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708A -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 Google Patents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708A
KR20170060708A KR1020150165188A KR20150165188A KR20170060708A KR 20170060708 A KR20170060708 A KR 20170060708A KR 1020150165188 A KR1020150165188 A KR 1020150165188A KR 20150165188 A KR20150165188 A KR 20150165188A KR 20170060708 A KR20170060708 A KR 20170060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ortable device
connection terminal
charging
auxili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053B1 (ko
Inventor
김영수
김보라
Original Assignee
(주)맥스크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맥스크루 filed Critical (주)맥스크루
Priority to KR102015016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0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기기의 충전에 필요한 전류를 충분하게 공급하고, 충전이 간편하고 편리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을 제시한다. 그 가방은 물건이 출입하는 개구부 및 물건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면을 포함하는 가방과, 가방의 내측에 장착되는 보조배터리와, 가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되며 보조배터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적인 접속하는 접속단자 또는 접속단자와 함께 접속단자를 내재하고 자화될 수 있는 거치대 자성체가 설치된 거치대를 포함하고, 접속단자는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를 충전시킨다.

Description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Bag having chargeable function}
본 발명은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에 관한 것으로, 가방을 휴대하고 이동 또는 여행 중에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가방은 물건을 넣어 들고 다니기에 간편하도록 만든 기구로써, 가죽, 천, 비닐, 인조피혁 등이나 알루미늄, 철과 같은 금속 소재를 활용하여 제작된다. 최근, 휴대폰, 노트북, PDA 등과 같은 휴대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휴대기기는 통화, 정보검색, 업무, 여가 활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휴대기기에 전력은 공급하는 배터리는 이동이나 여행 중 충전이 여의치 않아서, 방전으로 인하여 휴대기기의 사용불능 상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동 또는 여행 중에 휴대기기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충전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기능을 들고 다니는 가방에 적용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국내공개특허 제2009-0110409호, 국내등록특허 제10-1163317호, 국내등록특허 제10-1316169호는 태양전지를 활용하여 충전하는 가방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들에 개시된 가방은 태양광을 집광하는 별도의 수단이 있어야 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에는 전류량이 미흡하며, 유지하고 보수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등 단점이 많다. 국내공개특허 제2015-0103877호는 보조배터리 및 휴대기기를 충전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충전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를 인출하여 충전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는 종래의 보조배터리를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하고, 휴대기기의 충전을 위해서는 상기 커넥터를 꺼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기기의 충전에 필요한 전류를 충분하게 공급하고, 충전이 간편하고 편리하도록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하기 위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의 하나의 사례는 물건이 출입하는 개구부 및 상기 물건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면을 포함하는 가방 및 상기 가방의 내측에 장착되는 보조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적인 접속하는 접속단자가 설치된 거치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는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를 충전시킨다.
본 발명의 하나의 사례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는 상기 접속단자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충전단자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포트가 더 장착된 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는 함몰된 구조, 돌출된 구조 및 무선충전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충전단자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포함하는 거치대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사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휴대기기의 적어도 2개의 코너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휴대기기의 크기에 부합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방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면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가방의 내부 밝기를 조절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가방 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기기가 작동하는 경우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사례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외부 충전수단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가방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배터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적인 접속하는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는 상기 가방에 형성된 커버에 의해 상기 가방의 외부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충전수단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하기 위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의 다른 사례는 물건이 출입하는 개구부 및 상기 물건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면을 포함하는 가방 및 상기 가방의 내측에 장착되는 보조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고,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를 내재하고 자화될 수 있는 거치대 자성체가 설치된 거치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는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를 충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사례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는 상기 접속단자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 및 상기 거치대 자성체와 결합되는 휴대기기 자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 자성체 및 상기 휴대기기 자성체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된다. 상기 거치대 자성체 및 상기 휴대기기 자성체는 조각 또는 띠(stripe)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 자성체 및 상기 휴대기기 자성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 또는 이들이 조합된 것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에 의하면, 보조배터리와 접속된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충전함으로써, 휴대기기의 충전에 필요한 전류를 충분하게 공급하고, 간편하고 편리하게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를 활용하여, 휴대기기가 충전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기기의 크기 또는 형태에 관계없이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나아가, 조명부를 활용하여 휴대기기를 충전하는 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의 내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가방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에 적용되는 거치대 및 휴대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례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에 적용되는 제1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Ⅶ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에 적용되는 제2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에 적용되는 하나의 자성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의 자성체를 구체적으로 열거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에 적용되는 다른 자성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2 가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2 가방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조배터리와 접속된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충전함으로써, 휴대기기의 충전에 필요한 전류를 충분하게 공급하고, 충전이 간편하고 편리한 가방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보조배터리와 거치대를 포함한 가방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거치대를 활용하여, 휴대기기를 충전하는 장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성체를 활용하는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이하에서는 자성체의 존재 여부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배터리는 휴대기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액세서리에 해당한다.
