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438B1 -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438B1
KR101423438B1 KR1020130162023A KR20130162023A KR101423438B1 KR 101423438 B1 KR101423438 B1 KR 101423438B1 KR 1020130162023 A KR1020130162023 A KR 1020130162023A KR 20130162023 A KR20130162023 A KR 20130162023A KR 101423438 B1 KR101423438 B1 KR 10142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uxiliary battery
gender
siz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용주
Original Assignee
맹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용주 filed Critical 맹용주
Priority to KR102013016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438B1/ko
Priority to PCT/KR2014/012696 priority patent/WO20150993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Abstract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가 개시된다. 본 모바일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탈장착되는 홀더;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홀더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는 커버본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면 충전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보조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가 외부에 노출되거나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보조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커버에 수납된 보조배터리를 교체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하거나 보조배터리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mobil device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보조용 배터리의 충전과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 듀얼충전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이 고도로 발달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으며, 미디어플레이나 게임프로그램 등 다양한 기능 또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사용자가 여가 시간을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플레이어를 실행하는 경우 파일이 재생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가 빠르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다고 느끼게 되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기간이 장기화될 수록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면서 배터리 전력의 소모가 급속하게 진행되게 된다.
이를 위해 선행기술 제20-0313384호(공고일 2003.05.14)와 같이 사용자들은 항상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서 보조배터리를 휴대하거나 모바일 단말기 충전용 케이블을 휴대하고 다니게 되는데, 보조배터리 또는 충전용 케이블을 항상 가방이나 주머니에 소지하고 이동하기에는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커버에 수납된 보조배터리를 교체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하거나 보조배터리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는, 모바일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탈장착되는 홀더;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홀더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는 커버본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면 충전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보조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가 외부에 노출되거나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충전 단자;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단자가 마련된 연결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는 보조배터리와 기설정된 사이즈의 상기 보조배터리와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수납부에 발생되는 이격된 공간을 충진해주기 위한 충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부재는, 상기 충전단자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보조배터리가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전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는 보조배터리와 기설정된 사이즈의 상기 보조배터리와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홀더는 상기 큰 모바일 단말기의 사이즈에 맞게 마련되되, 상기 수납부의 크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이즈와 관계없이 기설정된 사이즈의 상기 보조배터리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보조배터리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충전용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용 케이블은, 일단에 외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보조배터리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콘센트가 마련되고, 타단에 상기 콘센트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젠더 및 상기 콘센트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이 상기 보조배터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젠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젠더 및 제2 젠더는, 상기 콘센트가 외부 전력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보조배터리에 각각 연결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보조배터리보다 먼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젠더 및 제2 젠더는, 상기 콘센트가 외부 전력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보조배터리에 각각 연결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외부 모바일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젠더 또는 상기 연결케이블이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 모바일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젠더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 모바일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연결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하기 위해 상기 제1 젠더 또는 상기 연결케이블과 체결되는 제3 젠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는 보조배터리와 기설정된 사이즈의 상기 보조배터리와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수납부에 발생되는 이격된 공간을 충진해주기 위한 충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부재는, 상기 충전단자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보조배터리가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전도부재; 및 상기 제3 젠더가 반입 또는 반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젠더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배터리는, 상기 수납부 내에 매립되어 마련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보조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충전 단자;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단자가 마련된 연결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이에 의해, 보조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커버에 수납된 보조배터리를 교체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하거나 보조배터리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개방된 커버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와 충전용 케이블이 결합된 모습의 측면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는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와 보조배터리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커버본체(100), 보조배터리(200) 및 충전용 케이블(300)로 구성된다.
커버본체(100)는 모바일 단말기를 보호하고 보조배터리(200)가 반입 또는 반출될 수 있도록 하며, 모바일 단말기가 보조배터리(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보조배터리(200)는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와는 별도로 여분으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배터리(200)는 커버본체(100) 내에 반입 또는 반출 가능하도록 구현되거나, 커버본체(100) 내에 매립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충전용 케이블(300)은 모바일 단말기와 보조배터리(200)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외부 전력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모바일 단말기와 보조배터리(200)로 전달한다.
