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42139A1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42139A1
WO2017142139A1 PCT/KR2016/007042 KR2016007042W WO2017142139A1 WO 2017142139 A1 WO2017142139 A1 WO 2017142139A1 KR 2016007042 W KR2016007042 W KR 2016007042W WO 2017142139 A1 WO2017142139 A1 WO 20171421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signal processing
mobile terminal
earphone jack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0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석훈
서종원
오승면
이종환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
Publication of WO20171421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421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parately providing a sound signal to a main / sub earphone jack and a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taking a picture and video with a camera, recording a voice, playing a music file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to a display unit.
  • Some terminals have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 recent mobile terminals may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ing, video, and television programs.
  • such a terminal is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Is being implement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parately providing a sound signal to a main / sub earphone jack and a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a display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an opening on one side and the main board, the main earphone jack is formed on the other side 1 body;
  • a first board mounted with a sub sound module for receiving a digital sound signal from the first body and converting the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and a sub earphone jack for outputting the analog sound signal, the first state coupled to the opening;
  • a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in any one of a second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in the first state, outputting a first sound signal to the sub earphone jack, and outputting a second sound signal to the main earphone jack.
  • the controller may allow the main earphone jack and the sub earphone jack to be in one of an activated state in response to a sound signal and an inactive state in response to a sound signal in the first state.
  • the sound signal may include an event signal including a message reception event, a call reception event, and an alarm event, and a cont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ored sound content.
  • the controller may change an output target of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obtained through the display.
  • the sound signal may include an event signal including a message reception event, a call reception event, and an alarm event, and a cont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ored sound content.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y one of the main earphone jack and the sub earphone jack.
  • the event signal and the content signal may be output to one earphone jack, and the content signal may be output to the other earphone jack of the main earphone jack and the sub earphone jack.
  • the controller may output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another terminal to at least one of the main earphone jack and the sub earphone jack.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peaker
  •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having a second speaker and connected to the main earphone jack.
  • a first body including a display positioned on at least one surface, an opening and a main substrate of one side, the main earphone jack is formed on the other side;
  • One end portion is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the first sound signal having a first board mounted with a sub sound module for receiving a digital sound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an analog sound signal and a sub earphone jack for outputting the analog sound signal.
  • Treatment body And a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and having a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coupling mode and the first sound coupled to the second body.
  • a mobile terminal acoustic signal processing system can be provided in any one of a state including a second coupling mode for coupling with a signal processing body.
  •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orm a mobile terminal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and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form a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orm a mobile terminal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and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form a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may include a sub USB module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by wire.
  •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connected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device.
  • the controller may install the app on the mobile terminal when an application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s not install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the main board may include a main sound module for converting a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first substrate may include a sub sound module for converting a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may transmit a digital sound signal to the main sound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is in a first coupling mode, and output a digital sound signal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is in a second coupling mode.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sub sound module.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and the first body form a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outputs a sound signal to the sub earphone jack.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econd sound signal to the main earphone jack.
  •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second speak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connected to the main earphone jack,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includes a first speaker,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sound signal may be output, but the first sound signal may be output to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ound signal may be output to the second speaker.
  • a first substrate mounted with a sub sound module for receiving a digital sound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an analog sound signal, a sub earphone jack for outputting the analog sound signal And a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having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detachable from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the seco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having a second substrate and a secon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 An acoust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states including a third processing mode in which a signal is provided.
  •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may include a sub-USB module connected to another terminal to receive a digital sound signal and transmit the digital sound signal to the second substrate.
  • the second substrate may include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 the received digital soun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ubstrat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sepa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and a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first body and a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is connected to a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to 9 are flowcharts of operations of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earphone j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selection of an audio signal output path by a user among first and second earphone jack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2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selection of an acoustic signal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earphone jack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and 17 are diagrams illustrating transmission path selection of state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coust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 FIG. 23 is a block diagram of an acoust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4 and 25 ar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6 is a diagram showing the Fig. 25 sub-USB module.
  • FIG. 27 is a flowchart of a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a slate PC ,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watches, glass glasses, head mounted displays, and the like. have.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ordinate system is an XYZ coordinate system which is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s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 the XYZ coordinate system which is a coordinate system, is in a left handed dire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left hand is wound from the X axis to the Y axis, the direction of the thumb is the Z axis.
  • the sound signal may include an event signal and a content signal in a broad sense.
  • the event signal may include a message reception event, a call reception event, an alarm event, and the like.
  • the content signal may correspond to the stored acoustic content.
  • the sound signal may include a digital sound signal and an analog sound signal.
  • the digital sound signal is a signal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0' and '1', and the analog sound signal may be a signal determined by the strength and frequency of the electric signal.
  •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10 includes a first body BD1, a second body BD2,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and a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first body BD1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BD2.
  • the first body BD1 may be located farther on the Y axis than the second body BD2. The farther it is on the Y axis, the upper part, and the closer it is, the lower part.
  • the first body BD1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second body BD2 may b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be located farther on the Y axis than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the first body BD1 may include a display 151 and a main earphone jack EPJ2.
  • the display 151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BD1.
  • the 'display unit' is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display 151.
  • the bezel BZ may be formed around the display 151.
  • the first body BD1 may include a main circuit board.
  • the main board can process electrical signals.
  • the main board can mount the main sound module.
  • the main sound module may convert an analog sound signal into a digital sound signal.
  • the main earphone jack EPJ2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body BD1.
  • the main earphone jack EPJ2 may be located at an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BD1.
  • the main earphone jack EPJ2 may provide an acoustic signal to the earphone when the terminal of the earphone is inserted.
  • the second body BD2 may have a shape insertable into the opening of the first body BD1.
  • the second body BD2 may include a basic speaker SPKB.
  • the basic speaker SPKB may emit sound.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include a sub earphone jack EPJ1 and a first speaker SPK1.
  • the first speaker SPK1 may radiate sound to the outside.
  •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be formed in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be formed at a lower part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provide an acoustic signal to the earphone.
  • One end of the sub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have a shape that may be inserted into an opening of the first body BD1.
  • An opening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a portion of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eco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2. That is,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be combined or separated from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body BD1, the second body BD2,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and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be described.
  • the first body BD1 may be coupled to and /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BD2 or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be combined and /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BD2 or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BD1 and the second body BD2 are coupled to each other.
  •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and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irst body BD1 and a second body BD2.
  •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and a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as shown in FIG. 1. .
  •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10 may includ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acoust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perform near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a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by wire.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in a USB manner.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a digital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by using USB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digital sound signal transmitted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be converted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by wireless or wire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a digital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ntroller.
  •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I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are connected, the controller may transmit a digital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 the controller may include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 digital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i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500. If the mobile terminal 500 does not have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 digital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the mobile terminal 500 and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 digital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500.
  •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sound signal installed by the controller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be an installation program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sound signal installed by the controller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be an installation program downloaded from a separate server.
  • the acoust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communicate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communicate with other mobile terminals by wireless or wired.
  •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receive a sound signal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 a coupling relationship may b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BD1.
  • the first body BD1 may be said to be in the first coupling mode when the second body BD2 is coupled.
  • the first body BD1 is coupled to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t may be said that the first body BD1 is in a second coupling mode.
  • 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body BD1 is in a first coupling mode.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to wirelessly provide a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20).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for example, a Bluetooth scheme.
  • the mobile terminal 100 wirelessly provides the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the user outputs a sound source file or a radio broadcas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 sound through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I can hear it.
  • the first speaker SPK1 included in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have higher performance than the basic speaker SPKB included in the second body BD2. In this cas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n improved sound quality.
  • the first body BD1 when the first body BD1 is in the first coupling mode, it may be similar to the speaker system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 a characteristic of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at the first body BD1 may be not only the first combined mode but also the second combined mode.
  • the acoust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can process an electrical signal.
  • the first substrate may include a sub sound module for converting a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sub sound module may be Hi-Fi type.
  • the sub sound module may have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the main sound module.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sepa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of FIG. 1.
  • the second body BD2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BD1.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body BD2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191. In other words, the battery 191 may be seated inside the first body BD1 and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body BD2.
  • the battery 191 may be seated on the first body BD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BD1, supplying power, and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second body BD2.
  • the battery 191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BD2.
  • Coupling and detaching the first body BD1 and the second body BD2 may be related to a battery exchan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ody BD1.
  •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BD1.
  •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difficult to replace.
  • a battery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BD2.
  • the battery may be replaceable.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and a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191 may be detached from the second body BD2 and attached to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the battery 191 coupled to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a battery 191 that is fully charged.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BD1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second body BD2. have. That is, as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BD1, the battery 191 may supply power.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first body and a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body BD1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That is, the first body BD1 may be in a second coupling mode.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not only replace the second body BD2 but may also perform an additional function.
  • the first audio signal processing body SBD1 and the first body BD1 may be combined to form a new mobile terminal 10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irst body BD1 and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Since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main earphone jack EPJ2 and a sub earphone jack EPJ1,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cess a plurality of sound signals. That is,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outputs at least one sound signal of the plurality of sound signals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at least another sound signal of the plurality of sound signals is the sub earphone jack EPJ1. You can output
  •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receive sound signals separately. That is, a first sound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and a second sound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 the controller 180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first and second sound signals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and the main earphone jack EPJ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ound signal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using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two users may receive different sounds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 FIG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is connected to a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peaker earphone terminal SSK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speaker earphone terminal SSK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That is, the speaker earphone terminal SSK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to receive a sound signal as an electric signal.
  • FIG. 5 may be an exploded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which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is connected.
  •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BD1. That is,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not onl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BD1 but also may be mechanically connected and fixed.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face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with the display 151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surround sound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more realistic sound when watching a video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adiate sound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sound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SPK1 and 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151.