<자성체를 활용하지 않는 경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100)의 내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가방(100)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는 휴대기기(50)가 없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전 기능은 가방 본체(10)에 구현된다. 가방 본체(10)는 물건이 출입하는 개구부 및 상기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면을 포함한다. 가방 본체(10)는 수납하는 물건의 종류, 용도,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가방 본체(10)의 내부에는 보조배터리(20), 거치대(30) 및 안착부(40)가 배치된다. 보조배터리(20)는 외부의 충전수단(80), 예컨대 유선 전원, 무선충전기 등일 수 있으며, 유선 충전수단의 경우에는 커넥터(81)로 충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충전기는 무선충전용 접속수단, 예컨대 무선충전용 패드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충전방식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보조배터리(20)는 휴대기기(50)를 어디서나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지로써, 보조배터리(20)의 용량은 가방 본체(10)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휴대기기(50)는 휴대폰, 노트북, PDA, 디지털 카메라, MP3 등과 같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충전이 필요한 것을 통칭하는 것이다. 거치대(30)는 가방 본체(10)의 내측에 고정되고, 보조배터리(20)와는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가방 본체(10)를 이루는 면의 하나에 배치된다. 거치대(30)는 보조배터리(20)의 충전기능이 휴대기기(50)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으로 확장된 것이다. 상기 충전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이 모두 가능하며, 여기서는 유선의 충전선(21)을 예로 들겠다. 충전선(21)은 가방 본체(10)를 이루는 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은 공지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거치대(30)는 거치대 본체(31) 및 단자 영역(32)으로 구분되며, 단자 영역(32)은 거치대(3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거치대 본체(31) 및 단자 영역(32)은 동일한 소재 및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소재 및 다른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단자 영역(32)에는 접속단자(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단자(33)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거치대(30)는 평면적으로 보아, 직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코너 부분이 라운딩 다각형, 원형 등과 같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디자인될 수 있다.
가방 본체(10)의 내측, 제1 가방(100)의 개구부 근처에 조명부(1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의 위치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는, 조명부(13)는 가방 본체(10)의 내측에 위치하고, 가방 본체(10)를 이루는 면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보조배터리(2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원을 인가받는다. 조명부(13)는 가방 본체(10)의 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기기(50)가 작동하는 경우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기기(50)가 작동하는 경우는 거치대(30)에서 휴대기기(50)를 충전하는 동안, 휴대기기(50)에 통화 수신, 메시지 전송 등과 같이 휴대기기(50) 자체가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조명부(13)는 발광부(11)를 포함하며, 구조를 굳이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구조의 바람직한 예를 제시한다. 즉, 발광부(11)는 적어도 하나의 LED 램프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LED 램프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조명부(13)에는 조명 제어부(14)가 부가될 수 있으며, 조명 제어부(14)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자, 스위치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소자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것으로, NFC,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물론, 조명부(13)가 보조배터리(20)로부터 무선이 아닌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으면, 상기 근거리 통신소자는 배제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발광부(11)는 투명한 커버시트(12)로 덮일 수 있다. 커버시트(12)는 발광부(11)의 손상을 방지하며, 방수 등의 기능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부(13)는 제1 가방(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면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보조배터리(20) 또는 접속단자(33)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압을 인가받아 제1 가방(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방(100)의 어느 한 면에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22)가 형성되며,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배터리(2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무선충전 패드도 가능하다.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22)는 제1 가방(100)에 형성된 캡 형태의 커버(23)에 의해 제1 가방(100)의 외부로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22)를 개폐한다. 즉, 커버(23)를 열고, 충전수단(80)에 연결된 커넥터(81)를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22)에 꼽으면, 보조배터리(20)는 충전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100)에 적용되는 거치대(30) 및 거치대(30)에 거치되는 휴대기기(50)를 설명하기 위한 사례를 표현한 사시도들이다. 이때, 거치대(30)는 접속단자(33, 35, 36)를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가방(100)에서와 같으므로, 중복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거치대(30)에는 휴대기기(50) 및 휴대기기(50)의 케이스와 같은 액세서리에 거치된다. 여기서, 휴대기기(50)는 상기 액세서리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하겠다.