이상에서의 구성들은 후술할 도 2 내지 도 11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개방된 커버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배터리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모바일 단말기와 보조배터리를 함께 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본체(100), 보조배터리(200) 및 충전용 케이블(300)로 구성된다.
커버본체(100)는 모바일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보조배터리(200)를 보관 및 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를 위해 홀더(110), 개폐부(120), 수납부(130), 충전단자(140) 및 연결케이블(150)로 구성된다.
홀더(110)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커버본체(100)의 전면부에 위치되고,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전면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홀더(110)에는,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충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충전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개폐부(120)는 커버본체(100)의 후면에 위치되고, 보조배터리(200)가 후술할 수납부(130)에 반입 또는 반출될 수 있도록 수납부(130)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그리고 개폐부(120)는, 수납부(130)부에 보조배터리(200)가 보관되면 수납부(130)가 폐쇄됨으로써 보조배터리(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부(120)는, 도 2 및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수납부(130)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수납부(130)와 힌지부재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회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수납부(130)는 개폐부(120)와 마찬가지로 커버본체(100)의 후면에 위치되고, 보조배터리(200)가 보관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수납부(130)는 개폐부(120)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며, 수납부(130)의 크기는 보조배터리(20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보조배터리(200)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30)의 크기가 보조배터리(20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은, 수납부(130)에 보조배터리(200)가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외압에 의해 보조배터리(200)가 수납부(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그리고 수납부(130)의 크기가 보조배터리(20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배터리(200)가 아닌 다양한 기종의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는 서로 크기가 다른 배터리가 수납부(130)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는 후술할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보조배터리(200)가 사용자에 의해 수납부(13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보조배터리(200)의 반출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기설정된 크기의 홈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설정된 크기의 홈이란, 사용자의 손가락 일부가 삽입되어 보조배터리(200)가 반출될 수 있도록 하는 홈이거나, 보조배터리(200)를 지렛대의 원리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홈 등을 의미한다.
도면에서는 개폐부(120)가 여닫이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으로 개폐부(120)는 미닫이의 형태로 마련되어 슬라이딩될 수도 있다.
또한, 수납부(130)는 개폐부(120)에 의해 수납부(130)의 전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수납부(130)의 내부는 외부에 모두 노출되지 않고 수납부(130)의 내주면 중 일부만 외부에 노출되어 보조배터리(200)가 삽입될 수 있는 압출(pusing-out)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납부(130)가 압출(pusing-out) 형태로 형성되게 되면, 보조배터리(200)에 일정한 외압을 가하면 수납부(130)에 삽입되고, 보조배터리(200)가 수납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외압을 가하면 수납부(130)로부터 반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전단자(140)는 수납부(130)에 보관된 보조배터리(2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본체(100) 후면 하단에 위치된다.
그리고 충전단자(140)에는 후술할 충전용 케이블(300)이 삽입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충전단자(140)의 일단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수납부(130)에 보조배터리(200)가 보관된 상태에서 충전단자(140)에 충전용 케이블(300)이 삽입되게 되면 충전단자(140)는 충전용케이블(30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보조배터리(200)로 전달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보조배터리(200)는 전달받은 전력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단자(140)는, 개폐부(120)가 수납부(140)를 폐쇄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보조배터리(200)가 수납부(140)에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충전단자(140)에 충전용 케이블(300)이 삽입된 상태라 하더라도 동작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연결케이블(150)은, 모바일 단말기가 수납부(130)에 보관된 보조배터리(200)로부터 전력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연결케이블(150)은, 커버본체(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수납부(130)에 보관된 보조배터리(200)와 연결되고, 타단은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연결케이블(150)을 통해서 사용자는 커버본체(100)에 장착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충분치 않을 경우에 보조배터리(200)로 교환하지 않더라도 연결케이블(150)을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용 단자에 삽입하는 단순한 과정을 통해서도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케이블(150)은 미사용 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본체(100) 내부 내장되어 수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연결케이블(150)이 외부에 노출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사항으로, 커버본체(100) 내부에 별도의 릴부재를 마련하여 연결케이블(150)이 사용될 때는 연결케이블(150)을 당김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미사용 시에는 다시 한번 당겨 릴부재에 감김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커버본체(100)의 후면에 연결케이블(15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홈을 마련하여 연결케이블(150)이 홈에 반입 및 반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케이블(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충전용 케이블(300)은, 모바일 단말기 및 보조배터리(2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310),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로 구성된다.
