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506B1 - 충전케이스 - Google Patents

충전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506B1
KR101147506B1 KR1020110103016A KR20110103016A KR101147506B1 KR 101147506 B1 KR101147506 B1 KR 101147506B1 KR 1020110103016 A KR1020110103016 A KR 1020110103016A KR 20110103016 A KR20110103016 A KR 20110103016A KR 101147506 B1 KR101147506 B1 KR 101147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harging
subcase
main
mai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Priority to KR102011010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전력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회로를 구비한 충전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케이스와 메인케이스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충전케이스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충전케이스가 최대 길이가 되도록 서브케이스를 이동시킨 때에도 서브케이스와 메인케이스가 서로 분리되지 아니하여 서브케이스 또는 메인케이스의 분실 위험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충전케이스{CHARGING CASE}
본 발명은 유도전력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회로를 구비한 충전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MP3 플레이어,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충전함에 있어서,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7060호에 따른 커버부재는 커버부재를 휴대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하고, 이후 접속단자를 휴대단말기에 연결하여야 하는 두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커버부재의 크기가 일정하여, 휴대단말기와 커버부재를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7060호(2011.05.31.) 무접점 충전회로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커버부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1546호(2009.02.18.)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결합이 용이한 무접점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충전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 충전케이스는, 충전회로가 내장되고 상기 충전회로에 연결된 충전단자가 노출되어 있는 메인케이스, 그리고 상기 메인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서브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충전케이스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충전케이스의 전체 길이가 가장 길 때 상기 서브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케이스와 상기 서브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어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단이 막혀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메인케이스 또는 상기 서브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이격되어 복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어 상기 메인케이스 또는 상기 서브케이스 중 나머지 하나의 일단에 이격되어 복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케이스와 상기 서브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 그리고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어 상기 메인케이스와 상기 서브케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케이스와 메인케이스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충전케이스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충전케이스가 최대 길이가 되도록 서브케이스를 이동시킨 때에도 서브케이스와 메인케이스가 서로 분리되지 아니하여 서브케이스 또는 메인케이스의 분실 위험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스는 휴대전화, 엠피쓰리 플레이어(MP3 Player) 또는 카메라 등의 휴대물품 등의 적어도 일측을 감싸며 별도의 외부 충전모듈을 통해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메인케이스의 내부에는 코일을 포함한 충전회로가 장착되어 있다. 메인케이스를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충전모듈에 올려놓으면, 메인케이스 내부의 충전회로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하고, 충전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충전단자를 통해 휴대물품이 충전된다.
따라서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에 전원단자를 연결하지 아니하고 충전케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충전모듈에 올려놓기만 하면, 전자기기가 충전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케이스와 결합된 상태의 전자기기를 충전모듈에서 들어 올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상기 전술한 물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충전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공지의 다른 전자제품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스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스는 메인케이스(10)와 서브케이스(20)를 포함한다.
메인케이스(10)는 전자기기(30)의 적어도 일측을 감싸는 부재이다. 메인케이스(10)는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1)는 충전회로(도시하지 아니함)가 배치되는 부재이다.
제2케이스(12)는 제1케이스(11)의 상측에서 제1케이스(11)와 결합한다. 제2케이스(12)가 제1케이스(11)와 결합하면 충전회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전자기기가 충전회로에 직접 접하지 아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에 과전류가 흘러 전자기기에 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도 충전회로에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게 되어 감전의 위험이 방지되고, 충전회로가 공기와 접하여 충전회로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도 방지된다.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는 각각 그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B) 및 걸림부(H)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걸림돌기(B)는 제2케이스(12)의 양측에 복수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H)는 걸림돌기(B)에 대응되어 제1케이스(11)의 양측에 복수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케이스(12)를 제1케이스(11)에 결합할 때, 걸림돌기(B)가 걸림부(H)에 각각 결합되어, 제2케이스(12)와 제1케이스(11)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제1케이스(11)의 양측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당겨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를 분리할 수 있다. 메인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된 충전회로의 일부가 끊기는 등 메인케이스(10) 내부를 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케이스(11)의 양측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당겨, 걸림돌기(B)를 걸림부(H)에서 분리함으로써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를 분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제2케이스(12)에 걸림돌기(B)가 형성되어 있고, 제1케이스(11)에 걸림부(H)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제2케이스(12)에 걸림부(H)가 형성되고, 제1케이스(11)에 걸림돌기(B)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는 걸림돌기(B)와 걸림부(H)의 구성 이외에도 볼트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 가능하다. 또는 제2케이스(12)를 제1케이스(11)의 일측에서 슬라이딩하여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를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케이스(10)는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로 분리되지 아니하고 내부에 충전회로가 장착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케이스(10) 내부로 물 등 외부물질이 스며들지 아니하여 메인케이스(10) 내부의 충전회로의 손상 위험이 감소한다.