도 4에 의하면, 거치대(30)는 단자 영역(32)에 함몰된 접속단자(33)를 포함한다. 접속단자(33)는 일반적인 전기적인 접속에서 예컨대 콘센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함몰된 접속단자(33)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고, 필요한 경우 접지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33)는 충전선(2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도전성을 가진다. 거치대(30)에 거치되는 휴대기기(50)는 접속단자(33)에 부합되어 돌출된 충전단자(51)를 구비한다. 충전단자(51)는 휴대기기(5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충전단자(51)는 커넥터와 함께 휴대기기(50)의 전원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휴대기기(50)에 직접 부착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접속단자(33)의 기하학적인 배치는 충전단자(51)의 규격에 따라 달라진다. 충전단자(51)의 규격은 USB 규격 커넥터, IEEE 1394 규격 커넥터, D-Sub 규격 커넥터, 에지 커넥터, PS/2 커넥터, DIN 규격 커넥터, 핀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원형 DIN 커넥터, 미니 DIN 커넥터, XLR 타입 커넥터, AC 전원 커넥터, DC 전원 커넥터, 동축 커넥터 등이 그 사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충전단자(51)가 활용될 수 있다. 충전단자(51)는 일반적인 전기적인 접속에서 예컨대 플러그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충전할 때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과전압이 입력될 때 충전전원이 차단되는 차단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단자(51)를 접속단자(33)에 삽입하면, 보조배터리(20)의 전원이 접속단자(33), 충전단자(51)를 거쳐 휴대기기(50)에 충전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충전단자(51)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포트가 더 장착할 수 있다. 충전단자(51)를 접속단자(33)에 꼽으면 충전이 되기 때문에, 충전이 간편하고 편리하다. 이렇게 하면, 종래와는 달리 커넥터를 연결하여 휴대기기(50)를 충전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충전방식은 보조배터리(20)의 전류량을 충분하게 활용하게 된다.
한편, 거치대(30)는 거치대 제어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 제어부(34)는 휴대기기(50)의 충전 정도, 작동 현황, 조명부(13)로의 정보 제공, 접속단자(33)의 접속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등과 같은 데이터를 처리 및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거치대 제어부(34)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데이터 단자를 수용할 수도 있고, 접속단자(33)와 연결된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의하면, 거치대(30)는 단자 영역(32)에 돌출된 접속단자(35)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이란 휴대기기(50)에 대향하는 단자 영역(32)의 노출된 면으로부터 접속단자(35)가 올라온 것을 말한다. 휴대기기(50)에는 돌출된 접속단자(35)에 대응하는 충전단자(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충전단자(52)는 돌출되지 않고, 단자 영역(32)과 대응하는 휴대기기(50)의 면과 동일한 프로파일을 가지거나, 약간 함몰된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단자(52)는 복수개의 링(ring)으로 제작할 수 있고, 하나의 링(ring)을 분할하여 만들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링이란 동일한 너비와 반경을 가지는 것이다. 휴대기기(50)를 거치대(30)에 거치하면, 돌출된 접속단자(35)는 분할된 링 형태의 충전단자(52)와 접촉된다.
접속단자(35)의 규격이 변경되면, 충전단자(52)의 모양도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접속단자(35)가 삼각점을 이루지 않고, 일직선에 존재하면, 충전단자(52)는 복수개의 링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일직선을 이루는 접속단자(35)의 개수가 3개(양극단자, 음극단자, 접지단자)이라면, 충전단자(52)는 2개의 링 안에 중심원이 있는 모양일 수 있다. 이때, 2개의 링 및 중심원은 각각 접지단자, 양극단자, 음극단자와 접촉된다. 2개의 접속단자(35)가 일직선을 이루고, 하나의 접속단자(35)가 떨어져 있으면, 충전단자(52)는 2부분으로 분할된 링과 중심원이 있는 모양일 수 있다. 돌출된 접속단자(35)는 볼(ball), 실린더, 노출된 부분이 라운딩된 실린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도전체이다.
