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705B1 -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705B1
KR102482705B1 KR1020220084802A KR20220084802A KR102482705B1 KR 102482705 B1 KR102482705 B1 KR 102482705B1 KR 1020220084802 A KR1020220084802 A KR 1020220084802A KR 20220084802 A KR20220084802 A KR 20220084802A KR 102482705 B1 KR102482705 B1 KR 102482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mobile device
column
base plate
char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투니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니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투니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elastic deformation of gauges, e.g. of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모바일기기의 종류 등에 따라 대응되는 무선충전부를 사용해 충전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갖고 하부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1컬럼에 배치되어 제1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1무선충전부; 제1컬럼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컬럼에 배치되어 제2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2무선충전부; 및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되어 제3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3무선충전부;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무선충전부 내지 이에 장착된 각 모바일기기 간의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고 디자인적으로 양호한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WIRELESS CHARGING STAND FOR MOVILE DEVICE}
본 발명은 각종 모바일기기의 충전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충전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는 충전식의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최근에는 모바일기기의 종류가 다변화되면서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 등 보다 새로운 형태의 모바일기기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형태의 모바일기기는 필연적으로 충전이 요구된다. 종래 일반적인 경우 모바일기기는 충전기의 충전 단자와 배터리의 접속 단자가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보다 최근에는 자기유도방식이나 자기공명방식을 활용한 무접점 방식의 무선충전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자기유도방식은 전자기유도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전류를 송신부의 코일에 흘려 자기장을 발생시킨 후, 수신부의 코일에 자기장이 들어가 다시 유도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모바일기기의 다변화나 무선충전기술의 보급에 따라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기도 다변화되고 있다. 각 모바일기기의 종류나 사용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충전기기가 존재한다. 예컨대 차량용으로 등록특허 제10-2362397호는 "무선충전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제안한 바 있고, 등록특허 제10-2081908호는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88549호는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를 제안한 바 있고, 등록특허 제10-1797486호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충전기기 등은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등록특허 제10-2362397호((2022년 2월 9일 등록) 등록특허 제10-2081908호(2020년 2월 20일 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488549호(2019년 2월 12일 등록) 등록특허 제10-1797486호(2017년 11월 8일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각종 모바일기기의 종류에 대응 가능하고, 디자인적으로도 양호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기의 적절한 작동여부나 충전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적절히 알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갖고 하부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1컬럼에 배치되어 제1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1무선충전부; 상기 제1컬럼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컬럼에 배치되어 제2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2무선충전부;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되어 제3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3무선충전부;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는 복수의 무선충전부를 구비하고, 모바일기기의 종류 등에 따라 대응되는 무선충전부를 사용해 충전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는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복수의 컬럼이 연장되고 각 컬럼의 단부에 무선충전부가 구비된 형태를 가져, 무선충전부 내지 이에 장착된 각 모바일기기 간의 적절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디자인적으로도 양호한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는 무선충전부로 모바일기기가 적절히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림 제공할 수 있고, 각 무선충전부에서의 적절한 충전여부 등을 시청각적인 방식으로 표시하여, 사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100)(이하, '스탠드(100)'로 지칭)는 복수의 무선충전부(140, 150, 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충전부(140, 150, 160)는 모바일기기에 대한 무선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탠드(100)는 모바일기기의 종류에 대응해 복수의 무선충전부(140, 150, 160)를 구비하는데 하나의 특징을 갖는다. 이는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술하는 모바일기기는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 형태, 용도의 모바일기기를 폭넓게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모바일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충전케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탠드(100)는 주로 상기의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및 무선이어폰을 사용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1모바일기기를 스마트폰, 제2모바일기기를 스마트워치, 제3모바일기기를 무선이어폰으로 가정해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무선충전부(140, 150, 160)는 제1 내지 3무선충전부(140, 150, 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무선충전부(140)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제1모바일기기의 충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2무선충전부(150)는 스마트워치를 포함한 제2모바일기기의 충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3무선충전부(160)는 무선이어폰을 포함한 제3모바일기기의 충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3무선충전부(140, 150, 16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탠드(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스탠드(100)의 하부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좌, 우측이 원호(arc)형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은 평면(fla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모바일기기를 적절히 안착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문자, 도형, 무늬, 색상 등 적절한 디자인적 요소가 가미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탠드(100)는 복수의 컬럼(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럼(120, 130)은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연장되어, 제1, 2무선충전부(140, 150) 및 제2무선충전부(150)를 소정 위치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2모바일기기는 컬럼(120, 130)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소정 높이로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럼(120, 130)은 각 무선충전부(140, 150)를 소정 위치로 배치시키는 한편, 스탠드(100)에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다.