메인케이스(10)를 외부의 충전모듈에 올려놓아 유도전류가 발생하고, 메인케이스(10)와 충전단자(1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기가 충전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케이스(20)는 메인케이스(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메인케이스(10)와 같이 전자기기의 일측을 감싼다. 서브케이스(20)는 제3케이스(21)와 제4케이스(22)를 포함한다.
제3케이스(21)는 제1케이스(11)에 대응되는 부재로, 서브케이스(20)의 저면을 이룬다.
제4케이스(22)는 제2케이스(12)에 대응되고, 제3케이스(21)의 상부에서 제3케이스(21)와 결합한다.
제3케이스(21)와 제4케이스(22)의 결합은 전술한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의 결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케이스(20)는 메인케이스(1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충전케이스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단자(16)가 메인케이스(1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있을 때, 충전케이스와 전자기기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전자기기의 접속단자에 충전단자(16)를 연결하며 동시에 전자기기에 충전케이스를 결합하기는 용이하지 아니하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를 충전케이스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전자기기와 충전케이스를 결합할 때, 충전단자(16)에 의해 전자기기를 충전케이스에 안착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서브케이스(20)를 메인케이스(1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충전케이스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 서브케이스(20)를 메인케이스(1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충전케이스의 길이를 신장하여 전자기기의 접속단자에 충전단자(16)를 삽입하고(도 4 참고), 이후 서브케이스(20)를 전자기기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충전케이스의 길이를 전자기기에 맞게 조절하여 전자기기와 충전케이스를 결합할 수 있다(도 5 참고).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메인케이스(10)에 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서브케이스(20)에는 가이드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케이스(10)의 일단에서 메인가이드판(13)이 메인케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홈(14)은 메인가이드판(13)의 대략 중앙에서 메인가이드판(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며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4)은 충전케이스에 결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크기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서브케이스(20)의 일단에는 메인가이드판(13)에 대응되어 서브가이드판(23)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가이드판(23)은 서브케이스(20)에서 메인케이스(10)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돌기(24)는 서브가이드판(23) 일면의 대략 중앙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는 가이드돌기(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가이드판(23)이 아닌 서브케이스(20)의 일단에 직접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홈(14) 및 가이드돌기(24)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는 메인케이스(10)와 서브케이스(20)의 연결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이드돌기(24)는 가이드홈(14)에 삽입되어 가이드홈(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케이스(20)가 메인케이스(1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홈(14) 및 가이드돌기(24)는 각각 메인케이스(10) 및 서브케이스(20)의 일단에 복수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가이드돌기(24) 및 가이드홈(14) 각각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서브케이스(20)와 메인케이스(10)의 연결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일례로, 하나의 가이드돌기(24) 또는 가이드홈(14)이 손상되더라도, 이격되어 있는 다른 가이드돌기(24)가 가이드홈(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홈(14) 및 가이드돌기(24)를 이용하여 서브케이스(20)와 메인케이스(10)를 슬라이딩 하는 경우, 서브케이스(20)와 메인케이스(10)를 반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도, 가이드홈(14) 및 가이드돌기(24)가 마모되지 아니하여 손상의 위험이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특허문헌 2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 결합홈 및 미끄럼방지턱을 이용하여 제1케이스본체와 제2케이스본체를 슬라이딩 이동 시키면 제1케이스본체를 이동시킬 때마다 미끄럼방지턱을 결합홈에서 분리하여야 하므로 미끄럼방지턱이 마모되어 제1케이스본체와 제2케이스본체의 결합력이 점차 약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이드홈(14)과 가이드돌기(24)를 이용하여 서브케이스(20)와 메인케이스(10)를 슬라이딩 이동 시키면, 가이드돌기(24)가 메인가이드판(13)에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14)을 따라 단순히 왕복 이동할 뿐이므로, 가이드돌기(24)가 마모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서브케이스(20)와 메인케이스(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홈(14)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단이 막혀있다. 구체적으로, 서브케이스(20)를 향하고 있는 가이드홈(14)의 일단이 막혀있다. 서브케이스(20)를 메인케이스(10)에서 가장 멀리 슬라이딩 이동하여도, 가이드돌기(24)가 가이드홈(14)의 막혀있는 일단에 걸리게 되어 서브케이스(20)가 메인케이스(10)와 분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 충전케이스에 전자기기를 장착하기 위해 서브케이스(20)를 메인케이스(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서브케이스(20)와 메인케이스(10)가 분리되지 아니하여 서브케이스(20) 또는 메인케이스(10)의 분실 위험이 방지된다.