  • the sound emit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provides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SPK1 and 2 with information about the sound to be emitted by the controller 180, and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SPK1 and 2 provide the information. It can be formed by receiving and converting to sound.
  • the controller 180 may separate the sound signal,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sound to be radiated, into a first sound signal and a second sound signal.
  • the first sound signal and the second sound signal may have different sound bands and may overlap.
  • the first sound signal and the second sound signal may be combined to form a sound signal.
  • FIG. 7 to 9 are flowcharts of operations of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10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10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irst body BD1 and a second body BD2 in a first combined mode.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irst body BD1 and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n the second combined mode. Therefore, sinc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vary according to the combined mode, it is preferable to first determine the type of the combined mode.
  •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1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body BD1 is in the first combined mode (S100).
  •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first body BD1 is in the first combined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the first body BD1 and the second body BD2.
  •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10 when the first body BD1 is in the first combined mode,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and a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That is, the operation method S10 of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10 may include an operation step S2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first combined mode.
  •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first body BD1 is in the first coupl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by being connected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by wireless communication.
  • the controller 180 needs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body BD1 is in the second coupling mode. That is, the method S10 of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10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body BD1 is in the second coupling mode (S30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irst body BD1 and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main earphone jack EPJ2 and a sub earphone jack EPJ1.
  • the operation S10 of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10 may include an operation step S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econd coupling mode. Can be.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2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first combined mode.
  • the operation (S2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first combining mode detects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S210) and transmits a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It may include the step (S220).
  • the mobile terminal s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10 may includ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produce a sound source or the like using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100 needs to recognize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first.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cognize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using a Bluetooth method. 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recognizes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the mobile terminal 500 may transmit the sound signal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receive a sound signal and convert the sound signal into a sound.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econd combined mode.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main earphone jack EPJ2 and a sub earphone jack EPJ1. Therefore, the operation S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econd coupling mode may resul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operation step S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econd coupling mod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main earphone jack EPJ2 is activated (S410).
  • the main earphone jack EPJ2 may respond to an acoustic signal. That is, 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if the main earphone jack EPJ2 is activated, the user provides sound through the earphone when the controller 180 outputs an acoustic signal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I can receive it.
  • Operation S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econd coupling mod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the sub earphone jack EPJ1 (S42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a touch input (S430). That is, operation S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econd combined mode may include a touch input acquisition step S430.
  • the obtained touch input may correspond to the selection of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operation (S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econd combined mode outputs the first sound signal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by the controller 180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nd the controller 180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nd outputting a second sound signal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S440).
  • operation S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econd coupling mode may include outputting an audio signal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S450).
  • the operation (S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econd combined mod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the sub earphone jack (S460).
  • operation S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econd coupling mode may include outputting a sound signal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S470).
  • FIG. 10 is a view showing whether the main earphone jack and the sub earphone jack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main earphone jack EPJ2 and a sub earphone jack EPJ1.
  •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be divided into a case in which both are deactivated, a case in which only one is activated, and a case in which all are activated.
  • the activated state may mean a state capable of responding to an acoustic signal.
  • the state in which the sub earphone jack EPJ1 is activated may refer to a state in which an earphone inserted in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is converted into sound by receiving the sound signal from the sub earphone jack EPJ1. have. In other words, even when the acoustic signal is provided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in an inactive state,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not respond.
  • the controller 18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to participate in activation. That is,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activation of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activation of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be determined by a user's input.
  • the user's input may be a touch method.
  • the display 151 may acquire a user's touch input.
  • the user may deactivate the sub earphone jack EPJ1 located under the mobile terminal 100 with a finger UF. That is, the user may activate only the main earphone jack EPJ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insert earphones in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 the problem of the choice of inserting the earphone in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epend on the taste of the user.
  • the touch input of the user acquired on the display 151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 the controller 180 may allow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to be in one of an activated state and an inactivated stat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transferred user's touch input.
  • the controller 180 may maintain or change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user.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signal output path selection by a user among a main earphone jack and a sub earphone j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may want to receive sound by connecting an earphone to one of the earphone jacks of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user may provide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151 so that a sound signal is output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display 151 may receive a touch input from the user's finger UF and transmit the touch input to the controller 180.
  •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sound signal to the earphone jac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ouch input.
  • the case where both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are activated may be assumed.
  • the problem of selecting any one of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be a problem according to a user's taste.
  • the user can change the earphone jack that the sound signal is output from time to time as needed. For example, the user may receive the sound by selecting the main earphone jack EPJ2 while receiving the sound by inserting the earphone in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 12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selection of sound signals output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to 15 may assume that the first and second earphones ERP1 and 2 are inserted or are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That is, FIGS. 12 to 15 may assume that a plurality of users are provided with sound using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user may select a sound signal provided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user may select a sound signal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earphone jacks EPJ1 and 2 by providing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151.
  • the user may select the first sound source file music # 1 as the sound signal provided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user may select the second sound source file music # 2 as the sound signal provided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 the sound signal may correspond to the sound content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users may be a plurality of users and may be the first user U1 and the second user U2, respectively.
  • the first user U1 may receive sound by inserting the first earphone ERP1 in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second user U2 may receive sound by inserting the second earphone ERP2 in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 the first user U1 may receive the sound of the first sound source file music # 1
  • the second user U2 may receive the sound of the second sound source file music # 2.
  • different users may receive different sounds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s one device.
  • the user may use both sound source files provided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as the first sound source file music # 1.
  • FIG. 1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users U1 and 2 both want to receive the same sound.
  • the first and second users U1 and 2 may be provided with the sound of the first sound source file music # 1.
  • 16 and 17 are diagrams illustrating transmission path selection of state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main earphone jack (EPJ2) and a sub earphone jack (EPJ1),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and the main earphone jack (EPJ2) There may be first and second users U1 and 2.
  • the use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100 among the first and second users U1 and 2 may b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U1 and 2.
  • the event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transmitted to a user who controls the mobile terminal 100. Therefore, the alarm and event signal indicating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output to any one of the earphone jack EPJ1 and the main earphone jack (EPJ2).
  • the alarm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for example,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is low.
  • the user may provide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151 with a finger UF to output an event signal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first user U1 connecting the first earphone ERP1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receive the event signal.
  • the first user U1 may be an actual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first and second users U1 and 2 make a call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ile listening to the sound
  • the first user U1 who is the actual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lls the mobile terminal 100. It may be desirable to know the facts.
  • the first user U1 moves by receiving an alarm (for example, a calling beep) corresponding to an event signal of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100. Meanwhile, the second user U2 may listen to music regardless of whether a call is made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user 100 receives a phone call, the controller 180 can continuously provide an audio signal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 an alarm for example, a calling beep
  • the first and second users U1 and 2 us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user U1 is an own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viewed as a controller.
  • the second user U2 may be viewed as an owner or a user of the second terminal MD2 differen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first user U1.
  • the second terminal MD2 may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a mobile terminal.
  • the second terminal MD2 may be another terminal differen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MD2.
  • the second mobile terminal MD2 may or may not have the same performance as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MD2 in a Bluetooth manner.
  • the second terminal MD2 may transmit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MD2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user may connect the second terminal MD2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communication manner.
  • the user may use the finger UF to provide the display 151 with a touch input regarding to which earphone jack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MD2 is provided. That is, as shown in FIG. 18,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sub earphone jack EPJ1 and the main earphone jack EPJ2 as an earphone jack to which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MD2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s to be provided. Can be.
  • 'UPPER EARPHONE' corresponds to the mail earphone jack EPJ2
  • 'LOWER EARPHONE' corresponds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user finger UF may transmit status information (or an alarm) of the second terminal MD2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by touching 'UPPER EARPHONE'. That is, when a user obtains a touch input for selecting the main earphone jack EPJ2,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an alarm indicating the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MD2 to the main earphone jack EPJ2.
  • the second user U2 uses the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MD2 as an audio signal. You can check it. That is, the second user U2 may know that the phone is coming to the second terminal MD2 which is his terminal while viewing the sound source file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first user U1.
  • the first user U1 is not provided with an alarm regarding a state where a call is made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MD2. Therefore, the first user U1 can enjoy the sound source file stored in his mobile terminal 100.
  • the sound signals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users U1 and 2 may vary according to the requests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U1 and 2.
  • the need for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wned by the first user U1 may be greater for the first user U1 than for the second user U2.
  • the second user U2 may be blocked from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first user U1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need for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MD2 owned by the second user U2 may be greater for the second user U2 than for the first user U1. Therefore, the first user U1 may be blocked from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MD2 and the second user U2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MD2.
  • 2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llustrat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detection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
  • FIG. 20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0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so a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etwee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or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 Touch keys, mechanical keys, and the like.
  • the voice data or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 Optical sensors e.g. cameras 121), microphones (see 122),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e.g.
  •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herein may us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the output unit 150 is us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unit 152, a hap tip module 153,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can do.
  • the display unit 151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may also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 the display 151 may be considered the same as the display unit 151.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 I / O audio input / output
  • I / O video input / output
  • earphone port an earphone port
  •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call forwarding, a calling function, a message receiving, and a calling function).
  •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and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information or a function appropriate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irst body BD1 and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the first body BD1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the first body BD1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Coupling and detachment of the first body BD1 and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related to a battery exchan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ody BD1. In particular, when the rear cover is formed of metal,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BD1. In this case,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difficult to replace.
  • a battery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n other words,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ay be replaceable.
  • the first body BD1 may include a display 151 and a main earphone jack EPJ2.
  • the display 151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BD1.
  • the bezel BZ may be formed around the display 151.
  • the main earphone jack EPJ2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body BD1.
  • the main earphone jack EPJ2 may be located at an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BD1.
