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60378A1 -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60378A1
WO2022260378A1 PCT/KR2022/007959 KR2022007959W WO2022260378A1 WO 2022260378 A1 WO2022260378 A1 WO 2022260378A1 KR 2022007959 W KR2022007959 W KR 2022007959W WO 2022260378 A1 WO2022260378 A1 WO 20222603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cradle
smart device
electrod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79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현준
채문석
정승주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8581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9833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
Priority to CN202280041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501555A/zh
Publication of WO20222603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603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holding a smart device and a battery coupled to the cradle.
  • a tablet PC is provided at each table of a restaurant or other store, and customers see a screen displayed on the tablet PC, log in, register a coupon, order food, pay for an order, and the like.
  • Examples of using tablet PCs in restaurants and other stores include cases where the tablet PC is simply placed on a table, when the tablet PC is simply mounted on a cradle, and the tablet PC is placed on the cradle and the tablet device is charged through the cradle at the same time. There are cases where this does not happen. Among these, when the tablet PC mounted on the cradle is charged through the cradle, it is the most convenient because the tablet PC is collected from the table one by one to be charged, and the trouble of placing the charged tablet PC on the table again can be saved. it will be a pla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for mounting a smart device and a battery coupled thereto so that the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is made easier than in the prior art.
  • the device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and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based on the device support portion and accommodating a battery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smart device through a device electrode portion provided in the smart device.
  • the cradle for mounting a smart devic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evice electrode part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and in this case, the device support part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a first device support part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evice electrode part with respect to the device electrode part; and a second device support part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and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evice electrode part based on the device electrode part.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may include a first rearwa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a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device support uni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and a second rearwa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a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device support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is provided in a form connecting the first rearward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rearward extension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lower battery support portion supporting a lower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ve.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extends from the rear end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among the ends of the battery lower support por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and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battery.
  • An angle formed between the battery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90° and less than 180°.
  • a groove may be provided in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start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and moving toward a lower side of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may include a first upper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from at least an upp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device support unit and extends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and a second upp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an upper portion of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device support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 the cradle for mounting a smart device is also on the premise that the device electrode part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and in this case, at least a part of the device support part is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 a device support body in contact; and a cradle front electrode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evice support body and connected to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device.
  • the device support body includes a smart device rear contact portion including a front electrode portion of the cradle and contacting a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And it is located below the rear side contact of the smart device, and is recessed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compared to the rear side contact of the smart device,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does not contact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part; may include.
  • the device support part may further include a forward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at least a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device support part body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ward the front side.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arward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from at least a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device supporting part body and extends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 the rearward extension par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lower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radle magnetic body disposed inside the device support body.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an upp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device supporting part body,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 the cradle front electrode part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front side.
  • the cradle front electrode part may be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 a first cradle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with a center on the electrode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 a first cradle groove may b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around the electrode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 the device support part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evice support part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electrode part of the cradle, and is connected to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of th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receiving part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cradle rear electrode part to support.
  •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front side.
  •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 a second cradle groove may b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around the rear electrode part of the cradle.
  • a second cradle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around the rear electrode part of the cradle.
  • the cradle for mounting a smart devic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evice electrode par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mart device, and at this time, the device support part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 the device support body may include a smart device rear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And it is located below the rear side contact of the smart device, and is recessed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compared to the rear side contact of the smart device,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does not contact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part; may include.
  • the device suppor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orwa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a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device support body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lower electrode portion of the cradl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ward direction extension part.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arward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from at least a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device supporting part body and extends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 the rearward extension par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lower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radle magnetic body disposed inside the device support body.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an upp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device supporting part body,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 the device support part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evice support part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electrode part of the cradle, and is connected to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of th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receiving part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cradle rear electrode part to support.
  •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front side.
  •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o the rear side.
  • a cradle groove may b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around the rear electrode part of the cradle.
  • a cradle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body around the rear electrode part of the cradle.
  •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bod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and a battery front electrode portion provided on a front side of the battery body and connected to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device when the battery body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 the battery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magnetic body disposed inside the battery body.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to the front side.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may be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battery to the rear side.
  • a first battery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body around the electrode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battery.
  • a first battery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body around the electrode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battery.
  • the battery body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rear electrode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de unit of an external charging device to supply power through the external charging device.
  •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toward the front side.
  •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battery to the rear side.
  • a second battery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body around the electrode part on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 a second battery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body arou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 the cradle for mounting a smart device includes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battery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smart device,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smart device can be charged.
  • the inconvenience of charging in which power plugs had to be inserted into the cradle one by one in order to charge smart devices, and the inconvenience in management of power plugs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plugs had to be provided to charge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can be solved at onc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a smart device much more easily than in the prior art.
  • 1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smart device.
  • FIG. 1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device shown in FIG. 1A.
  • Figure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mount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shown in Figure 2a.
  •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of FIG. 2 is coupled to the smart device of FIG. 1 .
  • FIG. 4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shown in Figure 4a.
  • FIG. 5 is a modified example of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device shown in FIG. 1B.
  • 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of FIG. 4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of FIG. 3 before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FIG. 6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of FIG. 4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of FIG. 3 and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FIG.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external charging device.
  •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an external charging device is accommodated in a groove of a cradle for mounting a smart device.
  • Figure 9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mount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shown in Figure 9a.
  • FIG. 10A is a view showing the smart device of FIG. 1 ,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of FIG. 9 , and the battery of FIG. 4 befor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FIG. 10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 device of FIG. 1 , the cradle of FIG. 9 , and the battery of FIG. 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FIG. 11A is a modified example of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shown in FIG. 9A.
  • 11B is a modified example of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shown in FIG. 9B.
  • FIG. 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mart device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
  • FIG. 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A is a view showing the smart device of FIG. 12, the cradle of FIG. 13, and the battery of FIG. 4 befor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FIG. 1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 device of FIG. 12 , the cradle of FIG. 13 , and the battery of FIG. 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radles 1000, 1000' and 1000" described below are used to mount the smart devices 100 and 100', and the battery 2000 is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of the cradles 1000, 1000' and 1000". 1200 and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s 100 and 100'.
  • the smart devices 100 and 100' mounted by the cradles 1000, 1000' and 1000" and charged by the battery 2000 are not only a concept including terminals such as tablet PCs and smart phones,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 form in which a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is accommodated in a jacket (ie, a protective case).
  • FIG. 1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smart device 100
  • FIG. 1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device 100 shown in FIG. 1A.
  • the smart device 100 of FIG. 1 shows a form in which the tablet PC 10 is coupled to the jacket 20.
  • the smart device 100 shown in FIG. 1 has a device electrode part 140 on the rear side (ie, the side where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is located).
  •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may include a device electrode plate 141 and one or more device electrodes 142 disposed on the device electrode plate 141 .
  • the device electrode 142 may be two or more ring-shaped unit electrode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device electrode 142 may include two or more rectangular (or circular) unit electrodes arranged in one row or two or more rows.
  •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may be provided in the jacket 20 .
  • the device electrode 142 may include an electrode for power supply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is, the device electrode 142 includes an electrode for data communication and / or a smart device for data communication of the smart device 100, such as updating the software (or firmware) of the smart device 100 ( 100) may include an ID identification electrode for identification (ID) identification.
  • ID ID identification electrode for identification
  •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More specifically,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is the front side (ie, the front side 110 of the smart device 100) from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ie, the side where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is located). )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fact that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is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means that both the device electrode plate 141 and one or more device electrodes 142 constituting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It means that it is located in a recessed position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circular device groove 144 around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 the device groove 144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rectangle or a bar.
  • a magnetic device 1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mart device 100 .
  • the device magnetic body 1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tablet PC 10 or inside the jacket 20 .
  • a magnetic material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not only a magnet but also an object capable of magnetically coupling to a magnet.
  • the device magnetic body 170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a cradle magnetic body 1700, a battery magnetic body 2700, and a charging terminal magnetic body 3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mart device 100 includes the device magnetic body 170 and the cradles 1000' and 1000"
  • the battery 2000 and the charging terminal 3000 to be described later have the magnetic bodies 1700, 2700 and 3700
  • the smart device 1000 can be relatively easily and stably coupled to the cradles 1000' and 1000", the battery 2000, and the charging terminal 3000 by 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s, as well as the device electrode 142 ) and the electrodes 1142, 2220, and 3220 to be described later can also be realized relatively reliably.
