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578A -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578A
KR20110124578A KR1020100044047A KR20100044047A KR20110124578A KR 20110124578 A KR20110124578 A KR 20110124578A KR 1020100044047 A KR1020100044047 A KR 1020100044047A KR 20100044047 A KR20100044047 A KR 20100044047A KR 20110124578 A KR20110124578 A KR 20110124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ver
cover body
connection termina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호성
Original Assignee
고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호성 filed Critical 고호성
Priority to KR102010004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4578A/ko
Publication of KR2011012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외부 충전기에 장착된 외부코일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생성하는 유도코일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충전부에 삽입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유도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유도코일, 접속단자 및 연결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커버본체의 일단에서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커버본체에는 상기 접속단자를 덮어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시키는 단자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PROTECTING COVER FOR MOBILE PHONE WITH CONTACT-LESS CHARGER }
본 발명은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 PDA 등과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배터리)가 장착된다.
2차 전지(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형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두 접촉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 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습기에 노출되면, 충전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식 충전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접점 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무접점 충전시스템은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공급할 충전 전력을 생성시키는 충전 모체(10)와, 이 충전 모체(10)로부터 무접점으로 상기 충전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이용하여 내부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장치(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 모체(10)는 외부 전원(예를 들어,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 받아 상기 배터리 장치(15)에 공급할 충전 전력을 생성하는 무선전력 전송회로(12) 및 1차 코일(11)을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 장치(15)는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 유닛이나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휴대형 전자기기로서는 셀룰러폰, PDA, MP3 플레이어 등을 들 수 있다.상기 배터리 장치(15)는 2차 코일(16) 및 2차코일(16)에 연결되는 충전회로(17)를 포함한다.
상기 1, 2차 코일(11, 16)은 유도 결합에 의해 자기적으로 상호 커플링되며, 상기 2차 코일(16)이 상기 1차 코일(11) 위에 병렬됨(juxtaposed)에 따라 1차 코일(11)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2차 코일(16) 내에 유도 전류를 유기하게 된다.
충전회로(17)가 상기 유도 전류를 변환하여 소정의 전원을 발생시키며, 이(전원)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이러한 무접점 충전시스템의 경우, 1차 코일에 대응하는 2차 코일과 2차 코일에 연결되는 충전회로가 배터리 유닛이나 휴대형 전자기기의 내부에 수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접점 충전시스템은 충전회로(17) 및 2차코일(16)이 처음부터 휴대단말기(배터리장치)에 내장되어 있어서, 무접점 방식이 아닌 기존의 접점방식의 휴대단말기에는 적용할 수가 없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접속단자들이 내부로 은폐되어 있어서 무접점 충전시스템을 기존의 휴대단말기에 장착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무접점 충전전시스템을 장착하여, 무접점 충전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은 기존의 휴대단말기도 용이하게 무접점 충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단자커버를 이용하여 접속단자를 커버본체에 고정시켜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외부 충전기에 장착된 외부코일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생성하는 유도코일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충전부에 삽입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유도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유도코일, 접속단자 및 연결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커버본체의 일단에서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커버본체에는 상기 접속단자를 덮어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시키는 단자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커버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접속단자의 상부가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커버와 상기 커버본체는 상호 후크결합된다.
상기 단자커버의 하단 및 양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에는 상기 걸림홈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단자커버의 상단에서 상기 결합공의 양측에는 상기 커버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속단자의 양측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접속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하부에는 상기 단자커버의 상단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방향으로의 유동이 저지되는 지지면이 상기 단자커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도코일과 커버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유도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휴대단말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플레이트가 배치된다.
상기 커버본체에는 자기력으로 상기 커버본체를 외부 충전기에 부착시키는 자성체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보호커버를 무접점 충전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은 기존의 휴대단말기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휴대단말기에 무접점 충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단자커버와 커버본체를 후크결합시키고 단자커버에서 돌출된 돌출부로 초기 조립위치를 가이드하여 단자커버와 커버본체의 결합이 쉽다.
또한, 내부에 지지돌기가 형성된 단자커버로 접속단자를 덮어 커버본체에 고정시킴으로써 접속단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도코일과 휴대단말기 사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쉴드플레이트를 배치하여 휴대단말기가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가 커버본체에 장착되어 자기력에 의해 커버본체를 외부충전기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접점 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가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는 상태의 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장착부(C)를 확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접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를 외부충전기에 부착시킨 상태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가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는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장착부(C)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부분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접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를 외부충전기에 부착시킨 상태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100), 유도코일(200), 정류회로(300), 접속단자(400), 연결부재(500), 단자커버(600), 커버플레이트(700), 쉴드플레이트(800) 및 자성체(9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본체(100)는 판상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1)가 삽입되는 상단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100)는 휴대단말기(101)의 액정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정면이 개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본체(100)의 측면은 휴대단말기(101)가 상기 커버본체(10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휴대단말기(101)의 측부를 감싸면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본체(100)의 측면의 상부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1)의 측면에 형성된 작동키를 누를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본체(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유도코일(200), 정류회로(300) 및 자성체(900)가 장착되는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100)의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400)가 장착되는 장착부(110)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110)의 하단 및 양측에는 걸림부(1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11)는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할 상기 단자커버(400)의 걸림홈(602)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111)는 상기 단자커버(400)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서 상기 단자커버(400)와 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602)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100)에는 삽입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12)은 상기 장착부(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단자커버(400)의 돌출부(601)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장착부(1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연결되어 정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편(113)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편(113)은 양측에 2개씩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편(113)의 상부에는 상기 접속단자(400)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유도코일(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본체(100)의 내측 후면에 장착된다.