콘센트(310)는, 충전용 케이블(300)의 일단에 위치되어 외부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로 전달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 및 보조배터리(200)가 충전되도록 한다.
한편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는 충전용 케이블(300)의 타단에 위치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310)로부터 양분되어 콘센트(31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모바일 단말기 및 보조배터리(200)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면에서는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와 콘센트(3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를 다른 기종의 콘센트와도 연결가능하도록 하거나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가 개인 컴퓨터 등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와 콘센트(310)가 USB 단자로 구현됨으로써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100)와 충전용 케이블(300)이 결합된 모습의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측면도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젠더(320)는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마련되고, 제2 젠더(330)는 보조배터리(200)를 충전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케이블(300)은 콘센트(310)가 외부 전력공급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젠더(320)가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고, 동시에 제2 젠더(330)가 충전단자(140)를 통해 보조배터리(200)와 연결되게 되면, 모바일 단말기가 보조배터리(200)보다 먼저 충전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젠더(320)가 제2 젠더(330)보다 전력이 더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충전용 케이블(300)이 외부 전력공급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에 순위를 달리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본 실시에에 따른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가 기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모바일 단말기 및 충전단자(140)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거나, 공급자가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때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가능한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의 외부에 서로 다른 기호를 표식해둠으로써 제1 젠더(320)는 모바일 단말기와만 연결되고, 제2 젠더(330)는 충전단자(140)와만 연결되도록 하여, 콘센트(31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1 젠더(320)에 별도의 이벤트가 발생되기 전까지는 콘센트(310)에서 전달되는 전력이 제1 젠더(320)로만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상에서 별도의 이벤트라 함은, 모바일 단말기가 충전이 완료되었다는 전기적 신호가 충전단자(140)를 통해 제1 젠더(320)에 전달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공급자가 사용자에게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이상의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설치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보조배터리(200)보다 먼저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보조배터리(200)보다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순위가 높게 부여됨으로써, 충전용 케이블(300)이 외부 전력공급원과 연결된 상태에서는 모바일 단말기가 보조배터리(200)보다 먼저 충전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콘센트(310)가 외부 전력공급원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상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제2 젠더(330)로부터 제1 젠더(320)가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가 모바일 단말기 및 충전단자(140)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는 모바일 단말기가 보조배터리(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모바일 단말기 및 보조배터리(200)에 전력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 있다고 볼 것이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와 보조배터리(200)에 기설정된 순위를 부여하여 모바일 단말기 및 보조배터리(200)가 전력을 순차적으로 공급받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충전용 케이블(30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 및 보조배터리(200)가 동시에 충전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케이블(300)은 콘센트(310)가 외부 전력공급원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젠더(320)가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고, 동시에 제2 젠더(300)가 충전단자(140)를 통해 보조배터리(200)와 연결되게 되면, 모바일 단말기는 보조배터리(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100)는 홀더(110), 개폐부(120), 수납부(130) 및 충전단자(140), 연결케이블(150) 및 충진부재(160)로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 중 충진부재(1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로부터 충분히 유추가능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충진부재(16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충진부재(160)는 커버본체(100)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기종이 다른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다른 기종의 모바일 단말기의 보조배터리와 보조배터리(200)의 사이즈가 다를 경우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200)는 기설정된 크기로 사용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보조배터리(200)의 기설정된 크기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들 중 판매량이 가장 많은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기준으로 한 크기이거나, 사용자의 그립감을 기준으로 한 크기일 수 있다. 물론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보조배터리(200)의 크기는 다양한 기준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반면 커버본체(100)의 크기는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수납부(130)의 크기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공급자가 제공하는 보조배터리(200)의 크기보다 큰 배터리가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장착하게 되는 경우, 수납부(130)에 보조배터리(200)를 수납하게 되면 수납부(130)와 보조배터리(200) 간에 이격된 공간이 발생된다.
