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532A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532A
KR20110072532A KR1020090129509A KR20090129509A KR20110072532A KR 20110072532 A KR20110072532 A KR 20110072532A KR 1020090129509 A KR1020090129509 A KR 1020090129509A KR 20090129509 A KR20090129509 A KR 20090129509A KR 20110072532 A KR20110072532 A KR 20110072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ll
time
amoun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906B1 (ko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906B1/ko
Priority to PCT/KR2010/004197 priority patent/WO2011078453A1/en
Priority to US12/830,150 priority patent/US9172119B2/en
Publication of KR20110072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10/465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with solar battery as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9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switching to a backup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통화시 소요되는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에 따른 잔여 전력량과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의 비교 결과에 상응하는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본 발명은, 저전력 상태에서 복수의 전원 중 태양 전지만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이하 저전력 상태), 잔여 전력량 알림 아이콘을 이용하여 잔여 전력량 정도를 알리 거나, 팝업창을 이용하여 저전력 상태임을 알리는 문구를 출력하거나, 잔여 전력량 부족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없음을 알릴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복수의 전원을 포함하는 경우 저전력 상태에서 하나의 전원(예를 들어 태양 전지)만을 이용하여 충전되는 상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저전력 상태에서 복수의 전원 중 태양 전지만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경우 전원 아이콘을 제외하고 충전에 의한 잔여 전력량에 근거한 정보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저전력 상태에서 복수의 전원 중 태양 전지만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경우 충전에 의한 잔여 전력량에 근거한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제 1 및 제 2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통화시 소요되는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 전원의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전원이 충전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에 따른 잔여 전력량과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 상기 비교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제 1 및 제 2 전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잔여 전력량이 통화시 소요되는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 전원의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 전원의 충전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충전에 따른 잔여 전력량과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잔여 전력량이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으로 된 경우 태양 전지의 충전 가능성을 판단하여 태양 전지만으로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둘째, 저전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까지의 충전에 소요되는 예상 소요 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통화 가능한 시점을 예상할 수 있다.
셋째, 통화 가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시점에 도달하였음을 알려줌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잔여 전력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라도 긴급 통화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 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 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 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복수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전원 중 어느 전원으로부터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90)는, 제 1 및 제 2 전원(191, 192)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전원(191, 192)은, 각각 단말기 기본 전원(단말기 기본 배터리)(191) 및 태양 전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기본 전원(191)을 메인 전원으로 태양 전지(192)를 보조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고, 물론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태양 전지(192)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가 부착된 경우 단말기 기본 전원(191) 또는 태양 전지(192)를 이용하여 전력 충전할 수 있고, 태양 전지(192)가 분리된 경우 단말기 기본 전원(191)을 이용하여 전력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제 1 및 제 2 전원(191, 192) 각각에 의해 충전되는 전력을 통합하여 저장하는 저장 영역(공통 저장 영역) 또는 제 1 및 제 2 전원(191, 192) 각각에 의해 충전되는 전력 별도로 저장하는 저장 영역(개별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저장 영역에 전력이 저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전원(191, 192) 각각에 대한 잔여 전력량을 구별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전원(191, 192) 각각의 개별 저장 영역을 구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 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과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층상 구조를 이루는 태양 전지(19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가독성을 확보하고 태양 전지(192)로의 태양광의 효율적 입사를 위하여, 투명 형태의 태양 전지(192)를 배치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 고,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음향 출력 모듈(152, 도 2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터치 패드(135)와 층상 구조를 이루도록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는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리어 케이스(102)에서 터치 패드(135)와 층상 구조를 이루도록 터치 패드(135)의 아래에 태양 전지(19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태양 전지(192)로의 태양광의 효율적 입사를 위하여, 투명 형태의 터치 패드(135)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전원 중 제 1 전원은 단말기 기본 전원을 제 2 전원은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전원(191)을 기본 전원에 한정하고, 제 2 전원(192)을 태양 전지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의 잔여 전력량이 통화시 소요되는 최저 소비 전력량(이하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310).
