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082U -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082U
KR20120008082U KR2020110004248U KR20110004248U KR20120008082U KR 20120008082 U KR20120008082 U KR 20120008082U KR 2020110004248 U KR2020110004248 U KR 2020110004248U KR 20110004248 U KR20110004248 U KR 20110004248U KR 20120008082 U KR20120008082 U KR 201200080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ide plug
mobile device
cab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206Y1 (ko
Inventor
한 스테픈
Original Assignee
(주) 바닐라브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닐라브리즈 filed Critical (주) 바닐라브리즈
Priority to KR2020110004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20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2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는 전면에 휴대기기가 수납되는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의 일측면에 연결케이블(200)의 기기측 플러그(220)의 저면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기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20)가 더 함몰되어 형성되되, 배면에 상기 연결케이블(200)의 와이어(210)가 수납되는 와이어 수납홈(140)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연결케이블(200)의 PC측 플러그(230)가 삽입되는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케이블(200)이 관통되는 개구부(130)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00);를 구비하되, 상기 개구부(130)는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과 상기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천공되며, 상기 와이어 수납홈(140)은 상기 케이스(100) 배면에서 상기 개구부(130) 및 상기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를 연결하는 라인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CARRYING CASE FOR MOBILE DEVICE WITH ATTACHABLE CONNECTION CABLE}
본 고안은 휴대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십수년전부터 각종 미디어 파일이나 정보를 저장하여 휴대하면서 감상하고 활용하는 휴대기기들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보급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타블렛이 전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폰과 타블렛 또한 과거의 휴대기기들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연결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각종 미디어 파일을 제공받거나, 또는 백업을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때로는 연결케이블에 의해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연결케이블은 보통 길고 거추장스럽기 때문에 휴대가 매우 불편하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케이블은 컴퓨터의 슬롯에 연결시켜둔 채로 사용하거나 뽑아서 컴퓨터 주변 찾기쉬운 곳에 보관한다.
사용자들은 휴대기기를 휴대하면서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지만, 때로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동기화하거나 충전을 하기 위하여 케이블이 필요하게 된다.
만일, 외부에서 갑자기 연결케이블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회사나 학교, PC방등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이나 동기화를 할 수 없는 불편함을 겪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연결케이블을 항상 휴대함이 바람직한데, 항상 가방에 넣어서 휴대하기에는 가방의 내용물들과 쉽게 엉켜버리기도 하며 분실의 위험성 또한 높다.
그렇다고 하여 휴대기기를 보관하기 위한 파우치나 케이스에 수납하기에는 지나치게 부피가 커지게 되어 휴대기기 자체의 휴대성을 헤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기기와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케이블을 사용상 불편함이나 휴대성을 헤치는 일 없이 자연스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기기를 컴퓨터와 연결하거나 충전할 때 사용되는 케이블이 함께 수납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케이블을 함께 수납함에도 불구하고 부피 증가를 최소화한 컴팩트한 사이즈의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제공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기기를 케이스에 수납한 채로 케이블을 컴퓨터에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킨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는 전면에 휴대기기가 수납되는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의 일측면에 연결케이블(200)의 기기측 플러그(220)의 저면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기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20)가 더 함몰되어 형성되되,
배면에 상기 연결케이블(200)의 와이어(210)가 수납되는 와이어 수납홈(140)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연결케이블(200)의 PC측 플러그(230)가 삽입되는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케이블(200)이 관통되는 개구부(130)가 천공되어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130)는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과 상기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천공되며, 상기 와이어 수납홈(140)은 상기 케이스(100) 배면에서 상기 개구부(130) 및 상기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를 연결하는 라인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00); 및
휴대기기(1)의 단자에 체결되면 상기 휴대기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기측 플러그(220);
PC(Personal Computer)의 슬롯에 삽입되면 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측 플러그(230); 및
상기 기기측 플러그(220) 및 PC측 플러그(2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210);를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210)가 상기 개구부(130)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PC측 플러그(230)는 상기 와이어(210)의 일단과 함께 상기 케이스(100) 전면의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로 노출되되 저면이 기기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20)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되며,
상기 PC측 플러그(230)는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과 함께 상기 케이스(100) 배면으로 노출되되,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이 상기 와이어 수납홈(140)을 따라 삽입됨에 따라 상기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에 삽입되는 연결케이블(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기기를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에 휴대기기와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함께 수납함으로써 별도로 케이블을 휴대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케이블을 함께 수납함에도 불구하고 컴팩트한 사이즈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을 헤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휴대기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케이블이나 휴대기기를 케이스로부터 꺼내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에 케이블이 수납된 모습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에 휴대기기를 수납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4는 케이스에 휴대기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케이블을 컴퓨터에 연결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고안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에 케이블이 수납된 모습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는 케이스(100)와 연결케이블(200)로 이루어지며, 연결케이블(200)이 케이스(100)의 내부에 천공된 개구부(130)를 관통하여 일부는 케이스(100)의 전면에, 일부는 케이스(100)의 배면에 각각 수납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케이스(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케이스(10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에 휴대기기(1)가 수납되는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가 함몰되어 형성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는 수납할 휴대기기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제조되며, 사용자는 휴대기기(1)를 상기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에 끼워넣어 수납하게 된다.
