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478B1 - 무선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선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78B1
KR102093478B1 KR1020180137016A KR20180137016A KR102093478B1 KR 102093478 B1 KR102093478 B1 KR 102093478B1 KR 1020180137016 A KR1020180137016 A KR 1020180137016A KR 20180137016 A KR20180137016 A KR 20180137016A KR 102093478 B1 KR102093478 B1 KR 102093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ing
main body
wireless charger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범식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8013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무선 전력전송부를 수용하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받침부 및 받침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고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본체부와 결합되되, 플랫 모드에서는, 받침부는 본체부의 하면에 밀착되고, 거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부 내부에 수용되어 본체부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스탠딩 모드에서는, 받침부는 본체부의 하면과 이격되고, 거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충전기{A folding structure of wireless 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면서도 거치대의 기능도 수행하는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더욱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무선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되고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점차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와 함께 동영상 매체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 팩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시간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충전장치는 충전 외의 다른 용도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며, 유선만으로 충전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항상 세로 보기 방향으로 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폴딩식 충전장치를 개시하고 있는 종래기술들은 기구적인 설계에 있어서 조잡한 형태의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폴딩 시 인체공학적이지 못하거나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나타난 화면을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광폭으로 보기를 원하는 가로보기 본능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허문헌 1) KR10-0467441 B1
(특허문헌 2) KR10-1285084 B1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지지부가 본체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접히거나 펴짐에 따라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면서도 가로로도 볼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지지부가 본체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안착된 상태의 상부 및 하부가 평평하게 구성됨에 따라 파지하여 이동하기 쉬운 무선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지지부가 하우징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안착된 상태의 외관이 심플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충전기는, 내부에 무선 전력전송부를 수용하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고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되, 플랫 모드에서는,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밀착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스탠딩 모드에서는,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이격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 지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플랫 결합부 및 스탠딩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지지 결합부와 상기 플랫 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고정시키고, 상기 스탠딩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지지 결합부와 상기 스탠딩 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랫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지지 결합부는 상기 관통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플랫 결합부 및 상기 스탠딩 결합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관통부 내부에서 이동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랫 모드에서 상기 받침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에 형성된 수용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지지 결합부와 상기 수용 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를 상기 수용부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부 주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가요성 부재로 형성되는 제1 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플랫 모드에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밀림방지부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 제2 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림방지부의 하단은 상기 플랫 모드에서 상기 제1 밀림방지부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밀링방지부의 하단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부 주변에 형성되는 방열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는 지지부가 본체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접히거나 펴짐에 따라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면서도 가로로도 볼 수 있는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는 지지부가 본체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안착된 상태의 상부 및 하부가 평평하게 구성됨에 따라 파지하여 이동하기 쉬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는 지지부가 하우징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안착된 상태의 외관이 심플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지부가 스탠딩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밑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지지부를 제외한 본체부의 밑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우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좌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플랫 결합부와 제1 지지 결합부의 결합 및 무선 전력전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스탠딩 결합부와 제1 지지 결합부의 결합 및 무선 전력전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플랫 모드'라는 용어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가 본체부에 안착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스탠딩 모드'라는 용어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가 슬라이딩되면서 본체부로부터 이탈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면'이라는 용어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전자 제품이 놓여지는 상부 본체의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면'이라는 용어는 명세서 전반에 결쳐서 지지부가 안착되는 본체부의 면을 의미한다.