판단 단계(S310)에서, 제어부(180)는, 공통 저장 영역에 저장된 잔여 전력량 또는 전체 개별 저장 영역에 저장된 잔여 전력량과 최저 소비 전력량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최저 소비 전력량은, 통화 시 소요되는 최저 전력량으로서, 단말기에 기 세팅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저 소비 전력량은, 최저 절대 전력값(예를 들어, 10W, 20W 등)으로 표현되거나, 최저 통화 시간(예를 들어, 음성 통화 1분, 음성 통화 3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최저 통화 시간별 소비 전력값(예를 들어, 음성 통화 1분-10W)은 메모 리(16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잔여 전력량과 최저 통화 시간에 해당하는 소비 전력값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최저 소비 전력량은, 단말기 동작 가능한 최저 소비 전력량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이때, 단말기 동작 가능한 최저 소비 전력량은, 단말기의 기본 동작인 호/메시지 수신 동작에 관련된 필수 모듈을 기준 시간 동안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판단 단계(S310)에서 잔여 전력량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즉, 방전 상태)를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인 상태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판단 단계(S310)에서 잔여 전력량이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태양 전지(192)만으로 충전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다른 충전 수단을 이용한 전력 충전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에서, 태양 전지(192)가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경우, 태양광 세기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 또는 태양 전지(100)가 태양광에 노출된 경우에, 태양 전지(192)만으로 충전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 전원(191) 및 태양 전지(192)에 의해 동시 충전 가능한 상황은 배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판단 단계(S310)에서 태양 전지(192)만으로 충전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태양 전지(192)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한다(S330).
충전 단계(S330)에서 충전되는 전력은, 전원 공급부(190)의 공통 저장 영역 또는 태양 전지(192)에 해당하는 개별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태양 전지(192)는, 태양광을 모으기 위한 집광 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집광 수단으로 입사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80)는, 잔여 전력량이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인 경우, 통화 불가능 상태라고 판단하고, 충전 단계(S330)의 수행에 따른 잔여 전력량이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후술함)에 도달할 때까지, 기본 동작 관련 모듈만을 활성화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하거나, 수신 호에 의한 통화 연결을 보류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충전 단계(S330)의 수행에 따른 잔여 전력량과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이하 '통화 가능 전력량')을 비교한다(S340).
여기에서, 통화 가능 전력량은, 최저 통화 동작에 소비되는 전력량으로서 절대 전력값(예를 들어, 10W, 20W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저 통화 동작은, 일정 시간의 통화(예를 들어, 음성 통화 1분, 음성 통화 3분 등), 일정 회수의 통화(예를 들어, 음성 통화 1분씩 2회, 음성 통화 2분씩 2회 등), 일정 시간 동안의 전화번호부 검색(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검색 1분, 전화번호부 검색 5분 등)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저 통화 동작은, 단말기에 기 세팅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비교 단계(S340)에서의 비 교 결과에 상응하는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이하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를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한다(S350).
출력 단계(S35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잔여 전력량이 통화 가능 전력량 미만인 경우 및 이상인 경우에 각각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단계(S350)에서, 제어부(180)는, 태양 전지(192)의 충전 속도를 이용하여, 잔여 전력량이 통화 가능 전력량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충전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산출된 충전 소요 시간을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여기에서, 충전 속도는,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 시작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잔여 전력량 변화량을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 시간으로 나눔으로서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통화 가능 전력량까지의 충전 예상 전력량을 상기 산출된 충전 속도로 나눔으로서 충전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속도는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속도가 변경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변경된 충전 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시간의 단위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초, 분, 시간 등의 단위로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또는, 출력 단계(S350)에서, 제어부(180)는, 잔여 전력량이 통화 가능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통화 가능 알림 정보를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도 6a 내지 도 6c 참조).
또는, 출력 단계(S350)에서, 제어부(180)는, 잔여 전력량이 통화 가능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호 신호 수신 상대방을 선택받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b 참조).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또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출력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출력 단계(S350)가 일정 시간 동안 수행된 후(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의 출력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이는,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의 출력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에 도달한 경우(예를 들어, 만충전 상태의 50% 또는 70% 등),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의 출력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잔여 전력량이 통화 가능 전력량 이상인 경우,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특정 상대방으로 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특정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한다(S360).
