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533B1 -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5533B1 KR102115533B1 KR1020180117946A KR20180117946A KR102115533B1 KR 102115533 B1 KR102115533 B1 KR 102115533B1 KR 1020180117946 A KR1020180117946 A KR 1020180117946A KR 20180117946 A KR20180117946 A KR 20180117946A KR 102115533 B1 KR102115533 B1 KR 1021155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harging
- height
- unit
- electronic product
- charg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 H02J7/025—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이 위치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기립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높이 조절대, 상기 높이 조절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조절 단을 갖는 높이 조절홈과 상기 전자 제품의 충전을 위한 전력 송신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높이 조절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 조절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조절 단 중 하나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제품을 충전할 때, 충전 장치에 휴대용 전자 제품을 연결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무선으로 충전 동작을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 방식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방식은 기존의 유선을 통해 전력을 전송하여 전자 기기를 충전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전자기 유도 원리와 자기적 결합(magnetic coupling)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에너지 전송 개념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법과 자기 공명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기술적으로, 자기 공명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 방법이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는 무선 충전 방식보다 무선 충전이 가능한 거리가 더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기 공명 방식의 실용화와 표준화가 활발이 진행되지 않는 반면, 유도 방식은 기술의 표준화 및 제품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유도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방식이 적용된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제품을 충전할 경우, 충전부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전력 송신 코일이 위치한 부분에 해당 제품의 전력 수신 코일을 정확하게 대응시켜야 효율적인 충전 동작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충전하고자 하는 제품의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여 그 안에 내장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코일의 위치 역시 제품마다 상이하므로, 크기와 위치가 정해져 있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전력 송신 코일에 해당 제품의 전력 수신 코일을 정확하게 대응시킬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해당 제품의 무선 충전 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부가 여러 개의 전력 송신 코일을 구비하여, 전력 송신 영역을 확장시키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무선 충전 장치가 복수 개의 전력 송신 코일을 구비할 경우, 제조 비용이 증가하며, 복수 개의 전력 송신 코일의 배치 등으로 인해 설계의 여유도가 감소하여 비용뿐만 아니라 무선 충전 장치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휴대용 기기의 기종에 무관하게 가장 효율적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져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무선 충전 장치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이 위치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기립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높이 조절대, 상기 높이 조절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조절 단을 갖는 높이 조절홈과 상기 전자 제품의 충전을 위한 전력 송신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높이 조절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 조절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조절 단 중 하나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양 측면과 각각 연결되어 있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외부면에 상기 높이 조절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높이 조절홈에 위치하는 높이 조절부를 노출하는 홈 노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다른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부면에 상기 각 삽입 단에 대응되게 상기 무선 충전부에 표시되는 충전 위치 표시 마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위치 표시 마크는 전자 제품의 기종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대에 설치되는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와 복수 개의 제2 충전 위치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는 상기 전자 제품을 상기 받침대에 제1 상태로 위치시켰을 때 상기 높이 조절대에 위치하는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를 표시한 것일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는 상기 전자 제품을 상기 제1 상태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킨 제2 상태로 상기 받침대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높이 조절대에 위치하는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충전 위치 표시기는 전자 제품의 기종을 나타내는 숫자와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충전 위치 표시기는 전자 제품의 기종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는 하단부에 상기 높이 조절대가 삽입되는 조절대 삽입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대는 상단부에 상기 높이 조절부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착홈의 깊이는 상기 높이 조절부의 두께보다 작아 상기 높이 조절부의 일부는 상기 무선 충전부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높이 조절홈 속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전자 제품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가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때, 상기 상태 표시부는 상기 받침대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점등되고,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전자 제품의 충전이 완료되면 소등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가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때, 상기 상태 표시부는 제1 내지 제3 색상의 빛을 각각 발광하는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받침대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1 발광 소자가 점등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전자 제품의 기종에 대응하는 충전 위치 표시 마크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2 발광 소자가 점등되며,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전자 제품의 기종에 대응하는 충전 위치 표시 마크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3 발광 소자가 점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는 하나의 전력 송신 코일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종의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므로, 무선 충전 장치의 제조 비용이 크게 감소한다.
