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947B1 -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947B1
KR101120947B1 KR1020100007931A KR20100007931A KR101120947B1 KR 101120947 B1 KR101120947 B1 KR 101120947B1 KR 1020100007931 A KR1020100007931 A KR 1020100007931A KR 20100007931 A KR20100007931 A KR 20100007931A KR 101120947 B1 KR101120947 B1 KR 10112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harging module
power
holder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622A (ko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ublication of KR2011004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은 휴대용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이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달되면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치대에 마련되는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PORTABLE CHARGING CAS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거치대에 마련된 충전 모듈이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자기장을 전류 형태로 변환시켜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비접촉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는 구조에 따라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에 얇으면서도 가볍고 그립감이 좋으며 소장 욕구의 고취를 위하여 세련된 디자인의 것이 대량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더욱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화되는 추세이다.
그리고,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크래들(Cradle)을 함께 사용하며, 이러한 크래들은 휴대용 단말기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장식품의 용도 외에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지정된 장소에 거치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크래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용도 외에도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기능이 마련된 것도 출시되고 있다.
전술한 크래들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통상, 상용의 전원으로 교류전원(AC)이 사용됨)을 저장해 두는 충전배터리가 내장되고, 전술한 크래들은 전술한 충전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와 크래들이 접촉하는 부위에는 동작 전원의 전달 및 수용을 위한 접점이 각각 마련되고, 전술한 접점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이 지속된다.
이때, 전술한 접점은 장시간의 사용과 이물질이 부착되면 전기적인 연결 상태가 불량하여 원활한 충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수시로 소제 작업을 통하여 청결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전술한 접접은 크래들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가 불량하면, 즉 정확한 위치에 전술한 접점을 상호 접촉시키지 못하면 원활한 충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미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환경 속에서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많은 기능과 조작 방식이 지속적으로 첨가될 것이며, 이에 따라 소요되는 전력의 사용량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는 바,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크래들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확한 접점의 위치를 찾아 결합시키는 불편함이 없이 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과 관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은 휴대용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이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달되면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치대에 마련되는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거치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충전 모듈은 상기 거치대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저장하는 축전용 배터리와, 상기 거치대에 내장되어 상기 축전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기장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달하는 송전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송전기구는 상기 축전용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자기장을 전류로 변환하는 제1 인코더와, 상기 제1 인코더와 연결되어 상기 전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달하는 송전코일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상기 충전 모듈로부터 상기 자기장을 받아들이는 수전부가 마련된다.
전술한 수전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어 상기 충전 모듈로부터 자기장을 전류의 형태로 공급받는 수전코일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전코일과 연결되고 공급받은 상기 전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전력으로 충전하는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거치대의 일측에는 빛 에너지를 외부 전원으로 공급받으며 상기 충전 모듈과 연결되는 집광부가 장착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면 상기 집광부가 가동을 시작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거치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진행을 제어하며 상기 충전 모듈과 연결되는 전원버튼이 장착되며, 상기 전원버튼은 상기 거치대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된 상태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부재인 상태일 때 선택적으로 조작이 가능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휴대용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거치대에 마련되어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자기장을 전류 형태로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하여 비접촉 무선 방식으로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구조에 따라 충전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를 통하여 외부 전원을 일반 전력, 차량의 전력 또는 빛 에너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급받도록 하는 구조에 따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않고 충전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다양한 부가 기능이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의 잦은 충전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의 정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의 정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은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는 거치대(100)와 비접촉 무선 방식으로 휴대용 단말기(300)를 충전하는 충전 모듈(200)을 포함한다.
거치대(100)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이탈되지 않고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과 구조를 제공한다.
충전 모듈(200)은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이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측으로 전달되면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거치대(100)에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치대(100)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를 충전하되, 접점이 상호 접촉되게 하고 통전시켜 충전하는 기존의 방식 대신에 휴대용 단말기(300)를 거치대(100)에 갖다대는 동작에 의하여서도 충전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거치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는 공간과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거치판(110)과 가이드판(120)을 포함한다.
거치판(110)은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는 면적을 제공하며, 내부에 후술할 충전 모듈(200)이 내장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가이드판(120)은 거치판(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휴대용 단말기(300)가 거치판(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며, 소정의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용 단말기(300)의 가장자리를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가이드판(120)의 가장자리에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여 절곡된 걸림후크(122)가 더 마련된다.