  • FIG.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shown in FIG. 2A
  •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of FIG. 2 is coupled to the smart device 100 of FIG. 1 .
  •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pport 1100 and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in addition to the first rear side.
  • the directional extension part 1310, the second rearward extension part 1320, the battery lower support part 1400,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part 1500,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1610 and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1620 Any one or mor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device support part 1100 supports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as one surface of the device support part 1100 contacts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 the battery accommodation unit 1200 is provided based on the device support unit 1100 and accommodates a battery 2000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provided in the smart device 100. do.
  •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
  • the device support part 1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device support part 1110 and a second device support part 1120 .
  • the first device support 11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and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based on.
  • the first device support 1110 may have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econd device support 112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with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as a reference. It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electrode unit 140 .
  • the second device support 1120 may also have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econd device supporter 1120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device supporter 1110 in the right direction.
  • One surface of the first device support part 1110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device support part 1110 support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by directly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100 .
  • the smart device 100 can be stably supported.
  • the first rearward extension portion 1310 extends from at least the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device support portion 1110, and extends from the front side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toward the rear side.
  •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evice supporter 1110 means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device supporter 1110 based on the center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econd rearward extension portion 1320 extends from at least the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device support portion 1120, and extends from the front side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toward the rear side.
  •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evice supporter 1120 means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device supporter 1120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battery lower support part 140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arward extension part 1310 and the second rearward extension part 1320, and more specifically, the battery lower support part 1400 is the first rearward extension part 1310 And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connecting the second rearward extension portion 1320.
  • the lower battery support 1400 serves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0.
  • the lower battery support 14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 the battery lower support part 1400 forms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together with the first device support part 1110 and the second device support part 1120 . That is, the first device support part 1110 forms the left edg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the second device support part 1120 forms the right edg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and the battery lower support part 1400 forms a lower edg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Furthermore,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0 to be described later forms a rear edg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0, and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1610 and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1620 form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form the upper border.
  • Battery lower support 1400 may have a front end 1410 , a left end 1420 , a right end 1430 and a rear end 1440 .
  • the front end 1410 is an end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among the ends of the lower battery support 1400 .
  • the front end 1410 may contact the rear sid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left end 1420 is an end located on the left side among the ends of the lower battery support 1400
  • the right end 1430 is an end located on the right side among the ends of the lower battery support 1400.
  • the left end 1420 may abut the first posterior extension 1310 and the right end 1430 may abut the second posterior extension 1320 .
  • the rear end 1440 is an end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among the ends of the battery lower support 1400,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0 extends from the rear end 1440 of the lower battery support 1400 to the upper side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and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0 It serves to prevent departure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ar side.
  • the first upper extension portion 1610 extends from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device support portion 1110, and extends from the front side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toward the rear side.
  •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evice supporter 1110 means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device supporter 1110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econd upper extension portion 1620 extends from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device support portion 1120, and extends from the front side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toward the rear side.
  •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device supporter 1120 means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evice supporter 1120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upper extension portions 1610 and 1620 form an upper edg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and at the same time,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is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It serves to prevent devia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upper side.
  • the remaining amount display part 2800 of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displays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power stored in (2000).
  • FIG. 4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2000 shown in FIG. 4A
  • the battery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body 2100 and a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rear electrode part 2300. .
  • the battery body 210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ttery body 2100 .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is connected to the device electrode part 140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device 100.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may include a battery front electrode plate 2210 and one or more battery front electrodes 2220 disposed on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late 2210 .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may include two or more rectangular (or circular) unit electrodes arranged in one row or two or more rows. Alternatively,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may include two or more ring-shaped unit electrode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may include a power supply electrode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
  •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2000 to the front side, as shown in FIG. 4A .
  • a battery magnetic body 27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attery body 2100 .
  • the battery magnetic body 2700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device magnetic body 170 , a cradle magnetic body 17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charging terminal magnetic body 3700 .
  • the battery 2000 includes the battery magnetic body 2700, the coupling between the battery 2000 and the smart device 100, the coupling between the battery 2000 and the cradles 1000' and 1000", and the battery ( 2000) and the charging terminal 3000 are magnetically coupled, the battery 2000 can be more easily and stably coupled to the smart device 100, cradles 1000' and 1000", and the charging terminal 3000.
  •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or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can be realized relatively reliably.
  • the device groove 144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around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around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
  • a discontinuous or continuous circular first battery protrusion 2140 is provided around the front electrode part 2200 of the battery with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as the center.
  • the first battery protrusion 2140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bar shape.
  • the first battery protrusion 2140 may b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device groove 144 of the smart device 100 shown in FIG. 1B.
  • the battery 20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smart device 100, whereb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can be stably made.
  • the first battery protrusions 2140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stabl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battery protrusions 2140 and the device groove 144 can be achieved. Accordingly, a relatively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can be made.
  • FIG. 5 is a modified example of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device shown in FIG. 1B.
  •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shown in FIG. 5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More specifically,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to the rear side.
  • the fact that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means that both the device electrode plate 141 and one or more device electrodes 142 constituting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It means that it is located in a place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of the battery 2000 faces from the front side of the battery 2000 to the rear side. direction, it may be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 FIG. 4B shows the battery rear electrode portion 2300,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ortion 2200 is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in FIG. 4B the battery rear electrode portion 2300 ) is the same as the shap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is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In this case, since mechanical coupling can be made between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electrode 142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can be easily made.
  •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has discontinuous or continuous circular device protrusions 147 around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centered on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 the device protrusion 147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bar shape.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ortion 2200 is centered on the front surfac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circular first battery groove may be provided around 2200 .
  • the first battery recess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bar shape.
  • FIG. 4B shows the second battery groove 2170 provided arou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2300,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irst battery groove tha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may be the same as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second battery groove 2170 shown in FIG. 4B.
  • Such a first battery groove may be mechanically coupled with the device protrusion 147 of the smart device 100 shown in FIG. 5 .
  • the battery 2000 is a smart device. 100, so that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made between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 the first battery grooves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rou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a stabl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battery groove and the device protrusion 147 can be achieved, and thus the battery front electrod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2220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can be made relatively stable.
  •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2300 shown in FIG. 4B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body 210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2300 is an external electrode part (eg, the later-described charging terminal 3000) of an external charging device (eg, a charging terminal 3000 to be described later)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body 2100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to supply power through the external charging device.
  • an external electrode part eg, the later-described charging terminal 3000
  • an external charging device eg, a charging terminal 30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external charging device includes an external electrode unit (eg, a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to be described later), a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a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and a device electrode unit 140 Through, it can be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the cradle 1000 (see FIG. 6B).
  • an external electrode unit eg, a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to be described later
  • a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e.g, a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 a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e.g., a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and a device electrode unit 140 Through, it can be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the cradle 1000 (see FIG. 6B).
  •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external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n external electrode unit (eg, a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to be described later), a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a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and a cradle rear electrode unit. 1150, the cradle front side electrode unit 1140, and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it can be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the cradle 1000 (see FIG. 10B).
  • an external electrode unit eg, a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to be described later
  • a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e.g, a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and a cradle rear electrode unit.
  • 1150, the cradle front side electrode unit 1140, and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it can be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the cradle 1000 (see FIG. 10B).
  •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2300 is an external electrode part (eg, a charging terminal 3000 to be described later) of an external charging device (eg, a charging terminal 3000 to be described later) even when the battery body 2100 is not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 a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to be described later),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external charging device, and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external charging device is stored in the battery 2000.
  • an external electrode part eg, a charging terminal 3000 to be described later
  • an external charging device eg, a charging terminal 30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may include a battery rear electrode plate 2310 and one or more battery rear electrodes 2320 disposed on the battery rear electrode plate 2310 .
  •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may be two or more ring-shaped unit electrode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may include two or more rectangular (or circular) unit electrodes arranged in one row or two or more rows.
  •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may include a power supply electrode used to supply power through an external charging device.
  •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2300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2000 to the front side.
  • the battery rear electrode portion 2300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battery 2000 to the rear side.