또한, 복수 개의 전력 송신 코일이 내장되어 있는 무선 충전 장치에 비해, 무선 충전 장치의 크기와 무게가 크게 감소하므로 무선 충전 장치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무선 충전 장치의 설치 및 휴대가 용이하다.
더욱이, 상태 표시부를 이용하여 현재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며, 실수없이 해당 전자 제품의 원활한 무선 충전 동작이 이루어진다.
스프링(spring)의 압축과 신장을 이용하여 전력 송신 코일의 위치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변화시키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무선 충전부의 위치 변환 구조가 간소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충전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무선 충전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충전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무선 충전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는 받침대(10), 받침대(10)에 연결되어 있는 높이 조절대(20), 높이 조절대(2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무선 충전부(30), 높이 조절대(20)에 장착되어 무선 충전부(30)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높이 조절부(40) 및 무선 충전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50)를 구비한다.
받침대(10)는 무선 충전 장치(1)를 안전하게 지지하며, 충전을 원하는 전자 제품이 거치된다.
이러한 받침대(10)는 본체(11), 본체(11)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지지부(12) 및 본체(11)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거치부(13)를 구비한다.
본체(11)는 대략 사각형과 같이 정해진 평면 형상을 갖는 육면체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체(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지지부(12)는 본체(11)의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보좌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11)의 양 측면에서 각각 곡선 형태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고, 평탄면인 하부면과 하부면에 연결되어 있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상부면을 구비한다.
이때, 상부면은 플라스틱과 같이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지지부(12)의 내부에는 하부면과 상부면으로 에워싸여진 빈 공간이 위치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지지부(12)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1)의 측면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더라도 무선 충전 장치(1)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본 예에서, 제1 및 제2 지지부(12)의 내부 공간 속에는 상태 표시부(50)가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태 표시부(50)는 무선 충전부(30) 등과 같은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거치부(13)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11)의 전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높이 조절대(20)에 대향하는 면인 내부면이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체(11)의 표면 즉, 상부면에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거치부(13)와 본체(11)의 표면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은 충전을 위한 전자 제품[예, 스마트 폰(smart phone)]이 위치하는 거치홈이 된다. 따라서, 거치부(13)는 거치홈에 위치한 전자 제품이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으로 기능한다.
이로 인해, 거치홈 내에 위치한 전자 제품은 본체(11)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거치부(13)에 의해 안전하게 위치가 지지되어 무선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높이 조절대(20)는 무선 충전부(30)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받침대(10)의 설치면에 대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기립된 상태로 받침대(10)의 본체(11)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높이 조절대(20)는 제1 및 제2 지지부(12) 사이에 위치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긴 판이 받침부(10)의 본체(11) 후면에서 뻗어 나와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기립되어 있는 긴 막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높이 조절대(20)는 가운데 부분에 높이 조절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선용 구멍(H20)과 높이 조절대(20)의 후면 상단부에 위치하는 안착홈(G20)을 구비한다.
따라서, 배선용 구멍(H20)은 높이 조절대(20)의 가운데 부분에서 하단과 상단 사이에 길게 연장되어 있고, 무선 충전부(30)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도시하지 않음)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전원 공급선은 무선 충전부(30)의 높이 변화에 따라서 배선용 구멍(H20)을 따라 이동하므로, 전원 공급선의 꼬임 현상이 없어지고, 전원 공급선으로 인해 무선 충전 장치(1)의 미관 손상이 방지된다.
안착홈(G20)은 높이 조절부(4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높이 조절부(40)는 안착홈(G20) 내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본 예에서, 안착홈(G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직선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양 측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러한 안착홈(G20)의 형상은 그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높이 조절부(40)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무선 충전부(30)는 무선 충전을 위한 하나의 전력 송신 코일이 감겨져 있는 부분으로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높이 조절부(40)를 통해 무선 충전부(30)는 원하는 높이로 높이 조절대(20)에 장착된다.
