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504B1 -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504B1
KR101790504B1 KR1020150133105A KR20150133105A KR101790504B1 KR 101790504 B1 KR101790504 B1 KR 101790504B1 KR 1020150133105 A KR1020150133105 A KR 1020150133105A KR 20150133105 A KR20150133105 A KR 20150133105A KR 101790504 B1 KR101790504 B1 KR 10179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cover
display
batter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4616A (ko
Inventor
정종기
Original Assignee
정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기 filed Critical 정종기
Priority to KR102015013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5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이에 장착되는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는, 후면 케이스가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 및 파워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전력을 공급하는 커버 배터리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상기 전면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커버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의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 배터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및 이 둘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COVER FOR SMART DEVIC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VER AND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이에 장착되는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스마트 기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터치 방식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터치식 입력 방식은 사용자가 별도의 학습 없이도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하여 직접 터치를 하게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금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플립 커버 형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립 형태의 커버는 그 뒷면 케이스를 탈착한 채로 스마트 기기가 고정되는 후면 커버와 스마트 기기의 터치 스크린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화면을 덮는 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전형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기존의 플립 커버들은 단순히 외부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스마트 기기를 보호하는데만 그 기능이 있을 뿐인데, 최근에는 이외에도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스마트 기기용 커버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스마트 기기의 제어를 받아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커버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커버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편리한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를 통해 제어가능한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무관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커버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그 여닫힘 상태에 따라 전원이 관리되는 커버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영상 출력 시 스마트 기기의 대기 시간에 따라 영상이 오프되는 것이 방지되는 커버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원 소비 또는 충전 시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와 별도로 제공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접하는 내측면에 커버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여닫이 센서;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상기 여닫힘 상태를 송신하고, 상기 여닫힘 상태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며, 영상을 출력하는 커버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스마트 기기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내측면에 커버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기 표시되고 있던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팝업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며,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보이도록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접하는 내측면에 커버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여닫이 센서;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원 관리를 상기 여닫힘 상태 별로 상이하게 수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며,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보이도록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접하는 내측면에 커버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커버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되도록 라이브 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그 후면 케이스가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 및 파워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전력을 공급하는 커버 배터리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상기 전면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커버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의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 배터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및 이 둘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그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 및 파워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상기 전면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후면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커버 배터리;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이 상기 커버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그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 및 파워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상기 전면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후면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커버 배터리;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포트;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커버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에 설치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마트 기기에 기 표시되고 있던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의 홈 화면, 바탕 화면, 잠금 화면이나 또는 그 이외에 사용자가 표시하기를 원하는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두 개의 화면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스마트 기기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여닫히는 타이밍을 이용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스마트 기기용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할 때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시켜 배터리를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에 설치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스마트 기기 자체의 디스플레이로 영화 감상, 게임 등을 실행하는 경우 화면의 방해없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할 때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시켜 배터리를 절약하거나 또는 다른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디스플레이와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전원 관리가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여닫힘 상태 별로 적절하게 관리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커버 디스플레이의 영상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화면이 꺼지는 불편함 없이 커버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게임, 동영상 감상 등과 같이 장시간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소비 또는 충전 시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와 별도로 제공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와 커버 배터리의 충전 중 시급한 측을 먼저 충전하거나 두 배터리가 전력을 공유하여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기기용 커버에 소비되는 전력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가 장착된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열린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닫힌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후면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와 스마트 기기 간의 연결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에 장착된 스마트 기기가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장착된 스마트 기기가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복사 출력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복사 출력한 경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가 다른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복사 출력한 경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복사 출력한 경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가 터치 오브젝트의 표시를 유지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미리 세팅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제어 방법의 일 예의 순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 출력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인 경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이벤트에 따른 화면 전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보조 디스플레이에 관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보조 디스플레이에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는 오프하고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원은 온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여닫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접하는 내측면에 커버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여닫이 센서;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상기 여닫힘 상태를 송신하고, 상기 여닫힘 상태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전면 커버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여닫힘 동작을 수행하여 열린 상태가 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여닫힘 동작의 시작 시점에 상기 스마트 기기가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복사한 영상을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전면 커버가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가 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열린 상태가 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가 된 경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오프시키고,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가 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열린 상태가 된 경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닫힌 상태가 된 시점에 상기 스마트 기기가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는, 화면을 오프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과 상이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상이한 화면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홈 화면, 잠금 화면 및 바탕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에 터치 오브젝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터치 오브젝트와 동일하거나 상기 터치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홈 화면, 잠금 화면 및 바탕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스마트 기기는,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된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오퍼레이션이 수행된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 상기 오퍼레이션이 수행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며, 영상을 출력하는 커버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스마트 기기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알림 이벤트는, 전화 수신, 문자 수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톡 수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안내 수신, 푸쉬 메시지 수신 및 알람 시간 도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알림 이벤트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무관한 이벤트인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이미지 뷰어, 텍스트 뷰어, 폴더 탐색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플레이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웹 브라우져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비활성화 중인 동안 상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제공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메시지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스마트 기기용 커버는, 상기 전면 커버의 여닫힌 상태를 감지하는 여닫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전면 커버의 상태에 따라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전면 커버가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상기 스마트 기기용 커버는, 상기 전면 