1. 구성요소의 설명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1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지지부가 스탠딩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밑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지지부를 제외한 본체부의 밑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우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좌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플랫 결합부와 제1 지지 결합부의 결합 및 무선 전력전송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스탠딩 결합부와 제1 지지 결합부의 결합 및 무선 전력전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100)는 내부에 무선 전력전송부(140)를 수용하고,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관통부(111a, 112a)가 형성된 본체부(110),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받침부(121) 및 받침부(121)의 일측단에서 연장되고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부(122)를 포함하는 지지부(120) 및 단자부(130)를 포함하고, 지지부(120)는 본체부(110)와 결합되되, 플랫 모드에서는, 받침부(121)는 본체부(110)의 후면에 밀착되고, 거치부(122)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부(111a, 112a) 내부에 수용되어 본체부(11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스탠딩 모드에서는, 받침부(121)는 본체부(110)의 후면과 이격되고, 거치부(122)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부(111a, 112a)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본체부(11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본체부(11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지니고, 본체부(110)의 상면 및 하면의 코너는 라운딩처리된다. 상기한 본체부(110)의 구조는 플랫 모드에서 스탠딩 모드로 전환하였을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20)와 함께 본체부(110)의 테이퍼지고 라운딩된 측면이 지지면과 접하면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상부 본체(111), 하부 본체(112), 상부 관통부(111a) 및 하부 관통부(112a)을 포함하는 관통부, 제1 지지 결합부(112c), 조명부재(113), 방열구(114), 제2 지지 결합부(115), 단자홀(116) 및 제1 밀림방지부(117)를 포함한다.
상부 본체(111)는 정사각형의 평판으로 4곳의 코너가 라운딩처리되어 있고, 상부 본체(111)의 재질은 플라스틱 계열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본체(111)의 상면은 매끄럽게 마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본체(111)는 하부 본체(1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하로 결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본체(111)의 하부에는 상부 본체(111)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상부 관통부(1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관통부(111a)는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부 관통부(111a)에는 지지부(120)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본체(11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뿔대 형상을 지니고, 하부 본체(112)의 각 모서리들은 라운딩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본체(112)는 상부 본체(111)보다 큰 높이를 가지고, 하부 본체(112)의 재질은 플라스틱 계열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본체(112)의 외부면은 어느 정도의 거칠기가 있도록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하부 본체(112)를 파지하였을 경우, 하부 본체(112)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본체(112)는 상부 본체(111)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하로 결합된다.
도 5를 기준으로 하부 본체(112)의 테두리를 제외한 부분인 하부 본체(112)의 중앙부는 함몰된 수용부(112b)가 형성되고, 수용부(112b)의 상부에는 하부 본체(112)의 하면을 관통하는 하부 관통부(112a)가 형성된다.
하부 관통부(112a)는 도 5를 기준으로 하부 본체(112)의 하면 상부 중 수용부(112b)와 인접한 면에 관통형성되며, 이러한 하부 관통부(112a)로 절곡된 지지부(120)의 일부가 통과하는 통로가 된다.
수용부(112b)에는 지지부(120)의 일부가 안착된다. 이를 위해 수용부(112b)의 둘레 및 높이는 지지부(120)의 너비 및 높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본체부(110)는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플랫 모드에서 받침부(12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112b)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110)에는 본체부(110)의 상부 측면 중앙으로부터 본체부(110)의 양측부 일부까지 연장되는 조명부재(1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조명부재(113)는 상부 본체(111)와 하부 본체(112)의 상부 측면 중앙으로부터 상부 본체(111)와 하부 본체(112)의 양측부 일부까지 연장되는 절곡된 띠형상을 가진다. 또한, 조명부재(113)는 상부 본체(111)와 하부 본체(112)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하부 본체(112)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111a, 112a)와 인접하면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지지 결합부(112c)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지지 결합부(112c)는 관통부(111a, 112a)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부 본체(112)의 중앙부로부터 관통부(111a, 112a)를 향하여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지지 결합부(112c)의 끝단은 관통부(111a, 112a)와 인접하도록 형성된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조명부재(113)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명부재(113)는 무선충전을 위해 휴대폰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상부 본체(111) 상부에 놓으면, 휴대폰이 안착되어 무선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신호가 조명부재(113)로 전달되면서 청색으로 빛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조명부재(113)의 색상은 청색 이외에도 다양한 색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조명부재(113)는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여 휴대폰의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조명부재(113)는 충전율에 따라 빨간색(0~20%), 주황색(20~40%), 노란색(40~60%), 초록색(60~80%), 파란색(80~100%)으로 나누어서 설정하여 빛을 발광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방열구(114)는 본체부(110)의 하면 중 양측 및 상측 테두리에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방열구(114)는 사각형의 모서리가 관통 형성된 패턴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관통부(112a)와 인접한 하부 본체(112)의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3곳의 하부 본체(112)의 테두리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방열구(114)는 상세하게 후술될 하부 본체(112)의 하면 코너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밀림방지부(117) 사이에 형성되며, 이러한 방열구(114)는 무선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상부 본체(111)과 하부 본체(112)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부(110)는 수용부(112b)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 결합부(115)를 더 포함한다. 제2 지지 결합부(1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2b)의 내측벽 중 방열구(114)와 인접한 수용부(112b)의 양측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단자홀(116)은 하부 본체(112)의 일면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홀(116)은 지지부(120)를 기준으로 하부 본체(112)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단자홀(116)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자홀(116)로 단자부(130)가 삽입된다.