출력 단계(S350)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잔여 전력량이 통화 가능 전력량 미만인 경우를 저전력 상태라고 칭하고, 통화 가능 전력량 이상인 경우 통화 가능 상태라고 칭하 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저전력 상태에서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알림 지시자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알림 지시자의 하나로서 발광 소자(예를 들어, LED)(410)를 전면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410)는, 잔여 전력량 정도에 따라 그것의 색상을 달리하거나{잔여 전력량이 커질수록 노랑(통화 가능 전력량 기준 20%)-주황(통화 가능 전력량 기준 50%)-빨강(통화 가능 상태 도달) 순으로 변화}, 잔여 전력량 정도에 따라 밝기 또는 깜박임 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410)는, 잔여 전력량 정도에 관계없이, 태양 전지(192)에 의한 충전 중임을 알리기 위한 특정 색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알림 지시자의 하나로 복수의 발광 소자(420)를 전면에 구비하고, 잔여 전력량 정도에 따라 활성화되는 발광 소자(420)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전력량이 커질수록 활성화되는 발광 소자(420)의 개수를 1개(통화 가능 전력량 기준 10%)-3개(통화 가능 전력량 기준 50%)-6개(통화 가능 상태 도달) 순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420)는, 통화 가능 상태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하여 일정 속도로 깜박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저전력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LCD off)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가능 상태의 도달을 알리기 위하여, 벨소리 출력, 음성 출력, 진동 출력, 아이콘 디스플레이, 텍스트 디스플레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저전력 상태에서 잔여 전력량과 통화 가능 전력량의 비교에 따른 정보 출력 동작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5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의 충전 속도를 이용하여 통화 가능 상태까지 도달하기까지 예상 소요 시간(또는 충전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상 소요 시간(510)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192)에 의한 충전 시간이 20분이고, 태양 전지(192)에 의한 충전 이후 증가한 잔여 전력량이 20W인 경우, 제어부(180)는, 충전 속도 1[W/M]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가능 전력량이 50W이고 현재 잔여 전력량이 20W인 경우, 제어부(180)는, 통화 가능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30W를 더 충전하여야 하므로 예상 소요 시간을 30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5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의 충전 속도가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또는 통화 가능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일정 시간 이상이 걸리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기본 전원(191)(또는 제 1 전원)을 이용한 충전을 권유하는 문구(52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7b는, 통화 가능 상태에 도달한 경우 정보 출력 동작 및 호 신호 송신 동작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가능 상태에 도달한 경우, 통화 가능 상태 도달을 알리는 문구를 출력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및 통화 보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도 6a에서 통화가 선택되면 호 신호 송신 상태를 설정하고, 도 6a에서 통화 보류가 선택되면 통화 가능 상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중단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도 6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가능 상태에 도달한 경우, 발광 소자(410)를 이용하여 통화 가능 상태를 알리는 색상(빨강)을 출력하면서, 사용자에게 통화 가능함을 알리기 위하여 통화 버튼(SEND)(610)을 식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6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가능 상태에 도달한 경우, 통화 가능 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620) 모두를 활성화하고, 사용자에게 통화 가능함을 알리기 위하여 통화 버튼(610)을 식별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에서 통화가 선택되거나, 도 6b 또는 도 6c에서 통화 버튼(610)이 선택된 경우, 호 신호 송신 상태 설정에 따른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7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호 신호 송신 상태를 설정함에 따라, 호 신호를 수신할 특정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가상 숫자 키 패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그리고, 사용자가 가상 숫자 키 패드를 조작하여 특정 상대방(Jane)의 전화번호(019-111-1111)를 입력한 후 통화 버튼을 누르면, 이동 단 말기(100)는,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특정 상대방으로 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b).
또는, 도 7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호 신호 송신 상태를 설정함에 따라, 호 신호를 수신할 특정 상대방을 선택받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또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대방 리스트(또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 리스트는, 최근 일정 기간 동안 호/메시지를 송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포함하는 상대방 리스트, 일정 기간 동안 호/메시지 송수신 빈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포함하는 상대방 리스트, 또는 긴급 상대방(예를 들어, 집, 경찰서, 소방서 등)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포함하는 상대방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대방 리스트에는, 가능 마지막에 통화한 상대방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대방 리스트로부터 특정 상대방(Jane)(703)을 선택한 후 통화 버튼을 누르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상대방(703)으로 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b).
