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998A -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 Google Patents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998A
KR20180067998A KR1020160169503A KR20160169503A KR20180067998A KR 20180067998 A KR20180067998 A KR 20180067998A KR 1020160169503 A KR1020160169503 A KR 1020160169503A KR 20160169503 A KR20160169503 A KR 20160169503A KR 20180067998 A KR20180067998 A KR 2018006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portable terminal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842B1 (ko
Inventor
최주호
송승보
Original Assignee
최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주호 filed Critical 최주호
Priority to KR102016016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8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04M2001/020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전원을 충전하여 제공하는 복수의 충전지; 상기 복수의 충전지 중 하나의 충전지가 교체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충전지를 충전시키거나 상기 충전지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하는 배터리 하우징;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배터리 패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에 의하면, 충전지가 수납된 배터리 하우징이 배터리 패스너에 의해 휴대단말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므로 충전지를 휴대단말기와 함께 휴대함으로써 충전의 필요시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충전지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또 다른 충전지를 배터리 하우징에 교체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지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AUXILIARY BATTERY ATTACHE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를 교체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휴대단말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장소,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는 통신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면서 그 사용 분야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고 있으나 배터리 용량에는 한계가 있어서 장시간 사용시에는 배터리가 방전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때문에, 실외에서도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보조 배터리는 휴대단말기와 분리된 상태로 휴대되기 때문에 분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와 함께 휴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3706호에 개시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가 있다.
선행기술은 휴대단말기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와, 보호케이스의 이면에 형성되고, 보조 배터리 및 연결용 잭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와, 보조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보호케이스에 보조 배터리가 수납됨에 따라 보조 배터리를 휴대단말기와 함께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보조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의 구성이 요구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지 않을 경우에도 보호케이스가 휴대되므로 휴대단말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보조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를 충전한 후에 다시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37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 배터리를 휴대단말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필요시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지를 복수로 구비하면서 교체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충전지가 방전될 경우에도 지속적인 충전을 도모할 수 있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는,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보조 배터리로서, 전원을 충전하여 제공하는 복수의 충전지; 상기 복수의 충전지 중 하나의 충전지가 교체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충전지를 충전시키거나 상기 충전지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하는 배터리 하우징;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배터리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전지가 수납된 배터리 하우징이 배터리 패스너에 의해 휴대단말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므로 충전지를 휴대단말기와 함께 휴대할 수 있으며, 충전의 필요시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하우징에 복수의 충전지가 교체가능하게 수납되므로 충전지의 방전시 또 다른 충전지를 통해 휴대단말기를 지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패스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거치대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거치대 결합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거치대 결합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연관성이 큰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지(100), 배터리 하우징(200) 및 배터리 패스너(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충전지(100)는 외부전원을 통해 전원을 충전하여 휴대단말기(20)에 연결되면서 휴대단말기(20)를 충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충전지(100)는 예컨대, 리튬 이온(Li-ion) 전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니켈 카드뮴(Ni-Cd) 전지나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Ni-Mh) 전지, 밀폐형 납산(SLA) 전지, 리튬 폴리머(Li-polymer) 전지 등과 같이 본 발명의 속하는 분야에 알려진 종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충전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통 막대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되어 방전시 교체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10)에 의해 전원을 충전하는 휴대단말기(20)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 등의 휴대 가능한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00)은 전술한 복수의 충전지(100) 중 하나가 교체가능하게 수납되면서 외부전원이나 휴대단말기(20)에 연결된다.
즉, 배터리 하우징(200)은 충전지(100)와 휴대단말기(20)를 연결시켜서 충전지(100)의 전원을 휴대단말기(20)에 공급하며, 충전지(100)를 외부전원에 연결시켜서 충전지(100)를 충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하우징(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210), 하우징커버(220), 인렛단자(230), 아웃렛단자(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본체(210)는 충전지(100)의 수납공간을 이루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된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충전지(100)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며, 충전지(100)의 전극에 밀착되는 미도시된 접촉전극이 내장되어 있다.
하우징커버(220)는 하우징본체(2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하우징커버(220)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텐션돌기(221)를 통해 차폐된 상태로 록킹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슬라이딩 방식이나 스냅단추 방식 등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알려진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인렛단자(230)는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이루는 것으로, 하우징본체(210)의 내부 접촉전극에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본체(2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전원케이블이 접속된다.
아웃렛단자(240)는 휴대단말기(2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이루는 것으로, 하우징본체(210)의 내부 접촉전극에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본체(210)이 외부로 연장되어 휴대단말기(20)의 충전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아웃렛단자(240)는 휴대단말기(20)의 종류에 맞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본체(210)는 미도시된 젠더가 수납되어 아웃렛단자(240)에 부착되면서 아웃렛단자(20)를 휴대단말기(20)에 호환시킬 수도 있다.
한편, 배터리 하우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무선충전모듈(250)이 구비되어 휴대단말기(20)를 무선 충전시킬 수도 있다.