  • the main earphone jack EPJ2 may provide an acoustic signal to the earphone when the terminal of the earphone is inserted.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include a sub earphone jack EPJ1 and a first speaker SPK1.
  • the first speaker SPK1 may radiate sound to the outside.
  •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be formed at a lower part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When the terminal of the earphone is inserted,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provide an acoustic signal to the earphone.
  • One end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have a shape that may be inserted into an opening of the first body BD1.
  • the discharge key EK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body BD1.
  • the discharge key EK may be located at the side of the first body BD1.
  • the discharge key EK may be related to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first body BD1 and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n other words, the first body BD1 and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separated by the user operating the discharge key EK.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include a first locking module LM1 and a second locking module LM2.
  • the first body BD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discharge key EK and the second locking module housing LM2H.
  • the discharge key EK may include a button BU, a key shaft KSH, a key spring KSP, and a latch BR.
  • the button BU may form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charge key EK.
  • the button BU may be connected to the key shaft KSH.
  • the button BU may receive a force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 it to the key shaft KSH.
  •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 shaft KSH may pass through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CV1.
  • the key shaft KSH may contact the locking button LBU.
  • the key shaft KSH can transmit a force to the locking button LBU.
  • One end of the key spring KSP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CV1.
  • the other end of the key spring KSP may be connected to the key shaft KSH.
  • the key spring KSP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key shaft KSH.
  • the latch B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CV1.
  • the latch BR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cover CV1 toward the interior.
  • the latch BR may contact the locking button LBU.
  • the first locking module LM1 may include a locking button LBU, a locking shaft LSH, and a locking spring LSP.
  • the locking button LBU may be in contact with the key shaft KSH.
  • the locking button LBU may be connected to the locking shaft LSH.
  • the locking shaft LSH may be connected to the locking button LBU.
  • the locking shaft LSH may receive a force from the locking button LBU or transmit a force to the locking button LBU. That is, the locking button LBU may transmit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key shaft KSH to the locking shaft LSH, and the locking shaft LSH may transmit the force received from the locking spring LSP to the locking button LBU. Can be.
  • One end of the locking spring LSP may be connected to the locking shaft LSH.
  •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spring LSP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portion 320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 the locking spring LSP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shaft LSH.
  • the latch BR When the latch BR contacts the locking button LBU, the latch BR may be positioned in a path of the locking button LBU moved by an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spring assembly. Therefore, when the latch BR contacts the locking button LBU, as shown in FIG. 21, it may be difficult for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to move downward (negative Y-axis direction).
  • the locking curved portion LC may be formed in the second locking module LM2.
  • the housing curved portion HC may be formed in the second locking module housing LM2H.
  • the locking curved portion LC may face the housing curved portion HC.
  • the shape of the locking curved portion LC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using curved portion HC.
  • the housing curved portion HC may have a concave shape toward the locking curved portion LC.
  • the locking curved portion LC may have a convex shape toward the housing curved portion HC.
  • the locking curved portion LC may have a concave shape toward the housing curved portion HC.
  • the locking curved portion LC may be fitted to the housing curved portion HC. That is, the second locking module LM2 may be fitted into the second locking module housing LM2H. Since the locking curved portion LC is fitted to the housing curved portion HC,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BD1.
  •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coust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of FIG. 1.
  •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and a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include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outer portion 310,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inner portion 320, a first locking module LM1, and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the second locking module LM2, the first speaker SPK1, the first substrate PCB1, and the main USB module MUM may be included.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outer portion 310 may include a second front cover FC2 and a second rear cover RC2.
  • the second front cover FC2 may form a front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310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 the second rear cover RC2 may form a rea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310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 the inner portion 320 of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may include a battery locking module BLM and an antenna pattern AP.
  • the battery locking module BLM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 the antenna pattern AP may be formed on an exterior surface of the inner part 320 of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 the antenna pattern AP may b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inner part 320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 the antenna pattern AP may be formed toward the rear surface (positive Z-axis direction).
  • the antenna pattern AP may be formed toward the front side (negative Z-axis direction).
  • the antenna pattern AP ma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electromagnetic wave or convert an electromagnetic wave into an electrical signal.
  • the antenna pattern AP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PCB1.
  • the antenna pattern AP may be used for radio communication.
  • the antenna pattern AP may be used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the antenna pattern AP may b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a Bluetooth method.
  • the first locking module LM1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inner part 320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 a butt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module LM1.
  • the degree of coupling with the first locking module LM1 may vary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button formed on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second locking module LM2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inner part 320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 the housing may be formed in the seco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king module LM2.
  • the housing and the second locking module LM2 may be coupled or separated.
  • the battery locking module BLM may be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part 320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 the battery locking module BLM may be located at a coupling hole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portion 320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 the coupler on the upper surface may be an area recessed inward of the inner portion 320 of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That is, it means that the battery locking module (BLM) can be located in the couple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first speaker SPK1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front cover FC2 and the second rear cover RC2.
  • the first speaker SPK1 may provide sound or voice information to the user.
  • the first speaker SPK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PCB1.
  • the first substrate PCB1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front cover FC2 and the second rear cover RC2.
  • the first substrate PCB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SPK1, the main USB module MUM, the antenna pattern AP, or the like.
  • the first substrate PCB1 may transmit and receive electrical signals to the first speaker SPK1, the main USB module MUM, the antenna pattern AP, and the like.
  • the first substrate PCB1 may mount a sub sound module.
  • the sub sound module may convert the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process sound.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change a mode according to a method of receiving a digital sound signal.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in any one of states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processing modes.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coupled to a part of another mobile terminal to receive a digital sound signal in the first processing mode.
  • some of the other mobile terminals may be, for example, the first body BD1 illustrated in FIG. 4.
  • the main substrate provided in the first body BD1 (FIG. 4) may provide a digital sound signal to the first substrate PCB1.
  • the sub sound module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PCB1 may convert a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receive a digital sound signal wirelessly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in the second processing mode.
  • the other mobile terminal may be,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FIG. 1) shown in FIG. 1.
  • the mobile terminal 100 (FIG. 1) may provide a digital sound signal to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provided with a digital sound signal by wire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in the third processing mode.
  •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be connected to another mobile terminal.
  •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include a sub USB module SUM and a second connector CNT2.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CNT1.
  • the digital soun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ubstrate PCB1 through the other mobile terminal, the sub USB module SUM, the second connector CNT2, and the first connector CNT1.
  • the digital sound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substrate PCB1 may be converted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first substrate PCB1 may exchange signals with the second substrate PCB2 embedded in the seco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2. That is, a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PCB1 and the second substrate PCB2.
  •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CNT1.
  • the first connector CNT1 has a second connector CNT2 provided in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while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and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first connector CNT1 and the second connector CNT2 may be a path of electric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PCB1 and the second substrate PCB2.
  • the main USB module MUM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front cover FC2 and the second rear cover RC2.
  • the main USB module (MUM) can be externally connected via USB.
  • another mobile terminal and the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perform USB communication.
  •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include a third front cover FC3 and a third rear cover RC3.
  • the third front cover FC3 may form a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third front cover FC3 and the second front cover FC2 may form a front surface of the acoust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 the third rear cover RC3 may form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third rear cover RC3 may form a rear surface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 the seco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include a second substrate PCB2, a sub USB module SUM, a second connector CNT2, a second speaker SPK2, and a speaker earphone terminal SSK. have.
  • the second substrate PCB2 may be located between the third front cover FC3 and the third rear cover RC3.
  • the second substrate PCB3 may process an electrical signal.
  • the second substrate PCB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 USB module SUM, the second connector CNT2, the second speaker SPK2, and the speaker earphone terminal SSK.
  • the sub USB module SUM can perform USB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sub USB module SUM may exchange electrical signals with other mobile terminals.
  • the sub USB module SUM may be connected to another mobile terminal to receive a digital sound signal and transmit the digital sound signal to the second substrate PCB2.
  • the sub USB module SUM may be one of male and female.
  • the sub USB module SUM may be included in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by wire to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via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may include, for example, an electrical signal or an optical signal.
  •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may include a terminal capable of optical communication.
  •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may include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may include a sub USB module SUM.
  • the second speaker SPK2 may radiate sound to the outside.
  • the second speaker SPK2 may receive an analog sound signal from the second substrate PCB2 and provide sound.
  • the second speaker SPK2 may receive an analog sound signal from the speaker earphone terminal SSK to generate sound.
  •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SPK1 and 2 and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be included in the sound output unit SO.
  • the sound output unit SO may receive an analog sound signal.
  •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SPK1 and 2 may receive analog sound signals and convert them into sounds.
  •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receive an analog sound signal and transmit the analog sound signal to an earphone inserted in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and a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PCB1, an antenna pattern AP, a sound output unit SO, and a first connector CNT1.
  • the antenna pattern AP, the sound output unit SO, and the first connector CNT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PCB1.
  • the antenna pattern AP ma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electromagnetic wave or convert an electromagnetic wave into an electrical signal.
  • the antenna pattern AP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 the antenna pattern AP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820.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820 using the antenna pattern AP.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receive a digital sound signal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82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 the first connector CNT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first connector CNT1 may receive a digital sound signal from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first connector CNT1 may transfer the received digital sound signal to the first substrate PCB1.
  • the first substrate PCB1 can process a signal.
  • the first substrate PCB1 may include a sub sound module SSM.
  • the sub sound module SSM may convert a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sub sound module SSM may be a digital-to-analogue conversion (DAC) device.
  • the sub sound module SSM may amplify the analog sound signal after converting the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sub sound module SSM may provide an analog sound signal to the sound output unit SO.
  • the sound output unit SO may receive an analog sound signal.
  • the sound output unit SO may include a sub earphone jack EPJ1.