한편, 도 7a에서 마지막 통화 영역(701)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가장 마지막에 통화한 상대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마지막에 통화한 상대방으로 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도 7b에서 키 패드 영역(702)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7a(a)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도 8은, 도 7a 또는 도 7b에서의 통화 도중 잔여 전력량에 근거한 통화 가능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8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상대방과의 통화 도중 잔여 전력량에 근거하여 통화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통화 가능 시간을 텍스트, 음성, 경고음, 아이콘 등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상대방과의 통화 도중 저전력 상태가 된 경우, 복수의 발광 소자(420)를 이용하여 잔여 전력량 정도를 알리면서, 저전력 상태가 되었음을 알리는 경고음 또는 경고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저전력 상태에서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호 신호에 대한 통화 보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저전력 상태에서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호 신호를 송신한 상대방 정보(전화번호, 이름 등)를 출력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호 신호에 의한 통화 보류 및 통화 연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9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9a에서 통화 보류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호 신호에 의한 통화 연결을 거절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호 신호를 송신한 상대방에게 통화 보류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화 보류 알림 메시지에는, 저전력 상태이므로 통화를 연결할 수 없음을 알리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저전력 상태에서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선택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통화 보류를 결정하고, 호 신호를 송신한 상대방에게 통화 보류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저전력 상태에서 통화 보류된 호 신호의 상대방 정보 및 통화 보류 시각 관련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최근 발수신 리스트 또는 미확인 발수신 리스트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저전력 상태에서 잔여 전력량이 메시지 송신 가능 전력량에 도달한 경우, 메시지 송신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시지 송신 가능 전력량은, 상술한 통화 가능 전력량에 대응되고, 메시지 송신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는, 상술한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메시지 송신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 출력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메시지 송신 가능 시점에 도달한 경우,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음을 알리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메시지 송신 및 메시지 송신 보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10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0a에서 메시지 송신이 선택되면, 메시지 작성창(1020)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시지 작성창(1020)을 통하여 작성된 메 시지를 특정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저전력 상태에서 잔여 전력량이 특정 애플리케이션 구동 가능 전력량에 도달한 경우, 특정 애플리케이션 구동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 구동 가능 전력량은, 상술한 통화 가능 전력량에 대응되고, 특정 애플리케이션 구동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는, 상술한 통화 가능 시점 관련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한 기능으로서, MP3 재생, 방송 시청, 라디오 시청, 카메라 촬영, 웹 접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 출력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웹 접속에 한정하도록 한다.
도 11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웹 접속 가능 시점에 도달한 경우,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음을 알리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웹 접속 및 웹 접속 보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11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1a에서 웹 접속이 선택되면,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웹 사이트 접속 화면(11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들은 잔여 전력량이 최저 소비 전력량 이하인 경우 기본 전원(191)을 이용한 일반 충전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저전력 상태에서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알림 지시자를 나타낸 도면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잔여 전력량이 통화 가능 전력량에 도달하기 전 잔여 전력량과 통화 가능 전력량의 비교에 따른 정보 출력 동작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잔여 전력량이 통화 가능 전력량에 도달한 경우 정보 출력 동작 및 호 신호 송신 동작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하여 도 7a 또는 도 7b에서의 통화 도중 잔여 전력량에 근거한 통화 가능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저전력 상태에서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호 신호에 의한 통화 보류 여부를 결정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잔여 전력량이 메시지 송신 가능 전력량에 도달한 경우 정보 출력 동작 및 메시지 작성 동작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잔여 전력량이 웹 접속 가능 전력량에 도달한 경우 정보 출력 동작 및 웹 접속 동작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Claims (17)

  1. 제 1 및 제 2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통화시 소요되는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 전원만을 이용한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전원만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에 따른 잔여 전력량과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 상기 비교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은,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은,
    일정 시간 동안의 통화, 일정 횟수의 통화, 일정 시간 동안의 전화번호부 검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전원의 충전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충전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로서 상기 산출된 충전 소요 시간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로서 통화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까지 도달할 때까지 기본 동작 관련 모듈만을 활성화하고,
    상기 일정 기준은,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특정 상대방으로 호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까지 도달하기 전에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호 신호에 의한 통화 연결을 보류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및 제 2 전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잔여 전력량이 통화시 소요되는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최저 소비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 전원만을 이용한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 전원만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충전에 따른 잔여 전력량과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은,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의 충전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충전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로서 상기 산출된 충전 소요 시간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로서 통화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화 가능 시점에 관련된 정보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까지 도달하기 전에 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호에 의한 통화 연결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통화 가능 시점의 소비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특정 상대방으로 호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KR1020090129509A 2009-12-23 2009-12-23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KR10171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509A KR101712906B1 (ko) 2009-12-23 2009-12-23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PCT/KR2010/004197 WO2011078453A1 (en) 2009-12-23 2010-06-29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US12/830,150 US9172119B2 (en) 2009-12-23 2010-07-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509A KR101712906B1 (ko) 2009-12-23 2009-12-23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532A true KR20110072532A (ko) 2011-06-29