  • FIG. 4A shows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ortion 2200
  • the form in which the battery rear electrode portion 2300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is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ortion 2200 in FIG. 4A.
  • the shape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is the same as the shape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 the terminal electrode part 3200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3130 of the terminal body 3100 corresponds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7, the form of the terminal electrode portion 3200 recessed is, for example, in FIG. 4B, the battery rear electrode portion 2300 is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Since a mechanical coupling with (same as) can be mad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and the terminal electrode 3220 can be easily made.
  •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circular second battery groove 2170 arou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is centered on the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 the second battery groove 2170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bar shape.
  • the second battery groove 2170 may b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terminal protrusion 3140 of the charging terminal 3000 .
  • the battery 20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charging terminal 3000, whereb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and the terminal electrode 3220 can be stably made.
  • the second battery groove 2170 is provided symmetrically arou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2300, stabl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second battery groove 2170 and the terminal protrusion 3140 can be achieved. , Accordingl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and the terminal electrode 3220 can be relatively stable.
  • discontinuous or continuous circular second battery protrusions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around the rear electrode unit 2300 at the center of the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
  • the second battery protrusion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bar shape.
  • FIG. 4A shows the first battery protrusion 2140 provided arou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second battery protrusion that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may be the same as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irst battery protrusion 2140 shown in FIG. 4A.
  • Such a second battery protrusion corresponds to a terminal groove provided around the terminal electrode part 3200 with the terminal electrode part 3200 as the center (corresponds to a modified example of FIG. 7 described later, and the shape of the terminal groove is, for example, shown in FIG. 4B It may be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second battery groove 2170 provided arou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2300) and mechanical coupling may be made.
  • th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second battery protrusion and the terminal groove is performed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e above-described 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battery magnetic body 2700 and the terminal magnetic body 3700, the battery 200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3000.
  • FIG. 6A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attery 2000 of FIG. 4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of FIG. 3, before the device electrode part 140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6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2000 of FIG. 4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of FIG. 3 and the device electrode part 140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battery 2000 has the front sid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facing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body 2100 is seated on the lower battery support 1400.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in the form. In this case, the battery 20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cradle 1000 toward the rear side due to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0 forming the rear edg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0 .
  • the rectangular battery 2000 is suitabl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and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Separation of the accommodated battery 2000 can be reliably prevented.
  • the angle between the lower battery support 1400 and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0 is greater than 90 ° and less than 180 °
  • the battery 2000 is first se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in an inclined state (FIG. 6A ), then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may be connected using magnetic force between the device magnetic body 170 and the battery magnetic body 2700 (FIG. 6B).
  • the angle between the lower battery support 1400 and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0 is greater than 90° and less than 18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becomes easy. .
  • the angle formed by the battery lower support part 1400 and the battery detachment prevention part 1500 is greater than 90° and less than 180°.
  • FIG.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external charging device. 7 shows a charging terminal 3000 as one of external charging devices.
  • the charging terminal 3000 may include a terminal body 3100, a terminal electrode part 3200, a terminal magnetic body 3700, a terminal line 3800, and a terminal connector 3900.
  • the terminal body 310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3130 of the terminal body 3100 .
  • the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is connected to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or the cradle rear electrode unit 1150 to be described later to supply (ie, charge) power to the smart device 100, and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and It connects and serves to supply (ie, charge) power to the battery 2000.
  • the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may include a terminal electrode plate 3210 and one or more terminal electrodes 3220 disposed on the terminal electrode plate 3210 .
  • the terminal electrode 3220 may include two or more rectangular (or circular) unit electrodes arranged in one row or two or more rows. Alternatively, the terminal electrode 3220 may be two or more ring-shaped unit electrode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 the terminal electrode 3220 may include an electrode for power supply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or the battery 2000 .
  • the terminal magnetic body 37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body 3100 .
  • the terminal magnetic body 3700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device magnetic body 170, the battery magnetic body 2700, or the cradle magnetic body 1700 described later.
  • the charging terminal 3000 includes the terminal magnetic body 3700, coupling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3000 and the smart device 100, coupling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3000 and the cradle 1000', 1000",
  • the coupling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3000 and the battery 2000 is made magnetically, the charging terminal 3000 can more easily and stably attach to the smart device 100, the cradle 1000', 1000" and the battery 2000.
  •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electrode 3220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the terminal electrode 3220 a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and the terminal electrode 3220 and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This can be realized with relative certainty.
  • Discontinuous or continuous circular terminal protrusions 3140 around the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3130 of the terminal body 3100.
  • the terminal protrusion 3140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bar shape.
  • the terminal protrusion 3140 is a device groove 144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shown in FIG. 1B and a second battery groov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shown in FIG. 4B. 2170 or the second cradle groove 1137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136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shown in FIG. 9B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echanically coupled.
  • the charging terminal 30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smart device 100 (or the battery 2000, the cradle 1000', 1000"), and thus the terminal electrode 3220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or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and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can be stably electrically connected.
  •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circular terminal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3130 of the terminal body 3100 around the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with the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as the center.
  • the terminal groove may have a shape other than circular.
  • the terminal groove corresponds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7 as described above, and its shape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battery groove 2170 provided arou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2300 in FIG. 4B, for example. can do.
  • the terminal groove is a device protrusion 147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shown in FIG. 5, and a second battery protrusion that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as described above ( (not shown), or a second cradle protrusion 1138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136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shown in FIG. 11B to be described later.
  • the charging terminal (30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smart device 100 (or the battery 2000, the cradle 1000', 1000"), whereby the terminal electrode 3220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and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can be stably made.
  • the terminal line 3800 serves to electrically or communicatively connect the terminal body 3100 and the terminal connector 3900.
  • the terminal connector 3900 is connected to, for example, a USB terminal of a computer or the like, and serves to supply DC power output from the computer to the smart device 100.
  • a terminal LED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3100 to indicate the realization of the connec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an external charging device, for example, a terminal line 3800 of a charging terminal 3000 is accommodated in a groove 1550 of a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 the groove 1550 may be provided in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0 . More specifically, a groove 1550 may be provided in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ng unit 1500 start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ng unit 1500 and moving toward a lower side of the battery separation preventing unit 1500 .
  • the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10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one only by the battery 2000, but can be done by any external charging device such as the charging terminal 3000. may be
  • FIG. 9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shown in FIG. 9A
  • 10A is a view showing the smart device of FIG. 1, the cradle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of FIG. 9, and the battery of FIG. 4 before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FIG. 10B is the smart device of FIG. 1, the cradle of FIG. 9, and the FIG. It is a drawing showing how the batteries of 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accommodates the device support 1100 and the battery, like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section 1200.
  • the device support 1100 supports the rear of the smart device 100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device support 1100 contacts the rear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 the battery accommodation unit 1200 is provided based on the device support unit 1100 and accommodates a battery 2000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provided in the smart device 100. do.
  • the device support 1100 includes a device support body 1130 and a cradle front electrode 1140, and other cradle rear electrodes. At least one of the portion 1150 and the forward extension portion 116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at least a portion of it contacts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
  • the device support unit 1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is shown in FIG. exposed as it is.
  • the device support unit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the device It is covered by the support body 1130 and the front electrode part 1140 of the cradle.
  •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may include a smart device rear contact portion 1131 and a smart device rear non-contact portion 1132 .
  • the smart device rear contact portion 1131 is a portion having the cradle front electrode portion 1140 and a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
  • the smart device rear non-contact portion 1132 is located below the smart device rear contact portion 1131, and fac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compared to the smart device rear contact portion 1131. It is recessed in the direction, and is a part that does not contact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In addition, since the smart device rear side non-contact portion 1132 is a portion that does not contact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it is a portion that does not include the cradle front electrode portion 1140.
  • the rear side (or rear sid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contacts the front side 3130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 the smart device rear non-contact portion 1132 below the smart device rear contact portion 113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ea where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contacts the cradle 1000'.
  • the smart devi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ear side (or rear side 120) of the device 100 and the front side 3130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is reduced, so that the smart device 100 can be easily mounted and released from the cradle 1000'. be able to
  • the cradle front electrode part 114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nd is connected to the device electrode part 140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device 100 .
