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004B1 -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 Google Patents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004B1
KR102208004B1 KR1020190078839A KR20190078839A KR102208004B1 KR 102208004 B1 KR102208004 B1 KR 102208004B1 KR 1020190078839 A KR1020190078839 A KR 1020190078839A KR 20190078839 A KR20190078839 A KR 20190078839A KR 102208004 B1 KR102208004 B1 KR 102208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rtable terminal
wireless charger
home
of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941A (ko
Inventor
임동인
Original Assignee
(주)정인일렉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인일렉텍 filed Critical (주)정인일렉텍
Priority to KR102019007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0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부에 상방부을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단말기 받침편이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는 사각 판체 형상의 받침판과; 상호 분해조립 가능하게 성형된 전,후면 케이스의 내부에 송신코일과 충전회로기판이 내장되고, 후면에는 정류기의 충전짹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짹 결합포트가 노출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서 후방부를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는 본체;로 구성된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 1/3 지점에서 가로방향으로는 휴대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할 수 있는 절첩형 선반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각종 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 단말기를 상기 절첩형 선반 위에 가로방향으로 경사지게 뉘어 놓고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시청자의 눈과 목 부위에 대한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사용상의 편의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Wireless chargers for home and office}
본 발명은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받침판을 상호 분리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또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책상이나 탁자 또는 바닥 등에서 간단히 조립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를 받침판으로부터 분리시켜 바닥에 뉘어 놓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본체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올려놓고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는 있으며, 또한 본체의 전면에 절첩형 선반을 설치하고 송신코일은 본체의 상방부에만 설치하여 수신코일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세로방향으로 세워 거치하거나 상기 절첩형 선반을 펼친 상태에서 그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하여도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각종 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 단말기를 상기 절첩형 선반 위에 가로방향으로 경사지게 뉘어 놓고 눈이나 목 부위에 큰 무리 없이 시청할 수 있도록 발명한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발기를 충전기 거치대에 거치하고, 휴대 단말기의 일측 또는 저부에 구비된 짹 결합포트에 충전잭(jack)을 직접 연결하여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휴대 단말기에 충전잭을 직접 연결하는 충전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휴대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짹 결합포트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 충전잭과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젠더를 휴대해야 하는데, 이러한 젠더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시에만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젠더가 사용되지 않을 시에는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에 젠더 또는 충전잭을 결합시킬 때에 단말기의 짹 결합포트의 위치를 매번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젠더 또는 충전잭을 분리시킬 때에는 젠더 또는 충전잭의 고정 장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충전중에 휴대 단말기를 잠시 사용해야 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연결된 전선에 의하여 이동 반경이 제한되어 충전중 단말기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또, 휴대 단말기의 짹 결합포트에 젠더 또는 충전잭을 결합하였다 분리하는 동작을 수시로 반복함에 따라, 짹 결합포트의 단자가 마모되고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무선 충전 기술(wireless charging technology)은 전원 코드나 충전용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시장의 폭발적인 증가와 더불어, 무선 충전 기술의 이용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는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풍부한 콘텐츠와 멀티미디어를 언제든지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반면, 배터리 용량의 제약으로 사용시간이 짧은 한계가 있다.
휴대 단말기 시장에서의 무선충전기술은 2010년부터 무선충전대응 휴대 단말기가 등장한 것을 계기로 상황이 크게 바뀌었으며, 2011년 들어서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무선충전 모듈을 탑재하는 제품들이 국내외에서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비접촉 방식의 표준 규격의 확대채용을 목표로 하는 WPC(Wireless Power Consoritum)가 2010년 7월에 5W 이하 출력의 기기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표준 사양을 발표한 이후, 이 단체에 가입하는 업체들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채용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무선 충전 기술은 향후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PC, 모니터, 디지털 TV 등 출력이 큰 기기로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는 전자기 유도방식과 자기공명 방식 등 여러 가지 기술이 논의되고 있는데, 이러한 여러 기술 중에서 제품화, 실용화의 측면에서 우수한 것이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이러한 전자기 유도 방식 즉, 무선 전력 전송은 1차 코일에 인가한 전압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2차측에 기전력을 유도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원리는 통상 1차측 기판 위에 2차측 기판을 내장한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충전이 