KR101712906B1 KR101712906B1 (ko) 2017-03-08

Family

ID=4415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509A KR101712906B1 (ko) 2009-12-23 2009-12-23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72119B2 (ko)
KR (1) KR101712906B1 (ko)
WO (1) WO20110784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136A (ko) * 2012-06-15 2013-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21B1 (ko) * 2009-12-23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상태 알림 방법
KR101308192B1 (ko) * 2011-01-05 2013-09-13 주식회사 팬택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단말기로 콜을 넘겨주는 콜 패스 시스템 및 방법
US9184625B1 (en) * 2011-10-28 2015-11-10 Logitech Europe S.A. System and method for solar keyboard power management
US10121210B2 (en) * 2012-09-05 2018-11-06 Apple Inc. Tracking power states of a peripheral device
US20150050963A1 (en) * 2013-08-14 2015-02-1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power sharing capabilities and methods therefor
US9425648B2 (en) 2013-11-14 2016-08-23 StrongVolt, Inc. Mobile device solar powered charg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9419472B2 (en) 2013-11-14 2016-08-16 StrongVolt, Inc. Mobile device solar powered charg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103928957B (zh) * 2014-04-03 2016-07-0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太阳能充电状态的提示方法和提示系统
KR102106083B1 (ko) 2014-12-05 2020-04-2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작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무선 신호의 브로드캐스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414298B1 (en) 2015-05-29 2016-08-09 Apple Inc. Dynamic aggression management of cellular connectivity
US9818899B2 (en) * 2015-05-29 2017-11-14 Rainforest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CN105407451A (zh) * 2015-10-27 2016-03-16 无锡卡驾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太阳能电池板的挪车通讯装置
CN106330470A (zh) * 2016-08-18 2017-01-1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固网催缴费方法及装置
JP7003784B2 (ja) * 2018-03-27 2022-01-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1096232B2 (en) 2018-09-07 2021-08-17 Apple Inc. Enhancements to connection rejection procedures
CN109309953B (zh) * 2018-11-30 2023-12-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功耗检测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FR3109646A1 (fr) * 2020-04-22 2021-10-29 Orange Procédé de prévision d’une durée de fonctionnement d’un objet connect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8423A (ko) * 2005-08-10 200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전압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08042772A (ja) * 2006-08-09 2008-02-21 Kyocera Corp 端末装置
JP2008167562A (ja) * 2006-12-27 2008-07-17 Kyocera Corp 携帯用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7171A (en) * 1995-11-09 2000-05-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JP4167785B2 (ja) * 2000-01-07 2008-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GB2373887A (en) * 2001-03-28 2002-10-02 Hewlett Packard Co Context dependent operation, including power management, of a mobile computer
KR101041441B1 (ko) * 2004-03-17 2011-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이동 단말기의 전력소모 관리장치 및 전력소모 관리방법
US7072696B2 (en) * 2004-06-22 2006-07-04 Mari Shaff Solar-powered mobile telephone
KR100678160B1 (ko) * 2004-10-0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소모 제어 장치 및 방법
US7251509B1 (en) * 2006-02-24 2007-07-31 Shay-Ping Thomas Wang Mobile device with cell array
US20090098832A1 (en) * 2007-10-14 2009-04-16 Benjamin Johnson Mobile device powered by alternative energ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8423A (ko) * 2005-08-10 200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전압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08042772A (ja) * 2006-08-09 2008-02-21 Kyocera Corp 端末装置
JP2008167562A (ja) * 2006-12-27 2008-07-17 Kyocera Corp 携帯用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136A (ko) * 2012-06-15 2013-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1943A1 (en) 2011-06-23
US9172119B2 (en) 2015-10-27
WO2011078453A1 (en) 2011-06-30
KR101712906B1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25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KR1016139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US993393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172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KR1017018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통신 데이터 송신 및 통신 리스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727495B1 (ko) 이동 단말기
KR10153762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상태 알림 방법
KR10199218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4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578738B1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방법
KR20110063202A (ko)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79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101371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12906A (ko) 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표시하는 방법
KR101702584B1 (ko) 이동 단말기의 무접점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100342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센서의 오작동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3323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 알림 제어 방법
KR1019663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200125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 호 제어 방법
KR201001152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1001805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KR2011000683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6076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813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002614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