도 6에 의하면, 거치대(30)는 단자 영역(32)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패드 접속단자(36)를 포함한다. 거치대(30)에 거치되는 휴대기기(50)는 무선충전패드 접속단자(36)에 부합되어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패드 충전단자(53)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충전은 공지의 전자기 유도 방식 및 자기 공명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접속단자(36) 및 충전단자(53)에 비치된 상기 무선충전패드의 크기 및 형상은 본 발명의 거치대(30) 및 휴대기기(50)의 종류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속단자(33, 35, 36)는 각각의 충전단자(51, 52, 53)에 정합되는 정도로 부합되며, 함몰 또는 돌출되거나 무선충전패드를 활용할 수 있다. 함몰 또는 돌출되거나 무선충전패드를 적용하면, 휴대기기(50)의 충전단자(51, 52, 53)가 어떤 형태를 가지든지 모두 커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100)에 적용되는 제1 안착부(40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Ⅶ 부분을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100)에 적용되는 제2 안착부(40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질적으로, 안착부(40)는 이에 제시하는 사례(40a, 40b) 이외에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크기 및 형태가 다른 휴대기기(50)를 탑재하기 위한 유니버셜 타입을 제공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안착부(40)는 본 발명의 제1 가방(100)의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며, 편의상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이다. 다시 말해, 휴대기기(50)는 반드시 안착부(40)에 수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의하면, 안착부(40)의 하나의 제1 안착부(40a)는 휴대기기(50)의 적어도 2개의 코너가 삽입되며, 휴대기기(50)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한 확장을 위한 구조(Ⅶ)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안착부(40a)는 휴대기기(50)가 수납되는 골(groove)이 있으며, 양끝은 구부려져 있다. 확장구조(Ⅶ)는 제1 몸체(41)에 형성된 탄성체(42) 및 가이드(43)를 포함하고, 가이드(43)에 삽입되는 길이조절판(44) 및 길이조절판(44)이 부착된 제2 몸체(45)를 포함한다. 탄성체(42)는 길이조절판(44)이 가이드(43)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도와준다. 탄성체(42)에 의해 제1 안착부(40a)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확장구조(Ⅶ)는 본 발명의 거치대(30)에 거치되는 휴대기기(5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 안착부(40a)의 수납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한다. 즉, 제2 몸체(45)를 당기면서 휴대기기(50)를 제1 안착부(40a)에 탑재하고, 제2 몸체(45)를 놓으면 휴대기기(50)는 제1 안착부(40a)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수납 길이의 조절은 탄성체(42)의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안착부(40a)의 양끝은 경사를 이루며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의하면, 제2 안착부(40b)은 휴대기기(50)의 적어도 2개의 코너를 고정하며, 휴대기기(50)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한 안착시키기 위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안착구조는 고정부(47a, 47b) 및 안착대(46a, 46b)로 구성된다. 고정부(47a, 47b)는 휴대기기(50)의 코너에 맞추어 도면처럼 "ㄴ"자의 꺾쇠 모양과 유사하다. 고정부(47a, 47b)는 휴대기기(50) 코너의 모서리를 수용하는 수용하도록 내부에 홈(groove)을 형성한다. 안착대(46a, 46b)는 막대 모양으로 고정부(47a, 47b)와 연결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안착대(46a, 46b)는 직선을 이루는 것이 좋고, 거치가 예상되는 휴대기기(50)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안착대(46b)에는 앞에서 설명한 확장구조(Ⅶ)를 부가할 수 있다.
