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330B1 -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330B1
KR102598330B1 KR1020210185811A KR20210185811A KR102598330B1 KR 102598330 B1 KR102598330 B1 KR 102598330B1 KR 1020210185811 A KR1020210185811 A KR 1020210185811A KR 20210185811 A KR20210185811 A KR 20210185811A KR 102598330 B1 KR102598330 B1 KR 10259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battery
smart device
electrode por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171A (ko
Inventor
김현준
채문석
정승주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
Priority to CN202280041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501555A/zh
Priority to PCT/KR2022/007959 priority patent/WO2022260378A1/ko
Publication of KR2022016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을 지지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하여 크래들에 전원 플러그를 일일이 꽂아야만 했던 충전상의 불편함, 나아가 다수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시키기 위해서 다수 개의 전원 플러그를 마련해야만 했던 전원 플러그의 관리상의 불편함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CRADLE FOR MOUNTING SMART DEVICE AND BATTERY COUPLED THERETO}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거치하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에 결합되는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비대면 주문 방식이 주목 받고 있는 최근 추세에 따라, 음식점 기타 매장에서는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해서 고객의 주문을 받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태블릿 PC는 음식점 기타 매장의 테이블마다 비치되어 있으며, 고객은 태블릿 PC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고, 로그인, 쿠폰 등록, 음식 주문, 주문 결재 등을 진행한다.
음식점 기타 매장에서 태블릿 PC를 활용하는 사례를 들면, 태블릿 PC가 테이블 위에 단순 비치되어 있는 경우, 태블릿 PC가 크래들에 단순 거치되어 있는 경우, 태블릿 PC가 크래들에 거치됨과 동시에 크래들을 통해 태블릿 기기의 충전이 이루지는 경우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크래들에 거치된 태블릿 PC가 크래들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태블릿 PC를 테이블로부터 일일이 수거해서 충전을 수행하고, 충전 완료된 테블릿 PC를 다시 테이블에 비치하는 수고를 덜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편리한 방안이라 할 것이다.
다만, 크래들을 통해 태블릿 PC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사례를 들여다보면, 크래들에 전원 플러그를 일일이 꽂아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다수 개의 태블릿 PC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전원 플러그 역시 다수 개를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원 플러그의 관리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US7311526호(2007.12.25.) 미국 등록특허공보 US7517222호(2009.04.14.) 미국 등록특허공보 US7637746호(2009.12.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충전이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을 지지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구비되는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디바이스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제1 디바이스 지지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후측 방향 연장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지지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제1 후측 방향 연장부와 상기 제2 후측 방향 연장부를 잇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하측을 지지하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배터리 하측 지지부의 단부들 중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단부로부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측 지지부와 상기 배터리 이탈 방지부가 이루는 각도는 90°이상이고 180°미만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이탈 방지부에는, 상기 배터리 이탈 방지부의 상측에서 시작해서, 상기 배터리 이탈 방지부의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제1 디바이스 지지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상측 연장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지지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상측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역시,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구비되는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에 비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지 않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측 방향 연장부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하측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크래들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크래들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크래들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크래들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크래들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하측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에 비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지 않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부는 상기 전측 방향 연장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측 방향 연장부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하측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크래들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크래들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크래들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몸체; 및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몸체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될 경우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배터리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배터리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며, 외부 충전 기기의 외부 전극부와 접속하여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전원을 수급하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배터리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배터리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를 수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 크래들에 전원 플러그를 일일이 꽂아야만 했던 충전상의 불편함, 나아가 다수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시키기 위해서 다수 개의 전원 플러그를 마련해야만 했던 전원 플러그의 관리상의 불편함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비해 훨씬 더 수월하게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예시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이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배터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b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6a는 도 4의 배터리가 도 3의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되, 디바이스 전극부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도 4의 배터리가 도 3의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되, 디바이스 전극부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외부 충전 기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외부 충전 기기의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홈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9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9의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도 9a에 나타낸 크래들의 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11b는 도 9b에 나타낸 크래들의 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12는 도 1과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2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13의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2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13의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디까지나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구체화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점선 표시는 어떤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는 다른 구성요소(즉,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숨겨진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이점 쇄선 표시는 인접해 있는 구성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크래들(1000, 1000', 1000")은 스마트 디바이스(100, 100')를 거치하는 데에 활용되고, 배터리(2000)는 크래들(1000, 1000', 1000")의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어 스마트 디바이스(100, 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된다. 여기서, 크래들(1000, 1000', 1000")에 의해 거치되고, 배터리(2000)에 의해 충전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 100')는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일 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가 자켓(즉, 보호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a는 예시적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태블릿 PC(10)가 자켓(20)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후측(즉,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이 위치하는 쪽)에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디바이스 전극판(141)과, 상기 디바이스 전극판(141)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전극(142)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전극(142)은 둘 이상의 고리 형상의 단위 전극이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디바이스 전극(142)은 둘 이상의 직사각형 형상(또는, 원 형상)의 단위 전극이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자켓(20)에 구비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전극(142)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시키는 데 활용되는 전원 공급용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디바이스 전극(142)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소프트웨어(또는,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등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이터 통신용 전극 및/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ID(identification) 식별을 위한 ID 식별용 전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즉,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이 위치하는 쪽)에서 전측(즉,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전면(110)이 위치하는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전극부(14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다는 것은,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구성하고 있는 디바이스 전극판(141) 및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전극(142) 모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디바이스 홈(144)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홈(144)은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내부에는 디바이스 자성체(170)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 자성체(170)는 태블릿 PC(1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자켓(2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자성체라 함은 마그네트뿐 아니라, 마그네트에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물체를 의미한다.
