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90543A1 -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90543A1
WO2018190543A1 PCT/KR2018/003807 KR2018003807W WO2018190543A1 WO 2018190543 A1 WO2018190543 A1 WO 2018190543A1 KR 2018003807 W KR2018003807 W KR 2018003807W WO 2018190543 A1 WO2018190543 A1 WO 20181905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il
wireless charging
bent
charging cradle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38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문
Original Assignee
김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문 filed Critical 김재문
Publication of WO20181905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905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position variable type wireless charging cradle, and more specifically, using a single transmitting coil,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coil can be varied in response to the receiving coil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er, to a cradle capable of stable charging It is about.
  •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magnetic induction and magnetic resonance are being discussed.
  •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mainstream.
  •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currently sold and used on the market is structured to be charged after being settl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fixed transmitting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mounting target, most of the wireless charger with a built-in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 a wireless charging cradle has been used in which two or three transmission coils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o lay or stand the wireless charger upright. This is problematic in terms of cost.
  • the position of receiving coils must be different, but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the fixed transmitting coil is a transmitting coil.
  •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the fixed transmitting coil is a transmitting coi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single transmitting coil,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coil can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coil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er. Therefore, to provide a cradle capable of stable charging regardless of the mounting state or model.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coil position variable wireless charging cradle, connected to the body frame and the support formed on the body frame, the coil is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plate and the mounting plate and the support portion It may include a coil position varying means disposed and provid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il.
  •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may include a lifting unit provid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coil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eleva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groove disposed on the side facing the support portion from the mounting plate, the guide beam and one end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is the mounting plate Is fixed to the side facing the support, the other end may include a rotation bar fixed to the side facing the mounting plate in the support.
  • the pivoting bar may be bent in a plurality of times.
  • the pivoting ba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first bent portion bent in one dir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beam, and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bent portion. It may include a second bent portion.
  • the first bent portion is arranged in pairs, and the second bent portion is arranged in pairs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ent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pivoting bar is the first bent pair of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en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ortion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bent portion.
  • the curvature ⁇ 2 of the second bent part is larger than the curvature ⁇ 1 of the first bent part
  • the curvature ⁇ 3 of the third bent part is the curvature ⁇ 1 of the first bent part. It can be formed smaller than).
  • the bending size of the second bent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bending size of the first bent portion to improve restoration by the bending of the pivoting bar.
  • the bending size of the third bent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bending size of the first bent portion so that the size balance of the bending between the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is maintained.
  • the pivoting bar may further include a fine bent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bent portion to improve restoration by bending of the pivoting bar.
  • the body frame may further include a flat part disposed on the ground and a seating part connected to the flat part and one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er mounted on the mounting plate is seated and supported.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composition disposed in the seating portion to expand the sound of the wireless charger.
  • the sound composition unit, the first sound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the second sound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first, the second sound in the seating portion may include an acoustic resonance portion disposed in connection with the hole and provided to resonate and transmit the acoustic resonance.
  •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coil according to the mounting state of the wireless charger or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coil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coil built in various positions for each wireless charger the positio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mounting state or typ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table charging without limitation.
  •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cradle.
  • 1 is a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ors wireless charging cradle.
  • FIG. 2 shows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FIG. 1 from a different angle
  • FIG. 3 is a side view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FIG.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state of the coil by the lif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position of the coil by the lif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coil position state when the wireless charger is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coil position state when the wireless charger is 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vention posted in Figure 1 from another angle
  •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ure 1
  •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coil position change state by the lif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and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coil position change state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wireless charger.
  •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frame 200, the mounting plate 300 and the coil position variable means (400).
  • the body frame 200 may include a flat part 210, a seating part 220, a bent part 211, and a support part 230.
  • the flat part 210 is a part seated on the ground, and one end of the flat part 210 is provided with a seating part 220 on which one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er is seated, and a flat part at the other end of the flat part 210.
  • a bent portion 21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ortion 210 at a predetermined angle.
  • Support portion 230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lat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211.
  • a slip prevention pad 630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lat portion 210 to prevent slipping so that the wireless charger may be more stably mounted.
  • the slip prevention pad 630 may be made of rubber, silicon,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materials having frictional force may be used.
  • the seating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composition unit 270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so that the sound of the mounted wireless charger may be expanded and transmitted.
  • the sound generator 270 may include a first sound hole 271, a second sound hole 273, and an acoustic resonance unit 272.
  • the first sound hole 27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 the second sound hole 27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 the acoustic resonance part 272 is the seating part 220.