본 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1)는 전력 송신 코일에서 송출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유도 결합 방식이나 공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받침대(10)에 위치한 전자 제품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결합 방식이나 공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자 제품으로 전력을 전송해 충전하는 방식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무선 충전부(30)는 전면 케이스(31)와 후면 케이스(32), 그리고 전력 송신 코일부(33)를 구비한다.
무선 충전부(30)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전면 케이스(31) 및 후면 케이스(32) 역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홈과 돌기 등의 같은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다.
전면 케이스(31)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후면 케이스(32)는 후면과 측면은 막혀 있으나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다.
이때, 전면 케이스(31)은 충전을 위해 거치부(13)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 제품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해당 전자 제품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예,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가운데 부분과 같이 해당 전자 제품과 접하는 전면 케이스(31)의 부분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부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후면 케이스(32)의 전면부에 전면 케이스(31)가 장착되면, 전면은 전면 케이스(31)로 막혀 있고 후면과 측면은 후면 케이스(32)로 막혀 있는 무선 충전부(30)의 본체가 조립된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전면 케이스(31)과 후면 케이스(32)로 에워싸여진 무선 충전부(30)의 내부에 위치하는 빈 공간 내에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는 플러그나 단자 등이 삽입되는 소켓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후면 케이스(32)의 후면 하단부에는 소켓부(60)와 전원 공급선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 삽입 구멍(H31)과 높이 조절대(20)의 삽입을 위한 조절대 삽입 구멍(H33)을 구비한다.
단자 삽입 구멍(H31)은 무선 충전부(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소켓부(60)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소켓부(60)를 노출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단자 삽입 구멍(H31)을 통해 전원 공급선을 소켓부(60)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시킨다.
조절대 삽입 구멍(H33)은 높이 조절대(2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조절대 삽입 구멍(H33)의 형성 크기는 높이 조절대(20)의 폭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이처럼, 무선 충전부(30)의 조절대 삽입 구멍(H33)에 높이 조절대(20)가 삽입됨에 따라, 무선 충전부(30)는 높이 조절대(20)를 따라서 높이 변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후면 케이스(32)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높이 조절부(40)가 삽입되고, 후면 케이스(32)에서 높이 조절부(40)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높이 조절홈(H32)과 이 조절홈(H32)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홈 노출 구멍(H34)을 구비한다.
높이 조절홈(H32)은 후면 케이스(32)의 내부면(즉,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 가운데 부분에서 하단과 상단 사이에 길게 연장되고 후면 케이스(32)의 해당 부분에 정해진 깊이로 파여진 홈으로서, 후면 케이스(32)의 길이 방향(즉,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위치한다.
이러한 높이 조절홈(H32)의 형상은 원이 정해진 면적만큼 정해진 방향으로 중첩되면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어, 높이 조절홈(H32)의 양 측면은 위치에 따라 지름의 크기가 변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높이 조절홈(H32)은 동일한 크기의 최대 지름(D11)과 동일한 크기의 최저 지름(D12)을 갖는 복수 개의 조절 단(H321-H32n)을 구비한다.
본 예에서, 조절 단의 개수(n)는 6개(n=6)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때, 각 조절 단(H321-H32n)의 형상은,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는 최저 조절 단(H321)과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는 최고 조절 단(H326)을 제외하고, 모두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고 있다.
한 예로, 각 조절 단(H322-H325)은 측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다.
반면, 최저 조절 단(H321)은 하부면이 곡면으로 막혀 있고 최고 조절 단(H326)은 상부면이 곡면으로 막혀 있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조절 단(H322-H325)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인접한 두 조절 단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높이 조절부(40)가 해당 조절 단(예, H322)에 위치할 때, 높이 조절부(40)의 상부 일부는 바로 위쪽에 위치한 조절 단(H323)에 위치하고 하부 일부는 바로 아래쪽에 위치한 조절 단(H321)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 단(H321-H326)의 크기와 형상은 그 안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높이 조절부(4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본 예에서, 높이 조절부(40)와 높이 조절대(20)간의 결합 및 결합 해제 동작은 스프링(spring)과 같은 탄성 부재의 신장력과 압축력을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높이 조절대(20)에 삽입 장착된 무선 충전부(30)를 높이 방향(즉, 상하 방향)을 따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높이 조절대(20)의 안착홈(G20)에 위치하고 있는 높이 조절부(40)는 압축 동작과 신장 동작을 반복하면서 현재 삽입 단에서 다음 삽입 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무선 충전부(30)가 상승하거나 하강함에 따라 무선 충전부(30)에 위치하는 높이 조절부(40)의 위치는 높이 조절홈(H32)을 따라 단계적으로 변하여 최종적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조절 단(H321-H326) 중 하나의 조절 단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부(30)의 최종 장착 높이가 정해진다.