수납의 용이성을 위하여 케이스(100)는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의 일측면에 연결케이블(200)의 기기측 플러그(220)의 저면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기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20)가 더 함몰되어 형성되며,
케이스(100)의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 내측면에 개구부(130)가 천공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개구부(130)는 도 1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배면으로 연결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케이블(200)이 상기 개구부(130)를 관통하여야 하므로, 상기 개구부(130)는 연결케이블(200) 끝단의 플러그(220, 230)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케이스(100)의 배면에는 와이어 수납홈(140)이 배면의 외곽선을 따라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와이어 수납홈(140)의 끝단에는 연결케이블(200)의 PC측 플러그(230)가 삽입되는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가 더욱 함몰되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와이어 수납홈(140)이 케이스(100)의 배면 외곽선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 것은 길이가 긴 연결케이블(200)을 수납하기 위함임은 물론 시각적으로 정돈된 느낌을 주기 위함이기도 하다.
연결 케이블(200)의 길이가 짧은 경우라면 도 2의 (b)에 도시된 것에 비해 와이어 수납홈(14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와이어 수납홈(140)은 개구부(130)와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를 잇는 라인을 형성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연결케이블(200)은 일측 끝단에 기기측 플러그(220), 타측 끝단에 PC측 플러그(230)가 구비되며, 와이어(210)가 상기 기기측 플러그(220) 및 PC측 플러그(2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기기측 플러그(220)는 휴대기기(1)의 일측에 형성된 단자에 삽입되는 등의 방식으로 체결되며, PC측 플러그(230)는 PC에 구비된 슬롯에 삽입되는데 이에 의해 휴대기기(1)와 PC(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기기(1)는 PC와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충전된다.
한편, 이러한 연결케이블(20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PC측 플러그(230)가 케이스(100)의 개구부(130)를 관통하여 노출되며,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PC측 플러그(230)의 저면을 기기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20)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배면에는 PC측 플러그(230)와 와이어(210)의 타단이 노출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을 개구부(130)에서부터 상기 와이어 수납홈(140)을 따라 눌러서 삽입할 수 있으며, 마지막에 PC측 플러그(230)를 상기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에 끼워서 삽입함으로써 연결케이블(200) 수납을 완료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에 휴대기기를 수납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케이블(200)이 수납된 케이스(100)에 자신의 휴대기기(1)를 수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사용자는 휴대기기(1)를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에 끼워넣어 수납할 수 있는데 이때, 휴대기기(1) 일측에 형성된 단자가 상기 기기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20)에 삽입되어 고정된 기기측 플러그(220)와 체결되도록 한다.
즉, 휴대기기(1)는 휴대기기(1)의 단자와 연결케이블(200)의 기기측 플러그(220)가 체결된 채로 케이스(100)에 수납된다.
한편, 도 4는 휴대기기(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연결케이블(200)을 컴퓨터에 연결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휴대기기(1)가 케이스(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로부터 연결케이블(200)의 PC측 플러그(230)를 뽑아서 PC(미도시)에 구비된 슬롯에 삽입할 수 있다.
