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323A -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323A
KR20170017323A KR1020150111069A KR20150111069A KR20170017323A KR 20170017323 A KR20170017323 A KR 20170017323A KR 1020150111069 A KR1020150111069 A KR 1020150111069A KR 20150111069 A KR20150111069 A KR 20150111069A KR 20170017323 A KR20170017323 A KR 20170017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engaging
support portion
smartphon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826B1 (ko
Inventor
최상식
Original Assignee
최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식 filed Critical 최상식
Priority to KR1020150111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8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대에 따르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연장 돌출된 한 쌍의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연장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몸체부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가 절첩된 지지부의 배면 또는 정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며, 접첩된 한 쌍의 결합부 끝단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와 절첩된 지지부 또는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 사이에 스마트폰이 거치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지지부가 몸체부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고, 한 쌍의 결합부가 절첩된 지지부의 배면 또는 정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며, 접첩된 한 쌍의 결합부 끝단이 결합됨에 따라 몸체부와 절첩된 지지부 또는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 사이에 스마트폰이 거치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되고, 지지부에 걸림공이 형성됨으로써, 걸림공에 걸림부재를 걸어두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거치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Smart phone holder}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제품을 말한다. 특히,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대는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해서, 거치대에는 스마트폰과 착탈가능한 구조가 형성되거나, 스마트폰의 내부에 자석부재를 추가하여 자력으로 착탈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자석부재를 스마트폰에 추가하거나, 구조를 거치대에 형성하는 과정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거나, 사용자가 사용하는 데에 불편함을 제공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2094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23176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가 몸체부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고, 한 쌍의 결합부가 절첩된 지지부의 배면 또는 정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며, 접첩된 한 쌍의 결합부 끝단이 결합됨에 따라 몸체부와 절첩된 지지부 또는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 사이에 스마트폰이 거치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되고, 지지부에 걸림공이 형성됨으로써, 걸림공에 걸림부재를 걸어두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거치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와 지지부 사이에,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관통된 배선공이 형성되고, 몸체부의 상단 또는 몸체부 상단과 결합부 사이에 하측으로 내입되어 전선 또는 케이블이 걸리는 선 걸이홈이 형성됨으로써,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이어폰 선과 같은 전선을 용이하게 거치부에 배치시킬 수 있어 필요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대에 따르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연장 돌출된 한 쌍의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연장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몸체부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가 절첩된 지지부의 배면 또는 정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며, 접첩된 한 쌍의 결합부 끝단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와 절첩된 지지부 또는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 사이에 스마트폰이 거치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첩된 지지부는, 상부에 걸림부재가 관통되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공에 관통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첩된 지지부는, 상기 걸림공의 상부에 상측으로 내입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 지지부 또는 상기 몸체부와 지지부 사이에는,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관통된 배선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단 또는 상기 몸체부 상단과 결합부 사이에 하측으로 내입되어 전선 또는 케이블이 걸리는 선 걸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장 돌출된 제1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연장 돌출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하방향으로 중간부분이 절개되어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하방향으로 상단과 하단이 내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끼움공에 삽입되어 고정가능한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첩된 지지부는, 상부, 하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이 절개되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첩된 한 쌍의 결합부는, 상단, 하단 중 어느 한 곳 이상이 상기 고정부와 포개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에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지지부가 몸체부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고, 한 쌍의 결합부가 절첩된 지지부의 배면 또는 정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며, 접첩된 한 쌍의 결합부 끝단이 결합됨에 따라 몸체부와 절첩된 지지부 또는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 사이에 스마트폰이 거치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되고, 지지부에 걸림공이 형성됨으로써, 걸림공에 걸림부재를 걸어두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거치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몸체부와 지지부 사이에,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관통된 배선공이 형성되고, 몸체부의 상단 또는 몸체부 상단과 결합부 사이에 하측으로 내입되어 전선 또는 케이블이 걸리는 선 걸이홈이 형성됨으로써,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이어폰 선과 같은 전선을 용이하게 거치부에 배치시킬 수 있어 필요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지지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스마트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지지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몸체부(10), 결합부(20) 및 지지부(3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부(1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쪽에 결합부(20), 하측에 지지부(30)가 연장 돌출된다.
결합부(20)는, 몸체부(10)의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20)는, 몸체부(10)의 좌우폭보다 작되, 절반을 초과할 수 있도록 연장 돌출된다. 즉, 한 쌍의 결합부(20)가 몸체부(10)의 후방으로 절첩되면서 끝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30)는, 몸체부(10)의 하부로 연장 돌출된다.