  • the cradle front electrode part 1140 may include a cradle front electrode plate 1141 and one or more cradle front electrodes 1142 disposed on the cradle front electrode plate 1141 .
  • the cradle front electrode 1142 may include two or more rectangular (or circular) unit electrodes arranged in one row or in two or more rows. Alternatively, the cradle front electrode 1142 may be two or more ring-shaped unit electrode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 a power supply electrode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may be included in the cradle front electrode 1142 .
  •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 the cradle front electrode part 1140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1133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to the front side, as shown in FIG. 9A.
  • a cradle magnetic body 17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
  • the cradle magnetic body 1700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device magnetic body 170 , the battery magnetic body 2700 and the charging terminal magnetic body 3700 .
  • the cradle 1000' includes the cradle magnetic body 1700, coupling between the cradle 1000' and the smart device 100, coupling between the cradle 1000' and the battery 2000, and the cradle 1000
  • the coupling between ') and the charging terminal 3000 is made magnetically, the cradle 1000' can be more easily and stably coupled to the smart device 100, the battery 2000, and the charging terminal 3000.
  •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radle front electrode 1142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and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and the terminal electrode 3220 are relatively certain. can be realized.
  • the device groove 144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around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around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
  • a discontinuous or continuous circular first cradle protrusion 113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1133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round the front electrode unit 1140 of the cradle with the front electrode unit 1140 as the center. It can be.
  • the first cradle protrusion 1134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bar shape.
  • the first cradle protrusion 1134 may b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device home 144 of the smart device 100 shown in FIG. 1B.
  • the cradle 10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smart device 100, whereb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radle front electrode 1142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can be stably made.
  • first cradle protrusions 1134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electrode part 1140 of the cradle, stabl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cradle protrusions 1134 and the device groove 144 can be achieved. Accordingl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radle front electrode 1142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can be relatively stable.
  • FIG. 11A is a modified example of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1000' shown in FIG. 9A.
  • 11A differs from FIG. 9A only in that the shape of the cradle front electrode part 1140 and the first cradle groove 1135 are provided instead of the first cradle protrusion 1134.
  • FIG. 9A is mentioned. The description of one component can be applied as it is to the component shown in FIG. 11A. Therefore, in the following, only the parts with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 the cradle front electrode part 1140 is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1133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in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to the rear side, as shown in FIG. 11A. can
  • device protrusions 147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around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around the device electrode portion 140 .
  •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circular first cradle groove 1135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1133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round the cradle front electrode part 1140 as the center. It can be.
  • the first cradle groove 1135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bar shape.
  • the first cradle groove 1135 may be mechanically coupled with the device protrusion 147 of the smart device 100 shown in FIG. 5 .
  • the cradle 10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smart device 100, whereb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radle front electrode 1142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can be stably made.
  • first cradle grooves 1135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electrode part 1140 of the cradle, stabl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cradle grooves 1135 and the device protrusions 147 can be achieved. Accordingl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radle front electrode 1142 and the device electrode 142 can be relatively stable.
  • the cradle rear electrode unit 115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front electrode unit 1140 .
  •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115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of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in the cradle 1000'. let it bear That is, when the battery body 2100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shown in FIG.
  •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2000 is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1150, the cradle Through the front electrode part 1140 and the device electrode part 140, it can be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the cradle 1000'.
  • the cradle rear electrode unit 115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without relying on the battery 2000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the cradle 1000'.
  • power supplied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3000 passes through the terminal electrode unit 3200, the cradle rear electrode unit 1150, the cradle front electrode unit 1140, and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and then the cradle 1000'. It can be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 the battery front electrode part 2200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
  • the cradle rear electrode portion 1150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1136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to the front side, as shown in FIG. 9B.
  •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1150 is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1136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In this case, since a mechanical coupling can be made between the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and the cradle rear electrode unit 1150,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and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can be easily made.
  • the front side 2130 of the battery body 2100 may have a first battery protrusion 2140 around the front side electrode portion 2200 centering on the front side electrode portion 2200 of the battery. have.
  •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circular second cradle groove 1137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136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round the rear electrode unit 1150 of the cradle with the rear electrode unit 1150 as the center. It can be.
  • the second cradle groove 1137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bar shape.
  • the second cradle groove 1137 may b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first battery protrusion 2140 of the battery 2000 shown in FIG. 4A.
  • the battery ( 20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cradle 1000', and thereb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can be stably made.
  • the second cradle grooves 1137 are provided symmetrically around the cradle rear side electrode part 1140, stabl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radle grooves 1137 and the first battery protrusion 2140 can be achieved. Accordingl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and the battery front electrode 2220 can be relatively stable.
  • FIG. 11B is a modified example of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1000' shown in FIG. 9B.
  • 11B differs from FIG. 9B only in the shape of the cradle rear side electrode part 1150 and in that the second cradle protrusion 1138 is provided instead of the second cradle groove 1137.
  • FIG. 9B is mentioned. The description of one component may be applied as it is to the component shown in FIG. 11B. Therefore, in the following, only the parts with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 the battery rear electrode portion 2300 shown in FIG. 4B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electrode portion 3200 of the charging terminal 3000 shown in FIG. 7, in some cases the battery rear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4B ( 230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rt 1150 on the rear side of the cradle of the cradle 1000' shown in FIG. 11B. That is, the battery body 21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shown in FIG. 11B. In this case, the battery rear electrode part 2300 shown in FIG. 4B is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1150 shown in FIG. 11B. connect with
  • the battery rear electrode portion 2300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
  •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1150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1136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to the rear side, as shown in FIG. 11B. can
  • a second battery groove 217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2160 of the battery body 2100 arou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arou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unit 2300.
  • a discontinuous or continuous circular second cradle protrusion 1138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136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round the rear electrode unit 1150 of the cradle with the rear electrode unit 1150 as the center. It can be.
  • the second cradle protrusion 1138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bar shape.
  • the second cradle protrusion 1138 may b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second battery groove 2170 of the battery 2000 shown in FIG. 4B.
  • the battery ( 20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cradle 1000', and thu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a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can be stably made.
  • the second cradle protrusions 1138 are provided symmetrically around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1150, stabl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radle protrusions 1138 and the second battery groove 2170 can be achieved. Accordingl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radle rear electrode 1152 and the battery rear electrode 2320 can be made relatively stably.
  • the device support 1100 may further include a forward extension 1160 .
  • the forward extension portion 1160 extends from at least the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nd extends from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toward the front side.
  • the lower side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refers to a lower portion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orward extension 1160 expands the area where the cradle 1000' contacts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the cradle 1000' as shown in FIG. , Contribute to the stable installation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a smart device includ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evice support 1100 and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a rearward extension 1300 and an upper extension 1600. Any one or mor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rearward extension 1300 extends from at least the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unlike the frontward extension 1160,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 extends from the anterior to the posterior.
  • the rearward extension 1300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where the smart device 100 is mounted based on the cradle 1000' (ie, the front side based on the cradle 1000' in FIG. 10B) (ie, the cradle in 10b).
  • the cradle 1000' expand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table mounting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rearward extension part 1300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thereby extending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I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side. In this case, the rearward extension part 1300 further expands the area where the cradle 10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so that the smart device ( 100) and stable accommodation of the battery 2000.
  • the rearward extension part 1300 forms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together with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 That is,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forms a front rim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 and the rearward extension portion 1300 forms a lower rim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 Furthermore, the upper extension part 1600 to be described later forms an upper edg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 the rearward extension 1300 is provided with a groove 1350 start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arward extension 1300 and moving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rearward extension 1300. It can be. That is, when the groove 1350 is provided in the rearward extension part 1300, the entry and exit of the terminal line 3800 becomes easy, and as a result, the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the cradle 1000' is further enhanced. can be easily done.
  • the upper extension portion 1600 extends from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nd extends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smart device mounting cradle 1000' to the rear side.
  • the upper side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refers to an upper portion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upper extension portion 1600 forms an upper edg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and at the same time,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extend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It serves to prevent devia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heading.
  • An opening 165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extension part 1600 in a direction start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upper extension part 1600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upper extension part 1600 .
  • the opening 1650 is to facilitate checking the remaining amount of power stored in the battery 2000 through the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2800 of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200 .