커버의 여닫힌 상태를 감지하는 여닫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내측면에 설치되는 주 디스플레이 및 전면 커버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전면 커버의 여닫힘 상태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 또는 보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 상기 전면 커버가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주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메시지가 출력되고,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내측면에 커버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기 표시되고 있던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팝업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알림 이벤트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무관한 이벤트인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이미지 뷰어, 텍스트 뷰어, 폴더 탐색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플레이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웹 브라우져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알림 이벤트는, 전화 수신, 문자 수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톡 수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안내 수신, 푸쉬 메시지 수신 및 알람 시간 도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며,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보이도록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접하는 내측면에 커버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여닫이 센서;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원 관리를 상기 여닫힘 상태 별로 상이하게 수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여닫이 센서는,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접하도록 닫힌 상태,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후면 커버에 접하도록 제껴진 상태 및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제껴진 상태 사이의 열린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즉시 오프시키고, 상기 제껴진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오프하고, 상기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또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보이도록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후면 커버와 나란하게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보이도록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후면 커버와 나란하게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가 제1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시 오프된 후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되거나 그로부터 제2 미리 정해진 시간이 더 경과한 후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또 상기 전면 커버의 외측면과 상기 후면 커버가 맞닿도록 제껴진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는 전원이 오프되고, 나머지 하나는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가 이용 중인 디스플레이가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여닫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가 제껴진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의 조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 중 상기 사용자가 이용 중인 디스플레이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가 이용 중인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콘트롤러에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오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상기 사용자가 이용 중인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 중 마지막으로 사용자 터치를 수신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여닫힘 상태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가 제껴진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과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 중 나중에 입력된 터치 입력을 받은 디스플레이를 상기 사용자가 이용 중인 디스플레이로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가 이용 중인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콘트롤러에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오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며,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보이도록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접하는 내측면에 커버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커버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되도록 라이브 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그 후면 케이스가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 및 파워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전력을 공급하는 커버 배터리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상기 전면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커버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의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 배터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및 이 둘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커버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커버 배터리 및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중 충전량이 더 큰 배터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그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 및 파워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상기 전면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후면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커버 배터리;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이 상기 커버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이 상기 커버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시 상기 커버 배터리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비활성화 시 상기 디스플레이의 커버 배터리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스마트 기기용 커버는, 상기 전면 커버의 여닫힌 상태를 감지하는 여닫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전면 커버의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배터리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배터리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그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 및 파워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과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상기 전면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후면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커버 배터리;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포트;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커버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커버 배터리 중 그 충전량이 로우 배터리 상태인 것이 우선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및 상기 커버 배터리가 모두 로우 배터리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가 우선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용 커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스마트 기기(2000)를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커버가 플립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반드시 플립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폴더 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스마트 기기(2000)란 인터넷 브라우징, 음악이나 동영상 감상, 문서 재생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2000)에는 스마트 폰, 개인 디지털 장비(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태블릿, 컨버터블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과 도면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 폰 형태의 스마트 기기(2000)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기기(2000)가 스마트 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0)가 탈착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0)가 장착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열린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의 닫힌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배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후면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와 스마트 기기(2000) 간의 연결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기본적으로 전면 커버(1200) 및 후면 커버(1400)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1200)와 후면 커버(1400)는 서로 연결되는 평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면 커버(1200) 및 후면 커버(1400)는 가죽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전면 커버(1200) 및 후면 커버(1400)는 스마트 기기(2000)를 그 사이에 감싸 스마트 기기(2000)가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전면 커버(1200)와 후면 커버(1400)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린 상태가 되거나 또는 서로 포개어져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를 동시에 볼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스마트 기기(2000)의 보조 디스플레이(1700)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후면 커버(1400)에는 스마트 기기(20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2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가 있는 정면 측이 보이도록 스마트 기기(2000)의 배면이 후면 커버(1400)에 끼워져 후면 커버(1400)에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커버(14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4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2000)는 그 배면 케이스가 탈착된 상태에서 장착부(142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배면이 서로 체결됨에 따라 후면 커버(14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2000)는 장착부(1420)에 억지끼움에 의해 끼워지거나 또는 장착부(1420)가 스마트 기기(2000)의 홈 등에 맞는 돌기 형태로 제공되어 홈과 돌기의 체결 방식에 의해 스마트 기기(2000)가 후면 커버(1400)에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커버(1400)에는 스마트 기기(2000)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를 서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1440)가 구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440)는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400)의 내측면, 즉 스마트 기기(2000)의 배면과 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0)가 후면 커버(1400)에 장착되면 스마트 기기(2000)의 통신 포트나 배터리 포트 등이 후면 커버(140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1440)와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2000)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 간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1440)는 통신 인터페이스(1442)와 전력 인터페이스(144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42)는 스마트 기기(2000)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전력 인터페이스(1444)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2200)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 간의 전력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442)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스마트 기기(2000)로부터 커버 디스플레이(1600, 1700)을 통해 출력할 영상의 영상 데이터는 수신하거나 스마트 기기(2000)로 여닫이 센서(1220)의 감지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1442)로는 상술한 정보 이외의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유사한 예를 들어, 전력 인터페이스(1444)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커버 배터리(1460)로부터 스마트 기기(1000)로 전력이 전달되거나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로부터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1442)는 스마트 기기(2000)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442)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와이다이(Wi-Di)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이나 또는 이에 준하는 통신 모듈로 대체될 수 잇다. 이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1440)가 근거리 통신 모듈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의 위치는 후면 커버(1400)나 전면 커버(1200) 중 어느 한쪽에 자유로이 배치될 수 있다. 또 통신 인터페이스(1440)와 근거리 통신 모듈이 동시에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후면 커버(1400)에는 커버 배터리(1460)가 실장될 수 있다. 커버 배터리(146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전자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후술할 커버 디스플레이는 커버 배터리(1460)로부터 영상 출력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면 커버(1200)는 닫힌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서로 맞닿아 이를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2000)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면 커버(1200)를 열린 상태로 하여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보거나 터치하며 스마트 기기(2000)를 사용할 수 있다.