이때, 지지부(30)는, 몸체부(10)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연장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지지부(30)가 몸체부(10)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고, 한 쌍의 결합부(20)가 절첩된 지지부(30)의 배면 또는 정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며, 접첩된 한 쌍의 결합부(20) 끝단이 결합됨에 따라 몸체부(10)와 절첩된 지지부(30) 또는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20) 사이에 스마트폰(40)이 거치가능한 거치부(50)가 형성된다.
한편, 절첩된 지지부(30)는, 상부에 걸림부재(미도시)가 관통되는 걸림공(31)이 형성된다. 즉, 절철되기 전의 지지부(30) 하부에 걸림공(31)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걸림부재는, 벽에 구비된 못 또는 옷을 걸어둘 수 있는 행거 또는 콘센트에 연결된 코드 등이 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40)은, 걸림부재가 걸림공(31)에 관통됨에 따라, 걸림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거치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공(31)이 몸체부(10)와 마주보지 않고 절첩된 지지부(3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부(30)의 상하길이가, 몸체부(10)의 상하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되는 것이다.
또한, 절첩된 지지부(30)는, 걸림공(31)의 상부에 상측으로 내입된 걸림홈(32)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32)은 절첩되기 전의 지지부(30) 하부에 형성된 걸림공(31)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걸림부재는, 걸림홈(32)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가 걸림공(31)에 관통되어 콘센트에 연결될 때, 코드의 선이 걸림홈(32)에 끼움결합되어 본 발명의 거치대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코드는 스마트폰(40) 충전케이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몸체부(10), 지지부(30) 또는 몸체부(10)와 지지부(30) 사이에는,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관통된 배선공(11)이 형성된다. 더불어 배선공(11)은 몸체부(10)와 결합부(2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충전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이 스마트폰(40)의 하단 중앙부에 있으므로, 배선공(11)은 몸체부(10)와 지지부(30) 사이 중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은, 스마트폰(40)과 연결되면, 스마트폰(40) 충전 또는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몸체부(10)의 상단 또는 몸체부(10) 상단과 결합부(20) 사이에는 하측으로 내입되어 전선 또는 케이블이 걸리는 선 걸이홈(12)이 형성된다.
선 걸이홈(12)에는, 스마트폰(40) 충전 또는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케이블이 배선공(11)을 관통하여 거치부(50)로 내입되면, 케이블이 배선공(11)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걸어 놓을 수 있는 홈이다.
또한, 선 걸이홈(12)에는, 스마트폰(40)의 이어폰잭에 꽂아진 이어폰을 걸어 놓을 수 있는 홈이기도 하다.
이때, 선 걸이홈(12)의 폭은, 케이블과 이어폰의 선이 통과될 수 있되, 케이블의 연결부와 이어폰의 출력부가 통과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0)는, 제1결합부(21) 및 제2결합부(23)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21)는, 몸체부(10)의 일측에 연장 돌출된다.
또한, 제1결합부(21)는, 상하방향으로 중간부분이 절개되어 끼움공(22)이 형성된다.
제2결합부(23)는, 몸체부(10)의 타측에 연장 돌출된다.
또한, 제2결합부(23)는, 상하방향으로 상단과 하단이 내측으로 절개되어 끼움공(22)에 삽입되어 고정가능한 끼움부(24)가 형성된다.
즉, 한 쌍의 결합부(20)가 절첩되어 중첩될 때, 끼움공(22)과 끼움부(24)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지지부(30)는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20)의 정면 또는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절첩된 지지부(30)는, 상부, 하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이 절개되어 고정부(33)가 형성된다.
접첩된 한 쌍의 결합부(20)는, 상단, 하단 중 어느 한 곳 이상이 고정부(33)와 포개지도록 결합되어 지지부(30)에 밀착결합될 수 있다.
즉, 절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33) 사이로,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20)가 삽입되어 포개짐에 따라 절첩된 지지부(30)와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20)가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끼움부(24)는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20)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 곳이 절개되는 길이가 길 수 있다.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20)의 상단과 하단이 절개되어 상하에 끼움부(24)가 형성될 경우, 끼움부(24)를 끼움공(22)에 넣을 때,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또한, 끼움공(22)의 상하길이는 끼움부(24)의 상하길이보다 작고, 끼움부(24)가 형성될 때, 절개된 지점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끼움부(24)를 끼움공(22)에 넣을 때,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으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무선충전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무선충전부는, 거치부(50), 절첩된 지지부(30)와 결합부(20) 사이 또는 외측면에 구비되어 스마트폰(40)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40)은 무선충전부를 통해 거치부(50)에 거치시킬 때마다 무선충전을 자동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절개될 때, 절개된 끝단에 소정 크기의 구멍(25)이 형성되도록 관통된다.