충진부재(160)는, 이상에서 발생된 이격된 공간을 충진해주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수납부(130)의 크기가 5㎝의 정사각형 크기이고 보조배터리(200)의 크기가 4㎝의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보조배터리(200)의 외주면과 수납부(130)의 내주면 사이에는 1㎝의 공간이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충진부재(160)는 수납부(130)의 크기인 5㎝의 정사각형으로 마련되되, 보조배터리(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이 4㎝의 정사각형만큼 개구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를 통해 충진부재(160)는 보조배터리(200)를 보호함과 동시에 보조배터리(200)가 수납부(130)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상에서는 충진부재(160)가 수납부(130)의 크기가 보조배터리(200)보다 큰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수납부(130)에는 사용자가 아닌 타인의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는 보조배터리가 반입될 수도 있으며, 타인의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는 보조배터리가 수납부(130)의 크기보다 작음으로써 발생된 이격공간을 충진해주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충진부재(160)는 전도부재(1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도부재(161)는 충진부재(160)에 삽입된 보조배터리(200)에 전력이 공급되거나 보조배터리(200)로부터 전력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되며, 보조배터리(200)의 단자와 충전단자(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도면에서는 전도부재(161)가 충진부재(160)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커버본체(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수납부(130)의 크기가 모바일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변동되는 경우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100)의 수납부(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자가 제공하는 기설정된 크기의 보조배터리(200)만 수납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본체(100)의 크기가 모바일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변동되지만, 수납부(130)의 크기는 일정하게 구비되게 됨으로써 별도의 충진부재(160)가 마련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8은 기설정된 크기의 보조배터리(200)만 사용가능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사항으로,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커버본체(100)는 개폐부(120)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수납부(13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수납부(130)에 보조배터리(200)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크기의 보조배터리(200)에 별도의 끼움부재가 마련되고, 수납부(130)에는 보조배터리(200)의 끼움부재가 삽입되어 끼움부재와 체결되는 삽입부재가 마련된다.
끼움부재와 삽입부재를 통해 보조배터리(200)와 수납부(130)와 체결됨으로써 개폐부(120) 없이도 보조배터리(200)가 커버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 과정에서 보조배터리(200)는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물론 이 또한 예시적 사항이며, 보조배터리(200)가 모바일 단말기의 기종과 상관없이 기설정된 크기로 마련되고, 커버본체(100)와 함께 휴대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커버본체(100)의 구성 및 보조배터리(200)의 형상이 변형된다면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다고 볼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10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본체(100)는 홀더(110), 개폐부(120), 수납부(130), 충전단자(140), 연결케이블(150) 및 충진부재(160)로 구성되고, 충전용 케이블(300)은 콘센트(310), 제1 젠더(320), 제2 젠더(330) 및 제3 젠더(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본체(100)의 구성 및 콘센트(310), 제1 젠더(320), 제2 젠더(330)는 도 1내지 도 8을 통해 충분히 유추가능한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도 9에서는 충진부재(160) 및 제3 젠더(34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충진부재(160)의 역할 및 구성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본체(100)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기종이 다른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다른 기종의 모바일 단말기의 보조배터리와 보조배터리(200)의 사이즈가 다를 경우에 사용되며, 전도부재(161) 및 젠더수납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도부재(161)는 충진부재(160)에 삽입된 보조배터리(200)에 전력이 공급되거나 보조배터리(200)로부터 전력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그리고 젠더수납부(163)는 후술할 제3 젠더(340)가 낱개로 휴대됨에 따라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제3 젠더(340)는 연결케이블(150),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가 커버본체(100)에 장착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공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케이블(150),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는 A라는 기종의 모바일 단말기를 기준으로 형성된 사이즈이나 커버본체(100)에 장착된 모바일 단말기가 B라는 기종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A와 B의 충전공이 동일하지 않음에 따라 연결케이블(150),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는 기종 B의 충전공에 삽입될 수 없게 된다.
