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027A -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027A
KR20130022027A KR1020110084671A KR20110084671A KR20130022027A KR 20130022027 A KR20130022027 A KR 20130022027A KR 1020110084671 A KR1020110084671 A KR 1020110084671A KR 20110084671 A KR20110084671 A KR 20110084671A KR 20130022027 A KR20130022027 A KR 20130022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mmunication
sub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거송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8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2027A/ko
Publication of KR20130022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이 포함된 메인모듈(10); 상기 통화모듈(10)과 분리 또는 결합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이 포함된 서브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모듈(10)은 상기 서브모듈(20)과 결합되기 위해 결합슬릿(11)이 형성된 메인바디(12); 상기 메인바디(1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모듈(20)은 상기 메인바디(12)의 결합슬릿(11)에 결합되는 커넥터(2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22); 상기 서브바디(2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모듈(200)을 포함하기 때문에, 메인모듈(10) 및 서브모듈(20)을 분리한 후, 최소한의 통신기능이 포함된 메인모듈(10)만을 소지함으로서 휴대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Separ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화를 위해 필수적인 메인모듈과 디스플레이와 같은 서브모듈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비용이 저렴해지고 주행 중인 차량에서도 고품질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통화품질도 향상되고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버튼들로 이루어진 키패드, 다이얼한 전화번호나 현재 이동 단말기의 기능설정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Display Unit)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와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방법은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측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숫자를 조작하면 표시부에 착신측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표시부의 표시 상태가 올바른가가 판단된 후 사용자가 통화 키(Send)를 누르면 상대방에게 호가 전달된다. 상대방과 호가 연결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된 음성 입출력부인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는 단순히 길죽한 형상의 바(bar)형, 바형의 키패드 부분에 커버를 달아놓은 것 같은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부분과 키패드 부분을 분리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한 폴더형, 회전(Rotary) 타입의 회전형이 있는데 어느 것이나 소비자는 경박단소형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호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이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어, 단말기 제조 시 규격화된 통신 네트워크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는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단말기 본체에 통신모듈을 포함해야 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크기를 줄이는데도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통신모듈에 필요한 입출력장치를 설치하고, 이러한 통신모듈을 단말기 본체와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모듈과 단말기 본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통화를 위해 필수적인 메인모듈과 디스플레이와 같은 서브모듈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이 포함된 메인모듈(10); 상기 통화모듈(10)과 분리 또는 결합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이 포함된 서브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모듈(10)은 상기 서브모듈(20)과 결합되기 위해 결합슬릿(11)이 형성된 메인바디(12); 상기 메인바디(1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모듈(20)은 상기 메인바디(12)의 결합슬릿(11)에 결합되는 커넥터(2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22); 상기 서브바디(2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모듈(200)을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100) 및 상기 부가모듈(200)은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각각 제 1, 2 근거리통신부(120)(2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모듈(200)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모듈(100)에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2 조작신호입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이 포함된 메인모듈(10); 상기 통화모듈(10)과 분리 또는 결합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이 포함된 서브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모듈(10)은 상기 서브모듈(20)과 결합되기 위해 결합슬릿(11)이 형성된 메인바디(12); 상기 메인바디(1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모듈(20)은 상기 메인바디(12)의 결합슬릿(11)에 결합되는 커넥터(2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22); 상기 서브바디(2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모듈(200)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100)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부(110); 상기 부가모듈(2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1 근거리통신부(120);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제 1 조작신호입력부(160);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140); 음향을 입출력하는 제 1 음향처리부(150); 상기 제 1 조작신호입력부(160), 상기 제 1 표시부(140) 및 상기 제 1 음향처리부(150)를 제어하는 제 1 입출력제어부(130)를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가모듈(20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제 2 조작신호입력부(260); 상기 제 1 근거리통신부(120)와 상호 통신하는 제 2 근거리통신부(220); 상기 부가모듈(200)의 입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근거리통신부(22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근거리통신부(120)와 상호 통신을 제어하는 제 2 입출력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메인모듈(10) 및 서브모듈(20)을 분리한 후, 최소한의 통신기능이 포함된 메인모듈(10)만을 소지함으로서 휴대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이 포함된 메인모듈(10)과, 상기 통화모듈(10)과 분리 또는 결합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이 포함된 서브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모듈(10)은 상기 서브모듈(20)과 결합되기 위해 결합슬릿(11)이 형성된 메인바디(12)와, 상기 메인바디(1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100)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모듈(20)은 상기 메인바디(12)의 결합슬릿(11)을 통해 상기 메인바디(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22)와, 상기 서브바디(2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모듈(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가모듈(200)은 상기 결합슬릿(11)을 통해 상기 메인바디(12)에 삽입되어 상기 통신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상기 부가모듈(200) 및 상기 통신모듈(100) 간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커넥터(21)가 배치된다.
