 베이스부(102)의 전면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거치부(106)는 휴대 기기(50)의 일측면이 안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내면에는 보호 패드(135)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35)는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 패드(135)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수납될 때, 휴대 기기(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패드(135)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06)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135)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베이스부(102) 내부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거치된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전력 송신부(108-1) 및 받침부(108-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108-1)는 받침부(108-2) 상에 형성된다. 전력 송신부(108-1)는 무선 전력을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전력 송신부(108-1)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전력 송신부(108-1)는 충전 코일이 여러 번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108-1)는 충전 코일이 원형으로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코일이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로 권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송신부(108-1)로는 안테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받침부(108-2)는 전력 송신부(108-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력 송신부(108-1)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메인 보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력 송신부(108-1)는 플렉서블 케이블(137)을 통해 메인 보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 및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 없이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충전 모듈 수납부(110)는 베이스부(102) 내에서 무선 충전 모듈(108)을 수납한다. 충전 모듈 수납부(110)는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108)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S2)을 구비한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충전 모듈 수납부(110) 내에서 고정되어 수납될 수 있다. 충전 모듈 수납부(110)는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 및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108)은 충전 모듈 수납부(11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동 조정부(112)는 베이스부(102)의 상면을 관통하여 충전 모듈 수납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조정부(112)는 베이스부(102)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충전 모듈 수납부(1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이동 조정부(112)를 향하는 측면에는 결합부(110-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2)의 일측은 베이스부(102)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2)의 타측은 결합부(110-a)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2)의 타측은 결합부(110-a)에 형성된 관통홀(139)에 삽입되어 결합부(110-a)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a)의 관통홀(139)에는 나사부(112-a)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동 조정부(112)와 결합부(110-a)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베이스부(102)의 상면에서 돌출된 이동 조정부(112)의 일측을 회전시키면,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결합부(110-a)가 이동 조정부(112)의 나사부(112-a)를 따라(즉,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충전 모듈 수납부(110)에 수납되므로, 충전 모듈 수납부(110)와 함께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 조정부(112)의 일측의 회전 방향에 따라 충전 모듈 수납부(110)가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베이스부(102)의 상면에는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이동 조정부(112)를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회전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베이스부(102)의 상면 및 베이스부(102)의 상면에서 돌출된 이동 조정부(112)의 일측에는 이동 조정부(112)의 회전 횟수(또는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선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2)의 종단에는 걸림부(112-b)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결합부(110-a)가 나사부(112-a)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걸림부(112-b)에 걸림되어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나사부(112-a)의 길이는 충전 모듈 수납부(110)가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된다. 걸림부(112-b)는 결합부(110-a)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결합부(110-a)가 나사부(112-a)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모듈(108)이 충전 모듈 수납부(110)에 수납되고, 이동 조정부(112)가 충전 모듈 수납부(110)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모듈 수납부(110) 없이 이동 조정부(112)가 무선 충전 모듈(108)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조정부(112)의 나사부(112-a)가 무선 충전 모듈(108)의 받침부(108-2)와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받침부(108-2)에는 나사부(112-a)가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홀(미도시)에는 나사부(112-a)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02)의 상면에는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슬릿(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2)는 제1 가이드 슬릿(141)을 따라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충전 모듈 수납부(110)(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8))는 이동 조정부(112)와 함께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베이스부(102)의 상면에는 이동 조정부(112)의 이동 거리에 따른 눈금이 예를 들어, cm 또는 mm 단위로 표시되거나,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른 식별자(즉,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이동 조정부(112)를 폭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시켜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조정부(112)를 통해 충전 모듈 수납부(110)를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 모듈(108)이 베이스부(102) 내에서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거치되는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108)을 