제3 젠더(340)는 이상에서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B의 충전공의 사이즈에 맞게 형성된 젠더가 위치되고, 하단에는 연결케이블(150), 제1 젠더(320) 및 제2 젠더(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젠더(3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낱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휴대함에 있어 분실위험이 크게 되므로 충진부재(160)에 마련된 젠더수납부(163)에 삽입되어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젠더수납부(163) 및 제3 젠더(340)가 단수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제3 젠더(340)가 모바일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젠더수납부(163) 역시 마련되는 제3 젠더(340)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10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9에서는 커버본체(100)와는 달리 보조배터리(200)가 매립되어 반입 또는 반출이 가능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커버본체(100)는 홀더(110), 충전단자(140) 및 연결케이블(150)로 구성된다.
홀더(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충전단자(140)는 커버본체(100)에 매립된 보조배터리(200)에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연결케이블(150)을 통해 보조배터리(200)에 저장된 전력을 모바일 단말기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과 마찬가지로, 커버본체(100), 보조배터리(200) 및 충전용 케이블(300)로 구성된다.
이상에서의 구성 중 충전용 케이블(300)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충분히 유추가능한 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본체(100)는 제1 개구부(105) 및 홀더(110)로 구성된다.
제 1 개구부(105)는 후술할 돌출부(220) 및 걸림부(230)가 관통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홀더(110)는 모바일 단말기를 장착하기 위해 마련되며, 커버본체(100)를 관통한 돌출부(220) 및 걸림부(230)와 체결되기 위해 안착부(111) 및 제2 개구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부(111)는 걸림부(230)와 결합되게 됨으로써 후술할 배터리홀더(210)가 홀더(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개구부(113)는 돌출부(220) 및 걸림부(230)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한편, 배터리홀더(210)는 보조배터리(200)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조배터리(200)가 커버본체(100) 및 홀더(110)에 결합되기 위해서 마련되게 되며 돌출부(220) 및 걸림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돌출부(220)는 제1 개구부(105) 및 제2 개구부(113)을 관통하여 배터리홀더(210)가 커버본체(100) 및 홀더(11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부(230)는, 배터리홀더(210)가 커버본체(100) 및 홀더(110)와 체결된 이후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외압에 의해 커버본체(100) 및 홀더(1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상에서의 구성을 통해 배터리홀더(210)가 커버본체(100) 및 홀더(110)에 체결된 상태에서 보조배터리(200)가 배터리홀더(210)에 장착되게 되면 사용자는 커버본체(100)를 휴대함과 동시에 보조배터리(200)를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상에서의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홀더(210)와 커버본체(100)가 탈부착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라면 벨크로부재나 스냅버튼 부재들처럼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부재가 마련되도록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볼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100)가 플립형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일 뿐, 커버본체(100)가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부를 차단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임의로 커버본체(100)와 분리될 수 있는 플립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커버본체 110 : 홀더
120 : 개폐부 130 : 수납부
140 : 충전단자 150 : 연결케이블
160 : 충진부재 161 : 전도부재
163 : 젠더수납부 200 : 보조배터리
300 : 충전용 케이블 310 : 콘센트
320 : 제1 젠더 330 : 제2 젠더
340 : 제3 젠더

Claims (10)

  1. 모바일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탈장착되는 홀더;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홀더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는 커버본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면 충전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보조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가 외부에 노출되거나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
    상기 보조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조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외부에 노출되는 충전 단자; 및
    상기 커버본체와 연결되되 상기 커버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단자가 마련된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는 보조배터리와 기설정된 사이즈의 상기 보조배터리와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수납부에 발생되는 이격된 공간을 충진해주기 위한 충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부재는,
    상기 충전단자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보조배터리가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는 보조배터리와 기설정된 사이즈의 상기 보조배터리와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홀더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이즈에 맞게 마련되되, 상기 수납부의 크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이즈와 관계없이 기설정된 사이즈의 상기 보조배터리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보조배터리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충전용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용 케이블은,
    일단에 외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보조배터리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콘센트가 마련되고,
    타단에 상기 콘센트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젠더 및 상기 콘센트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이 상기 보조배터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젠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젠더 및 제2 젠더는,