컬럼(120, 130)은 대체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컬럼(120, 13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컬럼(120, 130)은 제1컬럼(120)과, 제1컬럼(120)으로부터 분지된 제2컬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컬럼(120)은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컬럼(120)은 대체로 베이스플레이트(110) 상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컨대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기 위해 제1컬럼(120)은 베이스플레이트(110) 상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컬럼(130)은 제1컬럼(120)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 제2컬럼(130)은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컬럼(130)은 대체로 제1컬럼(120)과 직교하도록 횡방향으로 분지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기 위해 제2컬럼(130)은 제1컬럼(12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분지될 수 있다.
제1컬럼(120)에는 제1무선충전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무선충전부(140)는 대체로 제1컬럼(120)의 상단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컬럼(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무선충전부(14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배치될 수 있다.
제1무선충전부(140)는 제1무선충전패드(14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무선충전패드(141)는 제1모바일기기에 대한 무선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무선충전패드(141)는 소정의 전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원형의 전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적 또는 기능적 요소를 위해 제1무선충전패드(141)의 형상을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제1무선충전패드(141)의 전면은 대체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모바일기기와 제1무선충전패드(141) 간의 원활한 접촉을 유도해 사용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제1무선충전패드(141)는 제1모바일기기와의 결합을 위한 마그네틱을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네틱은 제1무선충전패드(141)의 내부에 내설될 수 있다. 마그네틱은 제1모바일기기에 구비된 다른 마그네틱과 자성 결합되어, 제1무선충전패드(141) 상에 제1모바일기기가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모바일기기의 마그네틱은 제1모바일기기의 기종에 따라 기기 자체에 내설된 마그네틱이나, 별도의 케이스 또는 접착물의 형태로 제공되는 마그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무선충전패드(141)는 전면에 제1모바일기기와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마찰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마찰수단은 제1무선충전패드(141)의 전면에 형성된 홈이나 무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마찰수단은 제1무선충전패드(141)의 전면에 구비된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는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무선충전부(140)는 무선전력을 외부로 전송해 제1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시키도록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무선충전부(140)는 자기유도방식에 따라 제1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무선충전부(140)는 공진커패시터와 유도코일(142)을 공진시켜 LC발진기를 형성하고 무선전력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자기공명방식 등 공지된 다른 무선전력 전송방식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제2무선충전부(150) 및 제3무선충전부(160)는 상기와 같은 제1무선충전부(140)와 유사하게 무선전력을 외부로 전송해 제2모바일기기 및 제3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시키도록 이뤄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모바일기기는 스마트폰, 제2모바일기기는 스마트워치, 제3모바일기기는 무선이어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선충전부(140)는 소정 전압 및 전류로 무선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무선충전부(140)는 제1정격출력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무선충전부(150)는 제2정격출력을 가질 수 있고, 제3무선충전부(160)는 제3정격출력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기기에서의 호환성을 위해 제1 내지 3정격출력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정격출력은 고속 무선충전이 가능한 15W, 제2정격출력은 10W, 제3정격출력은 3W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무선충전부(140)는 압력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대체로 제1무선충전패드(141)의 전면 중앙에 내설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제1모바일기기가 제1무선충전패드(141)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해 제1모바일기기가 적절한 결합력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는 사용상 부주의로 인한 기기의 파손을 방지한다.
압력센서(143)는 제1무선충전패드(141)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탄성피스(144)를 통해 가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탄성피스(144)는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소재로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체가 하나의 탄성소재로 이뤄진 탄성피스(144)를 예시하고 있다.