  • FIG. 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mart device 100'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Unlike the smart device 100 of FIG. 1, the smart device 100' of FIG. 12 shows only the tablet PC 10 alone. One end (eg, lower end) of the smart device 100 'shown in FIG. 12 is provided with a device electrode unit 140.
  • FIG. 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10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a is a smart device 100' of FIG. 12, a cradle 1000" of FIG. 13 and a battery 2000 of FIG. )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FIG. 14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smart device 100' of FIG. 12, the cradle 1000" of FIG. 13, and the battery 2000 of FIG. 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 the cradle 1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 the cradle magnetic body 17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nd the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1000′′ shown in FIG. 13 is as shown in FIG. 9b (or FIG. 11b). Therefore, hereinafter,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cradle 1000" Like the cradl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cradle 1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support part 1100 and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 the device supporter 1100 supports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device supporter 1100 contacts the rear surface 120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0 is provided based on the device support part 1100, and a battery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device electrode part 140 provided in the smart device 100' ( 2000) are accepted.
  • the device support 1100 may include a device support body 1130 and a cradle lower electrode portion 1170.
  •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cradl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t least a portion contacts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cradle front electrode part 114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whereas the cradle 10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the cradle lower electrode part 117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 the cradle lower electrode unit 1170 is connected to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of the smart device 100' shown in FIG. 12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device 100'.
  • the cradle lower electrode unit 117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C-type terminal or a 5-pin terminal, and as shown in FIG. 14,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provided at one end of the smart device 100' can be inserted into
  • the cradle lower electrode part 117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orm, and the cradle lower electrode part 1170 is also disposed on the cradle lower electrode plate and the cradle lower electrode plate like the cradle front electrode part 1140.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being made of one or more cradle lower electrodes.
  • the device support part 1100 includes the cradle rear electrode part 1150 and the forward extension part ( 1160)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r more.
  • the cradle rear electrode unit 115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lower electrode unit 1170.
  • the cradle rear electrode unit 115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of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0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device 100'. do.
  •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200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on unit 1200 is the battery front electrode unit 2200, the cradle rear electrode unit 1150, the cradle lower electrode unit 1170, and the device electrode unit 140 Through, it can be used to charge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the cradle 1000".
  • the forward extension 1160 extends from at least the lower 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device support body 1130, and the rear side of the cradle 1000" for mounting the smart device.
  • the lower cradle electrode part 1170 may be provided in the forward direction extension part 1160, and in this case, the forward direction extension part 1160 and the lower cradle electrode part 1170 By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mart device 100' mounted on the cradle 1000" together, it contributes to the stable mounting of the smart device 100.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을 지지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하여 크래들에 전원 플러그를 일일이 꽂아야만 했던 충전상의 불편함, 나아가 다수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시키기 위해서 다수 개의 전원 플러그를 마련해야만 했던 전원 플러그의 관리상의 불편함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거치하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에 결합되는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비대면 주문 방식이 주목 받고 있는 최근 추세에 따라, 음식점 기타 매장에서는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해서 고객의 주문을 받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태블릿 PC는 음식점 기타 매장의 테이블마다 비치되어 있으며, 고객은 태블릿 PC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고, 로그인, 쿠폰 등록, 음식 주문, 주문 결재 등을 진행한다.
음식점 기타 매장에서 태블릿 PC를 활용하는 사례를 들면, 태블릿 PC가 테이블 위에 단순 비치되어 있는 경우, 태블릿 PC가 크래들에 단순 거치되어 있는 경우, 태블릿 PC가 크래들에 거치됨과 동시에 크래들을 통해 태블릿 기기의 충전이 이루지는 경우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크래들에 거치된 태블릿 PC가 크래들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태블릿 PC를 테이블로부터 일일이 수거해서 충전을 수행하고, 충전 완료된 테블릿 PC를 다시 테이블에 비치하는 수고를 덜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편리한 방안이라 할 것이다.
다만, 크래들을 통해 태블릿 PC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사례를 들여다보면, 크래들에 전원 플러그를 일일이 꽂아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다수 개의 태블릿 PC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전원 플러그 역시 다수 개를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원 플러그의 관리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US 7311526 B2 (2007.12.25.)
US 7517222 B2 (2009.04.14.)
US 7637746 B2 (2009.12.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충전이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을 지지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구비되는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디바이스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제1 디바이스 지지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후측 방향 연장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지지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제1 후측 방향 연장부와 상기 제2 후측 방향 연장부를 잇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하측을 지지하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배터리 하측 지지부의 단부들 중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단부로부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측 지지부와 상기 배터리 이탈 방지부가 이루는 각도는 90°이상이고 180°미만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이탈 방지부에는, 상기 배터리 이탈 방지부의 상측에서 시작해서, 상기 배터리 이탈 방지부의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제1 디바이스 지지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상측 연장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지지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상측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역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구비되는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에 비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지 않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측 방향 연장부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하측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크래들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크래들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크래들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크래들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크래들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하측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에 비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지 않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부는 상기 전측 방향 연장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측 방향 연장부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하측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크래들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크래들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크래들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몸체; 및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몸체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될 경우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배터리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배터리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며, 외부 충전 기기의 외부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전원을 수급하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배터리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배터리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를 수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 크래들에 전원 플러그를 일일이 꽂아야만 했던 충전상의 불편함, 나아가 다수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시키기 위해서 다수 개의 전원 플러그를 마련해야만 했던 전원 플러그의 관리상의 불편함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비해 훨씬 더 수월하게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예시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이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배터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b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6a는 도 4의 배터리가 도 3의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되, 디바이스 전극부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도 4의 배터리가 도 3의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되, 디바이스 전극부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외부 충전 기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외부 충전 기기의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홈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9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9의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도 9a에 나타낸 크래들의 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11b는 도 9b에 나타낸 크래들의 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12는 도 1과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2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13의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2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13의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디까지나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구체화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점선 표시는 어떤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는 다른 구성요소(즉,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숨겨진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이점 쇄선 표시는 인접해 있는 구성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크래들(1000, 1000', 1000")은 스마트 디바이스(100, 100')를 거치하는 데에 활용되고, 배터리(2000)는 크래들(1000, 1000', 1000")의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어 스마트 디바이스(100, 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된다. 여기서, 크래들(1000, 1000', 1000")에 의해 거치되고, 배터리(2000)에 의해 충전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 100')는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일 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가 자켓(즉, 보호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a는 예시적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태블릿 PC(10)가 자켓(20)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후측(즉,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이 위치하는 쪽)에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디바이스 전극판(141)과, 상기 디바이스 전극판(141)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전극(142)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전극(142)은 둘 이상의 고리 형상의 단위 전극이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디바이스 전극(142)은 둘 이상의 직사각형 형상(또는, 원 형상)의 단위 전극이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자켓(20)에 구비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전극(142)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시키는 데 활용되는 전원 공급용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디바이스 전극(142)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소프트웨어(또는,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등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이터 통신용 전극 및/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ID(identification) 식별을 위한 ID 식별용 전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즉,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이 위치하는 쪽)에서 전측(즉,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전면(110)이 위치하는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전극부(14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다는 것은,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구성하고 있는 디바이스 전극판(141) 및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전극(142) 모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디바이스 홈(144)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홈(144)은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내부에는 디바이스 자성체(170)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 자성체(170)는 태블릿 PC(1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자켓(2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자성체라 함은 마그네트뿐 아니라, 마그네트에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물체를 의미한다.
디바이스 자성체(170)는 후술하는 크래들 자성체(1700), 배터리 자성체(2700), 충전 터미널 자성체(3700)와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디바이스 자성체(170)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크래들(1000', 1000"), 배터리(2000) 및 충전 터미널(3000)이 자성체(1700, 2700, 3700)를 구비할 경우에는, 자성체들 간 자기적 결합에 의해 스마트 디바이스(1000)가 크래들(1000', 1000"), 배터리(2000) 및 충전 터미널(3000)에 비교적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디바이스 전극(142)과 후술하는 전극(1142, 2220, 3220) 간 전기적 접속 역시 비교적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이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은 디바이스 지지부(1100) 및 배터리 수용부(1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1 후측 방향 연장부(1310), 제2 후측 방향 연장부(1320),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 제1 상측 연장부(1610) 및 제2 상측 연장부(16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의 일면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접촉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한다.