무선 충전 효율이 최대가 되는 위치(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가이드부(114)는 베이스부(102)의 내부에서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114)는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부(114)는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부(114)는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충전 모듈 수납부(110)는 이동 조정부(112)의 회전 시 제1 가이드부(114)를 따라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가이드부(114)는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측면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부(114)는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측면을 단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가이드부(116)는 베이스부(102)의 내부에서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116)는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16)는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충전 모듈 수납부(110)는 이동 조정부(112)가 제1 가이드 슬릿(141)을 따라 이동할 때 제2 가이드부(116)를 따라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가이드부(116)는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하부면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가이드부(116)는 충전 모듈 수납부(110)의 하부면을 단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118)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거치된 휴대 기기(50)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18)는 커버(124)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102)의 전면(즉, 휴대 기기(50)가 지지되는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118)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8)는 무선 충전 모듈(108)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8)는 무선 충전 모듈(108)과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118)는 커버(124)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18)는 커버(124)가 닫히는 경우 온(ON) 동작하고, 커버(124)가 열리는 경우 오프(OFF) 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20)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줄 수 있다.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전원 상태, 무선 충전 모듈(108)의 동작 상태(즉,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자외선 조사부(118)의 동작 상태, 및 유선 접속부(122)의 접속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각 구성들(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8), 자외선 조사부(118) 등)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의 동작 지속 시간 및 진행 정도(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18)의 살균 시간, 무선 충전 모듈(108) 또는 유선 접속부(122)를 통한 휴대 기기(50)의 충전 시 충전 진행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는 예를 들어, 착신 신호 수신(즉, 전화가 걸려온 경우),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및 SNS 메시지 수신(예를 들어, 카카오톡, 카카오 스토리, 페이스북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20)는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태 알림부(120)는 베이스부(102)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태 알림부(120)는 표시 알림부(120-1) 및 음성 출력 알림부(120-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20-1)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 형태로 표시해 줄 수 있다. 표시 알림부(120-1)에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들이 도안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20-1)에는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전원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표시부(ⓑ)(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 자외선 조사부(118)의 동작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표시부(ⓓ) 등이 도안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20-1)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에 대응하는 도안화된 부분에 조명이 켜지는 것을 통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음성 출력 알림부(120-2)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으로 출력(즉, 소리로 알려줌)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알림부(120)는 표시 알림부(120-1) 및 음성 출력 알림부(120-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유선 접속부(122)는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 접속부(122)는 베이스부(1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선 접속부(122)는 메인 보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접속부(122)는 케이블(예를 들어, 데이터 케이블, 충전 케이블,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유선 접속부(122)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동작을 함께 수행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커버(124)는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버(124)는 제2 힌지(14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휴대 기기 거치부(106)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124)는 베이스부(102)의 상단 또는 베이스부(102)의 일측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124)는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거치된 휴대 기기(50)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커버(124)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24)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표면에 자외선 차단 코팅제가 도포될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가 한정된 전원 용량을 가지는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는 전원 방전 방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 방전 방지부(미도시)는 상기 전원의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전원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충전 모듈 수납부(108)가 이송 조정부(112)의 나사부(112-a)를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2)의 내부에서 이송 조정부(112)의 나사부(112-a)의 일측에는 구동부(163)가 형성된다. 