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052A -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8052A KR20220168052A KR1020210077594A KR20210077594A KR20220168052A KR 20220168052 A KR20220168052 A KR 20220168052A KR 1020210077594 A KR1020210077594 A KR 1020210077594A KR 20210077594 A KR20210077594 A KR 20210077594A KR 20220168052 A KR20220168052 A KR 202201680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let
- unit
- electrically connected
- installation space
- mount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충전면이 구비되고, 내부에 제1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거치대와, 전면의 장착홈에 태블릿 PC의 후면이 삽입되고, 후면이 충전면에 안착되며, 내부에 제2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제1설치공간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고, 거치대의 전방으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송신부 및, 제2설치공간의 내부에 구비되고, 장착홈에 삽입된 태블릿 PC의 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송신부의 유도전류를 수신하여 태블릿 PC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수신부는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속부는 태블릿 PC를 장착홈에 삽입시 암 커넥터와 암수로 접속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블릿 PC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블릿 PC는 일반 노트북 PC와 달리 별도의 입력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화면을 터치 패널로 형성하여 간편하면서도 직관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기기로서 현대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태블릿 PC에는 충전 커넥터를 연결시키기 위한 충전 단자가 구비되고, 태블릿 PC의 충전 단자에 별도의 충전용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충전과 동시에 일정 각도로 수납 및 거치시킬 수 있는 충전장치 등을 이용해 태블릿 PC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태블릿 PC 충전용 케이블은 충전시 태블릿 PC의 충전 단자와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과정이 번거로웠다. 또한 종래의 태블릿 PC 충전장치는 정해진 규격의 태블릿 PC만 수납 및 거치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 범위가 넓지 않았고, 태블릿 PC를 정해진 자세로 수납 및 거치시켜야 하므로 태블릿 PC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턱허공보 제10-1410641호(2014년 06월 1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태블릿 PC 충전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블릿 PC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는 충전면이 구비되고, 내부에 제1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거치대와, 전면의 장착홈에 태블릿 PC의 후면이 삽입되고, 후면이 상기 충전면에 안착되며, 내부에 제2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1설치공간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거치대의 전방으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송신부 및, 상기 제2설치공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된 상기 태블릿 PC의 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송신부의 유도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태블릿 PC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태블릿 PC를 상기 장착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암 커넥터와 암수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1회로부와, 상기 제1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제1코일부 및, 상기 제1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부 및, 상기 제2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코일부의 유도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측 두께 내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의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단자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부는 후단이 상기 단자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라인에 의해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단이 상기 장착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암 커넥터와 암수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전단이 상기 장착홈의 내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단자홈의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접속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으로 노출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홈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부의 후단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블릿 PC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무선 충전이 가능하고, 태블릿 PC의 거치 방향과 관계없이 충전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에 수신부가 결합되므로 태블릿 PC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수신부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거치대와 케이스 및 태블릿 PC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거치대와 케이스 및 태블릿 PC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수신부와 태블릿 PC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와 수신부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조작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조작부와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장착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장착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장착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거치대와 케이스 및 태블릿 PC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거치대와 케이스 및 태블릿 PC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수신부와 태블릿 PC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와 수신부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조작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조작부와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장착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장착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장착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거치대와 케이스 및 태블릿 PC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거치대와 케이스 및 태블릿 PC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수신부와 태블릿 PC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와 수신부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조작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조작부와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장착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케이스에 장착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의 장착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는 태블릿 PC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대(100)와, 케이스(200)와, 송신부(300) 및, 수신부(400)를 포함한다.