배터리 수용부(12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2000)를 수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 및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거치할 경우,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배치되되,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기준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거치할 경우,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배치되되,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기준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 역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를 기준으로 해서 우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일면 및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일면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 및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하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후측 방향 연장부(1310)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하측이라 함은,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아래쪽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제2 후측 방향 연장부(1320)는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하측이라 함은,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아래쪽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후측 방향 연장부(1310, 1320)는 크래들(1000)이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확대해주거나(도 2 참고), 크래들(1000)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도 3 참고),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에 기여한다.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제1 후측 방향 연장부(1310)와 제2 후측 방향 연장부(1320) 사이에 마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제1 후측 방향 연장부(1310)와 제2 후측 방향 연장부(1320)를 잇는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하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 및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와 함께 배터리 수용부(1200)를 형성한다. 즉,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좌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우측 테두리를 형성하며,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하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나아가, 후술하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후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제1 상측 연장부(1610) 및 제2 상측 연장부(162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전측 단부(1410), 좌측 단부(1420), 우측 단부(1430) 및 후측 단부(1440)를 가질 수 있다. 전측 단부(1410)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의 단부들 중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 위치하는 단부이다. 디바이스 지지부(11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할 경우, 전측 단부(141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접촉할 수 있다. 좌측 단부(1420)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의 단부들 중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단부이고, 우측 단부(1430)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의 단부들 중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단부이다. 좌측 단부(1420)는 제1 후측 방향 연장부(1310)에 접해 있을 수 있고, 우측 단부(1430)는 제2 후측 방향 연장부(1320)에 접해 있을 수 있다. 후측 단부(1440)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의 단부들 중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측에 위치하는 단부로서, 후술하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와 접해 있을 수 있다.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의 후측 단부(1440)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상측 연장부(1610)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상측이라 함은,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위쪽 부분을 의미한다.
제2 상측 연장부(1620)는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상측이라 함은,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위쪽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측 연장부(1610, 162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함과 동시에,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제1 상측 연장부(1610) 및 제2 상측 연장부(1620)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잔량 표시부(2800)를 통해 배터리(2000)에 저장된 전원의 잔량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20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배터리(20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2000)는 배터리 몸체(2100) 및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포함하며,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몸체(2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된다.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배터리 몸체(2100)의 전측에 구비된다. 배터리 몸체(2100)가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될 경우,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접속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배터리 전측 전극판(2210)과,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판(2210)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전측 전극(2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전측 전극(2220)은 둘 이상의 직사각형 형상(또는, 원 형상)의 단위 전극이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배터리 전측 전극(2220)은 둘 이상의 고리 형상의 단위 전극이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배터리 전측 전극(2220)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시키는 데 활용되는 전원 공급용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2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대하여,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쇼트(short)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42, 22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배터리 몸체(2100)의 내부에는 배터리 자성체(2700)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자성체(2700)는 디바이스 자성체(170), 후술하는 크래들 자성체(1700) 및 충전 터미널 자성체(3700)와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2000)가 배터리 자성체(2700)를 구비할 경우에는, 배터리(2000)와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 결합, 배터리(2000)와 크래들(1000', 1000") 간 결합, 그리고 배터리(2000)와 충전 터미널(3000) 간 결합이 자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 크래들(1000', 1000") 및 충전 터미널(3000)에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또는,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 주위에 디바이스 홈(144)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에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중심으로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제1 배터리 돌기(214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터리 돌기(2140)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배터리 돌기(2140)는 도 1b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홈(144)과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자성체(2700)와 디바이스 자성체(17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1 배터리 돌기(2140)와 디바이스 홈(144)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배터리 돌기(2140)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1 배터리 돌기(2140)와 디바이스 홈(144)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b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5에 나타낸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전극부(14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는 것은,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구성하고 있는 디바이스 전극판(141) 및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전극(142) 모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된 곳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대하여, 배터리(2000)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배터리(2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비록 도 4b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에 관해 나타낸 것이지만,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형태는, 도 4b에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형태와 동일하다.
도 5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대하여,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42, 22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디바이스 돌기(147)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돌기(147)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도 5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마련되는 디바이스 돌기(147)에 대하여,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에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중심으로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제1 배터리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터리 홈은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비록 도 4b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마련되는 제2 배터리 홈(2170)에 관해 나타낸 것이지만,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에 마련될 수 있는 제1 배터리 홈의 위치 및 형태는, 도 4b에 나타낸 제2 배터리 홈(2170)의 위치 및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배터리 홈은 도 5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돌기(147)와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자성체(2700)와 디바이스 자성체(17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1 배터리 홈과 디바이스 돌기(147)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배터리 홈이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1 배터리 홈과 디바이스 돌기(147)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 몸체(2100)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 몸체(2100)가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 충전 기기(예를 들어, 후술하는 충전 터미널(3000))의 외부 전극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터미널 전극부(3200))와 접속하여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전원을 수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수급되는 전원은 외부 전극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터미널 전극부(3200)),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및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거쳐,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도 6b 참고).
또는,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수급되는 전원은 외부 전극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터미널 전극부(3200)),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및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거쳐,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도 10b 참고).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 몸체(2100)가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 충전 기기(예를 들어, 후술하는 충전 터미널(3000))의 외부 전극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터미널 전극부(3200))와 접속하여,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전원을 수급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수급되는 전원은 배터리(2000)에 저장된다.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 후측 전극판(2310)과,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판(2310)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후측 전극(23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후측 전극(2320)은 둘 이상의 고리 형상의 단위 전극이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배터리 후측 전극(2320)은 둘 이상의 직사각형 형상(또는, 원 형상)의 단위 전극이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배터리 후측 전극(2320)에는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전원을 수급하는 데에 활용되는 전원 수급용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2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미널 몸체(3100)의 전면(3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터미널 전극부(3200)와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2320, 32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2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비록 도 4a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에 관해 나타낸 것이지만,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형태는, 도 4a에서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터미널 몸체(3100)의 전면(313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터미널 전극부(3200)(후술하는 도 7의 변형예에 해당하며, 움푹 들어가 있는 터미널 전극부(3200)의 형태는 예를 들어 도 4b에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형태와 동일함)와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2320, 32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중심으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제2 배터리 홈(217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터리 홈(2170)은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2 배터리 홈(217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전 터미널(3000)의 터미널 돌기(3140)와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자성체(2700)와 터미널 자성체(370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2 배터리 홈(2170)과 터미널 돌기(3140)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충전 터미널(3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배터리 홈(2170)이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2 배터리 홈(2170)과 터미널 돌기(3140)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는,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중심으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제2 배터리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터리 돌기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비록 도 4a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주위에 마련되는 제1 배터리 돌기(2140)에 관해 나타낸 것이지만,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 마련될 수 있는 제2 배터리 돌기의 위치 및 형태는, 도 4a에 나타낸 제1 배터리 돌기(2140)의 위치 및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배터리 돌기는 터미널 전극부(3200)를 중심으로 터미널 전극부(3200) 주위에 마련되는 터미널 홈(후술하는 도 7의 변형예에 해당하며, 터미널 홈의 형태는 예를 들어 도 4b에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마련되는 제2 배터리 홈(2170)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음)과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자성체(2700)와 터미널 자성체(370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2 배터리 돌기와 터미널 홈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충전 터미널(3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배터리 돌기가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2 배터리 돌기와 터미널 홈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도 4의 배터리(2000)가 도 3의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되,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4의 배터리(2000)가 도 3의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되,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2000)는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향하고, 배터리 몸체(2100)의 하측이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에 안착되는 형태로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수용부(1200)의 후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로 인해, 배터리(2000)는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와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가 이루는 각도가 90°인 경우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배터리(2000)가 배터리 수용부(1200)에 알맞게 수용되어,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이탈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와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가 이루는 각도가 90°초과이고 180°미만인 경우에는, 배터리(2000)를 배터리 수용부(1200)에 기울어진 상태로 먼저 안착시키고(도 6a), 이후 디바이스 자성체(170)와 배터리 자성체(2700) 간 자력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접속시킬 수 있다(도 6b).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와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가 이루는 각도가 90°초과이고 180°미만인 경우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간 접속이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와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가 이루는 각도는 90°이상이고 18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예시적인 외부 충전 기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외부 충전 기기 중 하나로서 충전 터미널(30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터미널(3000)은 터미널 몸체(3100), 터미널 전극부(3200), 터미널 자성체(3700), 터미널 라인(3800) 및 터미널 커넥터(39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몸체(3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미널 몸체(3100)의 전면(3130)에는 터미널 전극부(3200)가 구비되어 있다. 터미널 전극부(3200)는 디바이스 전극부(140) 또는 후술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와 접속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즉, 충전)하고,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와 접속하여 배터리(2000)에 전원을 공급(즉,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터미널 전극부(3200)는 터미널 전극판(3210)과, 상기 터미널 전극판(3210)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 전극(322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전극(3220)은 둘 이상의 직사각형 형상(또는, 원 형상)의 단위 전극이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터미널 전극(3220)은 둘 이상의 고리 형상의 단위 전극이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터미널 전극(3220)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배터리(2000)를 충전시키는 데 활용되는 전원 공급용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
터미널 자성체(3700)는 터미널 몸체(3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 자성체(3700)는 디바이스 자성체(170), 배터리 자성체(2700), 또는 후술하는 크래들 자성체(1700)와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터미널(3000)이 터미널 자성체(3700)를 구비할 경우에는, 충전 터미널(3000)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 결합, 충전 터미널(3000)과 크래들(1000', 1000") 간 결합, 그리고 충전 터미널(3000)과 배터리(2000) 간 결합이 자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충전 터미널(3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 크래들(1000', 1000") 및 배터리(2000)에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터미널 전극(3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터미널 전극(3220)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 그리고 터미널 전극(32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게 된다.