구동부(163)는 이송 조정부(11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부(163)는 메인 보드(150)에서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이송 조정부(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는 메인 보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송 조정부(112)의 회전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63)는 모터(163-1) 및 기어(163-2)를 포함한다. 모터(163-1)는 이송 조정부(11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기어(163-2)는 모터(163-1) 및 나사부(112-a)와 각각 연결되어 모터(163-1)의 구동력을 나사부(112-a)로 전달한다. 나사부(112-a)의 일측은 충전 모듈 수납부(108)의 일측면과 결합된다. 충전 모듈 수납부(108)의 일측면에는 나사부(112-a)와 대응되는 나사산(161)이 형성된다. 충전 모듈 수납부(108)의 타측면에는 제1 가이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63)가 나사부(112-a)를 회전시키면, 충전 모듈 수납부(110)가 나사부(112-a)를 따라(즉,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구동부(163)가 이송 조정부(112)를 회전시켜 충전 모듈 수납부(110)를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부(163)는 이송 조정부(112)를 제1 가이드 슬릿(141)을 따라 이동시켜 충전 모듈 수납부(110)를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구동부(163)는 이송 조정부(112)를 제1 가이드 슬릿(141)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모터(미도시) 및 상기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이송 조정부(112)에 전달하기 위한 수평 이동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112-a)의 타측에는 나사부(112-a)를 충전 모듈 수납부(108)의 일측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지지 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 조정부(112)를 제1 가이드 슬릿(141)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163-1)를 이용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50)가 거치된 경우, 구동부(163)를 통해 무선 충전 모듈(108)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켜 휴대 기기(50)로부터 무선 충전과 관련되어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지점(또는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지점)에서 무선 충전 모듈(108)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구동부(163)를 통해 휴대 기기(50)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지점(또는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지점)으로 무선 충전 모듈(108)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모듈(108)이 충전 모듈 수납부(110)에 수납되고, 이동 조정부(112)가 충전 모듈 수납부(110)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모듈 수납부(110) 없이 이동 조정부(112)가 무선 충전 모듈(108)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조정부(112)의 나사부(112-a)가 무선 충전 모듈(108)의 받침부(108-2)와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받침부(108-2)의 일측면에는 나사부(112-a)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 거치부(106) 내에는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거치부(106) 내부에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는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고,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와 대향하는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타측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는 제1 탄성 부재(171-1) 및 제1 탄성 부재(171-1)와 힌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부재(17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는 제2 탄성 부재(174-1) 및 제2 탄성 부재(174-1)와 힌지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부재(17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71-1) 및 제2 탄성 부재(174-1)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는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가 고정되는 위치는 전력 송신부(108-1)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가이드 부재(171-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일측 내벽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가이드 부재(174-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타측 내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가이드 부재(171-2)가 제1 탄성 부재(171-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고, 제2 가이드 부재(174-2)가 제2 탄성 부재(174-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타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즉, 전력 송신부(108-1)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전력 송신부(108-1)의 위치로 유도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108)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50)(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무선 충전 모듈(108)(보다 자세하게는 전력 송신부(108-1))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지 않으면, 무선 충전이 어려울 뿐더러 무선 충전이 이루어진다 해도 무선 충전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특히, 휴대 기기(50)는 기종에 따라 다양한 크기(예를 들어, 갤럭시 노트 시리즈, 갤럭시 S 시리즈, 아이폰 시리즈 등)를 가지는데,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의 위치도 달라지므로,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108)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기 어렵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전력 송신부(108-1)의 위치로 유도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108)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양측 내벽에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 중 어느 하나에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토션 스프링 및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거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108)의 전력 송신부(108-1)의 중심 위치(P)는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바닥면에서부터 57 ~ 77mm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삽입되어 거치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하단은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휴대 기기(50)의 배면(또는 전면)은 베이스부(102)의 전면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는 기종 및 크기가 다르다 하더라도 휴대 기기(50)의 하단에서부터 57 ~ 77mm에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전력 송신부(108-1)의 중심 위치(P)를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바닥면(즉, 휴대 기기(50)의 하단)에서부터 57 ~ 77mm에 위치시킴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8)의 