즉, 휴대기기(1)와 PC를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스(100)로부터 휴대기기(1)를 탈착할 필요도, 연결케이블(200)을 탈착할 필요도 없이 단순히 케이스(100) 배면으로부터 연결케이블(200) 일측 끝단의 플러그를 뽑아서 슬롯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모든 동작이 완료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은 타블렛이나 스마트폰 등 케이블을 이용하여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충전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케이스
110 : 휴대기기 수납공간부
120 : 기기측 플러그 삽입공간부
130 : 개구부
140 : 케이블 수납홈
150 :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
200 : 연결케이블
210 : 와이어
220 : 기기측 플러그
230 : PC측 플러그

Claims (4)

  1. 전면에 휴대기기가 수납되는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의 일측면에 연결케이블(200)의 기기측 플러그(220)의 저면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기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20)가 더 함몰되어 형성되되,
    배면에 상기 연결케이블(200)의 와이어(210)가 수납되는 와이어 수납홈(140)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연결케이블(200)의 PC측 플러그(230)가 삽입되는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케이블(200)이 관통되는 개구부(130)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00);를 구비하되,
    상기 개구부(130)는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과 상기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천공되며, 상기 와이어 수납홈(140)은 상기 케이스(100) 배면에서 상기 개구부(130) 및 상기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를 연결하는 라인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수납홈(140)은 상기 케이스(100) 배면의 외곽선을 따라서 함몰되어 상기 개구부(130) 및 상기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기기(1)의 단자에 체결되면 상기 휴대기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기측 플러그(220);
    PC의 슬롯에 삽입되면 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측 플러그(230); 및
    상기 기기측 플러그(220) 및 PC측 플러그(2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210);를 구비하는 연결케이블(2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210)가 상기 개구부(130)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PC측 플러그(230)는 상기 와이어(210)의 일단과 함께 상기 케이스(100) 전면의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로 노출되되 저면이 기기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20)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되며,
    상기 PC측 플러그(230)는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과 함께 상기 케이스(100) 배면으로 노출되되,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이 상기 와이어 수납홈(140)을 따라 삽입됨에 따라 상기 PC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5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휴대기기(1)가 상기 휴대기기 수납공간부(110)에 수납됨에 따라 상기 기기측 플러그 삽입공간부(120)에 삽입되어 고정된 기기측 플러그(220)는 상기 휴대기기(1)의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KR2020110004248U 2011-05-18 2011-05-18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KR200467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48U KR200467206Y1 (ko) 2011-05-18 2011-05-18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48U KR200467206Y1 (ko) 2011-05-18 2011-05-18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82U true KR20120008082U (ko) 2012-11-28
KR200467206Y1 KR200467206Y1 (ko) 2013-05-31

Family

ID=4751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248U KR200467206Y1 (ko) 2011-05-18 2011-05-18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2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125B1 (ko) * 2013-06-20 2014-08-11 심규일 플래시를 구비한 단말장치 케이스
KR101701633B1 (ko) * 2015-09-03 2017-02-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Usb 케이블을 장착한 휴대폰케이스
KR20180001406U (ko) * 2016-10-31 2018-05-11 한재환 Usb 메모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716Y1 (ko) * 2016-12-28 2017-10-17 박성찬 차량 거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125B1 (ko) * 2013-06-20 2014-08-11 심규일 플래시를 구비한 단말장치 케이스
KR101701633B1 (ko) * 2015-09-03 2017-02-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Usb 케이블을 장착한 휴대폰케이스
KR20180001406U (ko) * 2016-10-31 2018-05-11 한재환 Usb 메모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206Y1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595B2 (en) Housing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ccessories
CN105706021A (zh) 带有集成输入/输出接口的电源适配器单元以及带有用于多功能电源适配器的收纳凹槽的便携式电子装置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KR200467206Y1 (ko)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KR101478467B1 (ko) Usb 단자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140284226A1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JP3100452U (ja) 無線入力装置を収納できる受信器
KR101631467B1 (ko) 휴대단말기용 다용도 보조배터리
CN202488512U (zh) 一种手机移动电源结构改良
JP3155732U (ja) ストラップ型データケーブル
KR102306596B1 (ko)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CN205912118U (zh) 多功能手机保护壳
KR200385075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TWM431612U (en) Electronic facility protection cover with charge cable
CN212938477U (zh) 一种多用收纳数据线套装组件
KR20110062038A (ko) 일체형 포토블 전원장치
KR20180017565A (ko) 휴대단말기용 다기능 보조배터리
CN211880600U (zh) 蓝牙耳机及用于蓝牙耳机的充电盒
CN204631858U (zh) 一种移动存储设备
CN212230746U (zh) 一种usbtype-c连接线
CN203968165U (zh) 一种手机的扩容装置
KR20190030861A (ko) Usb 단자 수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usb 케이블 목걸이
CN202068062U (zh) 便携式数据连接装置
KR200481731Y1 (ko) 케이블 정리가 가능한 어댑터
KR101331165B1 (ko)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