거치대(100)는 태블릿 PC(10)를 일정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거치대(100)는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에 충전면(110)이 형성된 패드 형태 또는, 하단이 설치면에 안착되고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전면에 충전면(110)이 형성된 스텐드 형태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100)의 내부에는 후술될 송신부(300)를 설치하기 위한 제1설치공간(120)이 일정 넓이로 형성될 수 있고, 거치대(100)의 충전면(110)에는 태블릿 PC(10)의 후면과 밀착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고무 등,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거치대(100)의 일측에는 후술될 충전 단자부(33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태블릿 PC(1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200)의 전면에는 태블릿 PC(10)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장착홈(210)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케이스(200)의 일측에는 장착홈(210)의 전면을 회동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20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실리콘, 플라스틱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덮개부(230)는 케이스(200)를 설치면에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절첩선이 개폐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고, 절첩선은 덮개부(230)의 개폐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덮개부(230)는 절첩선을 기준으로 절첩되어 부피가 축소되거나 삼각형 등으로 절곡되어 케이스(200)의 후방을 지지하는 받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230)와 반대되는 케이스(200)의 일측에는 케이스(200)의 전면으로 회동된 덮개부(230)의 외면과 결합되도록 결합부(24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덮개부(230)의 내부와 결합부(240)의 내부에는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금속부재(미도시)와 마그네틱(미도시)이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으나, 덮개부(230)와 결합부(240)의 결합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후술될 수신부(400)를 설치하기 위한 제2설치공간(220)이 일정 넓이로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200)의 가장자리측 두께 내에 형성되어 장착홈(210)의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단자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200)의 장착홈(210)에 태블릿 PC(10)의 후단을 삽입시키는 경우 단자홈(250)에 위치된 후술될 접속부(410)의 전단이 태블릿 PC(10)의 암 커넥터(11)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송신부(300)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전기 에너지를 자기장으로 전환시켜 후술될 수신부(4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대(100)의 제1설치공간(12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송신부(300)는 충전면(110)의 전방으로 자기장을 전달하고, 수신부(400)는 송신부(300)의 자기장을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켜 태블릿 PC(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300)는 제1설치공간(120)에 설치되는 제1회로부(310)와, 제1회로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제1코일부(320) 및, 제1회로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거치대(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케이블(20)의 수 커넥터(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 단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회로부(310)에는 충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조명부(LED: Light-Emitting Diode 등)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조명부는 거치대(1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1회로부(310)는 충전 단자부(33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제1코일부(320)로 전달하고, 제1코일부(320)는 제1회로부(310)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길이를 갖는 금속 코일을 원판 형태로 권취시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회로부(310)는 제1설치공간(1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1코일부(320)는 제1회로부(31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수신부(400)는 케이스(200)를 거치대(100)의 충전면(110)에 안착시키는 경우, 송신부(300)의 자기장을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태블릿 PC(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200)의 제2설치공간(2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400)는 제2설치공간(220)에 설치되고, 일측에 접속부(4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부(420) 및, 제2회로부(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코일부(320)의 유도전류를 수신하여 태블릿 PC(1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코일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410)는 후단이 단자홈(2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라인에 의해 제2회로부(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단이 장착홈(210)으로 돌출되어 태블릿 PC(10)의 암 커넥터(11)와 암수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부(410)는 C 타입 등의 충전 단자 형태를 사용할 수 있고, 태블릿 PC(10)의 암 커넥터(11)는 접속부(410)와 대응되는 충전 단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태블릿 PC(10)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회로부(420)는 제2설치공간(22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제2코일부(430)는 제1코일부(320)로부터 전달되는 자기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접속부(410)로 전달하며, 길이를 갖는 금속 코일을 원판 형태로 권취시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접속부(410)는 제2코일부(43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태블릿 PC(10)의 배터리로 전달하고, 제1코일부(320)와 제2코일부(430)의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태블릿 PC(10)의 배터리가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는 도 6에서처럼 접속부(410)가 단자홈(250)의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접속부(41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조작부(4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440)의 하단은 접속부(410)의 상단과 연결되고, 조작부(440)의 상단은 케이스(20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조작부(440)와 단자홈(250)의 사이에는 연결 통로(46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통로(460)는 