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489A -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489A
KR20130129489A KR1020110125021A KR20110125021A KR20130129489A KR 20130129489 A KR20130129489 A KR 20130129489A KR 1020110125021 A KR1020110125021 A KR 1020110125021A KR 20110125021 A KR20110125021 A KR 20110125021A KR 20130129489 A KR20130129489 A KR 20130129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case
seating groov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6309B1 (ko
Inventor
최상효
Original Assignee
최상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효 filed Critical 최상효
Priority to KR1020110125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309B1/ko
Priority to PCT/KR2011/009302 priority patent/WO2013081222A1/ko
Publication of KR20130129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휴대단말(10)이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단말안착홈부(111)가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본체(110);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휴대단말(10)의 단말커넥터(11)와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말케이스 커넥터(120);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의 바닥면(112)에 형성되고,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가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안착홈부(130); 및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말케이스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삽입된 상기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a,21b)와 접촉되면서 배터리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에 인가하는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를 포함하는 단말케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단말케이스{Mobile Case Using Variable 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둘레에 끼움결합되어 배터리전원을 휴대단말에 제공하는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단말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규격 및 단자의 위치, 극성순서와는 무관하게 전용배터리는 물론 타기종배터리를 포함하는 다기종의 배터리를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휴대단말에 배터리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단말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일반휴대폰 등의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액정화면의 대형화 및 프로세서의 고성능화로 인해 기존의 휴대단말들보다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각 휴대단말 제조사에서는 보다 많은 전력량을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으나 충전효율을 증대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존재하였으며, 이에 따라 휴대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이용하는 중에 수시로 충전장치에 연결하여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여분의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단말을 커버하는 케이스에 보조배터리를 내장시킨 배터리팩 형태의 커버형 충전케이스가 개발되었으며, 휴대단말에 내장된 전용배터리와 보조배터리의 배터리전원으로 휴대단말의 구동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버형 충전케이스의 경우에는, 휴대단말의 둘레에 끼움결합되는 케이스에 보조배터리가 내장되기 때문에, 해당 휴대단말과 크기 및 두께 등의 외형이 상이한 다른 휴대단말에는 장착이 불가하기 때문에 특정 휴대단말에 한하여 이용이 가능하였으며 범용적으로 이용하기가 제한되었다.
또한, 휴대단말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경우에는, 각 제조사별로 배터리의 규격 및 단자의 위치, 극성순서 등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같은 제조사에서도 각 휴대단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두께를 갖는 배터리들이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휴대단말을 새로운 휴대단말로 교체할 경우, 기존의 휴대단말에 장착하던 배터리들을 새로운 휴대단말에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극히 드물어 버려지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40917호(2008.05.09),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 겸용 충전 거치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16246(2006.02.22), 보조 배터리선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규격 및 단자의 위치, 극성순서와는 무관하게 전용배터리는 물론 타기종배터리를 포함하는 다기종의 배터리를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휴대단말에 배터리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단말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휴대단말(10)이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단말안착홈부(111)가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본체(110);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휴대단말(10)의 단말커넥터(11)와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말케이스 커넥터(120);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의 바닥면(112)에 형성되고,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가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안착홈부(130); 및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말케이스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삽입된 상기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a,21b)와 접촉되면서 배터리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에 인가하는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를 포함하는 단말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또는 단말케이스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110)의 외부면에 배치되며,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케이블(30)의 충전전원 출력커넥터(31)와 체결되어 상기 충전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 중 하나 이상에 인가하는 충전전원 입력커넥터(150);를 더 포함하는 단말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삽입되면서 끼움결합되고, 타기종배터리(20b)가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타기종 배터리 안착홈부(164)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161)와, 상기 타기종 배터리 안착홈부(164)의 내측에 배치되며 타기종 배터리 안착홈부(164)에 삽입된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b)와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 및, 상기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61)의 외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61)가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삽입되면서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와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에 인가하는 보정케이스 입력단자(163)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보정케이스(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본체(110)의 배터리 안착홈부(130) 또는 상기 보정케이스(160)의 타기종 배터리 안착홈부(164)의 내부에는, 일단이 각 안착홈부(130,164)의 일측벽에 고정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171)와, 상기 탄성부재(171)의 타단에 고정되며 각 안착홈부(130,164)에 삽입된 타기종배터리(20b)와 접촉되어 상기 탄성부재(17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기종배터리(20b)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72)를 포함하는 배터리 밀착수단(170)이 하나 이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케이스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배터리의 규격 및 단자의 위치, 극성순서와는 무관하게 전용배터리는 물론 타기종배터리를 포함하는 다기종의 배터리를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휴대단말을 배터리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휴대단말의 배터리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커버형 충전케이스와 비교하여 별도의 충전배터리가 장착되지 않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단말케이스의 외부면에는 단말케이스에 장착된 전용배터리 또는 타기종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단말안착홈부에 끼움결합된 휴대단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전원 입력커넥터가 구비되므로, 휴대단말과 보조배터리로 이용되는 여분의 전용배터리, 타기종배터리를 각각 구분하여 충전할 필요없이 각 배터리들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된다.