이때, 거치대(100)는 본 발명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거치판(110)과 가이드판(120)을 포함하는 구조 및 형상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블록 형상의 평평한 일면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여 휴대용 단말기(300)를 안착시켜 충전하도록 한다든가 하는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충전 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를 비접촉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축전용 배터리(210)와 송전기구(220)를 포함한다.
축전용 배터리(210)는 거치대(100)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저장하는 것이며, 송전기구(220)는 축전용 배터리(210)에 내장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휴대용 단말기(300)측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제1 인코더(222)와 송전코일(2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축전용 배터리(210)와 송전기구(220)는 거치대(100)에 내장된 회로(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로(101)는 후술할 커넥터(15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축전용 배터리(210)에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저장되고 송전기구(220)의 동작신호를 처리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제1 인코더(222)는 회로(101)를 통하여 축전용 배터리(210)와 연결되어 상기 자기장을 전류로 변환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송전코일(224)은 제1 인코더(222)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류를 휴대용 단말기(300)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300)가 송전기구(220)에 근접하면 송전코일(224)과 후술할 휴대용 단말기(300)의 수전코일(314)이 상호 작용을 하면 전자기 유도가 발생하면서 충전이 시작된다.
이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에는 충전 모듈(200)로부터 상기 자기장을 받아들이는 수전부(310)가 마련되며, 수전부(310)는 충전용 배터리(312)와 수전코일(314)을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300)에는 회로(301)가 내장되고, 회로(301)는 수전부(31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휴대용 단말기(3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각종 부품의 집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충전용 배터리(312)는 휴대용 단말기(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충전 모듈(200)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를 휴대용 단말기(300)의 구동전력으로 충전하는 것이다.
수전코일(314)은 충전용 배터리(312)에 내장되어 충전 모듈(200)로부터 자기장을 전류의 형태로 공급받는 것으로, 수전코일(3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송전코일(224)과 근접하면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 유도로써 전달받은 전류를 충전용 배터리(312)측으로 전달하여 충전이 진행된다.
한편, 거치대(100)의 일측에는 충전 모듈(200)과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 진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원버튼(130)이 장착된다.
전원버튼(130)은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된 상태를 확인하고 조작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을 실시할 수 있고,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일 때 충전 모듈(200)의 축전용 배터리(210)에 전원이 공급될 필요가 있을 때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100)의 일측에는 충전 모듈(200) 및 전원버튼(130)과 연결되어 충전 모듈(200) 및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 상태를 색깔 변화로 알려주는 충전램프(140)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램프(140)는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어 충전이 실시되면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 상태를 색깔 변화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충전램프(140)는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없을 때 또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더라도 축전용 배터리(210)에 충분한 충전용 전원이 부족할 때 축전용 배터리(210)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의 충전량도 색깔 변화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거치대(100)의 일측에는 충전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축전용 배터리(210)에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구로서 커넥터(150)가 마련된다.
여기서, 거치대(100)에는 도 2와 같이 일단이 커넥터(150)와 연결되는 제1 연결구(162)와, 타단이 전기 콘센트(164') 또는 차량용 시거잭(164")과 연결되는 제2 연결구(164)가 마련된 전원 케이블(16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장소에서 전원 케이블(160)을 통하여 거치대(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일시 저장해 둘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도 3과 같이 전원을 무한한 에너지원인 태양 및 주위의 조명으로부터 공급받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즉, 거치대(100)의 일측에는 빛 에너지를 외부 전원으로 받아들이고, 충전 모듈(200)과 연결되는 집광부(170)를 장착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빛 에너지라 함은 태양광으로부터 전달받는 에너지와 함께 실내 및 야외의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에너지를 포함하는 넓은 범주의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집광부(170)는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든 빛이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빛 에너지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집광부(170)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거치대(100)에 안착되면 가동을 시작하는 메커니즘을 채택할 수 있으며, 후술할 축전용 배터리(210')의 전원이 부족하면 집광부(170)가 작동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 또한 채택할 수도 있는 것으로, 집광패널(172)과 제2 인코더(174)를 포함한다.