전면 커버(1200)는 커버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 디스플레이로는 영상을 출력하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나 그 외에 이에 준하는 다양한 방식의 영상 출력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 디스플레이는 주 디스플레이(1600)와 보조 디스플레이(17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디스플레이(1600)는 도 1이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1200)의 내측면, 즉 닫힌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2000)와 접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주 디스플레이(160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동시에 또는 따로 사용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1700)는 도 4나 도 5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120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주 디스플레이(1600)는 주로 스마트 기기(2000)의 자체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준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준하는 스펙(사이즈, 해상도 등)을 가질 수 있다. 반면 보조 디스플레이(1700)는 시각이나 날씨, 배터리 잔량, 전화나 메시지 수신 여부 등에 관한 간단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대개 저사양의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디스플레이(170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정보를 표시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주 디스플레이(1600)는 터치 센서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터치 입력을 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필름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압전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 광학적인 방식에 의해 터치를 감지하는 광학식 터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면 커버(1200)에는 여닫이 센서(12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닫이 센서(122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여닫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여닫이 센서(1220)의 예로는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스위치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그네틱 센서는 스마트 기기(2000)에 부착되어 서로 근거리가 된 경우 인식할 수 있는 다른 마그네틱 센서와 한 조를 이루도록 제공되어, 도 2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0)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히면 마그네틱 센서 간이 서로 근접함에 따라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상태가 된 것을 인식하고,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리면 마그네틱 센서 간이 서로 멀어짐에 따라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가 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외의 다른 방식의 여닫이 센서(1220)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여닫이 센서(1220)는 단순히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상태인지 열린 상태인지만을 감지하는 외에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에서도 전면 커버(1200)와 후면 커버(1400)가 나란히 열린 상태인지 또는 전면 커버(1200)와 후면 커버(1400)의 외측면에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제껴져 열린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콘트롤러(180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180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콘트롤러(180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콘트롤러(180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상술한 하드웨어적인 콘트롤러(1800)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콘트롤러(1800)는 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400)에 실장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그 배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동작은 콘트롤러(18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콘트롤러(1800)는 단독으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지만,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스마트 기기(1000)의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거나 함께 연동하여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여닫이 센서(1220)가 스마트 기기용 커버(2000)의 전면 커버(1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닫이 센서(1220)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여닫이 센서(1220)는 스마트 기기(2000) 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2000)에는 스마트 기기(2000)에 설치된 여닫이 센서(1220)가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커버(1200)의 특정 위치에 자석이 설치되고, 여닫이 센서(1200)는 스마트 기기(2000)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히면 상기 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스마트 기기(2000)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의해 구현되는 각종 기능들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각종 기능에 관한 설명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각 동작은 스마트 기기(2000)에 탑재된 프로세서 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콘트롤러(1800)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의해 제어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영상 출력 동작>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이에 장착된 스마트 기기(2000)의 영상을 복사하여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장착된 스마트 기기(2000)가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2000)가 장착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2000)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에는 별도의 제한이 없다.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동영상, 정지 영상, 텍스트 영상, 인터넷 브라우징 영상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스마트 기기(2000)의 홈 화면, 잠금 화면, 바탕 화면이나 그 외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임의의 화면일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릴 때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가 활성화되고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힐 때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가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트롤러(1800)가 여닫이 센서(1220)의 감지 결과를 통신 인터페이스(1440)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스마트 기기(2000)가 여닫이 센서(12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의 활성화 및 비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는 중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를 움직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닫힌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상태가 되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가 비활성화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2000) 자체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처럼 닫힌 상태에서 다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를 열린 상태로 만들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장착된 주 디스플레이(1600)에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시점에서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서 출력되고 있던 화면이 복사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를 닫은 뒤 여는 동작, 즉 여닫는 동작을 수행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에 기존에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표시되고 있던 화면이 옮겨가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장착된 스마트 기기(2000)가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복사 출력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스마트 기기(2000)를 통해 출력되던 화면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에 복사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콘트롤러(1800)는 여닫이 센서(1220)의 닫힌 상태에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에 전송하고, 이어서 열린 상태에 나타내는 정보를 스마트 기기(20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2000)는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가 연속적으로 발생했음을 판단하고, 닫힌 시점에 디스플레이(2200)에 출력되던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다시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콘트롤러(1800)에 전달한다. 콘트롤러(1800)는 이러한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주 디스플레이(1800)에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 복사 동작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여닫히는 타이밍에 따라서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가 있다.
일 예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상태가 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다시 열린 상태로 돌아온 경우에는 주 디스플레이(1600)로 복사 영상을 출력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과한 이후에 다시 열린 상태로 돌아온 경우라면 복사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과한 뒤 열린 상태가 되어 영상 복사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주 디스플레이(1600)나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구비된 임의의 버튼(미도시)를 통한 버튼 입력)을 하여 영상 복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여닫히는 타이밍에 따라 영상 복사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그 외의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닫힌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 이내에 다시 열린 상태로 돌아온 경우에는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복사 영상을 출력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과한 이후에 다시 열린 상태로 돌아온 경우라면 그 외의 다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영상에는 스마트 기기(2000)의 홈 화면, 바탕 화면, 잠금 화면이나 그 외의 사용자나 제조사에 의해 세팅된 화면(예를 들어, 특정 웹 페이지의 화면, 또는 음악 어플 등을 비롯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이처럼 복사 영상을 주 디스플레이(1600)에 출력한 경우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 표시되고 있던 영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에는 주 디스플레이(160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양쪽에 동일한 화면이 표시될 것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는 스마트 기기(2000)에 기 표시되고 있던 영상을 복사하여 표시하는 동안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는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복사 출력한 경우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가 다른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에는 스마트 기기(2000)가 기 표시하고 있던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스마트 기기(2000)에는 홈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스마트 기기(2000)에 표시되는 화면은 홈 화면 이외에도 바탕 화면이나 잠금 화면 또는 그 외에 제조사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세팅된 다른 화면(예를 들어, 특정 웹 페이지의 화면, 또는 음악 어플 등을 비롯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 표시되었던 화면과 함께 홈 화면, 바탕 화면 또는 그 이외의 다양한 화면을 동시에 제공받아 보다 편리한 사용자 경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는 스마트 기기(2000)에 기 표시되고 있던 영상을 표시하고,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는 비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복사 출력한 경우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가 오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에 기 표시 영상을 출력하고,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는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복사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만약 주 디스플레이(1600)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지 않고, 주 디스플레이(1600)로 표시될 화면, 즉 기 표시 영상에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터치 오브젝트 또는 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유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기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복사 출력한 경우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가 터치 오브젝트의 표시를 유지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닫힌 시점에서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는 미디어 플레이어가 표시되고 있다. 여닫힌 후에는 도 13과 같이 주 디스플레이(1600)에 미디어 플레이어에 따른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플레이어는 그 조작을 위한 터치 입력을 받는 콘트롤 패널, 즉 터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터치 오브젝트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출력이 유지될 수 있다. 