디바이스 자성체(170)는 후술하는 크래들 자성체(1700), 배터리 자성체(2700), 충전 터미널 자성체(3700)와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디바이스 자성체(170)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크래들(1000', 1000"), 배터리(2000) 및 충전 터미널(3000)이 자성체(1700, 2700, 3700)를 구비할 경우에는, 자성체들 간 자기적 결합에 의해 스마트 디바이스(1000)가 크래들(1000', 1000"), 배터리(2000) 및 충전 터미널(3000)에 비교적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디바이스 전극(142)과 후술하는 전극(1142, 2220, 3220) 간 전기적 접속 역시 비교적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이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은 디바이스 지지부(1100) 및 배터리 수용부(1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1 후측 방향 연장부(1310), 제2 후측 방향 연장부(1320),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 제1 상측 연장부(1610) 및 제2 상측 연장부(16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의 일면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접촉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한다.
배터리 수용부(12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2000)를 수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 및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거치할 경우,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배치되되,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기준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거치할 경우,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배치되되,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기준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 역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를 기준으로 해서 우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일면 및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일면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 및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하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후측 방향 연장부(1310)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하측이라 함은,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아래쪽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제2 후측 방향 연장부(1320)는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하측이라 함은,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아래쪽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후측 방향 연장부(1310, 1320)는 크래들(1000)이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확대해주거나(도 2 참고), 크래들(1000)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도 3 참고),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에 기여한다.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제1 후측 방향 연장부(1310)와 제2 후측 방향 연장부(1320) 사이에 마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제1 후측 방향 연장부(1310)와 제2 후측 방향 연장부(1320)를 잇는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하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 및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와 함께 배터리 수용부(1200)를 형성한다. 즉,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좌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우측 테두리를 형성하며,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하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나아가, 후술하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후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제1 상측 연장부(1610) 및 제2 상측 연장부(162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는 전측 단부(1410), 좌측 단부(1420), 우측 단부(1430) 및 후측 단부(1440)를 가질 수 있다. 전측 단부(1410)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의 단부들 중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 위치하는 단부이다. 디바이스 지지부(11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할 경우, 전측 단부(141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접촉할 수 있다. 좌측 단부(1420)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의 단부들 중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단부이고, 우측 단부(1430)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의 단부들 중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단부이다. 좌측 단부(1420)는 제1 후측 방향 연장부(1310)에 접해 있을 수 있고, 우측 단부(1430)는 제2 후측 방향 연장부(1320)에 접해 있을 수 있다. 후측 단부(1440)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의 단부들 중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측에 위치하는 단부로서, 후술하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와 접해 있을 수 있다.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는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의 후측 단부(1440)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상측 연장부(1610)는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상측이라 함은, 제1 디바이스 지지부(111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위쪽 부분을 의미한다.