탄성피스(144)는 전후로 소정 두께를 가진 바디(144a)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144a)의 후면에는 압력센서(143)가 밀접하게 접촉 체결될 수 있다. 바디(144a)의 전면은 제1무선충전패드(141)의 전면 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바디(144a)의 전면은 제1모바일기기의 후면 등에 의해 가압되어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바디(144a)는 대체로 압력센서(143)의 감지영역보다 소정 정도 큰 외경(D1)을 가질 수 있다. 압력센서(143)로 충분한 외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디(144a) 전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144b)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피스(144)의 전면 형상은 대략 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다. 플랜지(144b)는 탄성피스(144)의 탄성 변형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탄성피스(144)를 제1무선충전패드(141)의 전면 상에 적절히 장착 배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바디(144a)의 전면 중앙에는 범프(144c)가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범프(144c)는 제1모바일기기의 후면 등에 의해 가압되어 압력센서(143)로 외력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다만 범프(144c)는 제1모바일기기의 장착이나 무선충전 등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적절한 높이, 예컨대 1mm 이하의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탄성피스(144)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제1무선충전패드(141)가 제1모바일기기에 적절히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압력센서(143)의 감지값은 컨트롤러유닛(170)에 제공될 수 있고, 컨트롤러유닛(170)은 소정의 판단방식을 통해 적절한 장착여부에 관한 시청각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모바일기기가 충전을 위해 제1무선충전패드(141)에 접촉되면, 압력센서(143)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해 컨트롤러유닛(170)으로 감지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압력 변화가 감지되면, 컨트롤러유닛(170)은 제1모바일기기의 장착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해 스탠드(100)에 소정의 시청각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유닛(170)은 부저음을 발생시키거나, 후술할 표시등을 통해 점멸신호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후 제1모바일기기가 적절한 가압력으로 제1무선충전패드(141)에 설치되면, 압력센서(143) 내지 컨트롤러유닛(170)은 제1모바일기기가 적절히 장착된 것으로 판단해 소정의 시청각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앞서 발생시켰던 시청각적 신호를 오프(off)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제1모바일기기가 적절히 장착되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압력센서(143)에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의 가압력이 기준시간 이상 감지되면, 컨트롤러유닛(170)은 제1모바일기기가 적절히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저음 또는 전멸신호를 중지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1모바일기기가 안전하게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고, 제1모바일기기에서 손을 뗄 수 있다.
반면 제1모바일기기가 제1무선충전패드(141)에 적절한 가압력을 가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센서(143) 내지 컨트롤러유닛(170)은 제1모바일기기가 적절히 장착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해, 앞서 발생시켰던 소정의 시청각적 신호를 유지하거나, 별도로 새로운 형태의 시청각적 신호를 다시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압력센서(143)에서 압력 변화가 감지되어 부저음, 점멸신호 등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압력센서(143)에 기준압력 이상의 가압력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상기의 부저음, 점멸신호 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가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면, 부저음, 점멸신호 등에 변화를 두어 새로운 형태의 시청각적 신호를 다시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제1모바일기기가 적절히 장착되지 못하였음을 인지하고, 제1모바일기기에서 손을 떼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모바일기기가 떨어져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컬럼(130)에는 제2무선충전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컬럼(130)은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소정 높이에서, 제1컬럼(120)으로부터 측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2무선충전부(150)는 이와 같은 제2컬럼(13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무선충전부(150)는 제1무선충전부(140) 및 제3무선충전부(160)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무선충전부(150)는 제2무선충전패드(151)를 구비할 수 있고, 제2무선충전패드(151)는 제2모바일기기에 대한 무선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모바일기기는 스마트워치를 가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2무선충전패드(151)는 스마트워치가 적절히 안착 걸림될 수 있는 소정의 XY평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적 또는 기능적 요소를 위해 제2무선충전패드(151)의 형상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무선충전패드(151) 또는 후술할 제3무선충전패드(161)는 대체로 기기가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제1무선충전패드(141)와 달리 마그네틱, 마찰수단, 압력센서(143) 등은 제2, 3무선충전패드(151, 161)에서 적절히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기기의 안정적인 거치 등을 위해 상기의 수단들이 부가될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제3무선충전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제3무선충전부(16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3무선충전패드(1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무선충전패드(161)는 소정 넓이 및 형상의 평면을 형성하며, 제3모바일기기의 안착 및 