또 주 디스플레이(1600)는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없는 경우이므로 영상 감상에 방해가 되는 콘트롤 패널은 제외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콘트롤 패널이 기 표시되던 영상과 동일한 형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변형된 형태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표시되는 터치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주 디스플레이(1600)에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기(2000)가 터치 입력을 받아 그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고, 콘트롤러(1800)는 오퍼레이션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수신하여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오퍼레이션이 수행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디스플레이(1600)에는 스마트 기기(2000)에 닫힌 시점에 기 표시되고 있던 영상을 표시하고,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는 동일 영상 또는 다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어떤 영상을 표시할지 또는 비활성화시킬지 여부는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 잔량이나 전원 연결 여부 또는 사용자나 제조사의 미리 정해진 세팅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 반드시 주 디스플레이(1600)에 복사 영상, 즉 기 표시 영상을 출력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미리 세팅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는 복사 영상을 출력하는 대신 스마트 기기(2000)의 홈 화면, 바탕 화면, 잠금 화면이나 그 외의 사용자 세팅에 의해 설정된 화면(예를 들어, 특정 웹 페이지의 화면, 또는 음악 어플 등을 비롯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여닫힘 동작이 수행된 경우 스마트 기기(2000) 디스플레이(1600)에는 홈 화면이 표시되는 반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는 닫힌 시점에 표시되고 있던 영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영상 복사 동작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제어 방법의 일 예의 순서도이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는 경우 콘트롤러(1800) 또는 스마트 기기(2000)의 콘트롤러에 의한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제어 방법은, 전면 커버(1200)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10), 전면 커버(1200)가 닫힌 상태가 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열린 상태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열린 상태가 된 경우 스마트 기기(20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30) 및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전면 커버(1200)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110). 전면 커버(1200)의 여닫힘은 여닫이 센서(122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감지 결과에 따라 전면 커버(1200)가 닫힌 상태가 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열린 상태가 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이러한 판단은 콘트롤러(1800)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2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여닫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콘트롤러(1800)는 통신 인터페이스(1440)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30).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는 상술한 동작의 예들에 따라 스마트 기기(2000)가 닫힌 시점에 기 표시하고 있던 영상에 관한 데이터이거나 그 외의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표시될 다른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콘트롤러(180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표시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주 디스플레이(1600)로 기 표시 영상이 표시되면 스마트 기기(2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비활성화시거나, 홈 화면, 바탕 화면 등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영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디스플레이(1600)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동작이 완료된 뒤, 만약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디스플레이(1600)가 터치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터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그 디스플레이(1600)에 표시되고 있는 통화 버튼(도 14의 디스플레이(1600) 좌하단의 아이콘)을 터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콘트롤러(1800)는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에 터치 입력을 전송하고, 스마트 기기(2000)는 해당 아이콘이 선택된 것에 따라 적절한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오퍼레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1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콘트롤러(1800)는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로부터 변경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다시 전달받아 디스플레이(160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 동작>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이에 장착된 스마트 기기(2000)에서 발생된 알림 이벤트에 따른 메시지를 커버 디스플레이(1600,1700)로 출력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서는 동영상 플레이어가 스마트 기기(2000)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기존에는 이 상태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팝업 형식 등으로 표시되어 왔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영화 감상이나 웹 브라우징, 게임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 발생한 알림 이벤트의 팝업 창으로 인하여 시각적 방해를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알림 이벤트란, 전화 수신, 문자 수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톡 수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안내 수신, 각종 푸쉬 메시지 수신 및 알람 시간 도달이나 광고 수신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팝업 형식의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모두 포괄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그에 따른 메시지가 사용자에 시각적 방해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커버 디스플레이에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20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커버 디스플레이(1600,1700)를 통해 메시지를 확인하면서도 스마트 기기(20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에 지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물론, 모든 알림 이벤트에 따른 메시지가 무조건적으로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시각적으로 스마트 기기(20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방해가 되는 경우에 한하여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한 메시지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방해가 되는 경우란, 발생한 알림 이벤트가 현재 스마트 기기(20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무관한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상대방과 채팅 중인 와중에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이 톡을 전송하여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알림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를 바로 스마트 기기(2000)로 표시해주는 것이 사용자 편의성 관점에서 보다 유리하므로 불필요하게 이를 커버 디스플레이로 표시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또 방해되는 경우란, 현재 스마트 기기(20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팝업 창 등으로 인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일시적으로 불편해지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이미지 뷰어, 동영상 플레이어,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탐색기 어플리케이션, 마켓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주요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 출력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 중인 동안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대신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2000)에서 디스플레이(2200)을 통해 주요 어플리케이션인 동영상 플레이어가 실행 중인 경우 문자 메시지 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톡 메시지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해당 메시지 수신에 관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주요 어플리케이션인 동영상 플레이어가 실행 중인 경우 스마트 기기(20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관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에 관한 메시지를 주 디스플레이(1600)가 대신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업데이트 이벤트가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2000)의 디스플레이(2200)로 출력 중인 어플리케이션(도 17의 경우 동영상 플레이어)인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200)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마찬가지로 도 18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동영상을 감상 중인 경우 전화가 수신되면, 전화 수신에 관한 메시지를 주 디스플레이(1600)가 이를 대신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알림 이벤트와 달리 전화 수신의 경우에는 그 중요성이 클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한 메시지를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더욱 세부적으로는 착신 호의 발신자가 스마트 기기(2000)의 전화 번호부에 즐겨찾기나 주요 인물 또는 업무 관련 인물 등의 카테고리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해당 메시지를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림 메시지를 주 디스플레이(1600)로 출력하는 동작은 스마트 기기(2000)의 콘트롤러나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도 16에 관한 설명에서 간략히 상술한 바 있지만, 스마트 기기(2000)에서 주요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하고 있더라도 경우에 따라 해당 메시지를 스마트 기기(2000) 측 디스플레이(220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0)에서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인 경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있다. 이때 해당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알림 이벤트(도 19에서는 해당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푸쉬에 따른 톡 메시지 수신)이 발생한 경우에는 주 디스플레이(1600)가 아닌 디스플레이(2200)에 톡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기(200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출력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이벤트인지를 판단하여 관련 이벤트인 경우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로 해당 이벤트 관련 메시지를 전송, 콘트롤러(1800)가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이를 출력하도록 하지 않고 직접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알림 메시지가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출력된 경우, 주 디스플레이(1600)가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경우, 알림 메시지에 관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주 디스플레이(1600)에 해당 메시지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16과 같이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톡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여 주 디스플레이(1600)에 이에 관련된 메시지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메시지 팝업을 터치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주 디스플레이(1600)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트롤러(1800)는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터치 입력을 스마트 기기(2000)로 전달하고, 스마트 기기(2000)는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알림 메시지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화면 정보를 다시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전달할 수 있다. 콘트롤러(1800)는 해당 화면 정보를 이용하여 주 디스플레이(1600)에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림 메시지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주 디스플레이(1600)에 표시하면,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기존에 실행되고 있던 주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알림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대신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이를 처리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주 디스플레이(1600)에 주요 어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영상 감상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발생한 알림 메시지가 스마트 기기(2000) 자체의 디스플레이(22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 디스플레이(1600)에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 기기(2000) 측에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편이 사용자에게 보다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면 커버(1200)의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 또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는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고 있다(도 21에서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 스마트 기기(2000)의 홈 화면이 표시되고 있음).