전력 송신부(108-1)와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가 대응되도록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무선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력 송신부(108-1)의 중심 위치(P)가 휴대 기기 거치부(106)의 바닥면에서부터 57 ~ 77mm의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무선 충전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고,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 해도 무선 충전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한편, 지지부(104)에는 베이스부(102)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4)에는 제1 회전 제한부(177) 및 제2 회전 제한부(17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회전 제한부(177)는 베이스부(102)의 제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회전 제한부(177)는 베이스부(102)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θ1)가 90°미만이 되도록 베이스부(102)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회전 제한부(177)는 제1 지지부(104-1)의 상측에서 제1 지지부(104-1)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회전 제한부(177)의 형성되는 위치와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제한부(177)는 제1 지지부(104-1)의 하측 또는 제2 지지부(104-2)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2 회전 제한부(179)는 베이스부(102)의 제2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반향 또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회전 제한부(179)는 베이스부(102)와 수직면이 이루는 각도(θ2)가 90°이하가 되도록 베이스부(102)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회전 제한부(179)는 제1 지지부(104-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회전 제한부(179)는 제1 힌지(13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회전 제한부(177) 및 제2 회전 제한부(179)를 통해 베이스부(102)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각각 제한함으로써,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거치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베이스부(102)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무선 충전 모듈(108)의 전력 송신부(108-1) 간의 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어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108)의 받침부(108-2) 상에 전력 송신부(108-1)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송신부(181), 제2 전력 송신부(182), 및 제3 전력 송신부(183)가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력 송신부(181) 및 제2 전력 송신부(182)는 일부가 겹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력 송신부(182) 및 제3 전력 송신부(183)는 일부가 겹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력 송신부(181), 제2 전력 송신부(182), 및 제3 전력 송신부(183)는 각각 메인 보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전력 송신부(181), 제2 전력 송신부(182), 및 제3 전력 송신부(183)가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가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3개의 전력 송신부(181, 182, 183)가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전력 송신부가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108-2) 상에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181, 182, 183)를 배열하여 형성함으로써, 전력 송신부(108-1)가 커버할 수 있는 전체 영역이 넓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거치되는 경우, 제1 전력 송신부(181), 제2 전력 송신부(182), 및 제3 전력 송신부(183)는 각각 휴대 기기(50)로부터 무선 충전과 관련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송신부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 동작 초기에는 제1 전력 송신부(181), 제2 전력 송신부(182), 및 제3 전력 송신부(183)로 동일한 전력을 공급하여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각각 수신하도록 한 후,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송신부에 전력을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나머지 전력 송신부로는 전력 공급을 줄일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송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송신부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108)의 받침부(108-2) 상에 4개의 전력 송신부(181, 182, 183, 18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력 송신부(181) 및 제4 전력 송신부(184)는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제2 전력 송신부(182) 및 제3 전력 송신부(183)는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 송신부(181) 및 제4 전력 송신부(184)는 제2 전력 송신부(182) 및 제3 전력 송신부(183)와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베이스부(102)의 배면을 도시하였으며, 지지부(104)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2)의 배면에는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 슬릿(18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슬릿(185)에는 제2 가이드 슬릿(185)과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187-1, 187-2, 187-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홈(187-1)은 제2 가이드 슬릿(185)의 상단에서 제2 가이드 슬릿(185)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홈(187-2)은 제1 걸림홈(187-1)의 하측에서 제2 가이드 슬릿(185)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걸림홈(187-3)은 제2 걸림홈(187-2)의 하측에서 제2 가이드 슬릿(185)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걸림홈(187-1) 내지 제3 걸림홈(187-3)이 제2 가이드 슬릿(185)의 일측과 타측에 교대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걸림홈(187-1) 내지 제3 걸림홈(187-3)이 제2 가이드 슬릿(185)의 일측 또는 타측에 전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걸림홈(187-1, 187-2, 187-3)이 3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슬릿(185)의 내부에는 제2 가이드 슬릿(185)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레버(189)가 형성된다. 이동 레버(189)는 무선 충전 모듈(108)의 받침부(108-2)와 연결된다. 