제1 밀림방지부(117)는 본체부(110)의 하면 중 코너 부분에 본체부(110)를 지지하도록 돌출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밀림방지부(117)는 하부 본체(112)의 하면 중 코너 부분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1 밀림방지부(117)는 본체부(110)를 안정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지지하기 위해 하부 본체(112)를 양분하는 가로축 및 세로축을 중심으로 좌우 및 상하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밀림방지부(117)는 수용부(112b) 주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가요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탄력을 가진 고무 계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밀림방지부(117)의 개수를 4개로 설명하였으나, 안정적으로 본체부(11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른 개수로도 적용 가능하며, 이러한 제1 밀림방지부(117)는 본체부(110)와 지지부(120)가 플랫 모드에서 지면에 접하면서 본체부(110)를 지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120)는 본체부(110)의 하면에 안착된다. 또한, 지지부(120)는 본체부(110)로 접히거나 펴질 경우, 다단으로 슬라이딩되어 본체부(110)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지지부(120)가 플랫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지지부(120)는 지지부(120)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된 수용 결합부(125)에 본체부(110)의 하면에 함몰된 홈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 결합부(115)가 결합되어 본체부(110)에 안착된다.
지지부(120)의 일측부는 본체부(110)의 상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이러한 지지부(120)는 받침부(121), 거치부(122), 제2 밀림방지부(123), 플랫 결합부(124a) 및 스탠딩 결합부(124b)를 포함하는 결합홈(124) 및 받침부(121)에 형성된 수용 결합부(125)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부(121)는 직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진다. 받침부(121)의 상부인 타측부의 3면에는 제2 밀림방지부(1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121)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수용 결합부(125)가 형성된다.
받침부(121)는 플랫 모드에서 수용부(112b) 내부에 수용되어 제1 밀림방지부(117)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받침부(121)는 본체부(110)에서 슬라이딩되어 스탠딩 모드가 되었을 때, 지면과 접하면서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거치부(122)는 받침부(121)의 일단으로부터 곡면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거치부(122)의 일단은 받침부(121)의 일단과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거치부(122)와 받침부(121)가 결합되는 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도록 함몰된 결합홈(124)이 형성된다.
제2 밀림방지부(123)는 받침부(121)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고 받침부(121)의 타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2 밀림방지부(123)의 하단은 플랫 모드에서 제1 밀림방지부(117)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거나 제1 밀림방지부(117)의 하단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밀림방지부(117)와 제2 밀림방지부(123)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제2 밀림방지부(123)는 제1 밀림방지부(117)보다 높이가 낮거나 같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 밀림방지부(123)가 제1 밀림방지부(117)보다 높이가 같을 경우, 수평한 지지면을 기준으로 상부 본체(111)와 지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45°라고 가정하면, 제2 밀림방지부(123)가 제1 밀림방지부(117)보다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상부 본체(111)와 지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45°보다 작게 된다.