조작부(440)가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44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마찰돌기(441)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돌기(441)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부(440)의 상단을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접속부(410)가 접속 해지 위치로 이동되면서 단자홈(25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200)의 장착홈(210)에 태블릿 PC(10)의 후단을 삽입시킬 수 있고, 접속부(410)가 단자홈(25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태블릿 PC(10)가 접속부(410)와 간섭 없이 장착홈(210)에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조작부(440)의 상단을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전방의 접속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접속부(410)가 전방의 접속 위치로 돌출되고, 접속부(410)의 전단이 태블릿 PC(10)의 암 커넥터(11)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접속부(410)가 암 커넥터(11)와 접속되므로 제2코일부(430)와 암 커넥터(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태블릿 PC(10)의 후면에 케이스(200)를 결합시키는 경우 접속부(410)가 케이스(200)의 가장자리측 두께부로 회피되므로, 태블릿 PC(10)와 케이스(200)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태블릿 PC(10)와 케이스(200)를 결합시 접속부(410)와 암 커넥터(11)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므로, 접속부(410)를 암 커넥터(11)에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는 도 7에서처럼 단자홈(250)의 후방에 구비되고, 접속부(410)의 후단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450)는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탄성부재(45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접속부(410)가 전방의 접속 위치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부(440)의 상단을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접속부(410)가 접속 해지 위치로 이동되면서 단자홈(250)의 내부로 삽입되고, 탄성부재(450)가 후방으로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200)의 장착홈(210)에 태블릿 PC(10)의 후단을 삽입시킬 수 있고, 접속부(410)가 단자홈(25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태블릿 PC(10)가 접속부(410)와 간섭 없이 장착홈(210)에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조작부(440)를 누르던 손가락을 이격시키는 경우, 탄성부재(450)가 차체 탄성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고, 접속부(410)가 탄성부재(45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전방의 접속 위치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접속부(410)의 전단이 태블릿 PC(10)의 암 커넥터(11)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고, 접속부(410)가 암 커넥터(11)와 접속되므로 제2코일부(430)와 암 커넥터(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접속부(410)가 탄성력에 의해 암 커넥터(11)와 결합되므로 접속부(410)를 암 커넥터(11)에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는 도 8 내지 10에서처럼 제2설치공간(220)이 케이스(200)의 일측으로 개방될 수 있고, 제2설치공간(220)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장착부(260)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장착부(260)는 제2설치공간(220)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수평하게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260)의 상부에는 수신부(400)의 제2회로부(420)와 제2코일부(430)를 설치하기 위한 제3설치공간(26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장착부(26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263)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260)를 제2설치공간(220)에 삽입시키는 경우, 파지홈(263)이 케이스(200)의 일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단이 접속부(410)의 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제2설치공간(220)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 접속단자(411) 및, 상부 접속단자(411)와 대응되도록 장착부(260)의 상단에 결합되고, 제2코일부(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접속단자(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접속단자(411)는 연결라인에 의해 접속부(410)의 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하부 접속단자(421)는 연결라인에 의해 제2코일부(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 접속단자(411)와 하부 접속단자(421)는 상하 방향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 상호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전도성 소재(금속 등)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설치공간(220)의 양측에는 도 8 내지 10에서처럼 오목한 걸림홈(2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장착부(260)의 양측에는 걸림홈(221)에 암수로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262)가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262)는 일정 곡률(반구 형상 등)을 가지면서 돌출될 수 있고, 걸림홈(221)은 걸림돌기(26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착부(260)를 제2설치공간(2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걸림돌기(262)가 걸림홈(221)으로부터 이탈되고, 장착부(260)가 슬라이드 이동 방식에 의해 케이스(200)의 외부로 분리되며, 하부 접속단자(421)가 케이스(200)의 외부로 수평하게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하부 접속단자(421)의 상단과 상부 접속단자(410)의 하단이 이격되고, 하부 접속단자(421)와 상부 접속단자(410)가 분리되므로 접속부(410)와 제2코일부(430)의 접속이 해지된다.
반면, 사용자가 장착부(260)를 제2설치공간(220)에 삽입시키는 경우, 장착부(260)가 슬라이드 이동 방식에 의해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되고, 걸림돌기(262)가 걸림홈(221)에 결합되며, 하부 접속단자(421)의 상단과 상부 접속단자(410)의 하단이 밀착된다. 이때 하부 접속단자(421)와 상부 접속단자(410)가 밀착되므로 접속부(410)와 제2코일부(4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장착부(260)를 제2설치공간(220)에 결합시켜 접속부(410)와 제2코일부(43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경우, 케이스(200)를 태블릿 PC(10)의 배터리 충전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장착부(260)를 제2설치공간(2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케이스(200)의 무게가 감소되므로 태블릿 PC(10)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태블릿 PC(1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무선 충전이 가능하고, 태블릿 PC(01)의 거치 방향과 관계없이 충전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에 수신부(400)가 결합되므로 태블릿 PC(10)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수신부(400)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태블릿 PC
11: 암 커넥터