또한, 가이드돌기(24)가 가이드홈(14)에 삽입되어 가이드홈(14)을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홈(14)에서 이탈하지 아니므로, 서브케이스(20)를 슬라이딩 이동 시킬 때마다 가이드돌기(24)를 가이드홈(14)에 삽입하기 위하여 서브케이스(20)와 메인케이스(10)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방지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서브케이스(20)에 가이드홈(14)이 형성되고, 메인케이스(10)에 가이드돌기(2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2케이스(12)에 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가이드홈(14)은 제1케이스(11)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가이드돌기(24)도 제4케이스(22)가 아닌 제3케이스(21)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24)와 가이드홈(14)은 메인케이스(10)와 서브케이스(20)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이들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는 충전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홈(14)이 메인케이스(10)의 밑판에 구부러져 연결되어 있는 양 측판에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돌기(24)도 가이드홈(14)에 대응되어 서브케이스(20)의 양 측판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서브케이스(20)는 걸림턱(25)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는 서브가이드판(23)의 타면에 걸림턱(25)이 돌출되어 있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걸림턱(25)은 가이드돌기(24)와 달리 서브케이스(20)의 너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25)에 대응되어 메인케이스(10)에는 걸림턱(25)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5)의 형상은 걸림턱(25)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충전케이스에 전자기기(30)를 장착하고 서브케이스(20)를 메인케이스(10)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전자기기(30)가 충전케이스에 결합된 경우, 전자기기(30)가 메인케이스(10) 및 서브케이스(20)의 상부에서 하부로 힘을 가하게 된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메인케이스(10)의 하부 및 서브케이스(20)의 상부에는 가압부(P)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P)는 전자기기(30)를 충전케이스와 결합할 때, 전자기기(30)가 충전케이스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전자기기(30)의 상측에서 충전케이스를 향하여 전자기기(30)를 가압한다. 따라서 충전케이스가 전자기기(30)의 둘레를 따라 감싸지 아니하더라도, 메인케이스(10) 및 서브케이스(20)가 전자기기(30)의 일면을 감싸고, 가압부(P)가 전자기기(30)의 타면의 일부를 가압하여 전자기기(30)가 충전케이스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전자기기(30)가 메인케이스(10) 및 서브케이스(20)를 가압하게 되므로, 걸림턱(25)이 수용홈(15)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아니한다. 또한, 걸림턱(25)이 서브케이스(20)의 너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턱(25)이 서브케이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수용홈(15)에서 걸림턱(25)의 이탈 방지 효과가 증가한다.
따라서 전자기기(30)를 충전케이스에 결합한 후, 서브케이스(20)가 메인케이스(10)에서 슬라이딩하여 전자기기(30)가 충전케이스에서 이탈하지 아니하게 된다.