상기 유도코일(200)은 도 5 및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충전기(102)에 장착된 외부코일(미도시)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생성한다.
상기 정류회로(300)는 상기 유도기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커버본체(100)에서 상기 유도코일(200)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접속단자(400)는 휴대단말기(101)의 충전부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본체(100)의 일단 즉, 하단에서 상기 커버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400)의 상부가 휴대단말기(101)의 충전부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안착홈(114)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접속단자(400)의 하부의 상면에는 지지면(40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401)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커버(600)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단자커버(600)의 상단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접속단자(400)의 유동을 저지한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400)와 유도코일(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500)는 일단이 상기 유도코일(200)에서 생성된 유도기전력을 직류전압으로 전환하는 정류회로(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단자(400)의 하단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도코일(200)에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정류회로(300)에서 상기 유도기전력을 직류전압으로 전환하여 상기 연결부재(500)에 의해 상기 정류회로(300)와 접속단자(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접속단자(400)는 휴대단말기(101)의 충전부에 삽입되어 휴대단말기(101)에 내장된 2차전지를 충전시킨다.
상기 단자커버(600)는 상기 커버본체(100) 즉,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단자(400)를 덮어 상기 접속단자(400)를 상기 커버본체(100)에 고정시킨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커버(600)의 상단에는 결합공(6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610)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접속단자(400)의 상부가 상기 커버본체(100)의 내측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공(610)에는 상기 접속단자(400)의 상부가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단자커버(600)의 상단에는 돌출부(60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601)는 상기 결합공(610)의 양측에서 상기 커버본체(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속단자(400)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601)가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자커버(600)를 상기 커버본체(100)에 결합시 상기 단자커버(600)의 초기 조립위치를 가이드하여 상기 단자커버(600)를 상기 커버본체(100)에 쉽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단자커버(6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커버(600)의 하단 및 양측에는 걸림홈(60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602)에는 상기 걸림부(111)가 삽입되어 상기 단자커버(600)를 상기 커버본체(100)에 후크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홈(602)에 상기 걸림부(111)가 삽입되어 상기 단자커버(600)를 상기 커버본체(100)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커버(600)의 내부에는 지지돌기(60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603)는 상기 접속단자(400)의 하부의 외면에 접하게 돌출되어 상기 접속단자(400)가 상기 단자커버(600)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돌기(603)는 상기 접속단자(400)의 하부의 하면 및 양 측면에 접하여 상기 접속단자(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603)의 수와 구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커버(600)에 상기 지지돌기(603)를 형성하여 상기 접속단자(40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단자커버(600)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단자(4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코일(200), 접속단자(400) 및 연결부재(500)를 덮으면서 상기 커버본체(10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코일(200), 접속단자(400) 및 연결부재(500)를 덮는 면의 반대면 즉, 정면이 상기 본체커버(100)에 장착된 휴대단말기(101)와 접한다.
상기 쉴드플레이트(80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금속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도코일(200)과 커버플레이트(7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쉴드플레이트(800)는 상기 유도코일(2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휴대단말기(10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도코일(200)과 휴대단말기(101) 사이에 상기 쉴드플레이트(800)를 배치하여 휴대단말기(101)의 내부에 장착된 전자부품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900)는 도 5 및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유도코일(200)의 주위에 배치되어 자기력에 의해 상기 커버본체(100)가 상기 외부충전기(102)에 쉽게 부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체(900)는 4개가 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도코일(200)과 상기 유도코일(200)로부터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을 휴대단말기(101)에 전달하는 상기 연결부재(500) 및 접속단자(400)를 구비한 보호커버를 무접점 충전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은 기존의 휴대단말기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휴대단말기에 무접점 충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코일(200)과 상기 정류회로(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유도코일(200)에서 발생된 교류 유도기전력을 직류전류로 변환시킨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일단을 상기 정류회로(300)에 연결하고 타단을 상기 접속단자(400)의 하부에 연결하여 상기 정류회로(300)와 접속단자(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위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유도코일(200), 정류회로(300) 및 접속단자(400)를 상기 커버본체(10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코일(200)과 정류회로(300)는 상기 커버본체(100)에 형성된 홈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접속단자(400)는 하부가 상기 장착부(110)의 안착홈(114)에 삽입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400)의 상부는 상기 커버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900)는 상기 유도코일(200)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본체(100)에 장착된다.
상기 자성체(900)를 상기 커버본체(100)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커버본체(100)를 상기 외부충전기(102)에 쉽게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100)에 장착된 상기 유도코일(200)은 상기 쉴드플레이트(800)로 덮어 상기 유도코일(2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단한다.