도 22를 참조하면, 도 21과 같은 상황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러한 상황에서 해당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스마트 기기(2000) 측 디스플레이(22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콘트롤러(1800) 또는 스마트 기기(2000)는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주 디스플레이(1600) 또는 디스플레이(2200)에 출력 중인지를 판단하고, 둘 중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측에 알림 이벤트 관련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양 쪽 디스플레이(1600,2200)에서 모두 주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경우에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어느 디스플레이(1600,2200)에 메시지를 출력할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기기(2000)나 스마트 기기용 커버(2200)에는 각 주요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일순위,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차순위일 수 있다. 이때 만약 주 디스플레이(1600)에서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수행 중인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 시 이 두 어플리케이션 간의 우선 순위를 판단한 뒤, 순위가 낮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측의 디스플레이인 스마트 기기(2000) 측 디스플레이에(2200)에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두 어플리케이션 중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마지막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은 어플리케이션에 우선 순위를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면, 주 디스플레이(1600)에서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에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중이며, 가장 최근 사용자의 입력이 채팅 프로그램을 통한 톡 메시지 입력인 경우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우선 순위를 두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중인 주 디스플레이(1600) 측에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양쪽 모두 주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경우, 단순히 주 디스플레이(1600) 또는 디스플레이(2200) 중 미리 정해진 어느 하나에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주 디스플레이(1600)가 터치 디스플레이가 아닌 단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알림 이벤트를 주 디스플레이(1600)에 표시하는 것이 불편할 수도 있다.
다시 도 9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전화 착신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전화 착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전화를 받을지 여부나 해당 호의 발신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지 등의 여부를 터치 입력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 착신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도 18과 같이 주 디스플레이(1600)에 표시하는 경우, 주 디스플레이(1600)가 터치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터치 입력을 받지 못하는 단순 디스플레이 수단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이벤트에 따른 화면 전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 23에서와 같이 착신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주요 디스플레이(1600)가 아닌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대신 원래 스마트 기기(2000)에서 출력 중이던 주요 어플리케이션의 출력을 주 디스플레이(1600)가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전히 주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서도(예를 들어, 도 23에서는 동영상 감상), 발생한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 처리를 할 수 있다.
만일 알림 이벤트가 종료하면(예를 들어, 전화 수신을 거부하거나 전화 수신을 한 경우 통화가 종료되면), 주요 어플리케이션의 출력은 다시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로 복귀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주 디스플레이(1600)에 이벤트 발생에 따라 옮겨온 주요 어플리케이션의 출력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 또는 스마트 기기(2000) 자체의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알림 메시지 출력 및 관련 어플리케이션 화면 출력을 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달리 보조 디스플레이(1700)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보조 디스플레이(1700)에 관한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보조 디스플레이(1700)에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평상 시에 보조 디스플레이(1700)에는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간단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간단한 정보는 예를 들어, 시간 정보나 날씨 정보, 배터리 잔량 등일 수 있다.
다만,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상태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또는 주 디스플레이(1600)를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상황이므로,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보조 디스플레이(17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트롤러(1800)는 여닫이 센서(1220)를 통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여닫힘 상태를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에 전달한다. 스마트 기기(2000)는 닫힌 상태로 판단되면, 알림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콘트롤러(1800)는 이를 보조 디스플레이(17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2000)는 알림 메시지를 보조 디스플레이(1700)로 출력하라는 커맨드를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로 송신하고, 콘트롤러(1800)는 이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1700)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콘트롤러(1800)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스스로 여닫힘 상태를 판단하여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주 디스플레이(1600)로, 닫힌 상태인 경우 보조 디스플레이(1700)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상태인 경우 전화가 수신된 경우, 보조 디스플레이(1700)가 전화 수신 여부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여닫이 센서(1220)가 보다 정교한 경우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에서도 여닫이 센서(1220)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여닫힘 상태를 고려하여 메시지를 출력할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닫이 센서(122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 이외에도 열린 상태일 때 열린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닫이 센서는 열린 상태인 경우에 세부적으로 주 디스플레이(160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가 나란히 배치되도록 열린 상태인지 아니면 전면 커버(1200)의 외측면이 후면 커버(1400)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제껴져 열린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나란히 배치된 상태인 경우에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스마트 기기용 커버(2000)는 설명한 내용대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제껴져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주 디스플레이(1600) 중 어느 하나는 볼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주 디스플레이(1600)를 볼 수 없는 경우라면, 비록 디스플레이(2200)를 통해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 중이더라도 알림 메시지를 스마트 기기(2000) 측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다. 또 반대로 주 디스플레이(1600)만 볼 수 있는 경우라면, 도 21과 같이 주 디스플레이(1600)에서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 중이더라도 알림 메시지를 주 디스플레이(1600)에 출력한다. 여기서, 두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가 어느 면을 사용 중인지는 스마트 기기(2000)에 내장된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판단하거나 또는 마지막으로 터치 입력을 받은 디스플레이가 어느 디스플레이인지 등에 따라 스마트 기기(2000) 또는 콘트롤러(1800)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두 디스플레이(1600,2200) 중 어느 하나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활성 상태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것이다.