셋째, 단말케이스에 형성된 배터리 안착홈부의 크기보다 작은 타기종배터리의 경우에는 보정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으므로, 전용배터리의 규격과는 무관하게 다양한 타기종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넷째, 타기종배터리의 배터리 입력단자의 위치 및 극성순서가 전용배터리 즉, 단말케이스의 배터리 안착홈부에 배치된 단말케이스 출력단자 또는 보정케이스의 보정케이스 출력단자와 상호 대응하지 않더라도,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 및 보정케이스 출력단자를 구성하는 각 단자의 위치 및 배치되는 순서를 변경하여 끼움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단말케이스에 형성된 배터리 안착홈부 또는 보정케이스의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의 크기보다 작은 타기종배터리의 경우에는, 각 안착홈부의 일측벽에 고정되어 각 안착홈부에 안착된 타기종배터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배터리 밀착수단이 구비되므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케이스가 휴대단말에 끼움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정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밀착수단에 의해 크기가 작은 타기종배터리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6은 타기종배터리에 형성된 배터리 입력단자의 위치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케이스의 단말케이스 출력단자 또는 보정케이스의 보정케이스 출력단자를 구성하는 각 단자의 위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7은 타기종배터리에 형성된 배터리 입력단자의 극성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케이스 출력단자 또는 보정케이스의 보정케이스 출력단자를 구성하는 각 단자의 극성 순서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몇가지 용어들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10)'이란 사용자가 이동하며 휴대할 수 있도록 배터리전원을 제공하는 충전배터리가 장착된 단말장치로서, 스마트폰,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Handheld) PC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뿐 아니라, 노트북, 넷북 및 테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PC 및, MP3플레이어, MP4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용배터리(20a)'는 임의의 휴대단말(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휴대단말(10)의 안착홈의 크기 및 접촉단자의 위치 및 극성 순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전용의(Eexclusive) 배터리를 의미하며, '타기종배터리(20b)'는 상기 전용배터리(20a)와 및 단자의 위치, 극성순서가 상이한 배터리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단말케이스(이하에서는 '단말케이스(100)'라 명칭함)는, 케이스본체(110), 단말케이스 커넥터(120), 배터리 안착홈부(130),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충전전원 입력커넥터(150) 및 보정케이스(16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케이스본체(1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케이스(100)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베이스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이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단말안착홈부(111)가 내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단말안착홈부(111)에 삽입된 휴대단말(10)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의 둘레에는 상기 휴대단말(10)의 측부를 지지하는 측벽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의 바닥면(112)은 휴대단말(10)의 배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10)의 배면과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단말케이스 커넥터(120)는, 상기 휴대단말(10)에 내장된 전용배터리(20a)를 충전하거나 휴대단말(10)에 직접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로구성된 PCB(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10)의 외부면에 형성된 단말케이스 커넥터(11)와 끼움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케이스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단말안착홈부(11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휴대단말(10)의 단말커넥터(11)와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휴대단말(10)의 단말커넥터(11)에는 충전전원 또는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케이블(30)의 충전전원 출력커넥터(31)가 삽입되므로, 상기 단말케이스 커넥터(120)는 상기 충전전원 출력커넥터(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는, 상기 단말케이스(100)에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부로서,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가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하나의 배터리 안착홈부(130)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의 바닥면(112)의 면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복수 개의 배터리 안착홈부(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배터리 안착홈부(130)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전용배터리(20a) 및 타기종배터리(20b)가 각각 장착될 수 있도록 임의의 타기종배터리(20b)의 규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에 상기 두 개의 배터리 안착홈부(130)이 형성된 경우, 하나의 배터리 안착홈부(130)는 전용배터리(20a) 또는 임의의 타기종배터리(20b)의 규격과 대응되고 다른 하나의 배터리 안착홈부(130)는 또 다른 임의의 타기종배터리(20b)의 규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면 여분의 전용배터리(20a) 및 타기종배터리(20b)를 동시에 보조배터리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단말(10)에 내장된 전용배터리(20a)를 포함하여 세 개의 배터리를 통해 배터리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10)의 구동시간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는 단말안착홈부(111) 내에서 하나가 형성되며 전용배터리(20a) 보다 규격이 작은 임의의 타기종배터리(20b)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는, 배터리 안착홈부(13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말케이스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삽입된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a,21b)와 접촉되면서 배터리전원을 휴대단말(10)에 인가한다.