  •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transmit an analog sound signal to an earphone or other speaker inserted in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sound output unit SO may include a first speaker SPK1.
  • the first speaker SPK1 may receive an analog sound signal and generate a sound.
  • a process of outputting a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820 as sound may be described.
  • the digital sound signal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820 to the antenna pattern AP.
  • the digital sound signal transmitted to the antenna pattern AP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ubstrate PCB1.
  • the digital sound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substrate PCB1 may be transmitted to the sub sound module SSM.
  • the sub sound module SSM may convert the transmitted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sub sound module SSM may transmit the converted analog sound signal to the sound output unit SO.
  • the sound output unit SO may transmit the received analog sound signal to an external speaker or convert it into a sound.
  • the seco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include a wired connection part WC, a second substrate PCB2, and a second connector CNT2.
  • the wired connection part WC and the second connector CNT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PCB2.
  •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mobile terminal via wire.
  •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810 by wire.
  •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may include a sub USB module SUM.
  • the sub USB module SUM can perform USB communication.
  • the second connector CNT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 the digital sound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810 to the wired connection unit WC by wire.
  • the digital sound signal transmitted to the wired connection part WC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board PCB1 through the second board PCB2, the second connector CNT2, and the first connector CNT1.
  • the digital sound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substrate PCB1 may be transmitted to the sub sound module SSM.
  • the sub sound module SSM may convert the transmitted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sub sound module SSM may transmit the converted analog sound signal to the sound output unit SO.
  • the sound output unit SO may transmit the received analog sound signal to an external speaker or convert it into a sound.
  • 24 and 25 ar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a Bluetooth scheme.
  • the user may freely set the position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convert the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an analog sound signal When an analog sound signal is applied to a speaker, the speaker may radiate sound to the outside.
  •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in a state of the second processing mode, as shown in FIG. 24. In other words,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receive a digital sound signal wirelessly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800 and convert the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peakers SPK1 and 2 and a sub earphone jack EPJ1.
  •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SPK1 and 2 may receive an analog sound signal and radiate sound to the outside.
  • the sub earphone jack EPJ1 may receive an analog sound signal and provide the same to the earphone ERP inserted in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 the earphone ERP inserted into the sub earphone jack ERP1 may receive an analog sound signal and radiate a sound.
  • FIG.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wire communication between the acoust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and the mobile terminal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d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USB or optical communication.
  • the digital sound signal may be stably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800 to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 the first acoustic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in a third processing mode.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receive a digital sound signal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800 by wire and convert it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receive a digital sound signal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800 through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As illustrated in FIG. 25,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800.
  • the USB line UL may connect the mobile terminal 800 and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USB line UL may transmit the digital sound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800 to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include a sub USB module SUM at one side.
  • the digital sound signal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mobile terminal 800, the USB line UL, and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to reach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the digital sound signal that reaches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be converted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analog sound signal may be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SPK1 and 2 or to the sub earphone jack EPJ1.
  • FIG. 26 is a diagram showing the Fig. 25 sub-USB module.
  • FIG. 26 may indicate a dotted A region of FIG. 25.
  • the sub-USB module SUM may be a C-type USB method, as shown in FIG. 26A.
  • the sub USB module SUM may protrude to the outside.
  • the sub USB module SUM may be a method of protruding to the outside as necessary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 the sub-USB module SUM may be an A-type USB method, as shown in FIG. 26B.
  • A-type USB and C-type USB can be compatible using a USB-gender-changer.
  • FIG. 27 is a flowchart of a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S20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s in the first processing mode (S21). When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s in the first processing mode, it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s coupled to a part of another mobile terminal.
  • the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S20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step (S22)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PCB1 receives a digital sound signal from a part of another mobile terminal.
  • the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S20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step (S27) of the sub sound module converting the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 the converted analog sound signal may be output to a speaker or an earphone jack.
  • the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S20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step S23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s in the second processing mode.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When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s in the second processing mode, it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mobile terminal.
  • the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S20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step S24 in which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wirelessly receives a digital sound signal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by providing an antenna pattern.
  • it may be required to confirm whether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s in the third processing mode.
  • the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S20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s in the third processing mode (S25). When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is in the second processing mode, it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mobile terminal.
  • the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S20 of the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step (S26) in which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receives a digital sound signal by wire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 the digital sound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2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ound signal processing body SBD1.
  • a mobile terminal formed according to a coupling mode may vary.
  • the combined mod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 the sound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roved to a hi-fi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인 이동 단말기는 메인/서브 이어폰 잭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서브 이어폰 잭은 개별적으로 통제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와 함께 음향신호 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와 음향신호 처리장치는 그 자체로 결합 분리가 용이하며 이종의 파트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유연함으로 인하여, 배터리의 교환이 용이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음향신호 처리장치에 대한 실시간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메인/서브 이어폰 잭에 개별적으로 음향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메인/서브 이어폰 잭에 개별적으로 음향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와, 일측의 개구(opening)와 메인기판을 포함하며, 타측에 메인 이어폰(ear-phone) 잭이 형성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서브 사운드 모듈을 실장한 제1 기판과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서브 이어폰 잭과 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에 결합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및 상기 제1 상태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서브 이어폰 잭에 제1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 이어폰 잭에 제2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메인 이어폰 잭과 서브 이어폰 잭을, 음향신호에 반응하는 활성화 상태와 음향신호에 반응하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신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 콜 수신 이벤트, 알람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와, 저장된 음향 콘텐츠에 대응된 콘텐츠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의 출력대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신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 콜 수신 이벤트, 알람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와, 저장된 음향 콘텐츠에 대응된 콘텐츠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이어폰 잭과 상기 서브 이어폰 잭 중 어느 하나의 이어폰 잭으로 상기 이벤트신호와 상기 콘텐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 이어폰 잭과 상기 서브 이어폰 잭 중 다른 하나의 이어폰 잭으로 상기 콘텐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상태 정보를, 상기 메인 이어폰 잭과 상기 서브 이어폰 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제1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2 스피커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이어폰 잭에 연결되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와, 일측의 개구(opening)와 메인기판을 포함하며, 타측에 메인 이어폰 잭이 형성된 제1 바디; 일측 단부가 상기 개구에 삽입 가능한 형상의 제2 바디; 일측 단부가 상기 개구에 삽입 가능한 형상이며,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서브 사운드 모듈을 실장한 제1기판과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서브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및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에 탈부착되고, 제2 기판을 구비하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와 결합하는 제1 결합 모드와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와 결합하는 제2 결합 모드를 포함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가 제1 결합 모드이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와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음향신호 처리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음향신호 처리장치에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가 제1 결합 모드이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와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음향신호 처리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유선으로 전송 받는 서브 US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음향신호 처리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음향신호 처리장치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음향신호 처리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음향신호 처리장치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앱(Application)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앱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기판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메인 사운드 모듈을 실장하고, 상기 제1 기판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서브 사운드 모듈을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은, 상기 제1 바디가 제1 결합 모드인 상태에서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메인 사운드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바디가 제2 결합 모드인 상태에서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서브 사운드 모듈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가 제2 결합 모드이면,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와 상기 제1 바디는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서브 이어폰 잭에 제1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 이어폰 잭에 제2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2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이어폰 잭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제1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제1 스피커에 제1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스피커에 제2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서브 사운드 모듈을 실장한 제1 기판,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서브 이어폰 잭, 그리고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및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에 탈부착되고, 제2 기판,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응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다른 단말기에 결합되어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는 제1 처리 모드와, 이격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는 제2 처리 모드와, 다른 단말기에 연결된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를 통해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는 제3 처리 모드를 포함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음향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다른 단말기에 연결되어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2 기판에 전송하는 서브 USB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가 제3 처리 모드이면, 전송받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 기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메인/서브 이어폰 잭에 개별적으로 음향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의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와 배터리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바디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바디에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의 작동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2 이어폰 잭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2 이어폰 잭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음향신호 출력 경로의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2 이어폰 잭에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의 전송 경로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다른 단말기와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1 음향신호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향신호 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4 및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와 단말기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 서브 USB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의 디지털 음향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좌표계(coordinate system)는 직교좌표계로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인 XYZ 좌표계이다. 본 명세서에서 좌표계인 XYZ 좌표계는 왼손방향(left handed direction)이다. 즉 왼손으로 X축에서 Y축으로 감았을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Z축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음향신호는 넓은 의미로서 이벤트신호와 콘텐츠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신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 콜 수신 이벤트, 그리고 알람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신호는, 저장된 음향 콘텐츠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음향신호는, 디지털 음향신호와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음향신호는 '0'과 '1'의 조합으로 구성된 신호이며,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전기신호의 세기와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은, 제1 바디(BD1), 제2 바디(BD2),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 그리고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제2 바디(BD2)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제2 바디(BD2)에 비하여 Y축 상에서 멀리 위치할 수 있다. Y축 상에서 멀리 있을수록 상부(upper part), 가까이 있을수록 하부(lower part)로 지칭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상부에 위치하고, 제2 바디(BD2)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비하여 Y축 상에서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디의 일측에 개구(opening)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디스플레이(151)와 메인 이어폰 잭(EPJ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제1 바디(BD1)의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151)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한다. 디스플레이(151)를 감싸고 베젤(BZ)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메인기판(main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기판은, 전기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메인기판은, 메인 사운드 모듈을 실장할 수 있다. 메인 사운드 모듈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은, 제1 바디(BD1)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이어폰 잭(EPJ2)은, 제1 바디(BD1)의 상측(upper part)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은, 이어폰의 단자가 삽입되면, 음향신호를 이어폰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바디(BD2)는, 제1 바디(BD1)의 개구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BD2)는, 기본 스피커(SPKB)를 구비할 수 있다. 기본 스피커(SPKB)는 음향을 방사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서브 이어폰 잭(EPJ1)과 제1 스피커(SPK1) 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피커(SPK1)는 음향을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서브 이어폰 잭(EPJ1)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이어폰 잭(EPJ1)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의 하측(lower part)에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이어폰 잭(EPJ1)은, 이어폰의 단자가 삽입되면, 음향신호를 이어폰에 제공할 수 있다. 서브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의 일측 단부는, 제1 바디(BD1)의 개구에 삽입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의 일측에 개구(opening)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의 개구에,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1 바디(BD1), 제2 바디(BD2),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 그리고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의 결합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제2 바디(BD2) 또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제2 바디(BD2) 또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1은,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은, 이동 단말기(100)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는, 서로 근거리(near distance)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음향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와 USB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USB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로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로 전송된 디지털 음향신호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면,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로 디지털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100)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100)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가 연결되어 있으면, 디지털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전송하는 앱(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500)에 디지털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전송하는 앱(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500)에 디지털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전송하는 앱(Application)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500)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가 연결되면, 디지털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전송하는 앱(Application)을 이동 단말기(500)에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가 설치하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전송하는 앱(Application)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설치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어부가 설치하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전송하는 앱(Application)은, 별도의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은 설치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는, 외부의 다른 이동 단말기와도 통신을 할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는,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바디(BD1)를 중심으로 결합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제2 바디(BD2)가 결합하였을 경우, 제1 결합 모드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결합하였을 경우, 제2 결합 모드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바디(BD1)가 제1 결합 모드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바디(BD1)가 제1 결합 모드일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 도 20)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bluetooth) 방식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음원 파일 또는 라디오 방송 등을 음향으로 출력하여 들을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포함된 제1 스피커(SPK1)는, 제2 바디(BD2)에 포함된 기본 스피커(SPKB)에 비하여 고성능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향상된 음질의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바디(BD1)가 제1 결합 모드인 경우는, 종전에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스피커 시스템과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의 특징은, 제1 바디(BD1)가 제1 결합 모드인 경우뿐만 아니라 제2 결합 모드인 경우일 수 있다는 점에 있을 수 있다.