후면 케이스(32)에 형성된 홈 노출 구멍(H34)은 후면 케이스(32)의 외부면(즉, 내부면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된 면)에 높이 조절홈(H32)의 형성 방향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위치하고 해당 부분의 후면 케이스(32)를 완전히 관통하는 구멍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높이 조절홈(H32)에 장착되어 있는 높이 조절부(40)의 일부가 노출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홈 노출 구멍(H34) 근처의 후면 케이스(32)의 외부면에 높이 조절홈(H32)의 각 조절 단(H321-H326)에 대응되게 표시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321)와 복수 개의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2)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321)와 복수 개의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2)는 거치부(13)에 위치하는 해당 기종의 전자 제품에 내장되어 있는 전력 수신 코일의 장착 위치를 고려하여 부여된 것으로, 해당 전자 제품의 기종에 따라 가장 효율적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부(30)의 장착 높이를 표시한 것이다.
본 예에서,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321)는 받침대(10)에 충전을 위한 전자 제품을 제1 상태(예, 제1 위치 상태)로 위치시켰을 때 높이 조절대(20)에 위치하는 무선 충전부(30)의 가장 적합한 높이를 표시한 것이고, 복수 개의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2)는 받침대(10)에 충전을 위한 전자 제품을 제1 위치 상태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킨 제2 상태(예, 제2 위치 상태)로 위치시켰을 때 높이 조절대(20)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부(30)의 가장 적합한 높이를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제1 상태는 받침대(10)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일측을 설치면과 교차하게 위치시킨 상태이고, 제2 상태는 받침대(10)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타측을 설치면과 나란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이다.
본 예에서, 전자 제품의 일측(예, 세로측)과 타측(가로측)은 서로 직교하고 있고, 일측은 타측보다 길이가 길다.
따라서, 일측이 설치면과 교차하게 위치할 때 전자 제품의 최고 높이는 타측이 설치면과 나란히 위치할 때 전자 제품의 최고 높이보다 높다.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의 개수는 각각 높이 조절홈(H32)의 해당 조절 단에 대응되게 부여되어 복수 개로 이루어져 있고,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는 숫자와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마크로 이루어진 충전 위치 표시 마크(M32)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충전 위치 표시기(321)는 V1, V2, V3 및 V4와 같이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후면 케이스(32)의 해당 높이에 표기되고,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2)는 H1, H2, H3 및 H4와 같이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후면 케이스(32)의 해당 높이에 표기될 수 있다.
이때, V1, V2, V3 및 V4 중에서 V1의 높이가 가장 낮고 V4의 높이가 가장 높을 수 있으며, H1, H2, H3 및 H4 중에서 H1의 높이가 가장 낮고 H4의 높이가 가장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에 대응되는 전자 제품의 기종은, 하나의 예로서, V1과 H1은 삼성 갤럭시 S8, V2와 H2는 아이폰X, 그리고 V3과 H3은 삼성 갤럭시 노트8, V4와 H4는 삼성 갤럭시 S9일 수 있다.
이때, 후면 케이스(32)에 표기된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가 해당 기종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대신 각 기종에 적합한 최적의 높이만을 표시하는 경우, 각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에 표시된 높이에 가장 적합한 전자 제품의 기종을 알려주는 사용 설명서가 제작되어 이용자에게 배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 설명서를 이용하여 정해진 높이에 표시되어 있는 각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에 대응하는 전자 제품의 기종을 확인하여, 자신의 전자 제품에 가장 적합한 높이와 그 높이를 표시하는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3)를 인지한다.