  • the first and second sound holes 271 and 27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resonance space.
  • a speaker for generating soun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H) is often located at the bottom.
  • a speaker for generating soun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H) is often located at the bottom.
  • the user wants to mount the wireless charger and listen to music or make a call, it is important that the voice generated from the speaker is delivered to the user without being disturbed.
  • the sound composition unit 270 is formed in the seating unit 220 where the speaker is located,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ound hole 271, in the resonance space of the acoustic resonance unit 272 It is enlarg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second sound hole 273.
  • the user can receive an increased clear sound.
  • the mounting plat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230, and one transmitting coil may be disposed in the coil arrangement unit 330 of the mounting plate 300.
  • the transmission coil may be a concept including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generation circuit.
  • a power connection part 32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mounting plate 300 (see FIG. 2), and the charging state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300 (see FIG. 1).
  • the display lamp 350 may be dispo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position.
  •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400 may be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the mounting plate 300 and the support part 230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il.
  •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400 may include a lifting unit 410.
  • the lifting unit 410 may include a guide groove 412, a guide beam 411, and a rotation bar 413.
  • the guide groove 412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late 300 on the side facing the support portion 230 from the mounting plate 300.
  • the guide beam 411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2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pport part 230.
  • the pivoting bar 413 has one end fixed to the side facing the support 230 from the mounting plate 300 by a fixing pin 414a,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230 in the mounting plate ( The side facing the 300 may be fixed and disposed by the fixing pin 414b.
  • the restoration by the rotation bar 413 acts to fix the up and down position.
  • the pivoting bar 413 is compressed and enables movement.
  • the pivoting bar 413 is moved. ) Is extended by restoration and the guide groove 412 is pushed to fix the position at the end of the guide beam 411.
  • the shape of the pivoting bar 413 may be a shape bent in a plurality of times.
  • the pivoting bar 413 may include a first bent portion 413a, a second bent portion 413b, and a third bent portion 413c.
  • the first bent portion 413a may be provided in pair in a form bent in one dir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beam 411.
  • the second bent portion 413b is disposed outside the pair of first bent portions 413a and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bent portion 413a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beam 411. It may be provided in pairs.
  • the third bent portion 413c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bent portions 413a and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bent portion 413a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beam 411.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 the curvature ⁇ 2 of the second bent portion 413b is larger than the curvature ⁇ 1 of the first bent portion 413a
  • the curvature ⁇ 3 of the third bent portion 413c is the first. It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curvature ⁇ 1 of the bent portion 413a.
  • the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413b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fixing pins 414a and 414b, respectively, so that the fixing pins 414a and 414b are respectively restored rather than being restored by the bending of the pair of first bent portions 413a. Restoration in the direction will act more.
  • the curvature of the third bent portion 413c is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bent portion 413a to serve to balance the magnitude of the deflection to both sides between the restoring action of the pivoting bar 413. Since the curvatur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ent portion 413a, the warpage phenomenon is relatively hardly generated, and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forming a uniform size between the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413b on both sides. Done.
  • the fine bent portion 413d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bent portion 413b, and the fine bent portion 413d may be together with the second bent portion 413b. It will increase the restoration by bending.
  • the fine bent portion 413d is warp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bent portion 413b and increases the range of the bent, thereby increasing the restoration.
  • the user when the user wants to charge the wireless charger by standing up, the user moves the mounting plate 300 upward.
  • the mounting plate 300 moves upward by the lifting unit 410,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coil placement unit 330 is moved upward, and the receiving coil and the coil arrangement unit 330 of the wireless charger are moved.
  •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by matching transmission coils.
  • the user moves the mounting plate 300 downward.
  • the mounting plate 300 is moved downward by the elevating unit 410,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coil arrangement unit 330 is moved downward, and the receiving coil and the coil arrangement unit 330 of the wireless charger are moved.
  •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by matching transmission coils.