안착부(40)는 거치대(30)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인접하다는 의미는 거치대(30)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면서, 거치대(30)의 전체 또는 일부를 둘러싸는 것을 말한다. 제1 및 제2 안착부(40a, 40b)는 거치대(30)의 일부를 둘러싼 경우이다. 즉, 제1 및 제2 안착부(40a, 40b)는 휴대기기(50)의 2개의 코너가 수납되는 구조이다. 안착부(40)는 휴대기기(50)가 거치대(30)에 안착되어 접속단자(33)와 접속될 수 있는 구조라면 제1 및 제2 안착부(40a, 40b)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40)의 재질은 헝겊, 천, 가죽,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자성체를 활용하는 경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거치대(30) 및 휴대기기(50)에 자성체를 부착하여, 앞에서 설명한 접속단자 및 충전단자의 접속이 자연스럽게 유도되는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자성체를 활용한 경우, 상기 접속단자는 돌출된 접속단자(35) 및 무선충전패드 접속단자(36)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자성체를 활용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제1 가방(100)과 같으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100)에 적용되는 자성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의 자성체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열거한 도면들이다.
도 10에 의하면, 단자 영역(32)에는 돌출된 접속단자(35)를 내부에 수용하는 자화될 수 거치대 자성체(60)가 있고, 이때, 자화될 수 있다는 의미는 자화된 자석 또는 자화되지 않은 자성체가 모두 가능하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거치대 자성체(60)가 자화된 자석인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대응하여 휴대기기(50)에는 휴대기기 자성체(70)가 마주보고 있다. 거치대 자성체(60)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구자석이 가능하다. 휴대기기 자성체(70)는 자화된 자석 또는 자화되지 않은 자성체가 모두 가능하며, 거치대 자성체(60)에 자력에 의해 붙는다. 충전단자(52)는 도 4에서와 같이 분할된 링(ring) 형태가 바람직하며, 상기 링은 돌출된 접속단자(35)의 배치에 따라 개수 및 너비가 달라진다. 휴대기기(50)를 거치대(30)에 거치하면, 돌출된 접속단자(35)는 분할된 링 형태의 충전단자(52)와 접촉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거치대 자성체(60)는 원형의 띠(도 10의 60a),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띠(도 11의 60b) 및 원형 또는 다각형의 조각(도 12의 60c) 등이 가능하다. 다각형의 띠(60b)의 경우, 코너 부분을 곡률지게 할 수 있다. 거치대 자성체(60)에 대응하는 휴대기기 자성체(70)는 거치대 자성체(60)와 동일한 모양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다. 휴대기기 자성체(70)는 거치대 자성체(60)와 서로 밀착되므로, 거치대(30)에 거치되는 휴대기기(50)는 항상 동일한 위치에 거치되며, 접속단자(35) 및 충전단자(52)는 편차 없이 서로 접속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1 가방(100)에 적용되는 다른 자성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에 의하면, 무선충전패드 접속단자(36) 및 무선충전패드 충전단자(53)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0의 돌출된 접속단자(35) 및 충전단자(5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거치대 자성체(60) 및 휴대기기 자성체(70)는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거치대 자성체(60)에 대응하는 휴대기기 자성체(70)는 거치대 자성체(60)와 동일한 모양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다. 휴대기기 자성체(70)는 거치대 자성체(60)와 서로 밀착되므로, 거치대(30)에 거치되는 휴대기기(50)는 항상 동일한 위치에 거치되며, 접속단자(35) 및 충전단자(52)는 편차 없이 서로 접속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제2 가방(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2 가방(2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2 가방(200)은 단자 영역(32), 접속단자(33) 및 안착부(40)의 위치를 제외하고, 제1 가방(100)과 같다. 이에 따라, 서로 중복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 및 도 16에 의하면, 제2 가방(200)은 단자 영역(32), 접속단자(33) 및 안착부(40)가 가방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돌출된 접속단자(33)는 도 5에서의 돌출된 접속단자(35) 및 도 6의 무선충전패드 접속단자(36)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충전단자(51)는 도 5의 충전단자(52), 도 6의 충전단자(53) 및 도 10의 충전단자(52)로 대체될 수 있다. 안착부(40)는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안착부(40a, 40b)가 그대로 활용된다. 제1 가방(100)의 거치대 자성체(60) 및 휴대기기 자성체(70)는 제2 가방(200)에 그대로 적용된다. 단자 영역(32), 접속단자(33) 및 안착부(40)의 위치를 가방 본체(10)의 외부에 있게 하면, 휴대기기(50)를 거치대(30)에 거치하는 데, 편의성이 높아진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가방 본체 20; 보조배터리
21; 충전선 22;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
23; 커버 30; 거치대
31; 거치대 본체 32; 단자 영역
33; 함몰된 접속단자 34; 거치대 제어부
35; 돌출된 접속단자 36; 무선충전패드 접속단자
40; 안착부 40a; 제1 안착부
40b; 제2 안착부 41; 제1 몸체
42; 탄성체 43; 가이드
44; 길이조절판 45; 제2 몸체
50; 휴대기기
51, 52, 53; 충전단자
60, 60a, 60b, 60c; 거치대 자성체
70; 휴대기기 자성체
80; 외부 충전수단

Claims (22)

  1. 물건이 출입하는 개구부 및 상기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면을 포함하는 가방;
    상기 가방의 내측에 장착되는 보조배터리; 및
    상기 가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단자가 설치된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는 상기 접속단자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평면 구조, 함몰된 구조, 돌출된 구조 및 무선충전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에는 상기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2개의 측면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를 거치대에 거치하면서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거치대와 안착부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크기에 부합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면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상기 보조배터리 또는 상기 접속단자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가방의 내부 또는 외부의 밝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기기가 작동하는 경우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되되, 외부 충전수단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배터리와 유선으로 접속하는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 또는 무선충전 수신부가 장착된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 또는 상기 가방에는,