여기서는, 이동 레버(189)의 중심부가 받침부(108-2)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연결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레버(189)가 제2 가이드 슬릿(185)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이동 레버(189)와 연결된 받침부(108-2)가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동 레버(189)에는 이동 레버(189)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 돌기(19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191)는 제1 걸림홈(187-1) 내지 제3 걸림홈(187-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이동 레버(189)는 축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레버(189)를 제2 가이드 슬릿(185)을 따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걸림 돌기(191)가 베이스부(102)의 후방을 향하도록 이동 레버(189)를 축 회전시킨 후 이동 레버(189)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레버(189)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걸림 돌기(191)가 제1 걸림홈(187-1) 내지 제3 걸림홈(187-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이동 레버(189)를 축 회전시켜 이동 레버(189)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안착된 휴대 기기(50)가 예를 들어, 갤럭시 노트 시리즈(갤럭시 노트 1, 갤럭시 노트 2, 갤럭시 노트 3 등)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휴대 기기인 경우, 사용자는 이동 레버(189)를 제2 가이드 슬릿(185)의 상단으로 이동시킨 후, 이동 레버(189)를 축 회전시켜 걸림 돌기(191)를 제1 걸림홈(187-1)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8)의 전력 송신부(108-1)는 갤럭시 노트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안착된 휴대 기기(50)가 예를 들어, 갤럭시 S 시리즈(갤럭시 S1, 갤럭시 S2, 갤럭시 S3, 갤럭시 S4 등)와 같이 중간 정도 크기의 휴대 기기인 경우, 사용자는 이동 레버(189)를 제2 가이드 슬릿(185)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걸림 돌기(191)를 제2 걸림홈(187-2)에 삽입시켜 이동 레버(189)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8)의 전력 송신부(108-1)는 갤럭시 S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거치부(106)에 안착된 휴대 기기(50)가 예를 들어, 아이폰 시리즈(아이폰 1, 아이폰 2, 아이폰 3, 아이폰 4, 아이폰 5 등)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휴대 기기인 경우, 사용자는 이동 레버(189)를 제2 가이드 슬릿(185)의 하단까지 이동시킨 후 걸림 돌기(191)를 제3 걸림홈(187-3)에 삽입시켜 이동 레버(189)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8)의 전력 송신부(108-1)는 아이폰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제1 걸림홈(187-1) 내지 제3 걸림홈(187-3)과 대응되는 베이스부(102)의 배면에는 그와 대응되는 휴대 기기(50)의 기종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사용자가 이동 레버(189)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레버(189)는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는 휴대 기기(50)의 기종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 기기(50)의 기종을 선택하면 이동 레버(189)가 해당 위치로 자동 이동하여 고정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08-2)를 베이스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가이드 슬릿(141)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베이스부(102)의 전면을 도시하였으며, 지지부(104) 및 휴대 기기 거치부(106)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였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2)의 전면 중 일부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2)는 투명 영역(102-a)과 불투명 영역(10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영역(102-a)은 무선 충전 모듈(108)의 이동 가능한 영역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육안으로 무선 충전 모듈(108)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2)의 전면 전체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8)에는 조명부(19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93)는 전력 송신부(108-1)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102)는 불투명 재질이지만 조명부(193)에서 발생하는 빛을 확인할 수 있는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조명부(193)를 통해 무선 충전 모듈(108)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02 : 베이스부
104 : 지지부
104-1 : 제1 지지부
104-2 : 제2 지지부
106 : 휴대 기기 거치부
108 : 무선 충전 모듈
108-1 : 전력 송신부
108-2 : 받침부
110 : 충전 모듈 수납부
110-a : 결합부
112 : 이동 조정부
112-a : 나사부
112-b : 걸림부
114 : 제1 가이드부
116 : 제2 가이드부
118 : 자외선 조사부
120 : 상태 알림부
120-1 : 표시 알림부
120-2 : 음성 출력 알림부
122 : 유선 접속부
124 : 커버
131 : 제1 힌지
133 : 고정 부재
135 : 보호 패드
137 : 플렉서블 케이블
139 : 관통홀
141 : 제1 가이드 슬릿
143 : 제2 힌지
150 : 메인 보드
161 : 나사산
163 : 구동부
163-1 : 모터
163-2 : 기어
171 :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
171-1 : 제1 탄성 부재
171-2 : 제1 가이드 부재
174 :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
174-1 : 제2 탄성 부재
174-2 : 제2 가이드 부재
177 : 제1 회전 제한부
179 : 제2 회전 제한부
181 : 제1 전력 송신부
182 : 제2 전력 송신부
183 : 제3 전력 송신부
184 : 제4 전력 송신부
185 : 제2 가이드 슬릿
187-1 : 제1 걸림홈
187-2 : 제2 걸림홈
187-3 : 제3 걸림홈
189 : 이동 레버
191 : 걸림 돌기
193 : 조명부

Claims (29)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및
    상기 베이스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축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에 마련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나사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내벽에 상기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조정부의 축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나사부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이동 조정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이동 조정부를 축 회전시켜 상기 축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슬릿; 및
    상기 제1 가이드 슬릿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이동 레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레버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1 이동 레버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1 걸림 돌기; 및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이동 레버를 고정시키는 제1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수직한 면에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과 수직한 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슬릿; 및