무선충전모듈(250)은 알려진 바와 같이 자기유도방식으로 유도전류를 발생시켜서 제공하는 것으로, 배터리 하우징(100)의 접촉전극에 연결되는 유도코일로 구성되어 하우징본체(210)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20)에 대면하면서 무선충전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충전모듈(250)은 전술한 아웃렛단자(240)와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아웃렛단자(240)가 없는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 패스너(300)는 전술한 하우징본체(210)를 휴대단말기(2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20)와 배터리 하우징(100)을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배터리 패스너(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310) 및 자석(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금속판(310)은 자석의 자력에 의해 반응하는 판상의 부재로서, 휴대단말기(20)의 외주면에 접착 등을 통해 고정된다.
자석(320)은 하우징본체(210)이 표면에 고정되거나 내장된 상태로 금속판(310)에 대면하면서 자력을 통해 금속판(310)을 고정한다. 이러한 자석은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배터리 패스너(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330) 및 거치대 결합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거치대(330)는 휴대단말기(2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하우징본체(210)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거치대(33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에 고정되는 고정판(331)과 하우징본체(210)에 결합되는 체결블록(332)으로 구성되면서 각도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휴대단말기(2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330)는 고정판(331)이 휴대단말기(20)의 외주면에 접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별도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거치대(3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는 텔레스코픽 지지봉(333)과 고정판(331)으로 구성되어 휴대단말기(2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로 지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길이의 신축을 통해 휴대단말기(20)의 지지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거치대 결합부재(340)는 거치대(330)를 배터리 하우징(100)의 하우징본체(2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거치대 결합부재(3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돌기(341) 및 클립홀더(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립돌기(341)는 후크형태를 이루면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우징본체(21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며, 후크형태의 단부를 통해 후술되는 클립홀더(342)에 스냅식으로 걸려 고정된다. 이러한 클립돌기(341)는 한 쌍 중 하나가 가압버튼(341a)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가압에 의해 간격이 오므라지면서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클립홀더(342)는 거치대(330)를 구성하는 체결블록(332)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클립돌기(341)에 스냅식으로 걸려서 고정된다. 즉, 거치대(330)는 휴대단말기(20)에 고정된 상태로 클립홀더(342)를 통해 클립돌기(341)에 고정되면서 배터리 하우징(100)에 체결된다.
한편, 거치대 결합부재(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나사(343) 및 수형나사(3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암형나사(343)는 너트형태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본체(210)의 외주면이나 거치대(330)를 구성하는 체결블록(332) 중 하나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수형나사(344)는 볼트형태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본체(210)의 외주면이나 체결블록(332) 중 나머지 하나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암형나사(343)에 나사결합된다.
즉, 거치대(330)는 휴대단말기(20)에 고정된 상태로 수형나사(344)를 통해 암형나사(343)에 나사결합되면서 배터리 하우징(100)에 체결된다.
여기서, 수형나사(344)에는 걸림구슬(344a)이 구비될 수 있고, 암형나사(343)에는 걸림구슬(344a)이 맞물리는 구슬홈(343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형나사(344)는 걸림구슬(344a) 및 구슬홈(343a)의 맞물림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거치대 결합부재(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일(345) 및 레일홀더(3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레일(345)은 거치대(330)가 슬라이드되면서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본체(210)의 외주면에 일측이 개구된 홈형태로 형성되며,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345a)가 돌출형성된다.
레일홀더(346)는 거치대(330)를 구성하는 체결블록(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이루면서 연장되며, 슬라이드레일(345)의 가이드돌기(345a)에 끼워져 슬라이드된다.
즉, 거치대(330)는 휴대단말기(20)에 고정된 상태로 슬라이드레일(345)의 개구부를 통해 끼워지며, 레일홀더(346) 및 가이드돌기(345a)를 통해 슬라이드되면서 배터리 하우징(100)에 체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거치대 결합부재(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330)가 전술한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으로 구성될 경우, 걸림볼(347) 및 볼홀더(34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볼(347)은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의 신축에 따라 승강한다.
볼홀더(348)는 하우징본체(210)의 외주면에 슬롯형태로 형성되어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을 신축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며, 걸림볼(347)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볼홀더(348)는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에 의해 하강하는 걸림볼(347)이 안착됨에 따라 가압되면서 고정된다.