  • the moving range of the lifting unit 410 moved up and d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set differently for each wireless charger product. This setting is possible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412 and the guide beam 411.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there is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연결되고, 코일이 배치된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과 상기 지지부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되는 코일위치 가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충전기기의 거치 상태에 따른 수신 코일의 위치 변경 또는 무선충전기기마다 다양한 위치에 내장된 수신 코일의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 코일을 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 거치 상태 또는 기종에 제한없이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본 발명은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송신 코일을 사용하며, 무선충전기기의 수신 코일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 코일을 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핸드폰과 같은 이동식 단말기에 무선충전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무선충전기술은 자기유도, 자기공명 등 여러 가지 기술이 논의되고 있으며, 현재는 자기유도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현재 시중에서 판매, 사용되고 있는 무선충전 거치대는 대부분 무선충전형 수신코일이 내장된 무선충전기기를 무선충전 거치대상의 고정된 송신코일 위치에 일치시켜 안착한 후에 충전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다 보니, 무선충전기기를 눕히거나 또는 세워서 거치시키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2~3개의 송신코일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무선충전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회사의 서로 다른 제품(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갤럭시 S 시리즈, 엘지전자의 G 시리즈 등)에서 수신코일의 위치는 서로 다를 수 밖에 없는데, 고정형 송신코일이 장착된 무선충전 거치대는,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이 일치되는 특정 회사 제품에 한정되어 사용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송신 코일을 사용하고, 무선충전기기의 수신 코일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 코일을 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 거치 상태 또는 기종에 제한없이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연결되고, 코일이 배치된 거치판 및 상기 거치판과 상기 지지부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되는 코일위치 가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코일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빔 및 일단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거치판을 바라보는 측에 고정되는 회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바는 복수회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바는 상기 가이드빔의 길이를 따라 일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절곡부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부의 외측에 각각 한 쌍으로 배치되되, 상기 회동바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곡부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절곡부의 곡률(θ2)은 상기 제1 절곡부의 곡률(θ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절곡부의 곡률(θ3)는 상기 제1 절곡부의 곡률(θ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바의 휨에 의한 복원을 향상토록, 상기 제2 절곡부의 휨 크기는 상기 제1 절곡부의 휨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부간에 휨의 크기 균형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3 절곡부의 휨 크기는 상기 제1 절곡부의 휨 크기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바는, 상기 회동바의 휨에 의한 복원을 향상토록, 상기 제2 절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미세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프레임은, 지면에 배치되는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판에 거치되는 무선충전기기의 일면이 안착 지지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충전기기의 음향을 확대토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음향조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향조성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음향홀과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음향홀 및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음향홀과 연결되며 배치되고, 음향을 공명 확대시켜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음향공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충전기기의 거치 상태에 따른 수신 코일의 위치 변경 또는 무선충전기기마다 다양한 위치에 내장된 수신 코일의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 코일을 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 거치 상태 또는 기종에 제한없이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때 송신코일은 단일인 하나가 배치되고, 하나의 송신코일의 위치를 다변화하여 무선충전기기의 수신코일 위치와 일치시키는 것이므로, 종래 무선충전 거치대에 비해 제작원가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게시된 발명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게시된 발명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부에 의한 코일의 일 위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부에 의한 코일의 다른 위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무선충전기기를 세로방향으로 놓을 때의 코일 위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무선충전기기를 가로방향으로 놓을 때의 코일 위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게시된 발명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게시된 발명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중 승강부에 의한 코일 위치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무선충전기기의 거치상태에 대한 코일 위치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100)는 바디프레임(200), 거치판(300) 및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바디프레임(200)은 플랫부(210), 안착부(220), 꺽임부(211) 및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부(210)는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고, 플랫부(210)의 일단부에는 무선충전기기의 일면이 안착되는 안착부(220)가 배치되고, 플랫부(210)의 타단부에는 플랫부(210)와 일정각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꺽임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꺽임부(211)의 상단부에는 상기 거치판(300)을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연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랫부(210)의 하단에는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충전기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슬립방지패드(63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패드(63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찰력이 있는 다른 재질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220)에는 거치된 무선충전기기의 음향이 확대 