제1 바디(BD1)가 제1 결합 모드일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전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1 기판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서브 사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사운드 모듈은 Hi-Fi 방식일 수 있다. 서브 사운드 모듈은, 메인 사운드 모듈에 비하여 향상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의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디(BD2)는 제1 바디(BD1)와 분리될 수 있다. 제2 바디(BD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91)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터리(191)는, 제1 바디(BD1)의 내부에 안착되되, 제2 바디(BD2)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배터리(191)는, 제1 바디(BD1)에 안착되어 제1 바디(BD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2 바디(BD2)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제2 바디(BD2)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의 결합 및 분리는,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battery) 교환과 관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커버(cover)는 제1 바디(BD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후면 커버(rear cover)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커버(cover)는 제1 바디(BD1)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종전에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는 교체하기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배터리(battery)는 제2 바디(BD2)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배터리는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와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와 배터리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91)는 제2 바디(BD2)로부터 탈착되어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결합되는 배터리(191)는,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191)일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배터리(191)가 결합됨에 따라,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1 바디(BD1)에 결합되어 제2 바디(BD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1 바디(BD1)에 결합됨에 따라, 배터리(191)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바디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BD1)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바디(BD1)는, 제2 결합 모드일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2 바디(BD2)를 대신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제1 바디(BD1)가 결합되어 새로운 이동 단말기(100)가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바디(BD1)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을 포함하므로, 복수의 음향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복수의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향신호는 메인 이어폰 잭(EPJ2)으로 출력하고, 복수의 음향신호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음향신호는 서브 이어폰 잭(EPJ1)으로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은, 개별적으로 음향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서브 이어폰 잭(EPJ1)에는 제1 음향신호가 제공될 수 있으며, 메인 이어폰 잭(EPJ2)에는 제2 음향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제어부(180)는, 서브 이어폰 잭(EPJ1)과 메인 이어폰 잭(EPJ2)에 각각 제1,2 음향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2 음향신호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을 이용함으로써, 2인의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바디에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의 일측에 스피커 이어폰 단자(SSK)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 이어폰 단자(SSK)는,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스피커 이어폰 단자(SSK)는,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전기 신호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가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도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제1 바디(BD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제1 바디(BD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디스플레이(151)를 사이에 두고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마주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가 제1 바디(BD1)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서라운드 음향(surround sound)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 보다 실감나는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51)의 양쪽에 위치한 제1,2 스피커(SPK1,2)에 제1,2 음향신호를 제공하여 음향을 방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방사하는 음향은, 제어부(180)에서 방사하려는 음향에 관한 정보를 제1,2 스피커(SPK1,2)에 제공하고, 제1,2 스피커(SPK1,2)는 그 정보를 수신하여 음향으로 변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방사하려는 음향에 관한 정보인 음향신호를 제1 음향신호와 제2 음향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음향신호와 제2 음향신호는 음역대가 다를 수 있으며, 오버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음향신호와 제2 음향신호는 연합되어 음향신호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의 작동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의 작동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1 결합 모드에서,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2 결합 모드에서, 제1 바디(BD1)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결합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결합 모드의 종류를 먼저 파악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의 제어부(180)는, 제1 바디(BD1)가 제1 결합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S100)할 수 있다.
제1 바디(BD1)가 제1 결합 모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제1 바디(BD1)가 제1 결합 모드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의 작동 방법(S10)은, 제1 결합 모드에서의 이동 단말기(100) 작동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BD1)가 제1 결합 모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와 무선 통신 등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바디(BD1)가 제1 결합 모드가 아닌 경우, 제1 바디(BD1)가 제2 결합 모드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즉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의 작동 방법(S10)은, 제1 바디(BD1)가 제2 결합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BD1)가 제2 결합 모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바디(BD1)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BD1)가 제2 결합 모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BD1)가 제2 결합 모드인 경우,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의 작동 방법(S10)은,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제1 결합 모드에서의 이동 단말기(100) 작동(S200)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S200)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를 감지하는 단계(S210)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10)은 이동 단말기(100)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를 이용하여 음원 등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 단말기(100)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를 먼저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를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를 인식한 이후에, 이동 단말기(500)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는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음향(sound)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9는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 작동(S400)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S400)은,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의 관계에서 비롯될 수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 단계(S400)는, 메인 이어폰 잭(EPJ2)의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이 활성화 상태이면, 메인 이어폰 잭(EPJ2)이 음향신호에 반응할 수 있다. 즉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이어폰을 삽입한 경우 메인 이어폰 잭(EPJ2)이 활성화 상태이면, 제어부(180)가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음향신호를 출력한 때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S400)은, 서브 이어폰 잭(EPJ1)의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이 모두 활성화 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을 획득(S430)할 수 있다. 즉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S400)은, 터치 입력 획득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된 터치 입력은,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의 선택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S400)은, 터치 입력에 따라 제어부(180)에 의한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제1 음향신호를 출력 및 터치 입력에 따라 제어부(180)에 의한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제2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이어폰 잭(EPJ1)이 비활성화이고, 메인 이어폰 잭(EPJ2)이 활성화인 경우, 제어부(180)는 메인 이어폰 잭(EPJ2)으로 음향신호를 출력(S450)할 수 있다. 즉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S400)은, 메인 이어폰 잭(EPJ2)으로 음향신호 출력하는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이 활성화 상태가 아닌 경우, 서브 이어폰 잭(EPJ1)의 활성화 상태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S400)은, 서브 이어폰 잭의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4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이 활성화 상태가 아니고, 서브 이어폰 잭(EPJ1)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제어부(180)는 서브 이어폰 잭(EPJ1)으로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 결합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S400)은, 서브 이어폰 잭(EPJ1)으로 음향신호 출력 단계(S4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이어폰 잭과 서브 이어폰 잭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은, 모두 비활성화된 경우, 어느 하나만 활성화된 경우, 그리고 모두 활성화된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된 상태는 음향신호에 반응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이어폰 잭(EPJ1)이 활성화된 상태란, 서브 이어폰 잭(EPJ1)이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삽입된 이어폰이 음향으로 변환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비활성 상태의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음향신호를 제공하더라도, 서브 이어폰 잭(EPJ1)은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은 모두 활성화되어야 할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은 어느 하나만 활성화되어야 할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활성화에 관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의 활성화를 결정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의 활성화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touch) 방식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UF)으로 이동 단말기(100) 하측에 위치한 서브 이어폰 잭(EPJ1)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 상측에 위치한 메인 이어폰 잭(EPJ2)만을 활성화하여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이어폰을 삽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어폰을 이동 단말기(100)의 상측에 삽입하거나 하측에 삽입하는 선택의 문제는 사용자의 취향에 의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제어부(18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달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을 각각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80)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을 전달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태로 유지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이어폰 잭과 서브 이어폰 잭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음향신호 출력 경로의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어폰 잭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음향을 제공받기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에 위치한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음향신호가 출력되도록 터치 입력을 디스플레이(151)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사용자의 손가락(UF)로부터 터치입력을 제공받아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달받은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이어폰 잭에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어폰 잭을 선택하는 경우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이 모두 활성화된 경우를 전제로 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문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문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음향신호가 출력되는 이어폰 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이어폰을 삽입하여 음향을 제공받는 도중에 메인 이어폰 잭(EPJ2)을 선택하여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15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제1,2 이어폰(ERP1,2)가 삽입되었거나 삽입될 예정임을 전제할 수 있다. 즉 도 12 내지 15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음향을 제공받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제공되는 음향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1)에 터치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2 이어폰 잭(EPJ1,2)에 제공되는 음향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제공되는 음향신호로서 제1 음원 파일(music #1)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제공되는 음향신호로서 제2 음원 파일(music #2)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음향 콘텐츠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사용자이며 각각 제1 사용자(U1)와 제2 사용자(U2)일 수 있다. 제1 사용자(U1)는 제1 이어폰(ERP1)을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삽입하여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사용자(U2)는 제2 이어폰(ERP2)을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삽입하여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U1)는 제1 음원 파일(music #1)의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2 사용자(U2)는 제2 음원 파일(music #2)의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디바이스(device)인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서로 다른 사용자가 서로 다른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제공되는 음원 파일을 모두 제1 음원 파일(music #1)로 할 수 있다. 도 14는 제1,2 사용자(U1,2)가 모두 동일한 음향을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를 도시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제1,2 사용자(U1,2)가 제1음원 파일(music #1)의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의 전송 경로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메인 이어폰 잭(EPJ2)과 서브 이어폰 잭(EPJ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브 이어폰 잭(EPJ1) 과 메인 이어폰 잭(EPJ2)에 각각 대응되는 제1,2 사용자(U1,2)가 있을 수 있다. 제1,2 사용자(U1,2) 중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통제하는 사용자는 제1,2 사용자(U1,2) 중에서 한명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신호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제하는 사용자에게 전송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알려주는 알람과 이벤트신호는, 서브 이어폰 잭(EPJ1) 과 메인 이어폰 잭(EPJ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어폰 잭에 출력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의 알람 이벤트는, 예를 들어, 배터리가 얼마 남지 않은 상태 등이 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UF)으로 디스플레이(151)에 터치 입력을 제공하여, 이벤트신호를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벤트신호가 서브 이어폰 잭(EPJ1)으로 출력되면,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제1 이어폰(ERP1)을 연결한 제1 사용자(U1)는 이벤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U1)는 이동 단말기(100)의 실제 통제자일 수 있다.