되는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1차측 기판과 2차측 기판이 수평형태로 배치되어야만 하는 제약이 있고, 또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고 멀어지면 전력 전송 효율이 떨어지며,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충전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시중에서 판매,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무선충전 거치대는 무선충전형 수신코일이 내장된 무선충전기를 무선충전 거치대 상의 고정된 송신코일 위치에 일치시켜 안착한 후에 충전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다 보니, 무선충전기를 눕히거나 또는 세워서 거치시키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2~3개의 송신코일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무선충전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받침판의 상면에 본체가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 거피형 무선 충전기의 경우, 본체의 내부에 전술한 바와 같이 2~3개의 송신코일이 내장됨은 물론 충전회로가 내장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무선 충전기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고자 할 경우, 받침판의 전방부 상면에 휴대 단말기를 세로방향으로 세우거나 가로방향으로 눕힌 상태에서 정해진 각도만큼 경사진 형태를 갖는 본체의 전면에서 거치시켜 놓고 충전시키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 충전기는 본체와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휴대 단말기를 충전시키고자 할 때 거치형태만 가능하여 사무실이나 가정 등에서 책상이나 탁자 또는 바닥 등에 세워 놓고 휴대 단말기 내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밖에 없으며, 휴대하고 다니다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즉, 본체를 바닥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책상이나 탁자 또는 바닥 등에 뉘어 놓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수평방향으로 올려놓고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는 없는 사용상의 불편함)은 물론 휴대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휴대성이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휴대 단말기에는 TV 등을 시청할 수 있는 기능과 동영상 공유 서비스인 유튜브 등을 시청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 휴대 단말기 내 배터리를 충전시키면서 영상들을 시청할 수 있는데, 휴대 단말기를 세로방향으로 세워 놓고 영상들을 시청할 경우 화면 크기에 제한이 있어 휴대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경사지게 뉘어 놓고 이들을 시청하는 경우 화면의 위치가 시청자의 눈높이보다 매우 낮은 위치에 있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영상을 장시간 시청하다 보면 시청자의 눈 시력이나 목뼈 등에 무리를 주어 건강상에 유해를 입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0-0094197호(2010년 08월 26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59784호(2013년 04월 25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797486호(2017년 11월 08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9-0026559호(2019년 03월 13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무선 충전기의 본체와 받침판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본체의 전면 1/3 지점에서 가로방향으로는 절첩형 선반을 설치하며, 송신코일은 본체의 상방부 내에 1개만 설치하여 줌으로써 무선 충전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책상이나 탁자 또는 바닥 등에서 간단히 조립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를 받침판으로부터 분리시켜 바닥에 뉘어 놓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본체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올려놓고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는 있어 무선 충전기의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수신코일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종래 일반 무선 충전기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세워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절첩형 선반을 펼친 상태에서 그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하여도 무선 충전이 가능하여 부품 절감을 통한 생산비를 줄일 수 있고, 특히 각종 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 단말기를 상기 절첩형 선반 위에 가로방향으로 경사지게 뉘어 놓고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시청자의 눈과 목 부위에 대한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사용상의 편의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판의 단말기 받침편 중앙부에 센터 맞춤겸 유동 방지용 돌기를 더 돌출 성형하여 줌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세로방향으로 세운 다음 본체의 전면에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고자 할 때, 본체 내의 송신코일과 휴대 단말기 내의 수신코일을 정확히 상호 일치시킬 수 있어 무선 충전기의 사용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충전중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휴대 단말기이 좌우로 유동되는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부에 상방부을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단말기 받침편이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는 사각 판체 형상의 받침판과; 상호 분해조립 가능하게 성형된 전,후면 케이스의 내부에 송신코일과 충전회로기판이 내장되고, 후면에는 정류기의 충전짹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짹 결합포트가 노출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서 후방부를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는 본체;로 구성된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 1/3 지점에서 가로방향으로는 휴대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할 수 있는 절첩형 선반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체와 받침판이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판의 상면 중앙에는 양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걸림돌기가 구비된 경사형 본체 결합편을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상기 본체의 후면 케이스 저부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는 본체 결합편 삽입홈을 더 형성시켜 주되, 상기 본체 결합편 삽입홈의 양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경사형 본체 결합편의 걸림돌기들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기 결합홈을 각각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는 