그러나 전자기기(30)를 충전케이스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걸림턱(25)의 높이가 높지 아니하므로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서브케이스(20)가 메인케이스(10)에서 슬라이딩되어 서브케이스(20)를 메인케이스(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전자기기(30)를 충전케이스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걸림턱(25) 및 수용홈(15)은 위치를 달리하여, 걸림턱(25)이 메인케이스(10)에 형성되고 수용홈(15)이 서브케이스(2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25) 및 수용홈(15)은 생략 가능한 부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스는 서브케이스(20)를 메인케이스(10)를 기준으로 또는 메인케이스(10)를 서브케이스(2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전체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충전케이스에 전자기기(3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케이스(10)에 충전회로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충전케이스가 결합된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전모듈에 올려놓기만 하면 전자기기가 충전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케이스가 결합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메인케이스
11 : 제1케이스 12 : 제2케이스
13 : 메인가이드판 14 : 가이드홈
15 : 수용홈 16 : 충전단자
20 : 서브케이스
21 : 제3케이스 22 : 제4케이스
23 : 서브가이드판 24 : 가이드돌기
25 : 걸림턱
30 : 전자기기
H : 걸림부 B : 걸림돌기
P : 가압부

Claims (6)

  1. 충전회로가 내장되고 상기 충전회로에 연결된 충전단자가 노출되어 있는 메인케이스, 그리고
    상기 메인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서브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전체 길이가 가장 길 때 상기 서브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충전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메인케이스와 상기 서브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어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충전케이스.
  4. 제3항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단이 막혀있는 충전케이스.
  5. 제3항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메인케이스 또는 상기 서브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이격되어 복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어 상기 메인케이스 또는 상기 서브케이스 중 나머지 하나의 일단에 이격되어 복수가 형성되어 있는 충전케이스.
  6. 제3항에서,
    상기 메인케이스와 상기 서브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 그리고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어 상기 메인케이스와 상기 서브케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는 수용홈
    을 포함하는 충전케이스.
KR1020110103016A 2011-10-10 2011-10-10 충전케이스 KR101147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016A KR101147506B1 (ko) 2011-10-10 2011-10-10 충전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016A KR101147506B1 (ko) 2011-10-10 2011-10-10 충전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506B1 true KR101147506B1 (ko) 2012-05-21

Family

ID=4627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016A KR101147506B1 (ko) 2011-10-10 2011-10-10 충전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191B1 (ko) * 2014-12-15 2016-03-29 장태훈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개량형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014A (ko) * 2008-11-19 2010-05-27 서재원 휴대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
KR20110003166U (ko) * 2009-09-22 2011-03-30 주식회사 뉴빛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KR20110040622A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뉴빛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KR20110109668A (ko) * 2010-03-31 2011-10-06 이성복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014A (ko) * 2008-11-19 2010-05-27 서재원 휴대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
KR20110003166U (ko) * 2009-09-22 2011-03-30 주식회사 뉴빛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KR20110040622A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뉴빛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KR20110109668A (ko) * 2010-03-31 2011-10-06 이성복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191B1 (ko) * 2014-12-15 2016-03-29 장태훈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개량형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97519A1 (en) Wireless charger with coil position adjustability
US9059592B2 (en) Fixing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US20110084657A1 (en) Mobile device charging base, and mobile device and charging base system
CN107863800B (zh) 无线充电电池
US20120049790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automatic charging function
KR102348168B1 (ko) 촬영 보조 장치
KR102415970B1 (ko) 배터리 교체형 이어버드 및 그 전용장치
JP2011041351A (ja) 非常用の充電器
KR101447950B1 (ko) 무선 충전기
US20180219414A1 (en) Electronic devices for wireless charging
KR101147506B1 (ko) 충전케이스
KR101875103B1 (ko)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기구
CN108702168B (zh) 用于便携式移动终端设备的、具有温控充电电路的保护套装置
KR101375777B1 (ko)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KR200484841Y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KR20190073893A (ko)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KR101549438B1 (ko)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TWM510586U (zh) 擴充裝置與具有其之保護殼
KR101561069B1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KR20110124578A (ko)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CA2786871A1 (en) Electric power exchanging equipment
KR20150007708A (ko) 무선 충전기
KR20180072608A (ko) 릴타입 케이블 보조배터리 케이스
KR101741726B1 (ko) 스마트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