제1,2 사용자(U1,2)가 음향 청취 도중에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걸려온다면, 이동 단말기(100)의 실제 통제자인 제1 사용자(U1)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걸려온 사실을 알 수 있음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걸려오면, 제1 사용자(U1)는 이동 단말기(100) 상태의 이벤트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예를 들어 calling beep)을 제공받음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U2)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걸려오는 것에 관계없이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100)가 전화를 받아 통화하더라도, 제어부(180)는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음향신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8 및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다른 단말기와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제1,2 사용자(U1,2)가 사용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사용자(U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소유자이며 통제자로 볼 수 있다. 제2 사용자(U2)는 제1 사용자(U1)의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제2 단말기(MD2)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기(MD2)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MD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구분되는 다른 단말기(another terminal)일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이동 단말기(MD2)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이동 단말기(MD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한 성능이거나 동일한 성능이지 않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이동 단말기(MD2)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2 단말기(MD2)는 이동 단말기(100)에 제2 단말기(MD2)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제2 단말기(MD2)를 통신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UF)으로 제2 단말기(MD2)의 상태 정보를 어느 이어폰 잭에 제공할지에 관한 터치 입력을 디스플레이(151)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제2 단말기(MD2)의 상태 정보가 제공될 이어폰 잭으로서, 서브 이어폰 잭(EPJ1) 과 메인 이어폰 잭(EPJ2)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18에서, 'UPPER EARPHONE'은 메일 이어폰 잭(EPJ2)에 대응되며, 'LOWER EARPHONE'은 서브 이어폰 잭(EPJ1)에 대응된다. 도 18에서, 사용자 손가락(UF)은 'UPPER EARPHONE'을 터치함으로써 메인 이어폰 잭(EPJ2)으로 제2 단말기(MD2)의 상태 정보(혹은 알람)가 전송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인 이어폰 잭(EPJ2)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MD2)의 상태를 알려주는 알람을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에 제2 단말기(MD2)의 상태를 알려주는 알람이 전송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U2)는 제2 단말기(MD2)의 상태를 음향신호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U2)는, 제1 사용자(U1)의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음원 파일을 감상하면서도 자신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MD2)에 전화가 온 사실을 알 수 있다. 제1 사용자(U1)는 제2 이동 단말기(MD2)에 전화가 걸려온 상태에 관한 알람을 제공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사용자(U1)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음원 파일을 감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 사용자(U1,2)에게 제공되는 음향신호는, 제1,2 사용자(U1,2)의 요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1) 소유의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관한 정보의 필요성은, 제2 사용자(U2)에게 보다 제1 사용자(U1)에게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U2)에게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관한 정보 제공을 차단하고 제1 사용자(U1)에게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사용자(U2) 소유의 이동 단말기(MD2)의 상태에 관한 정보의 필요성은, 제1 사용자(U1)에게 보다 제2 사용자(U2)에게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U1)에게 제2 단말기(MD2)의 상태에 관한 정보 제공을 차단하고 제2 사용자(U2)에게 제2 단말기(MD2)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나타낸다.
도 2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한 의미로 고려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바디(BD1)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상부에 위치하고,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디(BD1)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의 결합 및 분리는,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battery) 교환과 관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커버(cover)는 제1 바디(BD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후면 커버(rear cover)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커버(cover)는 제1 바디(BD1)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종전에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는 교체하기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배터리(battery)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배터리는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제1 바디의 일측에 개구(opening)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디스플레이(151)와 메인 이어폰 잭(EPJ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제1 바디(BD1)의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를 감싸고 베젤(BZ)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은, 제1 바디(BD1)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이어폰 잭(EPJ2)은, 제1 바디(BD1)의 상측(upper part)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이어폰 잭(EPJ2)은, 이어폰의 단자가 삽입되면, 음향신호를 이어폰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서브 이어폰 잭(EPJ1)과 제1 스피커(SPK1) 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피커(SPK1)는 음향을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서브 이어폰 잭(EPJ1)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의 하측(lower part)에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이어폰 잭(EPJ1)은, 이어폰의 단자가 삽입되면, 음향신호를 이어폰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의 일측 단부는, 제1 바디(BD1)의 개구에 삽입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배출 키(EK)는, 제1 바디(BD1)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 키(EK)는 제1 바디(BD1)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 키(EK)는, 제1 바디(BD1)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의 분리와 결합에 관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user)가 배출 키(EK)를 조작함으로써, 제1 바디(BD1)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분리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1 라킹 모듈(LM1)과 제2 라킹 모듈(LM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BD1)는 배출 키(EK)와 제2 라킹 모듈 하우징(LM2H)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키(EK)는, 버튼(BU), 키 샤프트(KSH), 키 스프링(KSP), 그리고 걸림쇠(BR)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BU)은, 배출 키(EK)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버튼(BU)은 키 샤프트(KSH)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BU)은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 키 샤프트(KSH)에 전달할 수 있다.
키 샤프트(KSH)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커버(CV1)의 일부 영역을 관통할 수 있다. 키 샤프트(KSH)는, 라킹 버튼(LBU)에 접촉할 수 있다. 키 샤프트(KSH)는, 라킹 버튼(LBU)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키 스프링(KSP)의 일 단은 제1 커버(CV1)에 연결될 수 있다. 키 스프링(KSP)의 타 단은 키 샤프트(KSH)에 연결될 수 있다. 키 스프링(KSP)은, 키 샤프트(KSH)에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걸림쇠(BR)는, 제1 커버(CV1)에 연결될 수 있다. 걸림쇠(BR)는 제1 커버(CV1)의 내측에서 내부(interior)를 향하여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걸림쇠(BR)는, 라킹 버튼(LBU)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라킹 모듈(LM1)은, 라킹 버튼(LBU), 라킹 샤프트(LSH), 그리고 라킹 스프링(LSP)을 포함할 수 있다. 라킹 버튼(LBU)은 키 샤프트(KSH)에 접할 수 있다. 라킹 버튼(LBU)는 라킹 샤프트(LSH)에 연결될 수 있다.
라킹 샤프트(LSH)는 라킹 버튼(LBU)에 연결될 수 있다. 라킹 샤프트(LSH)는, 라킹 버튼(LBU)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을 수 있거나 라킹 버튼(LBU)에게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라킹 버튼(LBU)은 키 샤프트(KSH)로부터 전달 받은 힘을 라킹 샤프트(LSH)에 전달할 수 있고, 라킹 샤프트(LSH)는 라킹 스프링(LSP)로부터 전달 받은 힘을 라킹 버튼(LBU)에 전달할 수 있다.
라킹 스프링(LSP)의 일 단은 라킹 샤프트(LSH)에 연결될 수 있다. 라킹 스프링(LSP)의 타 단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내측부(320)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라킹 스프링(LSP)은, 라킹 샤프트(LSH)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걸림쇠(BR)가 라킹 버튼(LBU)과 접촉하면, 스프링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라킹 버튼(LBU)의 경로에 걸림쇠(BR)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쇠(BR)가 라킹 버튼(LBU)과 접촉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하부 방향(음의 Y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곤란할 수 있다.
제2 라킹 모듈(LM2)에 라킹 만곡부(L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라킹 모듈 하우징(LM2H)에 하우징 만곡부(HC)가 형성될 수 있다.