충전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3무선충전부(160)는 대략 원형의 평면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적 또는 기능적 요소를 위해 제3무선충전패드(161)의 형상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탠드(100)는 컨트롤러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유닛(170)은 제1 내지 3무선충전부(140, 150, 160) 등 스탠드(1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태를 감지하고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유닛(1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무선충전부(140)에 제1모바일기기가 적절히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해 소정의 알림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실시예의 스탠드(100)는 라인표시등(121, 131, 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인표시등(121, 131, 111)은 스탠드(100)에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는 한편, 사용자의 인지가 필요한 각종 시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라인표시등(121, 131, 111)은 컨트롤러유닛(170)의 제어에 따라 발광되거나, 점멸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시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라인표시등(121, 131, 111)은 제1컬럼(120)에 배치되는 제1라인표시등(121), 제2컬럼(130)에 배치되는 제2라인표시등(131),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배치되는 제3라인표시등(1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라인표시등(121)은 제1컬럼(120) 내부에 매설되어 제1컬럼(1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고, 제2라인표시등(131)은 제2컬럼(130) 내부에 매설되어 제2컬럼(13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또한 제3라인표시등(111)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내부에 매설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시인성 및 심미감 확보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라인표시등(121)은 제1무선충전부(140)와 관련된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제2라인표시등(131)은 제2무선충전부(150)와 관련된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라인표시등(111)은 제3무선충전부(160)와 관련된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각 라인표시등(121, 131, 111)의 배치에 따라 사용자는 각 라인표시등(121, 131, 111)이 어떤 무선충전부(140, 150, 16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것인지를 직관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각 라인표시등(121, 131, 111)은 대응되는 무선충전부(140, 150, 160)에서 충전이 적절히 이뤄지고 있는 경우 선택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즉, 제1무선충전부(140)에서 충전이 적절히 이뤄지고 있는 상태라면 제1라인표시등(121)이 점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동작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무선충전부(150) 또는 제3무선충전부(160)에서 충전이 적절히 이뤄지는 경우 제2라인표시등(131) 또는 제3라인표시등(111)이 점등될 수 있다.
또한 각 라인표시등(121, 131, 111)은 대응되는 무선충전부(140, 150, 160)에서 오류가 발생된 경우 선택적으로 점멸(on & off) 동작될 수 있다. 즉, 제1무선충전부(140)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 제1라인표시등(121)이 점멸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무선충전부(150) 또는 제3무선충전부(160)에서 오류가 발생된 경우 제2무선충전부(150) 또는 제3무선충전부(160)가 점멸될 수 있다.
또한 제1라인표시등(121)은 전술한 압력센서(143)와 연계되어 제1모바일기기의 적절한 장착여부에 대한 시각적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모바일기기가 초기 감지되면 제1라인표시등(121)이 점멸(on & off)될 수 있고, 제1모바일기기가 적절한 가압력을 가지고 안전하게 장착되면 제1라인표시등(121)이 일정하게 점등(on)되어, 제1모바일기기의 적절한 장착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제2, 3라인표시등(131, 111)은 제2, 3무선충전패드(151, 161)에서 충전이 이뤄지는 경우 적절히 점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3무선충전패드(151, 161)나 제2, 3라인표시등(131, 111)에서 적절한 장착여부에 대한 표시는 생략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컬럼(120)은 내부에 제1통로(123)를 구비하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통로(123)에는 제1무선충전부(140)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와이어링(124)이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컬럼(130) 또한 내부에 제2통로를 구비하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통로에는 제2무선충전부(150)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와이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제1무선충전부(140)는 제1컬럼(120)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무선충전부(140)는 후면에 결합홈(145)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홈(145)에는 대략 구형의 결합구(146)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146)는 제1컬럼(12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무선충전부(140)는 결합구(146)를 중심으로 적절히 틸팅될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이 제고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컬럼(130)은 제1컬럼(12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컬럼(130)은 제1컬럼(120)을 향한 단부에 슬리브(132)를 구비할 수 있고, 슬리브(132)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1컬럼(120)의 외측 둘레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컬럼(120)의 외측 둘레면에는 슬리브(132)의 두께 및 상하 높이에 대응되는 슬리브체결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132)는 이러한 슬리브체결홈(122)에 안착되어, 제1컬럼(1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1컬럼(120)과 체결될 수 있다.