상기 통신모듈(100)은 무선통신부(110), 제 1 근거리통신부(120), 제 1 입출력제어부(130), 제 1 표시부(140), 제 1 음향처리부(150) 및 제 1 조작신호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근거리통신부(120)는 상기 부가모듈(2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입출력제어부(130)는 상기 메인모듈(10)에 설치된 입출력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 1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창 등을 포함하며, 동작 제어를 위한 메뉴, 통화 중 상대방의 신호 수신 상태 및 배터리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간략한 정보 등이 표시된다. 즉 상기 제 1 표시부(140)는 통화 시 발신번호 등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제 1 음향처리부(150)는 마이크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바디(12)에 설치된 마이크(13) 및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이어폰단자(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단자(15)에 연결된 이어폰(14)을 통해 통화에 필요한 음향을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모듈(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가모듈(20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15), 제 2 근거리통신부(220), 제 2 입출력제어부(230), 제 2 표시부(240), 제 2 음향처리부(250) 및 제 2 조작신호입력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는 상기 제 2 조작신호입력부(260)에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220)는 상기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 2 입출력 제어부(230)는 상기 부가모듈(200)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 2 표시부(240)는 상기 부가모듈(200)에 설치된 LCD 또는 AMOLED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이다.
상기 제 2 음향처리부(250)는 상기 제 2 입출력제어부(230)와 연동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가모듈(200)에 설치된 스피커(23) 및 마이크이고, 상기 부가모듈(200)로 음향신호가 입력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조작신호입력부(26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 표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 2 입출력제어부(230)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15)에 전달되며, 상기 부가모듈(200)이 사용자의 동작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15)는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부가모듈(2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 1, 2 근거리통신부(120)(220)는 근거리통신을 위한 제어부, 주파수변환부, RF 필터부 및 유선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부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적합하도록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주파수를 변환하며, 상기 RF 필터부는 원하는 대역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유선인터페이스부는 유선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통신 제어부는 주파수 변환부와 RF 필터부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100) 및 부가모듈(200)이 서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거나, 유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100) 및 상기 부가모듈(200)이 유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통신에 관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래서 상기 부가모듈(200)은 상기 커넥터(21)가 상기 결합슬릿(11)에 결합될 경우 상기 커넥터(21) 및 결합슬릿(11)의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 상호 통신될 수 있고, 서로 분리될 경우 상기 제 1, 2 근거리통신부(120)(220)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메인모듈(10) 및 상기 서브모듈(20)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배터리가 구비되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모듈(20)의 배터리 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분리된 상태에서는 각각 배치된 배터리 전원을 통해 구동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메인모듈(10) 및 상기 서브모듈(20)이 결합된 경우,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통화 및 기타 부가적인 음악재생, DMB 재생, 라디오수신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모듈(10) 및 상기 서브모듈(20)이 분리된 경우, 상기 메인모듈(10)은 통화전용모드로 작동되는 바, 상기 메인모듈(10)에 내장된 무선통신부(110) 등의 구성을 통해 이동통신 신호 등을 송수신함으로서 통화에 필수적인 기능들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활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인모듈(10)만을 분리하여 소지한 후 운동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통화를 위한 최소한의 구성만을 소지하게 되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하는 제 2 표시부(240)를 분리하기 때문에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전화가 온 경우, 사용자는 상기 메인모듈(10)에 연결된 이어폰(14)의 헤드셋을 이용하여 통화를 실시할 수 있고, 상기 메인모듈(10)의 통신모듈(100)은 상기 제 1 표시부(140)에 통화와 관련된 최소한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이어폰(14)의 헤드셋을 이용하는 바, 헤드셋에 배치된 버튼을 통해 통화수신/재발신/음량조절 등의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시킨다.