라킹 만곡부(LC)는, 하우징 만곡부(HC)와 대향할 수 있다. 라킹 만곡부(LC)의 형상은, 하우징 만곡부(HC)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킹 만곡부(LC)가 하우징 만곡부(HC)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이면, 하우징 만곡부(HC)는 라킹 만곡부(LC)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라킹 만곡부(LC)는, 하우징 만곡부(HC)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라킹 만곡부(LC)는, 하우징 만곡부(HC)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라킹 만곡부(LC)가 하우징 만곡부(HC)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인 경우,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라킹 만곡부(LC)는, 하우징 만곡부(HC)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제2 라킹 모듈(LM2)은 제2 라킹 모듈 하우징(LM2H)에 끼워질 수 있다. 라킹 만곡부(LC)가 하우징 만곡부(HC)에 끼워짐으로써,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1 바디(BD1)에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2는 도 1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외측부(310),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내측부(320), 제1 라킹 모듈(LM1), 제2 라킹 모듈(LM2), 제1 스피커(SPK1), 제1 기판(PCB1) 및 메인 USB 모듈(MUM)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외측부(310)는, 제2 전면 커버(FC2)와 제2 후면 커버(R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커버(FC2)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외측부(3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후면 커버(RC2)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외측부(3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내측부(320)는, 배터리 라킹 모듈(BLM)과 안테나 패턴(AP)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라킹 모듈(BLM)은 배터리(battery)와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내측부(320)의 외측면(exterior surface)에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내측부(320)의 내측(interior)에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은 후면(양의 Z축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 패턴(AP)은 전면(음의 Z축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은,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파로 변환하거나 전자기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은 제1 기판(PCB1)에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은, 무선 통신(radio communication)에 이용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패턴(AP)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의 무선 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라킹 모듈(LM1)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내측부(32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라킹 모듈(LM1)에 대응되어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에 버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에 형성된 버튼이 눌려지는 정도에 따라, 제1 라킹 모듈(LM1)과의 결합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제2 라킹 모듈(LM2)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내측부(32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라킹 모듈(LM2)에 대응되어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에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housing)과 제2 라킹 모듈(LM2)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배터리 라킹 모듈(BLM)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내측부(32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 라킹 모듈(BLM)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내측부(320) 상면의 결합구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면의 결합구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내측부(320)의 내측으로 함몰된 영역일 수 있다. 즉, 배터리 라킹 모듈(BLM)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구 내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스피커(SPK1)는 제2 전면 커버(FC2)와 제2 후면 커버(RC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피커(SPK1)는 음향(sound) 또는 음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피커(SPK1)는 제1 기판(PCB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PCB1)은 제2 전면 커버(FC2)와 제2 후면 커버(RC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PCB1)은, 제1 스피커(SPK1)와 메인 USB 모듈(MUM) 및 안테나 패턴(AP)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PCB1)은 제1 스피커(SPK1)와 메인 USB 모듈(MUM) 및 안테나 패턴(AP) 등과 전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판(PCB1)은, 서브 사운드 모듈을 실장할 수 있다.
서브 사운드 모듈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에 있어서,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음향을 처리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 받는 방식에 따라 모드(mode)를 달리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1,2,3 처리 모드를 포함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1 처리 모드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의 일부에 결합되어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이동 단말기의 일부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제1 바디(BD1, 도 4)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바디(BD1, 도 4)에 구비된 메인 기판은 제1 기판(PCB1)에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기판(PCB1)에 실장된 서브 사운드 모듈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2 처리 모드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 도 1)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동 단말기(100, 도 1)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디지털 음향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3 처리 모드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유선으로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다른 이동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서브 USB 모듈(SUM)와 제2 커넥터(CN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1 커넥터(CNT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음향신호는, 다른 이동 단말기, 서브 USB 모듈(SUM), 제2 커넥터(CNT2), 그리고 제1커넥터(CNT1)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1 기판(PCB1)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기판(PCB1)에 전송된 디지털 음향신호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1 기판(PCB1)은,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에 내장된 제2 기판(PCB2)과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즉, 제1 기판(PCB1)과 제2 기판(PCB2) 사이에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전기신호의 전달을 위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1 커넥터(CNT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CNT1)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에 구비된 제2 커넥터(CNT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커넥터(CNT1)와 제2 커넥터(CNT2)는, 제1 기판(PCB1)과 제2 기판(PCB2) 사이에 전기신호 전달의 경로가 될 수 있다.
메인 USB 모듈(MUM)은 제2 전면 커버(FC2)와 제2 후면 커버(RC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USB 모듈(MUM)은 외부에 USB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USB 모듈(MUM)은, 다른 이동 단말기와 음향신호 처리장치(500)가 USB 통신을 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제3 전면 커버(FC3)와 제3 후면 커버(RC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면 커버(FC3)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전면 커버(FC3)와 제2 전면 커버(FC2)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후면 커버(RC3)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후면 커버(RC3)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제2 기판(PCB2), 서브 USB 모듈(SUM), 제2 커넥터(CNT2), 제2 스피커(SPK2), 그리고 스피커 이어폰 단자(SSK)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PCB2)는, 제3 전면 커버(FC3)와 제3 후면 커버(RC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판(PCB3)은, 전기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2 기판(PCB2)은, 서브 USB 모듈(SUM), 제2 커넥터(CNT2), 제2 스피커(SPK2), 그리고 스피커 이어폰 단자(SSK)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USB 모듈(SUM)은, 외부와USB 통신을 할 수 있다. 서브 USB 모듈(SUM)은,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기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USB 모듈(SUM)은, 다른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어 디지털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제2 기판(PCB2)에 전달할 수 있다. 서브 USB 모듈(SUM)은, 암수(female/male)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서브 USB 모듈(SUM)은, 유선 연결부(WC)에 포함될 수 있다.
유선 연결부(WC)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에 포함될 수 있다. 유선 연결부(WC)는, 외부 단말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다. 유선 연결부(WC)를 통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전기 신호 또는 광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연결부(WC)는, 광통신(optical communication)이 가능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연결부(WC)는, 전기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연결부(WC)는, 서브 USB 모듈(SUM)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피커(SPK2)는 음향(sound)를 외부에 방사할 수 있다. 제2 스피커(SPK2)는, 제2 기판(PCB2)로부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스피커(SPK2)는, 스피커 이어폰 단자(SSK)로부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
제1,2 스피커(SPK1,2)와 서브 이어폰 잭(EPJ1)은, 사운드 출력부(SO)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SO)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SO) 중에서 제1,2 스피커(SPK1,2)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음향(sound)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SO) 중에서 서브 이어폰 잭(EPJ1)은,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삽입된 이어폰(ear-phone)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향신호 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1 기판(PCB1), 안테나 패턴(AP), 사운드 출력부(SO), 그리고 제1 커넥터(CNT1)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 사운드 출력부(SO), 그리고 제1 커넥터(CNT1)는, 제1 기판(PCB1)에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은,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파로 변환하거나, 전자기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은,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패턴(AP)은, 제2 이동 단말기(820)와 통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안테나 패턴(AP)을 이용하여 제2 이동 단말기(82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제2 이동 단말기(820)로부터 다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커넥터(CNT1)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CNT1)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로부터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커넥터(CNT1)는, 제공받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1 기판(PCB1)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기판(PCB1)은,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1 기판(PCB1)은, 서브 사운드 모듈(SSM)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사운드 모듈(SSM)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사운드 모듈(SSM)은, DAC(Digital-to-Analogue Conversion) 장치일 수 있다. 서브 사운드 모듈(SSM)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한 이후에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서브 사운드 모듈(SSM)은,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사운드 출력부(SO)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SO)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SO)는, 서브 이어폰 잭(EPJ1)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이어폰 잭(EPJ1)은,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삽입된 이어폰(ear-phone) 또는 다른 스피커(speaker)에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SO)는, 제1 스피커(SPK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피커(SPK1)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음향(sound)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이동 단말기(820)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가 음향으로 출력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제2 이동 단말기(820)로부터 안테나 패턴(AP)으로, 디지털 음향신호가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AP)에 전달된 디지털 음향신호는 제1 기판(PCB1)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기판(PCB1)에 전달된 디지털 음향신호는, 서브 사운드 모듈(SSM)에 전달될 수 있다. 서브 사운드 모듈(SSM)은, 전달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서브 사운드 모듈(SSM)은, 변환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사운드 출력부(SO)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SO)는, 수신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외부의 스피커에 전달하거나 음향(sound)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유선 연결부(WC), 제2 기판(PCB2), 그리고 제2 커넥터(CNT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연결부(WC)와 제2 커넥터(CNT2)는, 제2 기판(PCB2)에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연결부(WC)는, 외부의 이동 단말기와 유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연결부(WC)는 제1 이동 단말기(81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연결부(WC)는, 서브 USB 모듈(SUM)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USB 모듈(SUM)은 USB 방식의 통신을 할 수 있다. 제2 커넥터(CNT2)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810)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가 음향으로 출력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810)로부터 유선 연결부(WC)로, 디지털 음향신호가 유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유선 연결부(WC)에 전달된 디지털 음향신호는, 제2 기판(PCB2), 제2 커넥터(CNT2), 제1 커넥터(CNT1)를 통하여 제1 기판(PCB1)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기판(PCB1)에 전달된 디지털 음향신호는, 서브 사운드 모듈(SSM)에 전달될 수 있다. 서브 사운드 모듈(SSM)은, 전달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서브 사운드 모듈(SSM)은, 변환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사운드 출력부(SO)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SO)는, 수신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외부의 스피커에 전달하거나 음향(sound)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24 및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와 단말기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와 이동 단말기(800) 사이의 무선 통신(radio communication)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일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와 이동 단말기(800) 사이에 무선 통신이 가능해지면, 사용자(user)는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위치를 일정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아날로그 음향신호가 스피커(speaker)에 가해지면, 스피커는 음향(sound)을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처리 모드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다른 이동 단말기(800)로부터 무선으로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1,2 스피커(SPK1,2)와 서브 이어폰 잭(EPJ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스피커(SPK1,2)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음향(sound)를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서브 이어폰 잭(EPJ1)은,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서브 이어폰 잭(EPJ1)에 삽입된 이어폰(ERP)에 제공할 수 있다. 