상기 충전전원 입력커넥터(150)는, 상기 충전케이블(30)의 충전전원 출력커넥터(31)와 체결되어 충전케이블(3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단말케이스(1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또는 단말케이스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110)의 외부면에 배치되며,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케이블(30)의 충전전원 출력커넥터(31)와 체결되어 상기 충전전원을 단말안착홈부(111)에 끼움결합된 휴대단말(10) 또는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끼움결합된 전용배터리(20a) 및 타기종배터리(20b) 중 하나 이상에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전원 입력커넥터(150)와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충전전원 입력커넥터(150)와 단말케이스 커넥터(12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연결선(미도시)이 배치되며, 상기 신호연결선을 통해 상기 충전전원 입력커넥터(150)로 공급되는 충전케이블(30)의 충전전원을 휴대단말(10),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에 인가할 수 있으며, 종래의 커버형 충전케이스와 같이 휴대단말과 보조배터리로 이용되는 보조배터리를 각각 구분하여 충전할 필요없이, 상기 충전전원 입력커넥터(150)에 충전케이블(30)를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휴대단말(10), 전용배터리(20a) 및 타기종배터리(20b)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안착홈부(111)의 바닥면(112)에 형성된 배터리 안착홈부(130)는 임의의 규격을 갖는 타기종배터리(20b)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용배터리(20a)와 규격이 상이한 타기종배터리(20b)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의 형상이 고정되기 때문에 하나의 정해진 규격을 갖는 타기종배터리(20b)만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용배터리(20a) 및 타기종배터리(20b)와 각각 규격이 상이한 다른 타기종배터리(20b)의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케이스(100)에는, 케이스본체(110)에 형성된 배터리 안착홈부(130)의 크기보다 작은 타기종배터리(20b)가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끼움결합되어 휴대단말(10)에 배터리전원을 공급하는 보정케이스(160)가 구비된다.
상기 보정케이스(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61),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 및 보정케이스 입력단자(16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161)는, 상기 보정케이스(160)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베이스로서,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삽입되면서 끼움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의 크기보다 작은 규격을 갖는 타기종배터리(20b)가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는,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의 내측에 배치되며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에 삽입된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b)와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보정케이스 입력단자(163)는,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61)의 외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61)가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삽입되면서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와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전원을 휴대단말(10)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정케이스(160)의 구성을 통해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장착되는 타기종배터리(20b)보다 규격이 작은 제2의 타기종배터리(20b)를 이용하여 휴대단말(10)에 배터리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며, 규격별로 구분되는 다수 개의 타기종배터리(20b)는 각 타기종배터리(20b)가 삽입될 수 있는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가 형성된 보정케이스(160)를 다수 개가 준비될 경우, 형태가 고정된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모두 삽입되며 끼움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타기종배터리(20b)가 갖는 규격과는 무관하게 다양한 규격을 갖는 타기종배터리(20b)들을 두루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단말케이스(100)의 배터리 안착홈부(130) 또는 보정케이스(160)의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에 장착되는 타기종배터리(20b)와 상기 휴대단말(10)에 장착되는 전용배터리(20a)로부터 출력되는 배터리전원의 주파수 및 출력전압, 전류 등이 상이할 경우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전원이 휴대단말(10)에 그대로 인가될 경우 휴대단말(10)의 회로구성 또는 타기종배터리(20b)가 훼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상기 휴대단말(10)에서 요구되는 구동전원의 형태에 따라 입력되는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전원의 형태를 변환하는 변환회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부(180)가 구비되며, 상기 보정케이스(160)의 내부에는 상기 휴대단말(10)에서 요구되는 구동전원의 형태에 따라 입력되는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전원의 형태를 변환하는 변환회로(16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케이스본체(110)에 제어회로부(180)가 구비될 경우 상기 보정케이스(160)의 변환회로(165)는 불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전원을 특정장치에서 요구하는 전원의 형태(주파수, 출력전압 및 전류의 크기)로 변환하는 기술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180)는, 