    상기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를 보호 또는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11. 물건이 출입하는 개구부 및 상기 물건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면을 포함하는 가방;
    상기 가방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조배터리; 및
    상기 가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와 유선 또는 무선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를 내재하고 자화될 수 있는 거치대 자성체가 설치된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는 상기 접속단자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는 상기 거치대 자성체와 결합되는 휴대기기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 자성체 및 상기 휴대기기 자성체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자성체 및 상기 휴대기기 자성체는 조각(piece), 띠(stripe)형태, 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평면 구조, 함몰된 구조, 돌출된 구조 및 무선충전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에는 상기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2개의 측면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안착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휴대기기 또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크기에 부합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면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상기 보조배터리 또는 상기 접속단자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가방의 내부 또는 외부의 밝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기기가 작동하는 경우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되되, 외부 충전수단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에는 상기 보조배터리와 유선으로 접속하는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 또는 무선충전 수신부가 장착된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 또는 상기 가방에는,
    상기 외부 충전용 접속단자를 보호 또는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KR1020150165188A 2015-11-25 2015-11-25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KR101769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88A KR101769053B1 (ko) 2015-11-25 2015-11-25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88A KR101769053B1 (ko) 2015-11-25 2015-11-25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708A true KR20170060708A (ko) 2017-06-02
KR101769053B1 KR101769053B1 (ko) 2017-08-17

Family

ID=5922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188A KR101769053B1 (ko) 2015-11-25 2015-11-25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864B1 (ko) * 2019-07-29 2020-06-23 윤영복 볼링 가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0100U1 (it) * 2012-03-14 2013-09-15 Sara Giunti Borsetta provvista di un sistema di illuminzione e di alimentazi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864B1 (ko) * 2019-07-29 2020-06-23 윤영복 볼링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053B1 (ko)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4468B2 (en) Protective cover with wireless charging feature
JP3190075U (ja) 携帯電話が置換え可能な無線充放電腕バンド
KR101120947B1 (ko)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US7457649B1 (en) Headset charging station
US20160134142A1 (en) Portable device case having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station
KR101763754B1 (ko) 다단 보조배터리 충전 장치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20628B1 (ko) 헤드셋 무선충전 시스템
KR101443007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266446B1 (ko) 유무선 겸용 충전기
US20190027949A1 (en) Portable power bank for a smartwatch or the like
KR20130129489A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04358B1 (ko)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KR20170028137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CN111009935A (zh) 多功能移动电源
KR101769053B1 (ko)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KR101875103B1 (ko)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기구
KR20170020058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20170137569A (ko) 다기능 무선 충전 휴대폰 케이스
KR200484841Y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WO2019016655A1 (en) RENEWABLE ENERGY RECOVERY BRIEFCASE
KR101489743B1 (ko) 자동 위치조정 무선충전기 및 그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20170122969A (ko) 무선충전기용 패드
KR101718738B1 (ko) 웨어러블 기기의 무방향 무선충전장치
KR20150000149U (ko)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충전 기반의 led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