슬리브(132)는 제2컬럼(130)과 접하는 외측 둘레면 일부에서 제1관통홀(132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컬럼(120)의 외측 둘레면 또한 상기의 제1관통홀(132a)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122a)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관통홀(122a)은 제2컬럼(130)의 회전 각도를 고려해 제1컬럼(12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관통홀(122a)은 Z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제2와이어링은 제1컬럼(120)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제1, 2관통홀(132a, 122a)을 통해 제2컬럼(1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132)가 구비된 제2컬럼(130)은 제1컬럼(120)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각도 조절되어, 사용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전원연결포트(112) 및 상태표시등(113)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연결포트(112)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원연결포트(112)는 베이스플레이트(110) 후면 테두리 부위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상태표시등(113)은 스탠드(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연결포트(112)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태표시등(113)은 색상, 점멸방식 등을 통해 대기, 충전, 오류 등 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표시등(113)은 대기상태일 경우 제1색상으로 점등되고, 충전상태일 경우 제2색상으로 점등되고, 오류상태일 경우 제1색상 또는 제2색상이 점멸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태표시등(113)은 전술한 라인표시등(121, 131, 111)과 병존하거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저면에는 패드(114)가 구비될 수 있다. 패드(114)는 소정 두께를 가진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저면에서 외측 테두리 등을 따라 소정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패드(114)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저면에서 대략 반원형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탠드(100)는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각 무선충전패드(141, 151, 161)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컨트롤러유닛(170)에 제공해 적절한 알람신호나 작동제어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온도센서는 제1 내지 3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3온도센서는 각각 제1 내지 3무선충전패드(141, 151, 161)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유닛(170)은 제1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1온도에 도달되면, 제1무선충전부(140)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유닛(170)은 제1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까지 도달되면, 제1무선충전부(140)로의 전원공급을 중단시키고, 작동오류를 알리는 시청각적인 알람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유닛(170)은 제2, 3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에 기반해서도 상기와 유사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기의 과열이나 이로 인한 안전사고 등이 적절히 방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저면에는 방열패널(115)이 구비될 수 있다.
방열패널(115)은 소정 넓이를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저면에 배치되어 제3무선충전부(160)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2무선충전부(140, 150)의 경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반해, 제3무선충전부(160)는 바닥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이러한 방열패널(115)이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방열패널(115)은 좌, 우측의 단부에 패널지지단(115a)을 가진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열패널(115)은 패널지지단(115a)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저면에 적절히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다만 방열패널(115)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패널(115)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향절곡부(115b)와 하향절곡부(115c)를 구비할 수 있다. 상향절곡부(115b)는 플레이트 형태의 방열패널(115)이 대체로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를 지칭하고, 이러한 상향절곡부(115b)는 방열패널(115)의 일측 단부(전단)에서부터 반대측 단부(후단)까지 전후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하향절곡부(115c)는 플레이트 형태의 방열패널(115)이 대체로 하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를 지칭하고, 이러한 하향절곡부(115c)는 방열패널(115)의 일측 단부(전단)에서부터 반대측 단부(후단)까지 전후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향절곡부(115b) 및 하향절곡부(115c)는 방열패널(115)의 좌우를 따라 상호 교대로 반복되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향절곡부(115c)는 절곡 형상에 따라 하측이 폐쇄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의 공간에는 아로마스틱(115d)이 수용될 수 있다. 아로마스틱(115d)은 방향물질을 스틱 형태로 정형화시킨 것을 지칭한다. 