송신코일은 상기 절첩형 선반의 상방부에 위치되는 본체 내에 1개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받침판의 단말기 받침편 중앙부에는 휴대 단말기를 세로방향으로 세운 다음 본체의 전면에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고자 할 때, 휴대 단말기의 저부에 구비된 짹 결합포트 내에 일부가 끼워져 걸려지는 센터 맞춤겸 유동 방지용 돌기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의하면, 무선 충전기의 본체와 받침판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본체의 전면 1/3 지점에서 가로방향으로는 절첩형 선반을 설치하며, 송신코일은 본체의 상방부 내에 1개만 설치하여 줌으로써 무선 충전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책상이나 탁자 또는 바닥 등에서 간단히 조립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를 받침판으로부터 분리시켜 바닥에 뉘어 놓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본체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올려놓고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는 있어 무선 충전기의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수신코일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종래 일반 무선 충전기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세워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절첩형 선반을 펼친 상태에서 그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하여도 무선 충전이 가능하여 부품 절감을 통한 생산비를 줄일 수 있고, 특히 각종 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 단말기를 상기 절첩형 선반 위에 가로방향으로 경사지게 뉘어 놓고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시청자의 눈과 목 부위에 대한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사용상의 편의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받침판의 단말기 받침편 중앙부에 센터 맞춤겸 유동 방지용 돌기를 더 돌출 성형하여 줌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세로방향으로 세운 다음 본체의 전면에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고자 할 때, 본체 내의 송신코일과 휴대 단말기 내의 수신코일을 정확히 상호 일치시킬 수 있어 무선 충전기의 사용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충전중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휴대 단말기이 좌우로 유동되는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전면에 휴대 단말기를 세워서 거치시킨 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구비된 절첩형 선반을 펼쳐 놓고 휴대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서 본체만 분리시켜 바닥에 눕혀 놓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전면에 휴대 단말기를 세워서 거치시킨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구비된 절첩형 선반을 펼쳐 놓고 휴대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시킨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서 본체만 분리시켜 바닥에 눕혀 놓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부에 상방부을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단말기 받침편(11)이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는 사각 판체 형상의 받침판(10)과; 상호 분해조립 가능하게 성형된 전,후면 케이스(21)(22)의 내부에 송신코일(23)과 충전회로기판(24)이 내장되고, 후면에는 정류기(30)의 충전짹(3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짹 결합포트(25)가 노출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받침판(10)의 상면에서 후방부를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는 본체(20);로 구성된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전면 1/3 지점에서 가로방향으로는 휴대 단말기(40)을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할 수 있는 절첩형 선반(26)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체(20)와 받침판(10)이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판(10)의 상면 중앙에는 양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걸림돌기(121)가 구비된 경사형 본체 결합편(12)을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상기 본체(20)의 후면 케이스(22) 저부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는 본체 결합편 삽입홈(221)을 더 형성시켜 주되, 상기 본체 결합편 삽입홈(221)의 양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경사형 본체 결합편(12)의 걸림돌기(121)들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기 결합홈(222)을 각각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20) 내에 내장되는 송신코일(23)은,
상기 절첩형 선반(26)의 상방부에 위치되는 본체(20) 내에 1개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받침판(10)의 단말기 받침편(11) 중앙부에는 휴대 단말기(40)을 세로방향으로 세운 다음 본체(20)의 전면에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고자 할 때, 본체(20) 내의 송신코일(23)과 휴대 단말기(40) 내의 수신코일(도면 부호 기입 생략함)이 상호 일치되도록 함은 물론 배터리의 충전중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휴대 단말기(40)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휴대 단말기(40)의 저부에 구비된 짹 결합포트(31) 내에 일부가 끼워져 걸려지는 센터 맞춤겸 유동 방지용 돌기(111)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10)과 본체(20)로 이루어진 공지의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중 상기 본체(20)의 전면부에 휴대 단말기(40)을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할 수 있는 절첩형 선반(26)을 더 설치하여, 수신코일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40)을 가로방향으로 눕혀 놓고 휴대 단말기(4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고자 할 때, 상기 절첩형 선반(26)을 펼친 상태에서 그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시켜 놓고도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TV나 유튜브 등에서 제공하는 각종 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때 도 6과 같이 휴대 단말기(40)을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게 상기 절첩형 선반(26) 위에 가로방향으로 경사지게 뉘어 놓고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시청자의 눈과 목 부위에 대한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구성요소 중 상기 받침판(10)은, 기본적으로 전면부에서 상방부을 향해 단말기 받침편(11)이 정해진 각도만큼 경사지게 일체로 구비된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다.