제2 상측 연장부(1620)는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상측이라 함은, 제2 디바이스 지지부(112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위쪽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측 연장부(1610, 162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함과 동시에,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제1 상측 연장부(1610) 및 제2 상측 연장부(1620)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잔량 표시부(2800)를 통해 배터리(2000)에 저장된 전원의 잔량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20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배터리(20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2000)는 배터리 몸체(2100) 및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포함하며,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몸체(2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된다.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배터리 몸체(2100)의 전측에 구비된다. 배터리 몸체(2100)가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될 경우,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접속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배터리 전측 전극판(2210)과,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판(2210)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전측 전극(2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전측 전극(2220)은 둘 이상의 직사각형 형상(또는, 원 형상)의 단위 전극이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배터리 전측 전극(2220)은 둘 이상의 고리 형상의 단위 전극이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배터리 전측 전극(2220)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시키는 데 활용되는 전원 공급용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2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대하여,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쇼트(short)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42, 22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배터리 몸체(2100)의 내부에는 배터리 자성체(2700)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자성체(2700)는 디바이스 자성체(170), 후술하는 크래들 자성체(1700) 및 충전 터미널 자성체(3700)와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2000)가 배터리 자성체(2700)를 구비할 경우에는, 배터리(2000)와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 결합, 배터리(2000)와 크래들(1000', 1000") 간 결합, 그리고 배터리(2000)와 충전 터미널(3000) 간 결합이 자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 크래들(1000', 1000") 및 충전 터미널(3000)에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또는,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 주위에 디바이스 홈(144)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에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중심으로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제1 배터리 돌기(214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터리 돌기(2140)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배터리 돌기(2140)는 도 1b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홈(144)과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자성체(2700)와 디바이스 자성체(17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1 배터리 돌기(2140)와 디바이스 홈(144)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배터리 돌기(2140)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1 배터리 돌기(2140)와 디바이스 홈(144)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b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5에 나타낸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전극부(14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는 것은,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구성하고 있는 디바이스 전극판(141) 및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전극(142) 모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된 곳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대하여, 배터리(2000)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배터리(2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비록 도 4b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에 관해 나타낸 것이지만,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형태는, 도 4b에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형태와 동일하다.
도 5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대하여,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전극(14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42, 22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디바이스 돌기(147)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돌기(147)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도 5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마련되는 디바이스 돌기(147)에 대하여,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에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중심으로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제1 배터리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터리 홈은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비록 도 4b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마련되는 제2 배터리 홈(2170)에 관해 나타낸 것이지만,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에 마련될 수 있는 제1 배터리 홈의 위치 및 형태는, 도 4b에 나타낸 제2 배터리 홈(2170)의 위치 및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배터리 홈은 도 5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돌기(147)와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자성체(2700)와 디바이스 자성체(17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1 배터리 홈과 디바이스 돌기(147)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배터리 홈이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1 배터리 홈과 디바이스 돌기(147)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 몸체(2100)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 몸체(2100)가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 충전 기기(예를 들어, 후술하는 충전 터미널(3000))의 외부 전극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터미널 전극부(3200))와 접속하여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전원을 수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수급되는 전원은 외부 전극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터미널 전극부(3200)),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및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거쳐,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도 6b 참고).
또는,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수급되는 전원은 외부 전극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터미널 전극부(3200)),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및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거쳐,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도 10b 참고).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 몸체(2100)가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 충전 기기(예를 들어, 후술하는 충전 터미널(3000))의 외부 전극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터미널 전극부(3200))와 접속하여,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전원을 수급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수급되는 전원은 배터리(2000)에 저장된다.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 후측 전극판(2310)과, 상기 배터리 후측 전극판(2310)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후측 전극(23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후측 전극(2320)은 둘 이상의 고리 형상의 단위 전극이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배터리 후측 전극(2320)은 둘 이상의 직사각형 형상(또는, 원 형상)의 단위 전극이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배터리 후측 전극(2320)에는 외부 충전 기기를 통해 전원을 수급하는 데에 활용되는 전원 수급용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2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미널 몸체(3100)의 정면(3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터미널 전극부(3200)와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2320, 32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2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비록 도 4a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에 관해 나타낸 것이지만, 배터리 후측 전극부(22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형태는, 도 4a에서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터미널 몸체(3100)의 정면(313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터미널 전극부(3200)(후술하는 도 7의 변형예에 해당하며, 움푹 들어가 있는 터미널 전극부(3200)의 형태는 예를 들어 도 