이와 같이, 후면 케이스(32)의 외부면에 노출 조절홈(H32)에 위치하는 높이 조절부(40)의 현재 위치 즉, 현재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홈 노출 구멍(H34)이 위치하고, 홈 노출 구멍(H34) 옆에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의 기중에 따른 높이 조절부(40)의 최적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가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고 정확하게 자신의 전자 제품에 맞게 높이 조절부(40)의 높이 조정을 실시하게 된다.
다른 대안적인 예에서, 홈 노출 구멍(H34)이 생략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감각과 외부면에 표시된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3)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조절 단(H321-H326) 중 최적의 위치에 높이 조절부(4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홈 노출 구멍(H34)이 생략될 때, 높이 조절홈(H32)에 위치하는 높이 조절부(4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후면 케이스(34)의 일부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 송신 코일부(33)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기판(331)과 기판(331)에 위치하는 전력 송신 코일(332)을 구비한다.
이때, 기판(331)의 형상은 전면 및 후면 케이스(31, 32)의 형상처럼,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력 송신 코일(332)은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기판(331)에 권선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을 위해 받침대(10)에 위치한 전자 제품은 무선 충전부(30)에 위치한 전력 송신 코일(332)에 대응되는 코일(예, 전력 수신 코일)을 구비하고 있어, 유도 결합 방식이나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 충전부(3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한다.
이러한 전력 송신 코일(332)은 해당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을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 케이스(31)와 후면 케이스(32)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 내에는 전력 송신 코일부(33)뿐만 아니라 이에 연결된 제어 유닛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면 케이스(31)와 후면 케이스(32)의 결합으로 형성된 본체는 그 내부에 위치한 전력 송신 코일부 및 제어 유닛 등을 외부 충격과 먼지 등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높이 조절부(4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높이 조절대(20)의 안착홈(G20)에 위치하고 후면 케이스(32)의 높이 조절 구멍(G32)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 조절대(20)에 결합되는 무선 충전부(30)의 높이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40)는 탄성 부재의 압축력과 신장력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홈(H32)에서의 위치가 변하므로, 코일 스프링(coil spring)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41)와 탄성 부재(41)의 각 측면과 연결되어 있는 장착부(42)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42)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일 경우, 높이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병렬 상태로 배열되어 양 측면이 장착부(42)에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탄성 부재(42)는 두 개의 장착부(42) 사이에 병렬로 위치한다.
따라서, 두 개의 장착부(42)를 통해 외측으로부터 압력이 인가되면 두 장착부(42)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42)는 압축되고, 장착부(42)를 통해 인가되는 압력이 해제되면 해제되는 압력에 비례하는 만큼 탄성 부재(42)는 신장된다.
장착부(42)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한 예로 외측면, 즉 높이 조절홈(H32)의 측면과 접하는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외의 내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은 직선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때, 안착홈(40)의 깊이는 각 장착부(42)의 두께보다 작아,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안착홈(40) 내에 위치하는 높이 조절부(40)의 일부는 후면 케이스(32) 쪽으로 도출되고, 도출된 높이 조절부(40)의 부분이 높이 조절홈(H32)의 해당 조절 단(H321-H326)에 삽입된다.
이처럼, 높이 조절홈(H32) 내에 삽입된 높이 조절부(40)는 신장력에 의해 높이 조절홈(H32)에서 빠지지 않고 높이 조절홈(H32)의 해당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부(30)의 높이 변화에 따라, 높이 조절부(40)는 높이 조절홈(H32)의 각 조절 단(H321-H326)의 형태에 대응되게 압축되고 신장되어 높이 조절홈(H32)을 따라 이동하고, 이로 인해, 원하는 해당 조절 단 내에 위치하다.
이때, 각 조절 단의 가장 큰 지름을 갖는 부분에서, 높이 조절부(40)의 신장력은 최대가 되고, 가장 작은 지름을 갖는 부분에서, 높이 조절부(40)의 압축력은 최대가 된다.