또, 상기 본체(20)는 상호 분해조립 가능하게 성형된 전,후면 케이스(21)(22)의 내부에 송신코일(23)과 충전회로기판(24)이 내장되고, 후면에는 정류기(30)의 충전짹(3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짹 결합포트(25)가 노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체(20)는 상기 받침판(10)의 상면에서 후방부를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공지된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의 구성요소 중 상기 본체(20)의 전면 케이스(21)의 일부를 변형 즉, 상기 전면 케이스(21) 중 대략 1/3 지점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휴대 단말기(40)을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할 수 있는 절첩형 선반(26)을 더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40)을 가로방향으로 눕혀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영상을 보고자 할 때, 종래와 같이 받침판(10)에 구비된 단말기 받침편(11)의 상면에 직접 올려놓지 않고, 상기 절첩형 선반(26)을 도 6과 같이 펼친 상태에서 그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TV나 유튜브 등에서 제공하는 각종 영상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특히, 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때, 상기 본체(20)의 전면 케이스(21)에 구비된 절첩형 선반(26)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40)을 상기 절첩형 선반(26) 위에 가로방향으로 경사지게 뉘어 놓게 되면 휴대 단말기(40)의 화면이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게 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눈과 목 부위에 대한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첩형 선반(26)의 저부 양단부에는 힌지(261)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단부 중간 부분에는 손가락 삽입홈(262)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또한 상기 본체(20)의 전면 케이스(21) 상에는 선반 수납홈(211)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절첩형 선반(26)을 본체(20)의 전면 케이스(21)에 형성된 선반 수납홈(211) 내로 접어 두었을 경우에는 전면 케이스(21) 및 절첩형 선반(26)의 노출면이 상호 일치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무선 충전기를 휴대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도 5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충전할 때 절첩형 선반(26)이 걸리적 거리거나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는데 방해를 주는 일이 전혀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첩형 선반(26)을 전면 케이스(21)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펼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톱을 상기 절첩형 선반(26)의 상단부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262)에 삽입하여 잡아당기면 간단히 펼칠 수 있어 조작상 불편함이 전혀 없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20)와 받침판(10)을 사출 성형할 때 종래와 같이 일체로 성형하지 않고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형성하였다.
즉, 상기 받침판(10)을 성형할 때, 상면 중앙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경사형 본체 결합편(12)을 일체로 돌출 성형하되, 상기 경사형 본체 결합편(12)의 양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걸림돌기(121)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상기 본체(20)의 전,후면 케이스(21)(22) 중 후면 케이스(22)를 성형할 때 저부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경사형 본체 결합편(12)이 삽입될 수 있는 본체 결합편 삽입홈(221)을 더 형성시켜 주되, 상기 본체 결합편 삽입홈(221)의 양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경사형 본체 결합편(12)의 걸림돌기(121)들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기 결합홈(222)을 각각 더 구비시켜 주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를 보관하거나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본체(20)와 받침판(10)을 상호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책상이나 탁자 또는 바닥 등에서 간단히 조립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40)을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20)를 받침판(10)으로부터 분리시켜 휴대 및 이동하다가 도 7과 같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본체(20)만 바닥에 눕혀 놓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40)을 본체(20)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올려놓고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무선 충전기의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전면 케이스(21)에 절첩형 선반(26)을 더 설치하고, 휴대 단말기(40)을 가로방향으로 눕혀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 상기 절첩형 선반(26)를 펼치고 그 상면에 휴대 단말기(40)을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20) 내에 내장되는 송신코일(23)을 종래와 같이 2~3개 설치할 필요 없이 상기 절첩형 선반(26)의 상방부에 위치되는 본체(20) 내에 1개만 설치하여도 휴대 단말기(40)이 어떤 방향으로 거치되더라도 그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를 원활히 무선 충전시켜 줄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40)을 세로방향으로 세우고 받침판(10)의 상면에 거치시켜 놓거나, 절첩식 선반(26)을 펼치고 휴대 단말기(40)을 가로방향으로 눕혀 상기 절첩식 선반(26) 위에 거치시켜 놓을 경우 상기 절첩형 선반(26)의 상방부에 위치되는 본체(20) 내에 설치되어 있는 1개의 송신코일(23)과,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휴대 단말기(40)의 중간부에서 약간 상부에 내장된 형태를 갖는 수신코일이 거의 상호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의 본체(20) 내에 1개의 송신코일(23)만 설치하여도 휴대 단말기 내 배터리에 대한 무선 충전이 가능하므로 부품 절감을 통한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률 저하로 소비자의 만족도는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판(10)의 단말기 받침편(11) 중앙부에 휴대 단말기(40)을 세로방향으로 세운 다음 본체(20)의 전면에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고자 할 때, 휴대 단말기(40)의 저부에 구비된 짹 결합포트(31) 내에 일부가 끼워져 걸려지는 센터 맞춤겸 유동 방지용 돌기(111)를 더 돌출 형성시켜 주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40)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상기 받침판(10)의 단말기 받침편(11) 상면에 올려놓음과 동시에 본체(20)의 전면에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고자 할 때, 휴대 단말기(40)의 저부에 구비된 짹 결합포트(31) 내로 상기 받침판(10)의 단말기 받침편(11)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센터 맞춤겸 유동 방지용 돌기(111)의 일부가 자동으로 끼워져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20) 내의 송신코일(23)과 휴대 단말기(40) 내의 수신코일이 자동으로 정확히 상호 일치되게 되므로 무선 충전기의 성능 및 사용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충전중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휴대 단말기(40)의 짹 결합포트(31) 내로 일부가 삽입된 형태를 유지하는 상기 센터 맞춤겸 유동 방지용 돌기(111)의 걸림 작동에 의해 휴대 단말기(40)이 좌우로 유동되는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받침판 11 : 단말기 받침편