20: 전원 케이블 21: 수 커넥터
100: 거치대 110: 충전면
120: 제1설치공간 200: 케이스
210: 장착홈 220: 제2설치공간
221: 걸림홈 230: 덮개부
240: 결합부 250: 단자홈
260: 장착부 261: 제3설치공간
262: 걸림돌기 263: 파지홈
300: 송신부 310: 제1회로부
320: 제1코일부 330: 충전 단자부
400: 수신부 410: 접속부
411: 상부 접속단자 420: 제2회로부
421: 하부 접속단자 430: 제2코일부
440: 조작부 450: 탄성부재
460: 연결 통로
20: 전원 케이블 21: 수 커넥터
100: 거치대 110: 충전면
120: 제1설치공간 200: 케이스
210: 장착홈 220: 제2설치공간
221: 걸림홈 230: 덮개부
240: 결합부 250: 단자홈
260: 장착부 261: 제3설치공간
262: 걸림돌기 263: 파지홈
300: 송신부 310: 제1회로부
320: 제1코일부 330: 충전 단자부
400: 수신부 410: 접속부
411: 상부 접속단자 420: 제2회로부
421: 하부 접속단자 430: 제2코일부
440: 조작부 450: 탄성부재
460: 연결 통로
Claims (5)
- 충전면이 구비되고, 내부에 제1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거치대;
전면의 장착홈에 태블릿 PC의 후면이 삽입되고, 후면이 상기 충전면에 안착되며, 내부에 제2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제1설치공간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거치대의 전방으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송신부; 및
상기 제2설치공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된 상기 태블릿 PC의 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송신부의 유도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태블릿 PC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태블릿 PC를 상기 장착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암 커넥터와 암수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1회로부와, 상기 제1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제1코일부 및, 상기 제1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부 및, 상기 제2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코일부의 유도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측 두께 내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의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단자홈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후단이 상기 단자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라인에 의해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단이 상기 장착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암 커넥터와 암수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전단이 상기 장착홈의 내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단자홈의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접속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으로 노출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홈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부의 후단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7594A KR102570376B1 (ko) | 2021-06-15 | 2021-06-15 |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7594A KR102570376B1 (ko) | 2021-06-15 | 2021-06-15 |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8052A true KR20220168052A (ko) | 2022-12-22 |
KR102570376B1 KR102570376B1 (ko) | 2023-08-25 |
Family
ID=8457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7594A KR102570376B1 (ko) | 2021-06-15 | 2021-06-15 |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037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4578A (ko) * | 2010-05-11 | 2011-11-17 | 고호성 |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KR200467441Y1 (ko) * | 2011-07-06 | 2013-06-14 | 성부현 |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KR20160107127A (ko) * | 2015-03-03 | 2016-09-13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
2021
- 2021-06-15 KR KR1020210077594A patent/KR1025703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4578A (ko) * | 2010-05-11 | 2011-11-17 | 고호성 |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KR200467441Y1 (ko) * | 2011-07-06 | 2013-06-14 | 성부현 |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KR20160107127A (ko) * | 2015-03-03 | 2016-09-13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0376B1 (ko) | 2023-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27913B2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US7565187B1 (en) | Transceiver device and fastener | |
US7868585B2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US20190158136A1 (en) | Mobile device case for receiving wireless signals | |
US7828259B2 (en) | Electronic device holder | |
US9088670B2 (en) | Detachably integrated battery charger for mobile cell phones and like devices | |
CN105706021B (zh) | 便携式电子装置及用于其的电源适配器单元 | |
US20110156637A1 (en) | Recharging or connection tra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US20120169275A1 (en) |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20130154555A1 (en) | Sliding wireless charging tray for inductive 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 |
EP2579420A2 (en) | Wireless charger with position-guiding mechanism | |
US20140061312A1 (en) | Touch control barcode scanner and barcode scanning device having the scanner | |
US6923688B1 (en) | Charging interface | |
US8089463B2 (en) | Chargeable wireless mouse attachable to a computer host via a wireless signal receiver having a charging plate | |
CN105191264B (zh) | 具有配件接口的便携式无线电设备 | |
KR102570376B1 (ko) | 태블릿 pc용 무선 충전장치 | |
KR20190043045A (ko) | 배면에 액세서리가 부착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 |
KR20170020058A (ko) |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 |
KR20160109190A (ko) | 단말기 충전 거치대 | |
TWM607900U (zh) | 滑鼠組件 | |
US7402979B1 (en) | Charger contact with protective actuator | |
EP2472696A1 (en) |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CN208306542U (zh) | 车载支架 | |
KR101920667B1 (ko) | 기기 충전을 위한 스마트폰 케이스 | |
CN112020695A (zh) | 带耳塞存储和充电的鼠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