더불어 문자와 같은 SMS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100)은 상기 제 1 표시부(140)에 수신된 SMS를 표시할 수 있는 바, 상기 통신모듈(100)을 통해 통화 및 SMS와 같은 통신관련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100) 및 부가모듈(200)이 상기 제 1, 2 근거리통신부(120)(22)를 통해 상호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에 위치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부가모듈(200)의 제 2 조작신호입력부(260)를 통해 조작신호를 입력함으로서, 음악재생 과 같은 미디어 재생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분리된 상태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상기 부가모듈(200)의 제 2 조작신호입력부(260)를 통해 조작신호(예를 들어 전화통화를 위한 번호선택 및 입력 등)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조작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제어부(215)가 판단한 후, 통화에 관련된 조작신호인 경우 상기 제 2 근거리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100)에 전송한 후, 상기 통신모듈(100)이 전달받은 데이터에 따라 통화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10 : 메인모듈 11 : 결합슬릿
12 : 메인바디 13 : 마이크
14 : 이어폰 15 : 이어폰단자
20 : 서브모듈 21 : 커넥터
22 : 서브바디 23 : 스피커
100 : 통신모듈 110 : 무선통신부
120 : 제 1 근거리통신부 130 : 제 1 입출력제어부
140 : 제 1 표시부 150 : 제 1 음향처리부
160 : 제 1 조작신호 입력부 200 : 부가모듈
210 :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215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220 : 제 2 근거리통신부 230 : 제 2 입출력제어부
240 : 제 2 표시부 250 : 제 2 음향처리부
260 : 제 2 조작신호입력부

Claims (5)

  1.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이 포함된 메인모듈(10); 상기 통화모듈(10)과 분리 또는 결합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이 포함된 서브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모듈(10)은
    상기 서브모듈(20)과 결합되기 위해 결합슬릿(11)이 형성된 메인바디(12); 상기 메인바디(1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모듈(20)은
    상기 메인바디(12)의 결합슬릿(11)에 결합되는 커넥터(2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22); 상기 서브바디(2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모듈(200)을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100) 및 상기 부가모듈(200)은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각각 제 1, 2 근거리통신부(120)(220)가 배치된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가모듈(200)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모듈(100)에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2 조작신호입력부(260)를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4.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이 포함된 메인모듈(10); 상기 통화모듈(10)과 분리 또는 결합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이 포함된 서브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모듈(10)은
    상기 서브모듈(20)과 결합되기 위해 결합슬릿(11)이 형성된 메인바디(12); 상기 메인바디(1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모듈(20)은
    상기 메인바디(12)의 결합슬릿(11)에 결합되는 커넥터(2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22); 상기 서브바디(22)에 설치되고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모듈(200)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100)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부(110); 상기 부가모듈(2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1 근거리통신부(120);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제 1 조작신호입력부(160);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140); 음향을 입출력하는 제 1 음향처리부(150); 상기 제 1 조작신호입력부(160), 상기 제 1 표시부(140) 및 상기 제 1 음향처리부(150)를 제어하는 제 1 입출력제어부(130)를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가모듈(20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제 2 조작신호입력부(260);
    상기 제 1 근거리통신부(120)와 상호 통신하는 제 2 근거리통신부(220);
    상기 부가모듈(200)의 입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근거리통신부(22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근거리통신부(120)와 상호 통신을 제어하는 제 2 입출력제어부(230)를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110084671A 2011-08-24 2011-08-24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130022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671A KR20130022027A (ko) 2011-08-24 2011-08-24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671A KR20130022027A (ko) 2011-08-24 2011-08-24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027A true KR20130022027A (ko) 2013-03-06

Family

ID=4817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671A KR20130022027A (ko) 2011-08-24 2011-08-24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20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2286A1 (de) 2013-02-28 2014-08-28 Mando Corporation Elektrische Servolenkungsvorrichtung vom Kugelumlaufspindeltyp
US9386131B2 (en) 2013-08-29 2016-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unction by combining one or more function blocks
WO2017142139A1 (ko) * 2016-01-08 2017-08-24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WO2018043768A1 (ko) * 2016-08-30 2018-03-08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KR101870939B1 (ko) * 2017-07-19 2018-06-25 방승원 방수 방진 기능을 갖는 분리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2286A1 (de) 2013-02-28 2014-08-28 Mando Corporation Elektrische Servolenkungsvorrichtung vom Kugelumlaufspindeltyp
US9386131B2 (en) 2013-08-29 2016-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unction by combining one or more function blocks
WO2017142139A1 (ko) * 2016-01-08 2017-08-24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음향신호 처리시스템
US9876893B2 (en) 2016-01-08 2018-01-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tering operation when coupled with audio sub module
WO2018043768A1 (ko) * 2016-08-30 2018-03-08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KR101870939B1 (ko) * 2017-07-19 2018-06-25 방승원 방수 방진 기능을 갖는 분리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4449B (zh) 整合式通讯装置
US8493282B2 (en) Handheld device with secondary screen for soft key descriptors
WO2007111111A1 (ja) 携帯電話機
KR20130022027A (ko) 분리형 이동통신단말기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JPH09321848A (ja) 携帯通信機
JP2011109631A (ja) 無線通信装置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CN202907146U (zh) 一种基于nfc技术的蓝牙音箱
US20170245118A1 (en) Mobile phone case with wireless intercom
KR20010061330A (ko) 분리형 휴대폰 및 분리형 휴대폰의 통신 방법
JPH1165725A (ja) 携帯端末
CN110381418B (zh) 扬声设备、中转设备以及移动终端
KR20070080011A (ko)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폰구현 방법 및 회로
KR20010084261A (ko)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CN202759497U (zh) 一种具有对讲机功能的移动终端
CN216122399U (zh) 一种插卡式直通无延时公网对讲机
KR20080046948A (ko) 통신 서비스 시스템
JP5205319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
KR20030088786A (ko) 모듈화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352882A (ja) 携帯端末のハンズフリー兼用リモコン装置
JP2983326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20030065046A (ko) 분리형 휴대 전화 단말기
JP2004172826A (ja) 携帯電話機
KR200193178Y1 (ko) 오디오를 이용한 핸즈프리
KR100389628B1 (ko) 복합 충전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