제2 밀림방지부(123)는 받침부(121)와 거치부(122)가 본체부(110)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이격된 스탠딩 모드에서 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전술한 제1 밀림방지부(117)와 같이 고무 계열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124)은 거치부(122)의 내측면에 거치부(122)와 받침부(121)가 결합되는 선을 따라 소정거리 연장되도록 함몰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홈(124)은 받침부(121)와 거치부(122)가 수용부(112b)으로 안착되는 과정에서 본체부(110)의 내부에 있는 제1 지지 결합부(112c)와 결합되어 플랫 모드를 유지시킨다.
상기한 플랫 모드나 스탠딩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거치부(122)의 내측면에는 거치부(122)와 받침부(121)가 결합되는 선과 평행하면서 소정거리 연장되도록 함몰된 플랫 결합부(124a) 및 플랫 결합부(124a)와 이격되면서 평행한 스탠딩 결합부(124b)가 형성되고, 플랫 모드에서는, 관통부(111a, 112a)와 인접하면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부(110)의 제1 지지 결합부(112c) 끝단이 플랫 결합부(124a)에 삽입되며, 스탠딩 모드에서는, 제1 지지 결합부(112c)의 끝단이 스탠딩 결합부(124b)에 삽입된다.
즉, 플랫 모드에서는 제1 지지 결합부(112c)와 플랫 결합부(124a)가 결합되어 지지부(120)를 본체부(110)에 대해서 고정시키고, 스탠딩 모드에서는 제1 지지 결합부(112c)와 스탠딩 결합부(124b)가 결합되어 지지부(120)를 본체부(110)에 대해서 고정시킨다.
또한, 플랫 결합부(124a) 및 스탠딩 결합부(124b)는 서로 이격되고, 지지부(120)가 관통부(111a, 112a) 내부에서 이동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용 결합부(125)는 받침부(121)의 양측면 상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며, 수용 결합부(125)의 내부로 제2 지지 결합부(115)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한 수용 결합부(125)의 크기는 제2 지지 결합부(115)가 여유 있게 삽입될 만큼 제2 지지 결합부(115)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 모드에서는 제2 지지 결합부(115)와 수용 결합부(125)가 결합되어 받침부(121)를 수용부(112b) 내부에 고정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수용 결합부(125)는 받침부(121)가 수용부(112b)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하부 본체(112)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제2 지지 결합부(115)와 결합되어 받침부(121)가 수용부(112b)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단자부(130)는 일반적으로 무선충전을 할 때, 무선충전기와 전원이 인가되는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보조장치로서, 본체부(110)의 일측부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지지부(120)를 스탠딩 모드나 플랫 모드로 쉽게 전환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지지부(120)를 플랫 모드로 전환 시 상부 및 하부가 평평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이동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형이 매우 심플하게 유지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무선 전력전송부(140)는 단자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141), 회로기판(14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자성체(142) 및 자성체(142)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자성체(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143)을 포함한다.
무선 전력전송부(140)는 무선 충전을 위한 하나의 전력 송신 코일(143)이 감겨져 있는 부분으로서, 코일(143)에서 송출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유도 결합 방식이나 공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부 본체(111)에 위치한 전자 제품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결합 방식이나 공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자 제품으로 전력을 전송해 충전하는 방식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무선충전기의 동작 설명
이하, 도 1,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100)는 스탠딩 모드 및 플랫 모드에서 모두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
우선, 플랫 모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가 본체부(110)에 안착됨에 따라 제1 밀림방지부(117)가 지면을 지지한 상태로 본체부(110)를 지면과 평행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이다. 스탠딩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상부 본체(111)의 상부에 올려 놓으면, 휴대폰의 크기와 상관없이 충전을 할 수 있다.