111 : 센터 맞춤겸 유동 방지용 돌기
12 : 경사형 본체 결합편 121 : 걸림돌기
20 : 본체
21 : 전면 케이스 211 : 선반 수납홈
22 : 후면 케이스
221 : 본체 결합편 삽입홈 222 : 걸림돌기 결합홈
23 : 송신코일 24 : 충전회로기판
25 : 짹 결합포트
26 : 절첩형 선반
261 : 힌지 262 : 손가락 삽입홈
30 : 정류기 31 : 충전짹
40 : 휴대 단말기 41 : 짹 결합포트

Claims (4)

  1. 전면부에 상방부을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단말기 받침편이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는 사각 판체 형상의 받침판과; 상호 분해조립 가능하게 성형된 전,후면 케이스의 내부에 송신코일과 충전회로기판이 내장되고, 후면에는 정류기의 충전짹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짹 결합포트가 노출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서 후방부를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는 본체;로 구성된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 1/3 지점에서 가로방향으로는 휴대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눕혀 거치할 수 있는 절첩형 선반을 더 설치하되,
    상기 받침판의 상면 중앙에는 양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걸림돌기가 구비된 경사형 본체 결합편을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상기 본체의 후면 케이스 저부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는 본체 결합편 삽입홈을 더 형성시켜 주되, 상기 본체 결합편 삽입홈의 양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경사형 본체 결합편의 걸림돌기들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기 결합홈을 각각 더 구비시켜 상기 본체와 받침판을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코일은,
    상기 절첩형 선반의 상방부에 위치되는 상기 본체 내에 1개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단말기 받침편 중앙부에 센터 맞춤겸 유동 방지용 돌기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KR1020190078839A 2019-07-01 2019-07-01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KR102208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39A KR102208004B1 (ko) 2019-07-01 2019-07-01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39A KR102208004B1 (ko) 2019-07-01 2019-07-01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41A KR20210002941A (ko) 2021-01-11
KR102208004B1 true KR102208004B1 (ko) 2021-01-26

Family

ID=7412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839A KR102208004B1 (ko) 2019-07-01 2019-07-01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0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820B1 (ko) * 2016-04-08 2017-06-29 임동춘 거치구조를 갖는 무선 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197A (ko) 2009-02-18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KR101259784B1 (ko) 2011-11-29 2013-05-02 김영욱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
KR101620688B1 (ko) * 2014-05-28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 거치대
KR101797486B1 (ko) 2017-04-13 2017-11-15 김재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KR20190026559A (ko) 2018-07-16 2019-03-13 주식회사 오드아이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820B1 (ko) * 2016-04-08 2017-06-29 임동춘 거치구조를 갖는 무선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41A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26767A1 (en)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US20120154991A1 (en) Connector adaptor of electronic device
KR101285084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US8395353B2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354219A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US20120177967A1 (en) Battery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60121953A1 (en) Charging cradle for seating portable device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20110135710A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1281064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204376964U (zh) 移动终端
CN111642884A (zh) 电子设备收纳盒及电子设备组件
KR102208004B1 (ko) 가정 및 사무실용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기
KR101751820B1 (ko) 거치구조를 갖는 무선 충전기
KR200492212Y1 (ko) 무선 충전 및 자동 탈착 가능한 스탠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US20190067965A1 (en) Separable Mobile Power Source Bracket
KR102093478B1 (ko) 무선충전기
TWM614440U (zh) 具有磁吸定位功能的插頭式無線充電器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KR20140001311U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KR101564596B1 (ko) Ac/dc 멀티 어뎁터
US9325199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JP3169098U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KR101632906B1 (ko) 스마트기기의 가구용 충전 거치대
US20210044124A1 (en) Dock Base for Wirelessly Charging Intelligent Handhel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