단말케이스(100)에 의해 휴대단말(10), 전용배터리(20a) 및 타기종배터리(20b)가 충전될 수 있도록 중앙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PCB에 회로구성되어 케이스본체(11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180)는 단말케이스(100)에 휴대단말(10), 전용배터리(20a) 및 타기종배터리(20b) 등 2개 이상의 배터리가 동시에 장착될 경우, 미리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각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본체(110)의 배터리 안착홈부(130)에는 타기종배터리(20b)가 장착되며 전용배터리(20a)가 내장된 상태의 휴대단말(10)이 단말안착홈부(111)에 장착될 경우, 상기 휴대단말(10)에 내장된 전용배터리(20a)에 충전케이블(3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우선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전용배터리(20a)의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며, 충전전원 공급라인을 상기 타기종배터리(20b)로 절체하여 상기 충전전원을 타기종배터리(20b)에 이어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각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케이스(100)의 외부면에는 각 배터리별 충전잔량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8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81)는 충전잔량에 따라 발광색상을 변화시키는 발광램프일 수 있으며 이 밖에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으로 충전잔량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창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밀착수단(170)은, 상기 보정케이스(160)의 구성없이 다양한 크기를 갖는 타기종배터리(20b)를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안착시키거나, 상기 보정케이스(160)의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의 크기보다 작은 규격을 갖는 타기종배터리(20b)를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삽입되는 타기종배터리(20b)를 일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110)의 배터리 안착홈부(130) 또는 보정케이스(160)의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의 내부에 장착되어, 일단이 각 안착홈부(130,164)의 일측벽에 고정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171)와, 상기 탄성부재(171)의 타단에 고정되며 각 안착홈부(130,164)에 삽입된 타기종배터리(20b)와 접촉되어 상기 탄성부재(17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기종배터리(20b)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7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밀착수단(170)은 상기 각 안착홈부(130,164)에 배치된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및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및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가 하단 우측에 배치될 경우 상기 배터리 밀착수단(170)은 상부와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기종배터리(20b)를 하방 및 우측방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및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가 하단 중앙에 배치될 경우 상부와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타기종배터리(20b)를 하방 및 양측방에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 밀착수단(170)이 각 안착홈부(130,164) 내에서 타기종배터리(20b)를 가압할 수 있는 범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착홈부(130,164)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타기종배터리(20b) 중 가장 작은 타기종배터리(20b)의 규격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각 안착홈부(130,164)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타기종배터리(20b) 중 가장 큰 타기종배터리(20b)의 규격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터리 안착홈부(130), 보정케이스(160) 및 배터리 밀착수단(170)의 구성을 통해 다양한 규격을 갖는 타기종배터리(20b)들을 배터리 안착홈부(130) 및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겠으나, 타기종배터리(20b)의 각 제조사마다 타기종배터리(20b)에 형성된 배터리 입력단자(21b)의 위치 및 각 단자가 갖는 극성의 순서가 상이할 경우, 배터리 안착홈부(130) 및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에 장착된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b)와 배터리 안착홈부(130) 내에 배치된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또는 보정케이스(160) 내에 배치된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가 상호 접촉되지 않게 되어 휴대단말(10)과 타기종배터리(20b)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불가하거나 불안정하게 연결되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케이스(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 및 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164)의 측벽 중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및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가 형성된 측벽에 측벽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삽입홈(101,166)이 형성되고,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및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의 각 단자들은 상호 분리되며 하부에 상기 삽입홈(101,166)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돌기(141,162a)가 형성된다.