따라서, 본 예의 무선 충전 장치(1)를 이용하여 자신의 전자 제품을 충전하고자 할 경우, 홈 노출 구멍(H3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높이 조절부(40)를 이용하여 거치부(13)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해당 상태(예, 제1 또는 제2 위치 상태)에 맞는 해당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가 표시되어 있는 높이의 해당 조절 단(H321-H326)에 높이 조절부(40)를 위치시켜 무선 충전부(30)의 장착 높이를 정한다.
이로 인해, 무선 충전부(30) 내에 위치한 전력 송신 코일(332)과 거치부(13)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전력 수신 코일의 대응 위치가 무선 충전을 위한 최적의 위치가 되므로,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 동작은 높이 조절부(40)가 다른 위치, 즉 다른 조절 단(H321-H326)에 위치할 때보다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전자 제품의 충전 동작 역시 신속히 이루어진다.
본 예의 경우,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는 무선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의 기종의 이름과 상이한 숫자와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는, 다른 예에서, 전자 제품의 기종명으로 이루어져 있어, 해당하는 각 높이에 해당 전자 제품의 기종명이 기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1과 H1이 기재되어 있는 후면 케이스(32)의 해당 높이에는 V1과 H1 대신 전자 제품의 기종인 '갤럭시 S8'이 기재되고, V2와 H2가 기재되어 있는 후면 케이스(32)의 높이에는 V2와 H2 대신 '아이폰X'가 기재되며, V3과 H3이 기재되어 있는 후면 케이스(32)의 높이에는 V3과 H3 대신 '갤럭시노트 8'이 기재되고, V4와 H4가 기재되어 있는 후면 케이스(32)의 높이에는 V3과 H3 대신 '갤럭시 S9'가 기재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32)가 전자 제품의 기종을 알 수 없는 숫자나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호 대신, 전자 제품의 기종명으로 이루어지면, 후면 케이스(32)의 해당 높이에 표시된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에 대한 전자 제품의 기종을 알려주는 별도의 사용 설명서가 필요 없다.
따라서, 별도의 사용 설명서를 발행하는 불편함과 비용 낭비가 없어진다.
또한, 사용자 역시 후면 케이스(32)에 바로 대응되는 전자 제품의 기종명이 기재되어 있으므로, 자신의 전자 제품에 가장 적합한 충전 높이를 쉽고 신속하게 인지하여 해당 높이에 무선 충전부(30)의 높이를 조절한 후 해당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 동작을 실시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전자 제품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1, 322)를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지며, 사용 설명서를 분실할 경우 발생하는 사용자의 불편함 역시 발생하지 않는다.
대안적인 예에서,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321)와 복수 개의 제2 충전 위치 표시기(322)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상태 표시부(5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두 개의 지지부(12)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이때, 발광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다이오드(LE, laser diode)일 수 있다.
모든 지지부(12)에 상태 표시부(50)가 위치할 경우, 각 지지부(12)에 위치하는 상태 표시부(50)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며 동작 역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 표시부(50)는 충전 완료 여부, 또는 충전 여부 및 충전 상태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332)의 소모 전력량에 따라 점등 상태가 변한다.
예를 들어, 상태 표시부(50)가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할 경우, 상태 표시부(50)는 충전 여부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태 표시부(50)는 거치부(13)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점등되고,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전자 제품의 충전이 완료되면 소등된다.
반면, 상태 표시부(50)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구비할 경우, 다음과 같은 상태로 상태 표시부(50)가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태 표시부(50)의 제1 색상(예, 청색)의 발광 소자가 점등된다.