상술한 각 동작, 기능, 판단들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스마트 기기(2000)가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콘트롤러(180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는 경우 콘트롤러(180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제어 방법은, 알림 이벤트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S210), 알림 이벤트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성을 판단하는 단계(S220), 주요 어플리케이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 표시 디스플레이를 결정하는 단계(S240), 알림 이벤트 관련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 기기(2000)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S210). 알림 이벤트는 알림 이벤트란, 전화 수신, 문자 수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톡 수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안내 수신, 각종 푸쉬 메시지 수신 및 알람 시간 도달이나 광고 수신, 로우 배터리 상태 진입, 충전 여부 알람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팝업 형식의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모두 포괄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마트 기기(2000)는 알림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또 콘트롤러(1800)는 스마트 기기(2000)가 알림 이벤트 발생에 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성을 판단할 수 있다(S220). 스마트 기기(2000)는 현재 주 디스플레이(1600) 또는 스마트 기기(2000)의 자체 디스플레이(2200)에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고, 발생한 이벤트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이벤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이벤트가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것인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가 디스플레이 중인 디스플레이(1600,2200)에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메시지 출력이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콘트롤러(1800)는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주 디스플레이(1600)로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벤트가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성이 없다면,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주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이러한 판단은 콘트롤러(1800) 또는 스마트 기기(2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주요 어플리케이션은 이미지 뷰어, 동영상 플레이어,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탐색기 어플리케이션, 마켓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알람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가 출력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시각적으로 방해될 수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주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나 제조사 또는 소프트웨어 배포자에 의해 미리 세팅될 수 있다. 또 이때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주 디스플레이(160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중 어느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지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역시 스마트 기기(2000)나 콘트롤러(18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주요 어플리케이션의 판단에 기초해 어느 디스플레이로 메시지를 출력할지 결정할 수 있다(S240).
기본적으로는 주 디스플레이(160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중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은 디스플레이로 메시지를 출력할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닫힘 상태를 더 고려하여 메시지를 출력할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트롤러(1800)는 여닫이 센서(1220)의 감지 결과를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에 전달하고, 스마트 기기(2000)가 그 여닫힘 상태에 고려하여 어느 디스플레이로 출력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콘트롤러(1800)가 스스로 여닫이 센서(1220)의 상태에 따라 어느 디스플레이가 출력 디스플레이가 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특히, 커버 디스플레이로 메시지 출력을 하고자 하는 경우 콘트롤러(1800)가 주 디스플레이(1600)와 보조 디스플레이(1700) 중 어느 디스플레이가 출력 디스플레이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커버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것인지에 관한 결정은 미리 스마트 기기(2000) 측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닫이 센서(1220)에 의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상태임이 감지되면, 보조 디스플레이(1700)를 출력 디스플레이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여닫이 센서(1200)에 의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주 디스플레이(160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중 주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는 측의 디스플레이로 출력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여닫이 센서(1220)가 정밀하여 열린 상태 중 나란히 열린 상태와 제껴져 열린 상태의 구분이 가능할 수 있는데, 특히 제껴진 상태인 경우라면 주 디스플레이(160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중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측의 디스플레이로 출력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제껴진 상태에서는 임의적으로 스마트 기기(2000) 측 디스플레이(2200)로만 출력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들의 비활성화/활성화 여부를 더 고려하여 출력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대신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측으로 메시지 출력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제 메시지를 출력할 디스플레이가 결정되면 해당 디스플레이로 메시지를 출력한다(S250). 이때 출력 디스플레이가 커버 디스플레이 중 하나로 결정된 경우, 콘트롤러(1800)는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로부터 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커버 디스플레이(1600,1700)가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이 알림 메시지를 확인 및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S210, S220의 순서는 서로 뒤바뀔 수 있으며, 또 S240의 단계에서 추가적인 여닫힘 여부의 판단, 디스플레이 온/오프 상태의 판단 등 역시 S210, S220의 단계보다 먼저 실행되거나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이제 알림 메시지를 선택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온/오프 동작>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의 온/오프 관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기기(2000)는 휴대성을 위해 무게를 가급적 가볍도록 해야하므로 배터리 용량에 제한이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제한된 배터리 용량으로 스마트 기기(2000)의 이용 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력 절약을 위한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기기(2000)는 그 디스플레이(2200)에서 가장 큰 전력 소모가 발생하므로,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에 현재 스마트 기기(2000)를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디스플레이(2200)를 강제적으로 오프시키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20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주로 전면 커버(1200)를 닫힌 상태로 하게 되므로, 만약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비록 스마트 기기(2000)에 미리 세팅된 전원 오프를 위한 대기 시간과 무관하게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2000)를 사용하고 것으로 간주하고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주 디스플레이를 오프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인지에 대한 판단은 여닫이 센서(12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콘트롤러(1800) 또는 스마트 기기(2000)가 수행하게 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및 커버 디스플레이(1600)의 전원이 오프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장착된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주 디스플레이(1600)를 통해 각각 스마트 기기(20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출력 중인 경우,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주 디스플레이(1600)에 동일한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을 때 디스플레이들(1600,2200)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동일한 대기 시간은 스마트 기기(2000)의 설정에 의해 미리 세팅된 시간과 다른 대기 시간(길거나 짧은 대기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2000) 자체에는 디스플레이(2200)의 전원 오프를 위한 대기시간이 3분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는데,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는 10분 후 전원 오프되도록 대기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전면 커버(1200)가 열린 상태인 경우 스마트 기기(2000)의 세팅에 따른 대기 시간보다 긴 대기 시간을 가지도록 세팅될 수 있다. 