즉, 하우징본체(210)는 볼홀더(348)를 통해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볼(347)에 의해 가압되어 거치대(330)에 고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10)에 의하면, 충전지(100)가 수납된 배터리 하우징(200)이 배터리 패스너(300)에 의해 휴대단말기(2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므로 충전지(100)를 휴대단말기(20)와 함께 휴대함으로써 충전의 필요시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충전지(100)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또 다른 충전지(100)를 배터리 하우징(200)에 교체함으로써 휴대단말기(20)를 지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20 : 휴대단말기
100 : 충전지
200 : 배터리 하우징
210 : 하우징본체 220 : 하우징커버
230 : 인렛단자 240 : 아웃렛단자
250 : 무선충전모듈
300 : 배터리 패스너
310 : 금속판 320 : 자석
330 : 거치대
331 : 고정판 332 : 체결블록
333 : 텔레스코픽 지지봉
340 : 거치대 결합부재
341 : 클립돌기 342 : 클립홀더
343 : 암형나사 343a : 구슬홈
344 : 수형나사 344a : 걸림구슬
345 : 슬라이드레일 345a : 가이드돌기
346 : 레일홀더

Claims (9)

  1.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보조 배터리로서,
    전원을 충전하여 제공하는 복수의 충전지;
    상기 복수의 충전지 중 하나의 충전지가 교체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충전지를 충전시키거나 상기 충전지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하는 배터리 하우징;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배터리 패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지가 교체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충전지의 전극에 밀착되는 접촉전극이 구비되는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면서 상기 충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충전지의 전극을 상기 접촉전극에 밀착시키는 하우징커버;
    상기 하우징본체의 접촉전극에 연결된 상태로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전원을 상기 충전지로 공급하는 인렛단자; 및
    상기 하우징본체의 접촉전극에 연결된 상태로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면서 상기 충전지의 전원을 인출하는 아웃렛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본체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접촉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와 대면하면서 상기 충전지의 전원을 통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유대단말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충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패스너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금속판;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금속판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패스너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거치대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결합부재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후크형의 클립돌기; 및
    상기 거치대의 외주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클립돌기에 스냅식으로 끼워져 걸리는 클립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결합부재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 및 상기 거치대의 외주면 중 하나에 형성되는 암형나사;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 및 상기 거치대의 외주면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암형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수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결합부재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에 홈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고,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슬라이드레일; 및
    상기 거치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개구부를 통해 끼워지면서 상기 가이드돌기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레일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외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며, 길이가 신축가능하게 구성되어 지지각도를 가변시키는 텔레스코픽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 결합부재는,
    상기 텔레스코픽 지지봉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지지봉의 신축에 의해 승강하는 걸림볼;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지지봉을 신축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면서 상기 걸림볼의 안착부위를 이루고, 상기 걸림볼의 하강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볼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KR1020160169503A 2016-12-13 2016-12-13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KR10194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03A KR101945842B1 (ko) 2016-12-13 2016-12-13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03A KR101945842B1 (ko) 2016-12-13 2016-12-13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998A true KR20180067998A (ko) 2018-06-21
KR101945842B1 KR101945842B1 (ko) 2019-02-08

Family

ID=6280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503A KR101945842B1 (ko) 2016-12-13 2016-12-13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8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542A (ko) * 2020-05-21 2021-11-30 박가영 압력 측정에 기반한 장착 정보를 결정하는 무선 충전 장치
CN115377600A (zh) * 2021-05-21 2022-11-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电池固定模组和电子设备
WO2022260378A1 (ko) * 2021-06-09 2022-12-15 (주)에스피에스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706U (ko) 2015-04-17 2016-10-26 정경철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4374A (ja) 2005-10-28 2007-05-17 Tdk Corp 補助電源装置
KR101518819B1 (ko) * 2014-01-21 2015-05-11 김필원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KR200480607Y1 (ko) * 2015-10-23 2016-06-14 주식회사 그린전산 휴대폰 거치 보조 배터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706U (ko) 2015-04-17 2016-10-26 정경철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542A (ko) * 2020-05-21 2021-11-30 박가영 압력 측정에 기반한 장착 정보를 결정하는 무선 충전 장치
CN115377600A (zh) * 2021-05-21 2022-11-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电池固定模组和电子设备
CN115377600B (zh) * 2021-05-21 2024-04-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电池固定模组和电子设备
WO2022260378A1 (ko) * 2021-06-09 2022-12-15 (주)에스피에스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842B1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91766A1 (en) Power bracelet
EP2685542B1 (en) Mobile charger
US9531207B2 (en) Holster for supporting and charging the wireless headset of handheld devices
US20150200554A1 (en) Chargeable, portable storage case for optical and other wearable computing devices
US20120043937A1 (en) Charger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a rechargeable battery
US20060202702A1 (en) Headset charging system with interchargeable charge devices
KR101945842B1 (ko)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KR101437948B1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KR20190073893A (ko)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KR200486136Y1 (ko) 보조배터리 및 유에스비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1669018B1 (ko)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US20060250108A1 (en) Supplemental batter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2305624U (zh) 一种tws耳机及充电盒
US20210367438A1 (en) Battery adapter
CN209862518U (zh) 一种可充电腕带
JPH11155239A (ja) 二次電池の充電装置
CN216927271U (zh) 一种可快速充电式智能眼镜
CN216437442U (zh) 一种耳机装置
JP2007124374A (ja) 補助電源装置
CN220368525U (zh) 一种便携式无线充电装置
CN203660587U (zh) 一种手腕式移动电源
CN113271809B (zh) 电力屏幕保护装置
US20240030745A1 (en) Portable charging assembly
AU2015271930B2 (en) Mobile charger
KR200412271Y1 (ko) 휴대형 배터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