또한, 높이 조절부(40)를 이용한 무선 충전부(30)의 정확한 위치 조정으로 인해 전자 제품이 해당하는 위치 무선 충전 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즉, 높이 조절부(40)가 해당 전자 제품의 기종에 대응하는 삽입 단(예, H321)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2 색상(예, 녹색)의 발광 소자가 점등되며, 높이 조절부(40)의 위치 조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 않아 무선 충전 동작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즉, 높이 조절부(40) 가 해당 전자 제품의 기종에 대응하는 삽입 단(예, H321)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3 색상(예, 적색)의 발광 소자가 점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태 표시부(50)의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거치부(13)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태 표시부(50)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에 따라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상태 표시부(50)의 발광 상태를 확인하면서 높이 조절부(40)의 위치를 조정하여 가장 최적의 높이에 무선 충전부(30)를 위치시킨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기종에 가장 적합한 위치에 무선 충전부(30)를 위치시켜, 전력 손실없이 가장 효율적으로 해당 기종의 전자 제품의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점등 동작을 위해, 상태 표시부(50)는 발광 소자뿐만 아니라 발광 소자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예에서, 제어 유닛은 전력 송신 코일(332)의 전력 세기를 감지한 후, 감지된 전력 세기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무선 충전의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무선 충전 상태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발광 소자로 해당 상태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발광 소자의 점등 상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무선 충전 장치(1)는 하나의 전력 송신 코일(332)만을 구비하고 있는 무선 충전부(30)의 위치를 가변시켜 무선 충전부(30)에 내장된 전력 송신 코일(332)과 전자 제품의 전력 수신 코일의 대응 위치를 조정하므로, 가장 효율적으로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무선 충전 장치(1)는 단지 하나의 전력 송신용 코일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종의 전자 제품이 효율적으로 무선 충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1)에 설치되는 전력 송신 코일(332)의 개수가 감소되므로, 무선 충전 장치(1)의 제조 비용이 크게 감소한다.
또한, 복수 개의 전력 송신 코일이 내장되어 있는 무선 충전부의 크기에 비해, 본 예의 무선 충전부(30)의 크기가 감소하고 무게 역시 크게 줄어든다. 이로 인해, 무선 충전 장치(1)의 소형화가 이루어져 무선 충전 장치(1)의 설치 및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상태 표시부(50)를 이용하여 현재 무선 충전 장치(1)의 동작 상태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며 해당 전자 제품의 원활한 무선 충전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1)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충전하는 것을 하나의 예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1)는 휴대용 기기 이외의 다른 전자 제품을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장치에도 적용된다. 이런 경우, 무선 충전 장치(1)의 무선 충전부(30) 등의 각 구성요소의 디자인은 거치되는 해당 전자 제품의 크기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무선 충전 장치 10: 받침대
20: 높이 조절대 30: 무선 충전부
40: 높이 조절부 41: 탄성 부재
42: 장착부 50: 상태 표시부
321: 제1 충전 위치 표시기 322: 제2 충전 위치 표시기
332: 전력 송신 코일 M32: 충전 위치 표시 마크
H32: 높이 조절 구멍 H321-H326: 조절 단
H33: 조절대 삽입 구멍 H34: 홈 노출 구멍
G20: 안착홈
20: 높이 조절대 30: 무선 충전부
40: 높이 조절부 41: 탄성 부재
42: 장착부 50: 상태 표시부
321: 제1 충전 위치 표시기 322: 제2 충전 위치 표시기
332: 전력 송신 코일 M32: 충전 위치 표시 마크
H32: 높이 조절 구멍 H321-H326: 조절 단
H33: 조절대 삽입 구멍 H34: 홈 노출 구멍
G20: 안착홈
Claims (14)
-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이 위치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기립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높이 조절대;
상기 높이 조절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조절 단을 갖는 높이 조절홈과 상기 전자 제품의 충전을 위한 전력 송신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높이 조절대에 장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양 측면과 각각 연결되어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 조절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조절 단 중 하나에 상기 장착부가 위치하여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부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고, 외부면에 상기 높이 조절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높이 조절홈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 조절부를 노출하는 홈 노출 구멍을 포함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부면에 각 조절 단에 대응되게 상기 무선 충전부에 표시되는 충전 위치 표시 마크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위치 표시 마크는 전자 제품의 기종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대에 설치되는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와 복수 개의 제2 충전 위치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는 상기 전자 제품을 상기 받침대에 제1 상태로 위치시켰을 때 상기 높이 조절대에 위치하는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를 표시한 것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는 상기 전자 제품을 상기 제1 상태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킨 제2 상태로 상기 받침대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높이 조절대에 위치하는 상기 무선 충전부의 높이를 표시한 것인