집광패널(172)은 거치대(100)의 외면에 마련되어 빛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면적을 형성하며, 거치대(100)에 내장된 회로(101)를 통하여 후술할 충전 모듈(200)측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제2 인코더(174)는 집광패널(172)과 충전 모듈(200) 사이에 배치되어 회로(101)를 통하여 제어되며 상기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집광패널(172)은 더욱 많은 양의 빛 에너지를 빠른 시간 내에 수용할 수 있도록 거치대(100) 상에서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는 면적을 제외한 부위 또는 거치대(100)의 외면 전체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거치대(100)의 일측에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 진행을 제어하며 충전 모듈(200)과 연결되는 전원버튼(130')이 장착된다.
전원버튼(130')은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된 상태 또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부재인 상태일 때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즉, 전원버튼(130')은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된 상태를 확인하고 조작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을 실시할 수 있고,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일 때 후술할 충전 모듈(200)의 축전용 배터리(210')에 전원이 공급될 필요가 있을 때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100)의 일측에는 충전 모듈(200) 및 전원버튼(130')과 연결되어 충전 모듈(200) 및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 상태를 색깔 변화로 알려주는 충전램프(140')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램프(140')는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어 충전이 실시되면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 상태를 색깔 변화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충전램프(140')는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없을 때 또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더라도 축전용 배터리(210')에 충분한 충전용 전원이 부족할 때 축전용 배터리(210')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의 충전량도 색깔 변화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충전 모듈(200)은 거치대(100)에 내장되어 제2 인코더(174)로부터 공급받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용 배터리(210')와, 거치대(100)에 내장되어 축전용 배터리(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기장을 휴대용 단말기(300)측으로 전달하는 송전기구(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여기서, 송전기구(220')는 축전용 배터리(210')와 연결되어 상기 자기장을 전류로 변환하는 제1 인코더(222')와, 제1 인코더(222')와 연결되어 상기 전류를 휴대용 단말기(300)측으로 전달하는 송전코일(224')을 포함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정확한 접점의 위치를 찾아 결합시키는 불편함이 없이 충전을 실시할 수 있으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거치대 101...회로
110...거치판 112...충전 모듈 내장 표시부
120...가이드판 122...걸림후크
130, 130'...전원버튼 140, 140'...충전램프
150...커넥터 160...전원 케이블
162...제1 연결구 164...제2 연결구
170...집광부 172...집광패널
174...제2 엔코더 200...충전 모듈
210, 210'...축전용 배터리 220, 220'...송전기구
222, 222'...제1 인코더 224, 224'...송전코일
300...휴대용 단말기 301...회로
310...수전부 312...충전용 배터리
314...수전코일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이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달되면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치대에 마련되는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는 빛 에너지를 외부 전원으로 공급받으며, 상기 충전 모듈과 연결되는 집광부가 장착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면 상기 집광부가 가동을 시작하고,
    상기 집광부는,
    상기 거치대의 외면에 마련되어 빛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집광패널과,
    상기 집광패널과 상기 충전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2 인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집광패널은 상기 거치대 상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면적을 제외한 부위 또는 상기 거치대의 외면 전체에 장착되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거치대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저장하는 축전용 배터리와,
    상기 축전용 배터리에 내장되고, 상기 자기장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달하는 송전기구를 포함하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상기 충전 모듈로부터 상기 자기장을 받아들이는 수전부가 마련되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충전 모듈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전력으로 충전하는 충전용 배터리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내장되어 상기 충전 모듈로부터 자기장을 전류의 형태로 공급받는 수전코일을 포함하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거치대에 내장되어 상기 제2 인코더로부터 공급받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용 배터리와,
    상기 축전용 배터리에 내장되어 상기 축전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기장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달하는 송전기구를 포함하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기구는,
    상기 자기장을 전류로 변환하는 제1 인코더와,
    상기 제1 인코더와 연결되어 상기 전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달하는 송전코일을 포함하는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KR1020100007931A 2009-10-14 2010-01-28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KR101120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716 2009-10-14
KR20090097716 2009-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622A KR20110040622A (ko) 2011-04-20
KR101120947B1 true KR101120947B1 (ko) 2012-03-05

Family