    상기 제2 가이드 슬릿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이동 레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레버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2 이동 레버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2 걸림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2 이동 레버를 고정시키는 제2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3.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상기 베이스부 내에 형성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휴대 기기 거치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를 상기 전력 송신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키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 및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형성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6.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및
    상기 베이스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며, 상기 휴대 기기로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송신부의 중심은,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으로부터 57 ~ 77mm에 위치에 형성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θ1)가 90°미만이 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수직면이 이루는 각도(θ2)가 90°이하가 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상태 알림부는,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음성으로 출력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거치부 내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휴대 기기 거치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거나 자외선 차단 코팅되어 형성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유선 접속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유선 충전시킬 수 있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외부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 방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위치를 알려주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1020140003994A 2013-03-20 2014-01-13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20150084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94A KR20150084210A (ko) 2014-01-13 2014-01-13 휴대 기기 충전 장치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94A KR20150084210A (ko) 2014-01-13 2014-01-13 휴대 기기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210A true KR20150084210A (ko) 2015-07-22

Family

ID=5387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994A KR20150084210A (ko) 2013-03-20 2014-01-13 휴대 기기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421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527A (ko) * 2016-10-18 2018-04-26 (주)엘지하우시스 휴대폰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된 인조대리석 제품
WO2018190543A1 (ko) * 2017-04-13 2018-10-18 김재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WO2020017932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KR20200038577A (ko) * 2018-10-04 2020-04-14 (주)이모아이 무선 충전 장치
WO2020184794A1 (ko) * 2019-03-13 2020-09-17 모비케이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오토얼라인먼트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한 무전충전 거치대
EP4142103A1 (en) * 2021-08-24 2023-03-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holder structure
US11780357B2 (en) 2018-07-20 2023-10-10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527A (ko) * 2016-10-18 2018-04-26 (주)엘지하우시스 휴대폰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된 인조대리석 제품
WO2018190543A1 (ko) * 2017-04-13 2018-10-18 김재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WO2020017932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US11780357B2 (en) 2018-07-20 2023-10-10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US11932155B2 (en) 2018-07-20 2024-03-19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KR20200038577A (ko) * 2018-10-04 2020-04-14 (주)이모아이 무선 충전 장치
WO2020184794A1 (ko) * 2019-03-13 2020-09-17 모비케이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오토얼라인먼트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한 무전충전 거치대
EP4142103A1 (en) * 2021-08-24 2023-03-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holde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4210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US2015024193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adiant-heat sheet
US7570918B2 (en) Multimedia device for motor vehicle
US20160134142A1 (en) Portable device case having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station
US20180090940A1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KR102081718B1 (ko) 컵 홀더 장치
KR101443007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9787129B2 (en) System for displaying products
CN104659871A (zh) 用于移动设备的充电装置和多工位充电装置
KR101701054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US20160118841A1 (en) Wireless power charging station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KR20150107671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60007151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50094961A (ko)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
US9807483B1 (en)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US20090251891A1 (en) Portable Illuminator
US1105027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9208660B2 (en) Docking device for credit card payment and cash drawer including the same
KR20150032079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1627460B1 (ko)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KR20200000511U (ko)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JP2015163009A (ja) 携帯端末用給電装置
KR20150004611U (ko) Nfc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02870U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충전을 위한 멀티 수납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