또한, 각 단자들은 개별적으로 배터리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전원공급선(191)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선(191)은 상기 각 단자들이 삽입홈(101,166)에서 상방으로 탈거되거나 상기 삽입홈(101,166)상의 일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및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는 장착되는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b)가 전용배터리(20a)의 배터리 입력단자(21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지 않더라도, 각 단자들을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b)가 형성된 위치로 삽입홈(101,166) 내에서 이동하여 끼움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b)가 갖는 극성의 순서가 전용배터리(20a)의 배터리 입력단자(21a)의 극성과 다르더라도, 상기 각 단자들을 삽입홈(101,166)에서 상방으로 탈거하고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b)의 극성 순서에 맞추어 상호 교차된 위치에 배치하여 끼움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b)의 위치 및 전극의 개수 또는 극성의 순서가 전용배터리(20a)의 극성순서 즉, 케이스본체(110)의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배치된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또는 보정케이스(160)의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의 극성순서와 상호 대응하지 않더라도,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및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를 구성하는 각 단자의 위치 및 배치되는 순서를 변경하여 끼움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케이스(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배터리의 규격, 단자의 위치 및 극성순서와는 무관하게 여분의 전용배터리(20a)는 물론 타기종배터리(20b)를 포함하는 다기종의 배터리를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휴대단말(10)에 배터리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휴대단말(10)의 배터리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커버형 충전케이스와 비교하여 별도의 충전배터리가 장착되지 않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휴대단말 20a...전용배터리
20b...타기종배터리 30...충전케이블
100...단말케이스 110...케이스본체
111...단말안착홈부 120...단말케이스 커넥터
130...배터리 안착홈부 140...단말케이스 출력단자
150...충전전원 입력커넥터 160...보정케이스
164...타기종배터리 안착홈부 170...배터리 밀착수단

Claims (4)

  1. 휴대단말(10)이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단말안착홈부(111)가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본체(110);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휴대단말(10)의 단말커넥터(11)와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말케이스 커넥터(120);
    상기 단말안착홈부(111)의 바닥면(112)에 형성되고,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가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안착홈부(130); 및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말케이스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삽입된 상기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a,21b)와 접촉되면서 배터리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에 인가하는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를 포함하는 단말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 또는 단말케이스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110)의 외부면에 배치되며,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케이블(30)의 충전전원 출력커넥터(31)와 체결되어 상기 충전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 전용배터리(20a) 또는 타기종배터리(20b) 중 하나 이상에 인가하는 충전전원 입력커넥터(150);를 더 포함하는 단말케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삽입되면서 끼움결합되고, 타기종배터리(20b)가 삽입되며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타기종 배터리 안착홈부(164)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161)와,
    상기 타기종 배터리 안착홈부(164)의 내측에 배치되며 타기종 배터리 안착홈부(164)에 삽입된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 입력단자(21b)와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 및,
    상기 보정케이스 출력단자(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61)의 외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61)가 배터리 안착홈부(130)에 삽입되면서 상기 단말케이스 출력단자(140)와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기종배터리(20b)의 배터리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에 인가하는 보정케이스 입력단자(163)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보정케이스(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110)의 배터리 안착홈부(130) 또는 상기 보정케이스(160)의 타기종 배터리 안착홈부(164)의 내부에는,
    일단이 각 안착홈부(130,164)의 일측벽에 고정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171)와, 상기 탄성부재(171)의 타단에 고정되며 각 안착홈부(130,164)에 삽입된 타기종배터리(20b)와 접촉되어 상기 탄성부재(17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기종배터리(20b)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72)를 포함하는 배터리 밀착수단(170)이 하나 이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케이스.
KR1020110125021A 2011-11-28 2011-11-28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356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021A KR101356309B1 (ko) 2011-11-28 2011-11-28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CT/KR2011/009302 WO2013081222A1 (ko) 2011-11-28 2011-12-02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단말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021A KR101356309B1 (ko) 2011-11-28 2011-11-28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489A true KR20130129489A (ko) 2013-11-29
KR101356309B1 KR101356309B1 (ko) 2014-01-27

Family

ID=4853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021A KR101356309B1 (ko) 2011-11-28 2011-11-28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6309B1 (ko)
WO (1) WO201308122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438B1 (ko) * 2013-12-24 2014-07-24 맹용주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KR20160127767A (ko) * 2014-02-24 2016-11-04 내셔널 프로덕츠, 인크. 전기 어댑터를 갖춘 도킹 슬리브
WO2019050088A1 (ko) * 2017-09-11 2019-03-14 신승민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9387B2 (en) 2014-02-24 2016-12-27 National Products, Inc. Docking sleeve with electrical adapter
US9195279B2 (en) 2014-02-24 2015-11-24 National Products, Inc. Docking sleeve with electrical adapter
US9331444B2 (en) 2014-02-24 2016-05-03 National Products, Inc. Docking sleeve with electrical adapter
WO2015127376A1 (en) * 2014-02-24 2015-08-27 National Products, Inc. Docking sleeve with electrical adapter
US10050658B2 (en) 2014-02-24 2018-08-14 National Products, Inc. Docking sleeve with electrical adapter
US9602639B2 (en) 2014-02-24 2017-03-21 National Products, Inc. Docking sleeve with electrical adapter
US9706026B2 (en) 2014-02-24 2017-07-11 National Products, Inc. Docking sleeve with electrical adapter
FR3020224B1 (fr) * 2014-04-17 2017-08-25 Shahram Haghighi Moyen de protection pour dispositif electronique portable.