전달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향조성부(27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음향조성부(270)은 제1 음향홀(271), 제2 음향홀(273) 및 음향공명부(2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홀(271)은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음향홀(273)은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음향공명부(272)는 상기 안착부(220)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음향홀(271,273)과 연결되며 공명 공간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최근에는 핸드폰(H)과 같은 이동식 단말기에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는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가 무선충전기기를 거치시키고 음악을 감상하거나 또는 통화를 하고 싶을 때,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성이 방해되지 않고 사용자가에게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상기 음향조성부(270)가 스피커가 위치하게 되는 안착부(220)에 형성되어 있어,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향은 제1 음향홀(271)로 유입되고, 음향공명부(272)의 공명공간에서 확대되며, 제2 음향홀(273)를 통해 사용자게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공명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증가된 선명한 음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거치판(300)은 지지부(230)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판(300)의 코일배치부(330)에는 하나의 송신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코일은 유도기전력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거치판(300)의 뒷면 하부(도 2 참조)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부(3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판(300)의 앞면 상부(도 1 참조)에는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350)가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 위치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은 상기 거치판(300)과 상기 지지부(230)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은 승강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410)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가이드홈(412), 가이드빔(411) 및 회동바(4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홈(412)은 상기 거치판(300)에서 상기 지지부(230)를 바라보는 측에서 거치판(3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빔(411)은 상기 가이드홈(412)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230)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바(413)는 일단부가 상기 거치판(300)에서 상기 지지부(230)를 바라보는 측에 고정핀(414a)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230)에서 상기 거치판(300)을 바라보는 측에 고정핀(414b)에 의해 고정되며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작동상태와 같이, 사용자가 코일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거치판(300)의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부(310)를 잡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지지부(230)의 가이드빔(411)에 의해 안내되며 거치판(300)의 가이드홈(41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하방향 위치 고정을 위해 회동바(413)에 의한 복원이 작용하게 된다. 가이드홈(412)이 가이드빔(411)을 따라 이동 중에는 회동바(413)가 압축되며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가이드홈(412)이 가이드빔(411)의 단부에 도달했을 때는 회동바(413)가 복원에 의해 신장되며 가이드홈(412)이 가이드빔(411)의 단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밀어주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바(413)의 형상은 복수회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바(413)는 제1 절곡부(413a), 제2 절곡부(413b) 및 제3 절곡부(41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413a)는 상기 가이드빔(411)의 길이를 따라 일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절곡부(413b)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413a)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빔(411)의 길이를 따라 상기 제1 절곡부(413a)에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3 절곡부(413c)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413a)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빔(411)의 길이를 따라 상기 제1 절곡부(413a)에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절곡부(413b)의 곡률(θ2)은 상기 제1 절곡부(413a)의 곡률(θ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절곡부(413c)의 곡률(θ3)는 상기 제1 절곡부(413a)의 곡률(θ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동바(413)의 구조를 통해, 상기 회동바(413)의 회동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곡률이 큰 상기 제2 절곡부(413b)에서의 휨이 크게 발생되게 된다.
한 쌍의 제2 절곡부(413b)는 각각 고정핀(414a,414b)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한 쌍의 제1 절곡부(413a)의 휨에 의한 복원보다 각각 고정핀(414a,414b) 방향으로의 복원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제3 절곡부(413c)의 곡률은 제1 절곡부(413a)의 곡률보다 작아 회동바(413)의 복원 작용간에 양측으로 휨의 크기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제1 절곡부(413a)보다 곡률이 작으므로, 휨 현상은 상대적으로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양측에서의 한 쌍의 제2 절곡부(413b)간에 휨이 균일한 크기로 이뤄지도록 하는 기준점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절곡부(413b)에 인접하여 미세절곡부(413d)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미세절곡부(413d)는 제2 절곡부(413b)와 함께 휨에 의한 복원을 증가시키게 된다. 미세절곡부(413d)는 제2 절곡부(413b)와는 다른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며 휨의 범위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복원도 증가되게 된다.
도 6 및 도 7를 참고하면, 무선충전기기의 내부에 배치된 수신코일(R)의 위치에 따라 상기 거치판(300)의 코일배치부(330)에 내장된 송신코일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동상태가 도시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충전기기를 세워서 거치 충전시키고 싶으면, 사용자는 거치판(3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부(410)에 의해 거치판(3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코일배치부(330)의 위치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무선충전기기의 수신코일과 코일배치부(330)의 송신코일을 일치시켜 무선충전을 진행하게 된다.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충전기기를 뉘어서 거치 충전시키고 싶으면, 사용자는 거치판(30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부(410)에 의해 거치판(30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코일배치부(330)의 위치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무선충전기기의 수신코일과 코일배치부(330)의 송신코일을 일치시켜 무선충전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무선충전기기 제품마다 수신코일 배치 위치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부(410)의 이동범위는 무선충전기기 제품마다 다르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가이드홈(412)과 가이드빔(411)의 길이 변경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무선충전기기의 거치 상태에 따른 무선충전기기의 수신코일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거치판(300)에 내장된 송신코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무선충전기기의 안정적인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사항은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발명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3)