서브 이어폰 잭(ERP1)에 삽입된 이어폰(ERP)은,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음향(sound)을 방사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와 이동 단말기(800) 사이의 유선 통신(wire communication)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방식이거나 광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와 이동 단말기(800) 사이에 유선으로 통신되면, 디지털 음향신호가 이동 단말기(800)로부터 음향신호 처리장치(500)로 안정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처리 모드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다른 이동 단말기(800)로부터 유선으로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를 통해, 다른 이동 단말기(800)로부터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800)에 연결될 수 있다. USB 라인(UL)은, 이동 단말기(800)와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를 연결할 수 있다. USB 라인(UL)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이동 단말기(800)에서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는, 일 측에 서브 USB 모듈(SUM)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음향신호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디지털 음향신호는, 이동 단말기(800), USB 라인(UL),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를 순차적으로 지나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도달된 디지털 음향신호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제1,2 스피커(SPK1,2)로 또는 서브 이어폰 잭(EPJ1)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26은, 도 25 서브 USB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점선 처리된 A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USB 모듈(SUM)은,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ype의 USB 방식일 수 있다. 서브 USB 모듈(SUM)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서브 USB 모듈(SUM)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필요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USB 모듈(SUM)은,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ype의 USB 방식일 수 있다. A-type의 USB와 C-type의 USB는, USB 젠더(USB-gender-changer)를 이용하여 호환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신호 처리장치의 디지털 음향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디지털 음향신호 처리 방법(S20)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1 처리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1 처리 모드의 상태이면,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다른 이동 단말기의 일부에 결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디지털 음향신호 처리 방법(S20)은, 제1 기판(PCB1)이 다른 이동 단말기의 일부로부터 디지털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디지털 음향신호 처리 방법(S20)은, 서브 사운드 모듈이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단계(S27)을 포함할 수 있다. 변환된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스피커(speaker) 또는 이어폰 잭에 출력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1 처리 모드가 아닌 경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다른 처리 모드에 있는지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디지털 음향신호 처리 방법(S20)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2 처리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2 처리 모드의 상태이면,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외부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디지털 음향신호 처리 방법(S20)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디지털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는, 안테나 패턴을 구비함으로써 외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1, 2 처리 모드가 아닌 경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3 처리 모드에 있는지 확인이 요구될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디지털 음향신호 처리 방법(S20)은,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3 처리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제2 처리 모드의 상태이면,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가 외부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장치(500)의 디지털 음향신호 처리 방법(S20)은,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가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유선으로 디지털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2)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음향신호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SBD1)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은, 결합 모드에 따라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가 달라질 수 있다. 결합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음향을 하이파이(Hi-Fi)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와, 일측의 개구(opening)와 메인기판을 포함하며, 타측에 메인 이어폰(ear-phone) 잭이 형성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서브 사운드 모듈을 실장한 제1 기판과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서브 이어폰 잭과 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에 결합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및
    상기 제1 상태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서브 이어폰 잭에 제1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 이어폰 잭에 제2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메인 이어폰 잭과 서브 이어폰 잭을, 음향신호에 반응하는 활성화 상태와 음향신호에 반응하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 콜 수신 이벤트, 알람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와,
    저장된 음향 콘텐츠에 대응된 콘텐츠신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의 출력대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 콜 수신 이벤트, 알람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신호와, 저장된 음향 콘텐츠에 대응된 콘텐츠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이어폰 잭과 상기 서브 이어폰 잭 중 어느 하나의 이어폰 잭으로 상기 이벤트신호와 상기 콘텐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 이어폰 잭과 상기 서브 이어폰 잭 중 다른 하나의 이어폰 잭으로 상기 콘텐츠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상태 정보를, 상기 메인 이어폰 잭과 상기 서브 이어폰 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제1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제2 스피커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이어폰 잭에 연결되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와, 일측의 개구(opening)와 메인기판을 포함하며, 타측에 메인 이어폰 잭이 형성된 제1 바디;
    일측 단부가 상기 개구에 삽입 가능한 형상의 제2 바디;
    일측 단부가 상기 개구에 삽입 가능한 형상이며,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서브 사운드 모듈을 실장한 제1기판과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서브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및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에 탈부착되고, 제2 기판을 구비하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와 결합하는 제1 결합 모드와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와 결합하는 제2 결합 모드를 포함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가 제1 결합 모드이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와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음향신호 처리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음향신호 처리장치에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가 제1 결합 모드이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와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음향신호 처리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유선으로 전송 받는 서브 USB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음향신호 처리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음향신호 처리장치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1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음향신호 처리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음향신호 처리장치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앱(Application)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앱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메인 사운드 모듈을 실장하고,
    상기 제1 기판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서브 사운드 모듈을 실장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가 제1 결합 모드인 상태에서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메인 사운드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바디가 제2 결합 모드인 상태에서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서브 사운드 모듈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가 제2 결합 모드이면,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와 상기 제1 바디는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서브 이어폰 잭에 제1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 이어폰 잭에 제2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2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이어폰 잭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제1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제1 스피커에 제1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스피커에 제2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17.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아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서브 사운드 모듈을 실장한 제1 기판,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서브 이어폰 잭, 그리고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 및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에 탈부착되고, 제2 기판,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응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다른 단말기에 결합되어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는 제1 처리 모드와, 이격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는 제2 처리 모드와, 다른 단말기에 연결된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를 통해 디지털 음향신호를 제공받는 제3 처리 모드를 포함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음향신호 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향신호 처리 바디는,
    다른 단말기에 연결되어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2 기판에 전송하는 서브 USB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음향신호 처리 바디가 제3 처리 모드이면, 전송받은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 기판에 전송하는,
    음향신호 처리장치.
PCT/KR2016/007042 2016-01-08 2016-06-30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WO20171421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76249P 2016-01-08 2016-01-08
KR1020160017344A KR101789656B1 (ko) 2016-01-08 2016-02-15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KR10-2016-0017344 2016-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139A1 true WO2017142139A1 (ko) 2017-08-24

Family

ID=5905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042 WO2017142139A1 (ko) 2016-01-08 2016-06-30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76893B2 (ko)
KR (4) KR101760012B1 (ko)
WO (1) WO20171421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3956A (zh) * 2019-09-30 2021-03-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音频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WO2021190430A1 (zh) * 2020-03-27 2021-09-30 无锡中感微电子股份有限公司 音频数据传输方法、系统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1367B2 (en) * 2016-01-22 2018-08-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7126736A1 (ko) * 2016-01-22 2017-07-27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WO2018062585A1 (ko) * 2016-09-28 2018-04-05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US10310745B2 (en) * 2017-05-19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ine tuning and optimizing NVMe-oF SSDs
CN107426369A (zh) * 2017-09-06 2017-12-01 金雅豪精密金属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具有分段式外框的手机中板
CN109495869A (zh) * 2018-11-30 2019-03-19 锐迪科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蓝牙连接方法及装置
CN112042212B (zh) * 2018-12-21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KR20200121549A (ko) * 2019-04-16 202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EP4318179A1 (en) * 2021-06-21 2024-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oldable hous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076A (ko) * 2009-02-18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탈부착 가능한 서브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22027A (ko) * 2011-08-24 2013-03-06 한국과학기술원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US20140187289A1 (en) * 2013-01-03 2014-07-03 Headlogic Llc Modular Component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64955A (ko) * 2013-12-04 2015-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73514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자동 설치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264B1 (ko) 2010-09-20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119581A (ko) 2012-04-24 2013-11-01 홍종일 무선링크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충전기
US9344793B2 (en) * 2013-02-11 2016-05-17 Symphonic Audio Technologies Corp. Audio apparatu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076A (ko) * 2009-02-18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탈부착 가능한 서브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22027A (ko) * 2011-08-24 2013-03-06 한국과학기술원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US20140187289A1 (en) * 2013-01-03 2014-07-03 Headlogic Llc Modular Component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64955A (ko) * 2013-12-04 2015-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73514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자동 설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3956A (zh) * 2019-09-30 2021-03-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音频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2583956B (zh) * 2019-09-30 2023-06-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音频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WO2021190430A1 (zh) * 2020-03-27 2021-09-30 无锡中感微电子股份有限公司 音频数据传输方法、系统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76893B2 (en) 2018-01-23
KR20170083456A (ko) 2017-07-18
KR101760012B1 (ko) 2017-07-31
KR101741585B1 (ko) 2017-05-30
KR101789655B1 (ko) 2017-11-20
KR101789656B1 (ko) 2017-10-25
US20170237845A1 (en) 2017-08-17
KR20170083457A (ko) 2017-07-18
KR20170083458A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2139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WO2017052015A1 (ko) 이동 단말기
WO2020204626A1 (en) Camera module including heat dissipa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8038311A1 (ko) 이동 단말기
WO201516004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9143209A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신호 송신 또는 수신 방법
WO2019194346A1 (ko) Pcb 적층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WO2015182848A1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 어셈블리
WO2015163544A1 (en) Mobile terminal
WO2017104950A1 (ko) 케이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WO2021162186A1 (ko)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생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8169102A1 (ko) 이동 단말기
WO2017171161A1 (ko) 이동 단말기
WO2022080612A1 (ko) 휴대용 음향기기
WO2018038288A1 (ko) 이동 단말기
WO2022103023A1 (ko)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172880A1 (ko)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101331A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solated conductor
WO2019245283A1 (ko)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08085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pparatus using photo-conductive material and antenna control method
WO2021201640A1 (ko)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03412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ulti-channel speaker system
WO2015083896A1 (ko) 이동 단말기
WO2017126736A1 (ko) 이동 단말기
WO2022145914A1 (ko) 전력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를 찾는 방법 및 그 전력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907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907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