구멍(25)은, 절개된 사이로 끼워지는 부재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몸체부 11: 배선공
12: 선 걸이홈 20: 결합부
21: 제1결합부 22: 끼움공
23: 제2결합부 24: 끼움부
25: 구멍 30: 지지부
31: 걸림공 32: 걸림홈
33: 고정부 40: 스마트폰
50: 거치부

Claims (8)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연장 돌출된 한 쌍의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연장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몸체부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가 절첩된 지지부의 배면 또는 정면과 마주보도록 절첩되며, 접첩된 한 쌍의 결합부 끝단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와 절첩된 지지부 또는 절첩된 한 쌍의 결합부 사이에 스마트폰이 거치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된 지지부는, 상부에 걸림부재가 관통되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공에 관통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된 지지부는, 상기 걸림공의 상부에 상측으로 내입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지지부 또는 상기 몸체부와 지지부 사이에는,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관통된 배선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 또는 상기 몸체부 상단과 결합부 사이에 하측으로 내입되어 전선 또는 케이블이 걸리는 선 걸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장 돌출된 제1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연장 돌출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하방향으로 중간부분이 절개되어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하방향으로 상단과 하단이 내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끼움공에 삽입되어 고정가능한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된 지지부는, 상부, 하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이 절개되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첩된 한 쌍의 결합부는, 상단, 하단 중 어느 한 곳 이상이 상기 고정부와 포개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에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상기 절첩된 지지부와 결합부 사이 또는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무선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50111069A 2015-08-06 2015-08-06 스마트폰 거치대 KR101743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69A KR101743826B1 (ko) 2015-08-06 2015-08-06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69A KR101743826B1 (ko) 2015-08-06 2015-08-06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323A true KR20170017323A (ko) 2017-02-15
KR101743826B1 KR101743826B1 (ko) 2017-06-07

Family

ID=5811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069A KR101743826B1 (ko) 2015-08-06 2015-08-06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6870A (zh) * 2019-04-24 2019-09-20 杭州味想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手机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947B1 (ko) 2009-10-14 2012-03-05 주식회사 뉴빛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KR20130123176A (ko) 2012-05-02 2013-11-12 주식회사 큐엘티 휴대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12099A (zh) 1996-12-24 1999-03-24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电话听筒保持器及保持器与电话听筒组件
JP2004202164A (ja) 2002-12-24 2004-07-22 Masaru Furuta 携帯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947B1 (ko) 2009-10-14 2012-03-05 주식회사 뉴빛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KR20130123176A (ko) 2012-05-02 2013-11-12 주식회사 큐엘티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6870A (zh) * 2019-04-24 2019-09-20 杭州味想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手机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826B1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15541A1 (en) Self-securing power cord
JP5641354B2 (ja) 充電コネクタ
KR101743826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62350Y1 (ko) 가정용 충전기를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CN106230179B (zh) 出线夹、电机以及出线夹的安装方法
KR101448785B1 (ko) 리어 홀더를 갖는 커넥터
US9666980B2 (en) Electrical power strip housing
US9232074B2 (en) Device for access to the internet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203404493U (zh) 固线夹及其应用的电机
KR200481574Y1 (ko) 분리 방지용 커넥터
US20110183538A1 (en) Electric power connector and power cable retainer arrangement
CN203397974U (zh) 一种便于装卸的按钮装置
CN104061368A (zh) 线夹
CN104201495B (zh) 电连接器
JP3197970U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充電できるテーブルタップ
CN103906395B (zh) 一种磁环固定装置及具有该固定装置的空调室外机
KR101555177B1 (ko) 휴대폰 거치장치
CN203632149U (zh) 拼装式暗装接线盒
US8317550B2 (en)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CN103296814B (zh) 电机卡箍、电机固定装置及空调器
CN104883423A (zh) 一种手机充电架
CN105406303A (zh) 一种智能家具的数据接口
CN205423423U (zh) 一种连接器弹簧卡扣及夹扣结构
CN205125999U (zh) 煎烤机的机壳和煎烤机
CN211859099U (zh) 一种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