WO2016011693A1 (zh) * 2014-07-23 2016-01-28 包头市悠然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配件及用于移动终端配件的电连接器
US10535941B2 (en) 2014-07-23 2020-01-14 Baotou Youran Network Technology Co., Ltd. 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with its fitting
US10403996B2 (en) 2014-07-23 2019-09-03 Baotou Youran Network Technology Co., Ltd. Mobile terminal fitting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KR101561069B1 (ko) * 2015-02-09 2015-10-22 주식회사 에이블유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WO2018005345A1 (en) 2016-06-27 2018-01-04 National Products, Inc. Slide dock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9831904B1 (en) 2016-12-14 2017-11-28 National Products, Inc. Adjustable cradle for mobile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CN107546558B (zh) * 2017-08-22 2020-01-17 深圳市优选师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配件的连接器组件
US11489350B2 (en) 2019-12-23 2022-11-01 National Products, Inc. Cradle for mobile devices with resilient guid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11289864B2 (en) 2020-04-20 2022-03-29 National Products, Inc.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flexible covering and rigid frame or with two different connector arrangem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11029731B1 (en) 2020-04-20 2021-06-08 National Products, Inc. Cradles and cases for mobile devices incorporating guide elements or modular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10812643B1 (en) 2020-05-04 2020-10-20 National Products, Inc. Cases for mobile devices incorporating a light within the cas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11277506B2 (en) 2020-05-26 2022-03-15 National Products, Inc. Cradles for mobile devices with one or more biasing ta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11076032B1 (en) 2020-05-26 2021-07-27 National Products, Inc. Cradles for mobile devices with a plunger lock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11652326B2 (en) 2021-04-30 2023-05-16 National Products, Inc. Dock with flexible locator pi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20240128996A1 (en) 2022-10-13 2024-04-18 National Products, Inc. Remote repeater device for mobile device dock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826A (ja) * 1997-07-17 1999-02-12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異種電池パックの充電装置
KR200289435Y1 (ko) 2002-06-12 2002-09-16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휴대폰 충전기
KR100539016B1 (ko) * 2003-04-08 2005-12-26 유경민 이동통신기기용 전지 장착부를 갖는 작동기기 및 전지수납장치
KR20060014987A (ko) * 2004-08-13 2006-02-16 주식회사 팬택 다종 배터리의 장착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52549Y1 (ko) 2009-11-27 2011-03-04 임영삼 다종다양한 충전 밧데리용 만능 충전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438B1 (ko) * 2013-12-24 2014-07-24 맹용주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WO2015099397A1 (ko) * 2013-12-24 2015-07-02 맹용주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KR20160127767A (ko) * 2014-02-24 2016-11-04 내셔널 프로덕츠, 인크. 전기 어댑터를 갖춘 도킹 슬리브
WO2019050088A1 (ko) * 2017-09-11 2019-03-14 신승민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KR20190028868A (ko) * 2017-09-11 2019-03-20 신승민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CN111093420A (zh) * 2017-09-11 2020-05-01 株式会社为德克伦驰 内置辅助电池的便携式终端保护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1222A1 (ko) 2013-06-06
KR101356309B1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30097954A (ko) 휴대단말용 케이스
KR200469779Y1 (ko)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EP2685542B1 (en) Mobile charger
US20090167241A1 (en) Charger device
CN203933098U (zh) 组合式移动电源
KR101437948B1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KR101441677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구조
KR20130074889A (ko) 다종다양한 충전 밧데리용 유무선 겸용 만능 충전기
KR101982507B1 (ko) 용량 가변형 보조 배터리 모듈
KR20110120378A (ko) 휴대폰 멀티 충전기
CN214626422U (zh) 便携式储能电源
KR20110096514A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CN104954517B (zh) 接触式无线充电器用的手机套
CN203747475U (zh) 孔式遮光件移动电源
KR20160089120A (ko) 착탈식 배터리 및 이와 연결되는 전자 기기
CN105337338A (zh) 手机充电装置及其手机
KR20170000026U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기
CN204835565U (zh) 一种移动电源
CN104505884A (zh) 口香糖式手机电池充电器
CN205355892U (zh) 能与其它手机共同充电的手机
CN210985678U (zh) 能拆分组合的充电器
CN219145056U (zh) 储能电源
KR20130130285A (ko) 휴대폰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726

Effective date: 201311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