무선 충전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충전 위치 표시기는 전자 제품의 기종을 나타내는 숫자와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무선 충전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충전 위치 표시기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충전 위치 표시기는 전자 제품의 기종명으로 이루어져 있는 무선 충전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하단부에 상기 높이 조절대가 삽입되는 조절대 삽입 구멍을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대는 상단부에 상기 높이 조절부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의 깊이는 상기 높이 조절부의 두께보다 작아 상기 높이 조절부의 일부는 상기 무선 충전부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높이 조절홈 속에 삽입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품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가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때, 상기 상태 표시부는 상기 받침대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점등되고,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전자 제품의 충전이 완료되면 소등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가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때, 상기 상태 표시부는 제1 내지 제3 색상의 빛을 각각 발광하는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 위치한 전자 제품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1 발광 소자가 점등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전자 제품의 기종에 대응하는 충전 위치 표시 마크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2 발광 소자가 점등되며,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전자 제품의 기종에 대응하는 충전 위치 표시 마크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3 발광 소자가 점등되는
무선 충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7946A KR102115533B1 (ko) | 2018-10-04 | 2018-10-04 | 무선 충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7946A KR102115533B1 (ko) | 2018-10-04 | 2018-10-04 | 무선 충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8577A KR20200038577A (ko) | 2020-04-14 |
KR102115533B1 true KR102115533B1 (ko) | 2020-06-11 |
Family
ID=7029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7946A KR102115533B1 (ko) | 2018-10-04 | 2018-10-04 | 무선 충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55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6407A1 (en) * | 2021-11-09 | 2023-05-19 | Belkin International, Inc. | Wireless charg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7486B1 (ko) | 2017-04-13 | 2017-11-15 | 김재문 |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4210A (ko) * | 2014-01-13 | 2015-07-22 | 주식회사 대창 | 휴대 기기 충전 장치 |
KR102085809B1 (ko) * | 2013-09-05 | 2020-03-0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거치대 |
KR102097497B1 (ko) | 2013-12-13 | 2020-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무선충전기 |
KR20160145963A (ko) * | 2015-06-11 | 2016-12-21 | 최문수 | 코일 부착부가 상하 이동되는 무선 충전 거치대 |
KR101658200B1 (ko) | 2015-06-15 | 2016-09-22 | (주) 지에스씨 솔루션 |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
-
2018
- 2018-10-04 KR KR1020180117946A patent/KR1021155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7486B1 (ko) | 2017-04-13 | 2017-11-15 | 김재문 |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8577A (ko) | 2020-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4772B2 (en) | Multifunctional socket | |
US9877377B2 (en) | Lighting control device generating power from mechanical energy and lighting device | |
KR102115533B1 (ko) | 무선 충전 장치 | |
US20170187154A1 (en) | Apparatus configured to provide to a light socket, a power outlet for a consumer electronics device | |
CN111969698B (zh) | 多功能的折叠充电装置 | |
CN101110508A (zh) | 供电插座 | |
CN110771002B (zh) | 充电设备、充电方法、控制装置和机动车 | |
KR20110120378A (ko) | 휴대폰 멀티 충전기 | |
KR102450606B1 (ko)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 | |
KR20140011755A (ko) | 무선충전 시스템 | |
CN108321857A (zh) | 充电模组 | |
CN201742647U (zh) | 具有发光效果的便携式电子装置 | |
CN212230722U (zh) | 一种带氛围灯的开关插座 | |
CN204946226U (zh) | 移动门铃 | |
CN210842354U (zh) | 带无线充电的升降式杯托、沙发控制电路及沙发 | |
CN208257456U (zh) | 一种新型无线充电装置 | |
CN203434755U (zh) | 车用无线充电装置的侧推式位置调节结构 | |
CA3000610A1 (en) | Visual aid apparatus | |
CN220489310U (zh) | 加湿器 | |
KR20170060708A (ko) |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 |
CN107997549A (zh) | 一种智能信箱 | |
CN210800819U (zh) | 一种台灯 | |
CN216121066U (zh) | 电源延长线装置 | |
CN211530855U (zh) | 一种磁吸式无线充电垫 | |
CN216629656U (zh) | 一种分段式积木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