터미널 몸체(3100)의 전면(3130)에는 터미널 전극부(3200)를 중심으로 터미널 전극부(320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터미널 돌기(314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터미널 돌기(3140)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터미널 돌기(3140)는 도 1b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마련되는 디바이스 홈(144),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 마련되는 제2 배터리 홈(2170), 또는 후술하는 도 9b에 나타낸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에 마련되는 제2 크래들 홈(1137)과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자성체들 간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터미널 돌기(3140)와 디바이스 홈(144)(또는, 제2 배터리 홈(2170), 제2 크래들 홈(1137))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충전 터미널(3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또는, 배터리(2000), 크래들(1000', 1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터미널 전극(3220)과 디바이스 전극(142)(또는, 배터리 후측 전극(2320),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터미널 몸체(3100)의 전면(3130)에는 터미널 전극부(3200)를 중심으로 터미널 전극부(320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터미널 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터미널 홈은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 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의 변형예에 해당하는 것이며, 그 형태는 예를 들어 도 4b에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마련되는 제2 배터리 홈(2170)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터미널 홈은 도 5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마련되는 디바이스 돌기(147),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 마련될 수 있는 제2 배터리 돌기(미도시), 또는 후술하는 도 11b에 나타낸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에 마련되는 제2 크래들 돌기(1138)와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자성체들 간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터미널 홈과 디바이스 돌기(147)(또는, 제2 배터리 돌기, 제2 크래들 돌기(1138))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충전 터미널(3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또는, 배터리(2000), 크래들(1000', 1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터미널 전극(3220)과 디바이스 전극(142)(또는, 배터리 후측 전극(2320),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터미널 라인(3800)은 터미널 몸체(3100)와 터미널 커넥터(3900)를 전기적 연결 또는 통신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터미널 커넥터(3900)는 예를 들어 컴퓨터의 USB 단자 등에 접속되어,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터미널 커넥터(3900)가 컴퓨터의 USB 단자 등에 접속이 실현된 경우, 그 접속 실현을 알려주기 위한 용도로 터미널 몸체(3100)의 후면에는 터미널 LED(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외부 충전 기기의 일부분, 예를 들어 충전 터미널(3000)의 터미널 라인(3800)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홈(1550)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홈(1550)은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에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의 상측에서 시작해서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의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홈(1550)이 마련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크래들(1000)에 거치될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충전은 반드시 배터리(2000)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충전 터미널(3000)과 같은 외부 충전 기기에 의해서도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크래들(1000)에 거치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충전이 충전 터미널(3000)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터미널 전극부(3200) 간 전기적 접속이 디바이스 자성체(170)와 터미널 자성체(3700)의 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에 홈(1550)이 마련되어 있을 경우에는 터미널 라인(3800)의 진출입이 용이해지며, 이로 인해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충전이 한층 더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a는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9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9의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 역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과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지지부(1100) 및 배터리 수용부(120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접촉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한다.
배터리 수용부(12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2000)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경우,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 및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포함하며, 그 외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및 전측 방향 연장부(1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지지부(11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할 경우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구비되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지지부(11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할 경우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구비되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 및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1131) 및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1131)는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구비하는 부분이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에 반해,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1132)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113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1131)에 비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1132)는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구비하지 않는 부분이다.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거치할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또는, 후면(120))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3130)에 접촉한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1131)의 하측에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1132)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이 상기 크래들(1000')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또는, 후면(120))과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3130) 간 마찰력이 감소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상기 크래들(1000')에 손쉽게 거치 및 거치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측에 구비되며,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접속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는 크래들 전측 전극판(1141)과,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판(1141)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크래들 전측 전극(1142)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 전측 전극(1142)은 둘 이상의 직사각형 형상(또는, 원 형상)의 단위 전극이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크래들 전측 전극(1142)은 둘 이상의 고리 형상의 단위 전극이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크래들 전측 전극(1142)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시키는 데 활용되는 전원 공급용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대하여,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42, 1142)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내부에는 크래들 자성체(1700)가 배치될 수 있다. 크래들 자성체(1700)는 디바이스 자성체(170), 배터리 자성체(2700) 및 충전 터미널 자성체(3700)와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래들(1000')이 크래들 자성체(1700)를 구비할 경우에는, 크래들(1000')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 결합, 크래들(1000')과 배터리(2000) 간 결합, 그리고 크래들(1000')과 충전 터미널(3000) 간 결합이 자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 배터리(2000) 및 충전 터미널(3000)에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크래들 전측 전극(1142)과 디바이스 전극(142), 후술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그리고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 주위에 디바이스 홈(144)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에는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중심으로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제1 크래들 돌기(1134)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크래들 돌기(1134)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크래들 돌기(1134)는 도 1b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홈(144)과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크래들 자성체(1700)와 디바이스 자성체(17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1 크래들 돌기(1134)와 디바이스 홈(144)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크래들 전측 전극(1142)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크래들 돌기(1134)가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1 크래들 돌기(1134)와 디바이스 홈(144)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래들 전측 전극(1142)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1a는 도 9a에 나타낸 크래들(1000')의 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11a는 도 9a와 비교해서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의 형태, 그리고 제1 크래들 돌기(1134) 대신 제1 크래들 홈(1135)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그 이외에 도 9a에 대해 언급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도 11a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는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대하여,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42, 1142)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 주위에 디바이스 돌기(147)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에는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중심으로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제1 크래들 홈(1135)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크래들 홈(1135)은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크래들 홈(1135)은 도 5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돌기(147)와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크래들 자성체(1700)와 디바이스 자성체(17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1 크래들 홈(1135)과 디바이스 돌기(147)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크래들 전측 전극(1142)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크래들 홈(1135)이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1 크래들 홈(1135)과 디바이스 돌기(147)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래들 전측 전극(1142)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b를 참고하면,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측에 구비되고,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와 접속하여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배터리 수용부(1200)에 배터리 몸체(2100)가 수용될 경우, 배터리(20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및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거쳐,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배터리(2000)에 의하지 않고 터미널 전극부(3200)와 직접적으로 접속하여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충전 터미널(300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터미널 전극부(3200),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및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거쳐,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도 4a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에 대하여,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152, 22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a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에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중심으로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주위에 제1 배터리 돌기(2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에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를 중심으로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제2 크래들 홈(1137)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크래들 홈(1137)은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2 크래들 홈(1137)은 도 4a에 나타낸 배터리(2000)의 제1 배터리 돌기(2140)와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크래들 자성체(1700)와 배터리 자성체(270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2 크래들 홈(1137)과 제1 배터리 돌기(2140)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크래들(1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크래들 홈(1137)이 크래들 후측 전극부(114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2 크래들 홈(1137)과 제1 배터리 돌기(2140)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1b는 도 9b에 나타낸 크래들(1000')의 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11b는 도 9b와 비교해서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의 형태, 그리고 제2 크래들 홈(1137) 대신 제2 크래들 돌기(1138)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그 이외에 도 9b에 대해 언급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도 11b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비록 앞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도 7에 나타낸 충전 터미널(3000)의 터미널 전극부(3200)와 접속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도 11b에 나타낸 크래들(1000')의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와 접속할 수도 있다. 즉, 배터리 몸체(2100)는 도 11b에 나타낸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 경우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도 11b에 나타낸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와 접속하게 된다.