    상기 콘센트가 외부 전력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보조배터리에 각각 연결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보조배터리보다 먼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젠더 및 제2 젠더는,
    상기 콘센트가 외부 전력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보조배터리에 각각 연결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외부 모바일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젠더 또는 상기 연결케이블이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 모바일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젠더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 모바일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연결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하기 위해 상기 제1 젠더 또는 상기 연결케이블과 체결되는 제3 젠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는 보조배터리와 기설정된 사이즈의 상기 보조배터리와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수납부에 발생되는 이격된 공간을 충진해주기 위한 충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부재는,
    상기 충전단자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보조배터리가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전도부재; 및
    상기 제3 젠더가 반입 또는 반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젠더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는,
    상기 수납부 내에 매립되어 마련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보조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충전 단자;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단자가 마련된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
KR1020130162023A 2013-12-24 2013-12-24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KR101423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23A KR101423438B1 (ko) 2013-12-24 2013-12-24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PCT/KR2014/012696 WO2015099397A1 (ko) 2013-12-24 2014-12-23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23A KR101423438B1 (ko) 2013-12-24 2013-12-24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438B1 true KR101423438B1 (ko) 2014-07-24

Family

ID=5174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023A KR101423438B1 (ko) 2013-12-24 2013-12-24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3438B1 (ko)
WO (1) WO201509939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2654B2 (en) * 2015-07-03 2017-08-01 Mobileconn Technology Co., Ltd. Smart ultra box and protective case with the same
KR101790504B1 (ko) * 2015-09-21 2017-10-26 정종기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KR101848780B1 (ko) * 2017-12-26 2018-04-13 김정래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840U (ko) * 2011-06-16 2012-12-27 주식회사 알.에프.텍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KR20130129489A (ko) * 2011-11-28 2013-11-29 최상효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30Y1 (ko) * 2009-09-22 2012-06-14 주식회사 뉴빛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KR20120036046A (ko) *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차후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그 충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840U (ko) * 2011-06-16 2012-12-27 주식회사 알.에프.텍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KR20130129489A (ko) * 2011-11-28 2013-11-29 최상효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2654B2 (en) * 2015-07-03 2017-08-01 Mobileconn Technology Co., Ltd. Smart ultra box and protective case with the same
KR101790504B1 (ko) * 2015-09-21 2017-10-26 정종기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KR101848780B1 (ko) * 2017-12-26 2018-04-13 김정래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9397A1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104B2 (en) Docking station and device adapter for use in a docking station
EP2182608B1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JP3135487U (ja) 携帯電化製品の保護及び給電装置
US9190639B2 (en) Protecting case
US20130043827A1 (en) Portable power charger
US7723947B2 (en) Electronic device charger
CN105706021A (zh) 带有集成输入/输出接口的电源适配器单元以及带有用于多功能电源适配器的收纳凹槽的便携式电子装置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KR101423438B1 (ko)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KR20180057071A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KR200483087Y1 (ko)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CN216564562U (zh) 一种vr设备的容纳充电包
CN209547273U (zh) 一种智能眼镜的充电盒
KR200465348Y1 (ko) 롤 이어폰 및 예비배터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70002571U (ko) 보조배터리 및 유에스비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US9806546B2 (en) Battery adaptor apparatus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CN207802282U (zh) 蓝牙耳机以及电子设备
KR20120008082U (ko)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KR20190108823A (ko) 이어폰 단자 삽입구와 보조배터리가 구비된 휴대전화용 케이스
KR20150073471A (ko)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N203071598U (zh) 一种便携式移动电源
KR20110062038A (ko) 일체형 포토블 전원장치
CN210469442U (zh) 一种带有充电装置的手机保护套
JP2002354688A (ja) 携帯型電子機器の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