  1.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연결되고, 단일 코일이 배치된 거치판; 및
    상기 거치판과 상기 지지부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되는 코일위치 가변수단;
    을 포함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코일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빔; 및
    일단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거치판을 바라보는 측에 고정되는 회동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는 복수회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는
    상기 가이드빔의 길이를 따라 일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부의 외측에 각각 한 쌍으로 배치되되,
    상기 회동바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곡부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부의 곡률(θ2)은 상기 제1 절곡부의 곡률(θ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절곡부의 곡률(θ3)는 상기 제1 절곡부의 곡률(θ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의 휨에 의한 복원을 향상토록, 상기 제2 절곡부의 휨 크기는 상기 제1 절곡부의 휨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부간에 휨의 크기 균형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3 절곡부의 휨 크기는 상기 제1 절곡부의 휨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0.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는,
    상기 회동바의 휨에 의한 복원을 향상토록, 상기 제2 절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미세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지면에 배치되는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판에 거치되는 무선충전기기의 일면이 안착 지지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무선충전기기의 음향을 확대토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음향조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조성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음향홀;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음향홀; 및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음향홀과 연결되며 배치되고, 음향을 공명 확대시켜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음향공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PCT/KR2018/003807 2017-04-13 2018-03-30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WO20181905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971A KR101797486B1 (ko) 2017-04-13 2017-04-13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KR10-2017-0047971 2017-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543A1 true WO2018190543A1 (ko) 2018-10-18

Family

ID=6038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3807 WO2018190543A1 (ko) 2017-04-13 2018-03-30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7486B1 (ko)
WO (1) WO2018190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533B1 (ko) * 2018-10-04 2020-06-11 (주)이모아이 무선 충전 장치
KR102093478B1 (ko) * 2018-11-09 2020-04-20 (주)파트론 무선충전기
KR102208004B1 (ko) 2019-07-01 2021-01-26 (주)정인일렉텍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KR102210235B1 (ko) * 2019-08-09 2021-02-01 주식회사 플랜에이크리에이티브그룹 휴대용 보조배터리 장치
KR102418357B1 (ko) * 2020-07-07 2022-07-08 주식회사 아트뮤코리아 각도조절이 가능한 보조배터리겸용 유무선충전기
WO2022260378A1 (ko) * 2021-06-09 2022-12-15 (주)에스피에스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KR102482705B1 (ko) 2022-07-11 2023-01-02 투니슨 주식회사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KR102445928B1 (ko) 2022-08-10 2022-09-21 손요성 맞춤적용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무선충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170A (ko) * 2003-10-15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겸용 거치대
JP2013099200A (ja) * 2011-11-04 2013-05-20 Suzuki Motor Corp 携帯型電源装置
JP2013120855A (ja) * 2011-12-07 2013-06-17 Ihi Corp ピッチ可変コイル及び共振回路
KR20150084210A (ko) * 2014-01-13 2015-07-22 주식회사 대창 휴대 기기 충전 장치
US20150280482A1 (en) * 2014-04-01 2015-10-01 Jonathan Rosenfeld Multi-coil wireless charg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170A (ko) * 2003-10-15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겸용 거치대
JP2013099200A (ja) * 2011-11-04 2013-05-20 Suzuki Motor Corp 携帯型電源装置
JP2013120855A (ja) * 2011-12-07 2013-06-17 Ihi Corp ピッチ可変コイル及び共振回路
KR20150084210A (ko) * 2014-01-13 2015-07-22 주식회사 대창 휴대 기기 충전 장치
US20150280482A1 (en) * 2014-04-01 2015-10-01 Jonathan Rosenfeld Multi-coil wireless char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486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90543A1 (ko)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US20200162807A1 (en) Headphone charging apparatus
WO2015182806A1 (ko) 이동 단말기의 부상 시스템
WO2017014350A1 (ko) 전자기기
EP1269721A1 (en) Support for a mobile terminal
WO2017086553A1 (ko)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WO2021185069A1 (zh) 电子设备
WO2012008700A2 (en) Linear vibrator
WO2017069326A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20184765A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WO2011162457A1 (ko) 앰프 실장형 마이크로 스피커
WO2019205801A1 (zh) 一种结构新颖的蓝牙耳机充电装置
EP2744180B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olding base and desk telephone
KR20140035676A (ko) 무선 충전기
US1105027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17179771A1 (en) Portable keyboard
WO2012105781A2 (ko)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WO2018147523A1 (ko) 차량용 사용자 단말의 거치대
CN214590783U (zh) 充电设备及充电系统
CN215529275U (zh) 一种可拆卸模组化蓝牙头戴式耳机
CN209913892U (zh) 一种手机夹持装置
WO2016064025A1 (ko)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크래들 시스템
SE9202599D0 (sv) Portabel faestanordning
WO2019117488A1 (en) Mobile phone central alignment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in vehicle
WO2023033625A1 (ko) 무선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841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841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