아로마스틱(115d)은 하향절곡부(115c) 내에 수용되어 소정의 방향물질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하향절곡부(115c)의 저면에는 방향물질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배출홀(115e)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향절곡부(115c)가 전후로 길게 연장됨에 따라, 하나의 하향절곡부(115c)에는 복수의 배출홀(115e)이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아로마스틱(115d)은 방열패널(115)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온되어 상기와 같은 방향물질의 방출이 적절히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패드(114)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저면과 바닥 사이에 약간의 틈을 형성해, 방향물질이 상기의 틈을 통해 실내공간 등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아로마스틱(115d)은 소모품으로 구성되어 일정 사용기간이 지나면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아로마스틱(115d)의 교체는 방열패널(115)을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아로마스틱(115d)을 다시 하향절곡부(115c)에 채워 넣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100)는 복수의 무선충전부(140, 150, 160)를 구비하고, 모바일기기의 종류 등에 따라 대응되는 무선충전부(140, 150, 160)를 사용해 충전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복수의 컬럼(120, 130)이 연장되고 각 컬럼(120, 130)의 단부에 무선충전부(140, 150)가 구비된 형태를 가져, 무선충전부(140, 150, 160) 내지 이에 장착된 각 모바일기기 간의 적절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디자인적으로도 양호한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100)는 무선충전부(140)로 모바일기기가 적절히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림 제공할 수 있고, 각 무선충전부(140, 150, 160)에서의 적절한 충전여부 등을 시청각적인 방식으로 표시하여, 사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110: 베이스플레이트
111: 제3라인표시등 112: 전원연결포트
113: 상태표시등 114: 패드
115: 방열패널 120: 제1컬럼
121: 제1라인표시등 122: 슬리브체결홈
123: 제1통로 124: 제1와이어링
130: 제2컬럼 131: 제2라인표시등
132: 슬리브 140: 제1무선충전부
141: 제1무선충전패드 142: 유도코일
143: 압력센서 144: 탄성피스
145: 결합홈 146: 결합구
150: 제2무선충전부 151: 제2무선충전패드
160: 제3무선충전부 161: 제3무선충전패드
170: 컨트롤러유닛

Claims (9)

  1.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갖고 하부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1컬럼(120)에 배치되어 제1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1무선충전부(140);
    상기 제1컬럼(12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컬럼(130)에 배치되어 제2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2무선충전부(15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상면에 배치되어 제3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3무선충전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선충전부(140)는,
    자기유도방식에 따라 상기 제1모바일기기를 근접 거리에서 무선충전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모바일기기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마그네틱 또는 마찰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무선충전패드(141);
    상기 제1무선충전패드(141)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모바일기기의 장착에 따른 가압력을 전달하는 탄성피스(144); 및
    상기 탄성피스(144)에 접촉 설치되어 상기 가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143);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피스(144)는,
    상기 압력센서(143)의 감지영역보다 소정 정도 큰 외경(D1)을 갖는 바디(144a); 및
    상기 바디(144a)의 전면 중앙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제1모바일기기에 의해 가압되는 범프(144c);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컨트롤러유닛(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유닛(170)은,
    상기 압력센서(143)로부터 측정된 가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및 기준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면, 상기 제1모바일기기가 적절히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시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제공하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6.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갖고 하부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1컬럼(120)에 배치되어 제1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1무선충전부(140);
    상기 제1컬럼(12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컬럼(130)에 배치되어 제2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2무선충전부(15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상면에 배치되어 제3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3무선충전부(160);
    상기 제1컬럼(120)에 내설되어, 상기 제1무선충전부(140)의 동작상태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 동작되는 제1라인표시등(121);
    상기 제2컬럼(130)에 내설되어, 상기 제2무선충전부(150)의 동작상태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 동작되는 제2라인표시등(131);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내설되어, 상기 제3무선충전부(160)의 동작상태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 동작되는 제3라인표시등(111);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2컬럼(120, 130)은, 내부공간을 가진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컬럼(130)은,
    상기 제1컬럼(12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슬리브체결홈(12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1컬럼(120)을 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리브(132)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132)는,
    상기 제1컬럼(120)의 외측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122a)과 연결되어, 제2와이어링이 상기 제2컬럼(13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관통홀(132a)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8.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갖고 하부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1컬럼(120)에 배치되어 제1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1무선충전부(140);