다음, 스탠딩 모드는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가 슬라이딩되면서 하부 본체(112)으로부터 이탈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이다. 이때 본체부(110)는 지지부(12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위치된다. 사용자는 휴대폰을 거치부(122)와 상부 본체(111)의 상면에 올려 놓으면,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다. 플랫 모드에서는 스탠딩 모드와는 달리 휴대폰의 크기에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으나,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거치부(122)로 인해 보다 안정적으로 무선충전을 실행할 수 있고, 일반적인 거치대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므로 무선충전을 하면서 휴대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무선충전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무선충전기
110 : 본체부
111 : 상부 본체
111a : 상부 관통부
112 : 하부 본체
112a : 하부 관통부
112b : 수용부
112c : 제1 지지 결합부
113 : 조명부재
114 : 방열구
115 : 제2 지지 결합부
116 : 단자홀
117 : 제1 밀림방지부
120 : 지지부
121 : 받침부
122 : 거치부
123 : 제2 밀림방지부
124 : 결합홈
124a : 플랫 결합부
124b : 스탠딩 결합부
125 : 수용 결합부
130 : 단자부
140 : 무선 전력전송부
141 : 회로기판
142 : 자성체
143 : 코일

Claims (9)

  1. 내부에 무선 전력전송부를 수용하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고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되,
    플랫 모드에서는,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밀착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스탠딩 모드에서는,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이격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무선충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 지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플랫 결합부 및 스탠딩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지지 결합부와 상기 플랫 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고정시키고,
    상기 스탠딩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지지 결합부와 상기 스탠딩 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고정시키는
    무선충전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결합부는 상기 관통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플랫 결합부 및 상기 스탠딩 결합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관통부 내부에서 이동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무선충전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랫 모드에서 상기 받침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에 형성된 수용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지지 결합부와 상기 수용 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를 상기 수용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무선충전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부 주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가요성 부재로 형성되는 제1 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플랫 모드에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밀림방지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무선충전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 제2 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림방지부의 하단은 상기 플랫 모드에서 상기 제1 밀림방지부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밀림방지부의 하단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무선충전기.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부 주변에 형성되는 방열구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지닌,
    무선충전기.
KR1020180137016A 2018-11-09 2018-11-09 무선충전기 KR102093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16A KR102093478B1 (ko) 2018-11-09 2018-11-09 무선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16A KR102093478B1 (ko) 2018-11-09 2018-11-09 무선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478B1 true KR102093478B1 (ko) 2020-04-20

Family

ID=7046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016A KR102093478B1 (ko) 2018-11-09 2018-11-09 무선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928B1 (ko) * 2022-08-10 2022-09-21 손요성 맞춤적용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무선충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358U (ko) * 2011-07-06 2013-01-16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KR101797486B1 (ko) * 2017-04-13 2017-11-15 김재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KR20170142738A (ko)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Usb 유무선 하이브리드 충전기
KR20180074372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358U (ko) * 2011-07-06 2013-01-16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KR20170142738A (ko)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Usb 유무선 하이브리드 충전기
KR20180074372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KR101797486B1 (ko) * 2017-04-13 2017-11-15 김재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928B1 (ko) * 2022-08-10 2022-09-21 손요성 맞춤적용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무선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1493B2 (en)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
US9997751B2 (en)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
US8395353B2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60014B1 (en) Adapter for communication device protective frame having back cover mobile power source and the protective frame
US5648712A (en) Universally interchangeable and modular power supply with integrated battery charger
US9698613B2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stand
KR20050066696A (ko) 무선이어폰 충전어댑터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US20180034295A1 (en) Power card and base
CN107210610A (zh) 无线充电站
US20220224156A1 (en) Portable power charger with means for attachment to an electronic device
KR102093478B1 (ko) 무선충전기
JP2023510335A (ja) ワイヤレス充電伝送器及び方法
JP2014087137A (ja) 無接点充電器
KR20160109190A (ko) 단말기 충전 거치대
JP7116002B2 (ja) モバイル端末機用ケース
US10250051B2 (en) Electronic device docking station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US20200366109A1 (en) Portable power bank
US20210044124A1 (en) Dock Base for Wirelessly Charging Intelligent Handheld Devices
WO2019014986A1 (zh) 电子设备保护壳组件
KR102206042B1 (ko) 장패드 탈부착용 무선충전장치
US10811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electronic-device adapter
KR20130130921A (ko) 거치대를 구비한 휴대용 충전지
JP3169098U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