ID=4404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931A KR101120947B1 (ko) 2009-10-14 2010-01-28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34A1 (ko) * 2015-03-03 2016-09-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70017323A (ko) 2015-08-06 2017-02-15 최상식 스마트폰 거치대
CN109378885A (zh) * 2018-12-21 2019-02-22 重庆金康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手机车载无线充电装置及手机的车载无线充电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499B1 (ko) * 2011-07-08 2013-01-03 이승환 전동 공구 충전 시스템
KR20130020542A (ko)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충전 조절이 가능한 무선 충전기
KR101147506B1 (ko) * 2011-10-10 2012-05-21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충전케이스
KR200469699Y1 (ko) * 2011-11-01 2013-10-31 주식회사 아론 거치대 장착용 휴대폰 케이스
US9997751B2 (en) 2012-05-25 2018-06-12 Incipio, Llc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
US8390255B1 (en) 2012-05-25 2013-03-05 Incipio Technologies, Inc.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
KR101332388B1 (ko) * 2012-11-08 2013-11-22 성운수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FR3000575B1 (fr) 2012-12-28 2015-02-13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maintien pour appareil electronique portatif, structure interieure et vehicu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9678537B2 (en) 2013-04-30 2017-06-13 Victor Kupferstein Mobile device case and peripheral system
US9647474B2 (en) 2014-01-06 2017-05-09 Incipio, Llc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with auxiliary battery and power control
GB2540759A (en) * 2015-07-23 2017-02-01 Tech 21 Licensing Ltd A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451371B1 (ko) 2015-09-25 2022-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및 무선충전장치
EP3229335B1 (en) * 2016-04-06 2019-02-06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Cover, mobile device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KR101777098B1 (ko) * 2016-12-23 2017-09-11 박창식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968092B1 (ko) * 2016-12-30 2019-04-11 에스엘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1956536B1 (ko) * 2017-06-19 2019-03-11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사용자 단말에 탈부착되는 무선 충전 지원 액세서리 및 이에 기반한 무선 충전 시스템
US11303138B2 (en) * 2018-12-17 2022-04-12 Apple Inc. Battery case power system
WO2021010526A1 (ko) * 2019-07-18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KR102320154B1 (ko) * 2019-11-28 2021-11-29 주식회사 드리온 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885B1 (ko) 2006-12-11 2008-04-1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자기장 차폐용 부재가 구비되는 무접점 충전용 배터리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885B1 (ko) 2006-12-11 2008-04-1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자기장 차폐용 부재가 구비되는 무접점 충전용 배터리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34A1 (ko) * 2015-03-03 2016-09-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810003B1 (ko) * 2015-03-03 2017-12-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70017323A (ko) 2015-08-06 2017-02-15 최상식 스마트폰 거치대
CN109378885A (zh) * 2018-12-21 2019-02-22 重庆金康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手机车载无线充电装置及手机的车载无线充电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622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947B1 (ko)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US10164468B2 (en) Protective cover with wireless charging feature
US8143850B2 (en) Inductive charger battery replacement system and device
US7868585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07120723B1 (en) Recharging device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391547B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US20080231225A1 (en)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solar power, and clothing assembly having the same
US8575887B1 (en) Universal charging holster for charging and transpor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60082991A1 (en) Flashlight adaptor for providing alternativ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to other electronic instruments
US6956353B1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telephones and other battery operated devices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KR20170020058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EP4280192A1 (en) Detachable remote control module, front infrared thermal imager assembly and dual-light sight
CN210717299U (zh) 一种车用遥控太阳能发电警示灯
CN211626252U (zh) 一种可充电的瞄具支架及具有其的瞄具
CN210120415U (zh) 无线充电器
KR101120946B1 (ko) 휴대용 충전 장치
CN216215988U (zh) 储能电源
KR20200002620U (ko) 휴대용 이동전원장치
CN220629522U (zh) 一种多功能骨传导耳机充电装置
WO2008007965A1 (en) Battery recharging and supporting device
CN213817358U (zh) 便携式充电与照明一体化组合装置
TWI331005B (en) Electronic device
KR101769053B1 (ko)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WO2007035103A1 (en) Rechargeable back-up batt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