    상기 제1컬럼(12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컬럼(130)에 배치되어 제2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2무선충전부(15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상면에 배치되어 제3모바일기기를 무선충전하는 제3무선충전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소정 두께를 갖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일부 구간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저면을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패드(114);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기 제3무선충전부(16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패널(115);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열패널(115)은,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향절곡부(115b); 및
    상기 복수의 상향절곡부(115b)와 교대로 반복해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하향절곡부(115c);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향절곡부(115c) 중 적어도 일부의 하향절곡부(115c)는,
    상기 하향절곡부(115c)의 저면을 관통해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하향절곡부(115c)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배출홀(115e); 및
    상기 하향절곡부(115c)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방열패널(115)을 통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온되어 방향물질의 방출이 촉진되는 아로마스틱(115d);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KR1020220084802A 2022-07-11 2022-07-11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KR102482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802A KR102482705B1 (ko) 2022-07-11 2022-07-11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802A KR102482705B1 (ko) 2022-07-11 2022-07-11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705B1 true KR102482705B1 (ko) 2023-01-02

Family

ID=8492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802A KR102482705B1 (ko) 2022-07-11 2022-07-11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7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557B1 (ko) * 2017-01-25 2017-11-08 주식회사 알티텍 무선 충전 장치
KR101797486B1 (ko) 2017-04-13 2017-11-15 김재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KR200488549Y1 (ko) 2018-08-17 2019-02-18 김규정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KR102081908B1 (ko) 2018-08-23 2020-02-26 주식회사 인트비즈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
CN213279201U (zh) * 2020-09-08 2021-05-25 徐乃辉 一种多用途无线充电器
CN214045144U (zh) * 2020-12-30 2021-08-24 廖益峰 三合一多功能充电器
KR102362397B1 (ko) 2019-10-31 2022-02-15 주식회사 신지모루 무선충전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557B1 (ko) * 2017-01-25 2017-11-08 주식회사 알티텍 무선 충전 장치
KR101797486B1 (ko) 2017-04-13 2017-11-15 김재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KR200488549Y1 (ko) 2018-08-17 2019-02-18 김규정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KR102081908B1 (ko) 2018-08-23 2020-02-26 주식회사 인트비즈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
KR102362397B1 (ko) 2019-10-31 2022-02-15 주식회사 신지모루 무선충전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CN213279201U (zh) * 2020-09-08 2021-05-25 徐乃辉 一种多用途无线充电器
CN214045144U (zh) * 2020-12-30 2021-08-24 廖益峰 三合一多功能充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8333B1 (en) Projection clock
KR101596182B1 (ko) 충전 커넥터용 홀더 및 그것을 이용하는 충전 제어 장치
JP6472774B2 (ja) 作動していない取り外し式充電装置の検出及び通知
KR102119928B1 (ko)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KR20180113941A (ko)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
CN110558687B (zh) 腕戴设备
CN104840065B (zh) 具有防倾倒、防丢失功能的智能水杯
KR101665247B1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JP2008129965A (ja) 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110040622A (ko)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KR101737232B1 (ko)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
KR20150065498A (ko) 웨어러블 벨트형 충전기
KR102482705B1 (ko) 모바일기기용 무선충전 스탠드
JP3224777U (ja) 液化石油ガスボンベのガス残量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
KR101455343B1 (ko)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140060764A (ko)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JP5246614B2 (ja) 車載用電子機器
KR102441208B1 (ko) 평판 가구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평판형 가구
CN111656862A (zh) 便携式感应加热器
CN211507126U (zh) 便携式录音设备
JP2008236886A (ja) 携帯装置用充電装置
CN219842719U (zh) 展品防盗组件、展品防盗器及展品防盗系统
CN221149461U (zh) 一款具有辅助照明功能的无线控制开关
JP2009295347A (ja) 監視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2498380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