상기 쉴드플레이트(800)는 상기 유도코일(200)을 덮어 자기장을 차단함으로써 휴대단말기(101)의 내부에 장착된 전자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커버플레이트(700)는 상기 유도코일(200), 정류회로(300), 연결부재(500), 쉴드플레이트(800) 및 자성체(900)를 덮으면서 상기 커버본체(10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커버(600)는 상기 접속단자(400)를 덮으면서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된다.
상기 단자커버(600)를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시킬 때는 먼저 상기 돌출부(601)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하여 상기 단자커버(600)의 초기 조립위치를 가이드한다.
상기 돌출부(110)에 의해 상기 단자커버(600)의 초기 조립위치가 가이드되면 상기 걸림부(111)를 상기 걸림홈(602)에 삽입하여 상기 단자커버(600)를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시킨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400)의 상부는 상기 단자커버(600)의 결합공(610)을 통해 상기 커버본체(100)의 내측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단자커버(600)에 의해 상기 장착부(110)에 고정된 상기 접속단자(400)는 상기 지지면(401)이 상기 단자커버(600)의 상단의 내측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단자커버(600)의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400)는 상기 단자커버(6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지지돌기(60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단자커버(600)의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도 2 및 도 9와 같이, 휴대단말기(101)에 장착하여 휴대단말기(101)와 함께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휴대단말기(101)의 충전이 필요할 때 휴대단말기(101)에 장착하여 상기 외부충전기(102)에 부착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커버본체, 101 : 휴대단말기, 102 : 외부충전기, 110 : 장착부, 111 : 걸림부, 112 : 삽입홈, 113 : 돌출편, 114 : 안착홈, 200 : 유도코일, 300 : 정류회로, 400 : 접속단자, 401 : 지지면, 500 : 연결부재, 600 : 단자커버, 601 : 돌출부, 602 : 걸림홈, 603 : 지지돌기, 610 : 결합공, 700 : 커버플레이트, 800 : 쉴드플레이트, 900 : 자성체,

Claims (7)

  1.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외부충전기에 장착된 외부코일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생성하는 유도코일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충전부에 삽입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유도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유도코일, 접속단자 및 연결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커버본체의 일단에서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커버본체에는 상기 접속단자를 덮어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시키는 단자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버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접속단자의 상부가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커버와 상기 커버본체는 상호 후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버의 하단 및 양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에는 상기 걸림홈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버의 상단에서 상기 결합공의 양측에는 상기 커버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속단자의 양측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접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접속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하부에는 상기 단자커버의 상단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방향으로의 유동이 저지되는 지지면이 상기 단자커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과 커버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유도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휴대단말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플레이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에는 자기력으로 상기 커버본체를 외부충전기에 부착시키는 자성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20100044047A 2010-05-11 2010-05-11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20110124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47A KR20110124578A (ko) 2010-05-11 2010-05-11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47A KR20110124578A (ko) 2010-05-11 2010-05-11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578A true KR20110124578A (ko) 2011-11-17

Family

ID=4539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047A KR20110124578A (ko) 2010-05-11 2010-05-11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45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2957A1 (en) * 2013-01-04 2014-07-09 Primax Electronics Ltd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CN103928989A (zh) * 2013-01-11 2014-07-16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传输装置
CN111867343A (zh) * 2019-04-30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及保护壳
KR20220168052A (ko) * 2021-06-15 2022-12-22 유광용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2957A1 (en) * 2013-01-04 2014-07-09 Primax Electronics Ltd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CN103928989A (zh) * 2013-01-11 2014-07-16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传输装置
CN111867343A (zh) * 2019-04-30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及保护壳
CN111867343B (zh) * 2019-04-30 2023-08-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及保护壳
KR20220168052A (ko) * 2021-06-15 2022-12-22 유광용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877B1 (ko)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
US8350524B2 (en) Char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charging system
CN101771283B (zh) 充电系统
US8248025B2 (en)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7863800B (zh) 无线充电电池
EP1908159A1 (en) Rechargeable battery circuit and structure for compatibility with a planar inductive charging platform
EP2693591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3378639A (zh) 有线/无线充电设备和电路
US20080200219A1 (en) Charger, electronic instrument, and charging system
KR101635135B1 (ko) 무선 충전 수신 모듈
KR20110124578A (ko)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20070079482A (ko) 무접점 충전회로를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및 그 전자기기
JP2014017920A (ja) 電池パック
KR101767622B1 (ko) 무접점 충전회로를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
CN104079032A (zh) 一种用于手机的无线充电系统
KR20140083450A (ko) 다용도 무선충전 배터리 케이스
KR101450115B1 (ko) 호환성을 갖는 무선충전용 전원수신코일모듈
KR20041108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충전기
CN110829612A (zh) 无线充电系统、无线充电器和电子设备
US20170093196A1 (en) Rechargeable Battery Induction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3047180A (ja) 無接点型充電装置
CN213637135U (zh) 便携式设备和充电装置
KR101229909B1 (ko) 피씨비 일체형 무접점 배터리 장치 및 충전 시스템
JP2013012903A (ja) 接続構造、接続方法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