도 4b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에 대하여,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152, 23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b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중심으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제2 배터리 홈(217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에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를 중심으로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제2 크래들 돌기(1138)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크래들 돌기(1138)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2 크래들 돌기(1138)는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2000)의 제2 배터리 홈(2170)과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크래들 자성체(1700)와 배터리 자성체(270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2 크래들 돌기(1138)와 제2 배터리 홈(2170)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크래들(1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크래들 돌기(1138)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2 크래들 돌기(1138)와 제2 배터리 홈(2170)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9a 및 도 11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전측 방향 연장부(1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측 방향 연장부(116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하측이라 함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아래쪽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측 방향 연장부(1160)는 크래들(1000')이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확대해줌과 동시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하측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은 상술한 디바이스 지지부(1100), 배터리 수용부(1200) 이외에, 후측 방향 연장부(1300) 및 상측 연장부(16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전측 방향 연장부(1160)와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전측 방향 연장부(1160)와 달리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크래들(1000')을 기준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거치되는 쪽(즉, 도 10b에서 크래들(1000')을 기준으로 전측)의 반대쪽(즉, 10b에서 크래들(1000')을 기준으로 후측)에서, 크래들(1000')이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확대해줌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에 기여한다.
또한,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도 9b 또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하측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크래들(1000')이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더욱 확대해줌과 동시에,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하측을 지지해줌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 및 배터리(2000)의 안정적인 수용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와 함께 배터리 수용부(1200)를 형성한다. 즉,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전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하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나아가, 후술하는 상측 연장부(16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앞서 언급한 홈(1550)과 동일한 이유로, 후측 방향 연장부(1300)에는 후측 방향 연장부(1300)의 상측에서 시작해서 후측 방향 연장부(1300)의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홈(135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후측 방향 연장부(1300)에 홈(1350)이 마련될 경우에는 터미널 라인(3800)의 진출입이 용이해지며, 이로 인해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충전이 더욱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측 연장부(160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항햐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상측이라 함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위쪽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측 연장부(16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함과 동시에,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측 연장부(1600)에는 상측 연장부(1600)의 후측에서 시작해서 상측 연장부(1600)의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16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1650)는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잔량 표시부(2800)를 통해 배터리(2000)에 저장된 전원의 잔량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2는 도 1과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전방 사시도로서, 도 12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100)와는 달리 태블릿 PC(10)만 단독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일단부(예를 들어, 하측 단부)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2의 스마트 디바이스(100'), 도 13의 크래들(1000") 및 도 4의 배터리(2000)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b는 도 12의 스마트 디바이스(100'), 도 13의 크래들(1000") 및 도 4의 배터리(2000)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은 앞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과 비교해서,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대신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제1 크래들 돌기(1134) 또는 제1 크래들 홈(1135)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내부에 크래들 자성체(17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3에 나타낸 크래들(1000")의 후방 사시도는 도 9b(또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과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지지부(1100) 및 배터리 수용부(1200)를 포함한다.
즉,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접촉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한다. 또한, 배터리 수용부(12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2000)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의 경우에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 및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에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과 동일하다. 즉,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접촉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의 경우에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측에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가 구비되어 있던 것에 반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의 경우에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하측에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가 위치해 있다.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는 도 12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는 예를 들어 C타입 단자로 이루어지거나, 5핀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가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 역시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와 마찬가지로 크래들 하측 전극판 및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판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크래들 하측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의 경우에도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과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지지부(1100)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및 전측 방향 연장부(1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에 대해 추가적으로 언급하면,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측에 구비되고,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와 접속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 및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거쳐,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전측 방향 연장부(1160)에 대해 추가적으로 언급하면, 전측 방향 연장부(116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는 전측 방향 연장부(116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측 방향 연장부(1160) 및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는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하측을 함께 지지해줌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에 함께 기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안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5)

  1.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을 지지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디바이스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제1 디바이스 지지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후측 방향 연장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지지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제1 후측 방향 연장부와 상기 제2 후측 방향 연장부를 잇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하측을 지지하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배터리 하측 지지부의 단부들 중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단부로부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에 비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지 않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측 방향 연장부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하측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크래들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거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크래들 돌기 또는 제1 크래들 홈이 마련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거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크래들 홈 또는 제2 크래들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하측 전극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부는 상기 전측 방향 연장부에 마련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9. 제1항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몸체; 및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몸체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될 경우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거나,
    상기 배터리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배터리.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배터리 돌기 또는 제1 배터리 홈이 마련되어 있는 배터리.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며, 외부 충전 기기의 외부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전원을 수급하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거나,
    상기 배터리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배터리.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배터리 홈이 마련되어 있거나, 제2 배터리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배터리.
PCT/KR2022/007959 2021-06-09 2022-06-03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WO202226037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41199.5A CN117501555A (zh) 2021-06-09 2022-06-03 智能设备放置用支架及结合于该支架的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096 2021-06-09
KR20210075096 2021-06-09
KR10-2021-0185811 2021-12-23
KR1020210185811A KR102598330B1 (ko) 2021-06-09 2021-12-23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0378A1 true WO2022260378A1 (ko) 2022-12-15

Family

ID=8442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7959 WO2022260378A1 (ko) 2021-06-09 2022-06-03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260378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840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로 거치 겸용 세로 거치 유형 충전 거치대
KR20150116089A (ko) * 2014-04-04 2015-10-15 (주)삼아테크노솔루션 다용도 충전 거치대
KR20150129418A (ko) * 2014-05-12 2015-11-20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무선충전 수신부와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용 충전 크래들
KR101797486B1 (ko) * 2017-04-13 2017-11-15 김재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KR20180067998A (ko) * 2016-12-13 2018-06-21 최주호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KR20180136066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내비게이션 기능 및 태블릿 컴퓨터 기능을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US20190220059A1 (en) * 2016-07-29 2019-07-18 Mobile Tech, Inc. Docking System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840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로 거치 겸용 세로 거치 유형 충전 거치대
KR20150116089A (ko) * 2014-04-04 2015-10-15 (주)삼아테크노솔루션 다용도 충전 거치대
KR20150129418A (ko) * 2014-05-12 2015-11-20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무선충전 수신부와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용 충전 크래들
US20190220059A1 (en) * 2016-07-29 2019-07-18 Mobile Tech, Inc. Docking System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KR20180067998A (ko) * 2016-12-13 2018-06-21 최주호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KR101797486B1 (ko) * 2017-04-13 2017-11-15 김재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KR20180136066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내비게이션 기능 및 태블릿 컴퓨터 기능을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64208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ize of voltag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WO2017196100A2 (ko) 기판 커넥터
WO2019143209A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신호 송신 또는 수신 방법
WO2019050332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NTENNA
WO202017139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ccording to wireless power-sharing
WO2017142139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WO2021206223A1 (en) Rotation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21049827A1 (ko)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1172880A1 (ko)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2169717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WO2022055291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업데이트 방법
WO2021162186A1 (ko)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생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9135608A1 (en) Optical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WO2021225278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공유 방법
WO2019066530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20076040A1 (ko) 리셉터클 커넥터
WO2020091490A1 (ko)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008085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pparatus using photo-conductive material and antenna control method
WO2022260378A1 (ko)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WO2017099301A1 (en)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peaker assembly
WO2021241878A1 (en)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15083896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99302A1 (en)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peaker assembly
WO2021210855A1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WO2021256684A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205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