콘트롤러(1800)는 이러한 대기 시간을 스마트 기기(2000)에 전송하여 스마트 기기(2000)의 대기 시간을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세팅된 대기 시간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콘트롤러(180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세팅된 소정의 시간 동안 라이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브 신호는 스마트 기기(2000)가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더미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라이브 신호는 필요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라이브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기기(2000)는 해당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디스플레이(1600,2200)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및 커버 디스플레이(1600)의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또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는 별도의 대기 시간이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의 전원이 대기 시간의 제한없이 지속적으로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트롤러(1800)으로 지속적으로 라이브 신호를 스마트 기기(2000)에 전송하거나 또는 콘트롤러(1800)가 대기 시간 세팅을 무제한으로 변경하는 신호를 스마트 기기(2000) 측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7에 관한 설명에서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가 동일한 대기 시간에 따라 온/오프되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필요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160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는 상이한 대기 시간에 따라 관리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는 오프하고 커버 디스플레이(1600)의 전원은 온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는 스마트 기기(2000)의 자체 디스플레이(2200)보다 온 상태가 더 길게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가 오프된 이후에도 주 디스플레이(1600)는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가 오프된 이후에 보다 긴 대기 시간을 가지고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더 짧은 대기 시간을 가지고,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의 오프되는 대기 시간 이전에 주 디스플레이(1600)가 오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는 스마트 기기(2000)에 세팅된 대기 시간에 따라 온/오프가 결정되고 주 디스플레이(160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세팅된 대기 시간에 따라 온/오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콘트롤러(1800)는 주 디스플레이(1600)에 관한 대기 시간을 스마트 기기(2000)에 전송하여, 스마트 기기(2000)가 이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1600)의 대기 시간을 세팅한 뒤 이에 따라 반환하는 주 디스플레이(1600)의 온/오프 제어 신호에 기초해 주 디스플레이(160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콘트롤러(1800)는 주 디스플레이(1600)를 위한 대기 시간 동안 라이브 신호를 보내는 형식으로 주 디스플레이(1600)가 오프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스마트 기기(2000)와는 다른 대기 시간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의 라이브 신호는 주 디스플레이(1600)에만 관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동작에 관하여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는데,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닫힌 상태, 열린 상태 또는 제껴진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각 상태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1600,2200)의 전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여닫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좌측으로부터 각각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닫힌 상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열린 상태,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제껴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각 상태는 여닫힘 센서(122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제껴진 상태는 스마트 기기(2000)가 사용자측을 향하는 경우(도 30의 우측 하단)과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사용자측을 향하는 경우(도 30의 우측 상단)으로 다시 구분될 수 있다. 제껴진 상태 중 어느 경우에 해당하는지는 스마트 기기(2000)의 센서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2000)의 조도 센서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에는 스마트 기기(2000)가 사용자를 향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가 사용자를 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와 스마트 기기(2000) 중 마지막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은 측이 그 디스플레이(1600,2000)가 사용자를 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는 전면 커버(1200)가 닫힌 상태가 되면 주 디스플레이(1600)의 전원을 즉시 오프시킬 수 있다. 또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제껴진 상태인 경우에는 주 디스플레이(1600)의 전원을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오프할 수 있다. 또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주 디스플레이(1600)의 전원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커버(1200)가 닫힌 상태인 경우, 주 디스플레이(16000)의 전원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함께 전원이 오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스마트 기기(2000)에 여닫힘 상태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1000)가 두 디스플레이(1600,22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2000)가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용 커버(2000)에 전송하지 않거나 오프 시그널을 전송함으로서 주 디스플레이(1600)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 여기서, 전면 커버(1200)가 열린 상태인 경우, 주 디스플레이(1600)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함께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한편,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와 주 디스플레이(1600)는 서로 다른 시간에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는 제1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시 오프되고,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는 제2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오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미리 정해진 시간과 상이할 수 있다. 또 제2 미리 정해진 시간은 무한대로 설정되어 주 디스플레이(1600)는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또 전면 커버(1600)가 제껴진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는 전원이 오프되고, 나머지 하나는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에는 두 디스플레이(1600,2200) 중 사용자가 이용 중인 디스플레이가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트롤러(1800)는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상기 여닫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 기기(2000)에 전송하고, 스마트 기기(200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1200)가 제껴진 상태인 경우, 스마트 기기(2000)의 조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두 디스플레이(1600,2200) 중 상기 사용자가 이용 중인 디스플레이를 판단하고,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가 이용 중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콘트롤러(1800)에 주 디스플레이(1600)의 오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이용 중인 디스플레이는 스마트 기기(2000)의 디스플레이(2200) 및 주 디스플레이(1600) 중 마지막으로 사용자 터치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로 결정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 동작>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는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와 별도의 커버 배터리(1460)가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커버 배터리(146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에 대해 동시에 또는 별개로 수행되는 전원 공급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주 디스플레이(1600)를 비롯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은 커버 배터리(146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또 스마트 기기(20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은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세부적으로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서 주 디스플레이(1600)의 동작에는 커버 배터리(1460)를 이용하지만, 나머지 구성요소의 동작에는 스마트 기기(2000)측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주 디스플레이(160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은 전력 소모가 크지 않으며,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가 웨이크업 상태로 있지 않을 수 있는 반면, 스마트 기기(2000)는 대부분 웨이크업 상태에 있으므로, 콘트롤러(1800)나 통신 인터페이스(1442) 등에 사용되는 전력은 스마트 기기(2000)측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편이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주 디스플레이(1600)를 비롯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필요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1600)의 영상 출력에 필요한 전력은 커버 배터리(1460)에서만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기기(2000) 자체의 배터리가 함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2000)의 자체 배터리가 전적으로 커버 배터리(1460)를 대신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할 것인지는 콘트롤러(1800)가 커버 배터리(1600)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수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이하인 경우에는 전력 인터페이스(1444)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로부터 주 디스플레이(1600)의 영상 출력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미리 정해진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커버 배터리(1460)로부터 주 디스플레이(1600)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콘트롤러(1800)는, 커버 배터리(146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 중 충전량이 더 큰 배터리로부터 주 디스플레이(1600)의 영상 출력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콘트롤러(1800)는 커버 배터리(1460)의 충전량을 통신 인터페이스(1442)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에 전송하고, 스마트 기기(2000)는 전달받은 커버 배터리(1460)의 충전량과 자체 배터리의 충전량을 비교하여 자체 배터리의 충전량이 더 높은 경우 전력 인터페이스(1444)를 통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 측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에 필요한 전력이 스마트 기기(2000)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스마트 기기(20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이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커버 배터리(1460)로부터 전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2000)의 자체 배터리와 커버 배터리(1460) 중 커버 배터리(1460)의 충전량이 더 높은 경우 스마트 기기(200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로부터 전력 인터페이스(1444)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전원 충전 동작>
이하에서는 상술한 커버 배터리(1460)와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의 충전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스마트 기기(2000)의 충전은 스마트 기기(2000) 자체의 충전 포트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충전 포트(1480)를 통해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충전 포트(1480)를 통하는 경우에 스마트 기기(2000)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전력 인터페이스(1444)를 거쳐 충전을 받게 된다.
또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충전은 스마트 기기용 커버(1000)의 충전 포트(1480)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2000)의 충전 포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 기기(2000)를 거치는 경우에는 전력 인터페이스(1444)를 거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 포트(1480)에 전원이 연결이 이루어지면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와 커버 배터리(146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는 충전 순위를 어느 배터리 먼저 할것인지가 문제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량이 낮은 배터리를 먼저 충전하고, 충전량이 높은 배터리를 나중에 충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둘 중 완충된 배터리가 있다면, 다른 배터리를 먼저 충전할 수 있다. 또는 둘 중 완방 또는 로우 배터리 상태인 배터리가 있다면 이를 먼저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원이 없는 경우에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 충전에 커버 배터리(1460)의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전력 분배의 문제로 인해 주 디스플레이(1600)가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커버 배터리(1460)가 전력 인터페이스(1444)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 충전에 이용되도록 하고, 반대로 활성화된 경우에는 커버 배터리(1460)가 주 디스플레이(1600)에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스마트 기기(2000)측으로 전력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여기서, 콘트롤러(1800)는, 전면 커버(1200)의 열린 상태인 경우 커버 배터리(1460)가 주 디스플레이(16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전면 커버(1200)가 닫힌 상태인 경우 커버 배터리(1460)가 스마트 기기(2000)의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커버
1200: 전면 커버
1220: 여닫이 센서
1400: 후면 커버
1420: 장착부
1440: 통신 통신 인터페이스
1600: 디스플레이
1800: 콘트롤러
2000: 스마트 기기
2200: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후면 케이스가 탈착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의 배면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스마트 기기와 통신 및 파워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후면 커버;
    여닫이가 되도록 상기 후면 커버와 연결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보이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덮히도록 제공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하는 상기 전면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접하도록 닫힌 상태,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후면 커버에 접하도록 제껴진 상태 및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제껴진 상태 사이의 열린 상태를 포함하는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여닫이 센서;
    상기 후면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커버 배터리;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이 상기 커버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배터리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배터리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에 공급하도록 하며,
    상기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껴진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는 전원이 오프되고, 나머지 하나는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이 상기 커버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시 상기 커버 배터리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비활성화 시 상기 디스플레이의 커버 배터리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에 공급하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전면 커버의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배터리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커버 배터리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33105A 2015-09-21 2015-09-21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KR101790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105A KR101790504B1 (ko) 2015-09-21 2015-09-21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105A KR101790504B1 (ko) 2015-09-21 2015-09-21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616A KR20170034616A (ko) 2017-03-29
KR101790504B1 true KR101790504B1 (ko) 2017-10-26

Family

ID=5849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105A KR101790504B1 (ko) 2015-09-21 2015-09-21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201A (ko) * 2018-08-22 2020-03-03 이근성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855A (ko) * 2022-08-16 202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스에 삽입 가능한 배터리 내장형 tv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978B1 (ko) * 2012-04-19 2012-10-09 고돈호 듀얼 모니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커버
KR101212133B1 (ko) 2012-07-13 2012-12-13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423438B1 (ko) * 2013-12-24 2014-07-24 맹용주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978B1 (ko) * 2012-04-19 2012-10-09 고돈호 듀얼 모니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커버
KR101212133B1 (ko) 2012-07-13 2012-12-13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423438B1 (ko) * 2013-12-24 2014-07-24 맹용주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201A (ko) * 2018-08-22 2020-03-03 이근성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
KR102155273B1 (ko) * 2018-08-22 2020-09-11 이근성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616A (ko)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382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87702B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90503B1 (ko)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EP2398286B1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is method
US20180024714A1 (en) Intelligent event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terminal
US20140098052A1 (en) Mobile terminal device
US9117350B2 (en) Mobile terminal
KR201100725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KR101845877B1 (ko) Mcu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80059405A (ko)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WO2022206130A1 (zh) 一种控制应用程序限时使用的方法及电子设备
CN105807894A (zh) 应用持锁的处理方法和装置
WO2017161805A1 (zh) 一种控制方法、装置及移动设备
CN108932116A (zh) 音量的调节方法及装置
CN104703255A (zh) 驻网调整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1790504B1 (ko)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KR101829325B1 (ko)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KR2013012730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3762390B (zh) 充电方法及行动电子装置
KR20130093962A (ko) 휴대 단말기등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안면 인식을 이용한 소비 전력 저감 방법 및 장치
CN102855848B (zh) 一种基于用户习惯的显示屏背光保持时间自适应调节方法及系统
KR20170034613A (ko)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JP5317172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78914A (ko)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N105188112A (zh) 休眠状态的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