4b에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형태와 동일함)와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2320, 32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중심으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제2 배터리 홈(217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터리 홈(2170)은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2 배터리 홈(217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전 터미널(3000)의 터미널 돌기(3140)와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자성체(2700)와 터미널 자성체(370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2 배터리 홈(2170)과 터미널 돌기(3140)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충전 터미널(3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배터리 홈(2170)이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2 배터리 홈(2170)과 터미널 돌기(3140)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는,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중심으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제2 배터리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터리 돌기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비록 도 4a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주위에 마련되는 제1 배터리 돌기(2140)에 관해 나타낸 것이지만,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 마련될 수 있는 제2 배터리 돌기의 위치 및 형태는, 도 4a에 나타낸 제1 배터리 돌기(2140)의 위치 및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배터리 돌기는 터미널 전극부(3200)를 중심으로 터미널 전극부(3200) 주위에 마련되는 터미널 홈(후술하는 도 7의 변형예에 해당하며, 터미널 홈의 형태는 예를 들어 도 4b에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마련되는 제2 배터리 홈(2170)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음)과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자성체(2700)와 터미널 자성체(370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2 배터리 돌기와 터미널 홈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충전 터미널(3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배터리 돌기가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2 배터리 돌기와 터미널 홈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도 4의 배터리(2000)가 도 3의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되,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4의 배터리(2000)가 도 3의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되,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몸체(2000)는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향하고, 배터리 몸체(2100)의 하측이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에 안착되는 형태로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수용부(1200)의 후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로 인해, 배터리(2000)는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와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가 이루는 각도가 90°인 경우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배터리(2000)가 배터리 수용부(1200)에 알맞게 수용되어,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이탈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와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가 이루는 각도가 90°초과이고 180°미만인 경우에는, 배터리(2000)를 배터리 수용부(1200)에 기울어진 상태로 먼저 안착시키고(도 6a), 이후 디바이스 자성체(170)와 배터리 자성체(2700) 간 자력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접속시킬 수 있다(도 6b).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배터리(2000) 간 결합이 용이해지게 된다. 즉,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와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가 이루는 각도가 90°초과이고 180°미만인 경우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간 접속이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배터리 하측 지지부(1400)와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가 이루는 각도는 90°이상이고 18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예시적인 외부 충전 기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외부 충전 기기 중 하나로서 충전 터미널(30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터미널(3000)은 터미널 몸체(3100), 터미널 전극부(3200), 터미널 자성체(3700), 터미널 라인(3800) 및 터미널 커넥터(39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몸체(3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미널 몸체(3100)의 정면(3130)에는 터미널 전극부(3200)가 구비되어 있다. 터미널 전극부(3200)는 디바이스 전극부(140) 또는 후술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와 접속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즉, 충전)하고,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와 접속하여 배터리(2000)에 전원을 공급(즉,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터미널 전극부(3200)는 터미널 전극판(3210)과, 상기 터미널 전극판(3210)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 전극(322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전극(3220)은 둘 이상의 직사각형 형상(또는, 원 형상)의 단위 전극이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터미널 전극(3220)은 둘 이상의 고리 형상의 단위 전극이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터미널 전극(3220)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배터리(2000)를 충전시키는 데 활용되는 전원 공급용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
터미널 자성체(3700)는 터미널 몸체(3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 자성체(3700)는 디바이스 자성체(170), 배터리 자성체(2700), 또는 후술하는 크래들 자성체(1700)와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터미널(3000)이 터미널 자성체(3700)를 구비할 경우에는, 충전 터미널(3000)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 결합, 충전 터미널(3000)과 크래들(1000', 1000") 간 결합, 그리고 충전 터미널(3000)과 배터리(2000) 간 결합이 자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충전 터미널(3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 크래들(1000', 1000") 및 배터리(2000)에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터미널 전극(3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터미널 전극(3220)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 그리고 터미널 전극(32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게 된다.
터미널 몸체(3100)의 정면(3130)에는 터미널 전극부(3200)를 중심으로 터미널 전극부(320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터미널 돌기(314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터미널 돌기(3140)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터미널 돌기(3140)는 도 1b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마련되는 디바이스 홈(144),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 마련되는 제2 배터리 홈(2170), 또는 후술하는 도 9b에 나타낸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에 마련되는 제2 크래들 홈(1137)과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자성체들 간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터미널 돌기(3140)와 디바이스 홈(144)(또는, 제2 배터리 홈(2170), 제2 크래들 홈(1137))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충전 터미널(3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또는, 배터리(2000), 크래들(1000', 1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터미널 전극(3220)과 디바이스 전극(142)(또는, 배터리 후측 전극(2320),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터미널 몸체(3100)의 정면(3130)에는 터미널 전극부(3200)를 중심으로 터미널 전극부(320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터미널 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터미널 홈은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 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의 변형예에 해당하는 것이며, 그 형태는 예를 들어 도 4b에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마련되는 제2 배터리 홈(2170)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터미널 홈은 도 5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마련되는 디바이스 돌기(147),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 마련될 수 있는 제2 배터리 돌기(미도시), 또는 후술하는 도 11b에 나타낸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에 마련되는 제2 크래들 돌기(1138)와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자성체들 간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터미널 홈과 디바이스 돌기(147)(또는, 제2 배터리 돌기, 제2 크래들 돌기(1138))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충전 터미널(3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또는, 배터리(2000), 크래들(1000', 1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터미널 전극(3220)과 디바이스 전극(142)(또는, 배터리 후측 전극(2320),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터미널 라인(3800)은 터미널 몸체(3100)와 터미널 커넥터(3900)를 전기적 연결 또는 통신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터미널 커넥터(3900)는 예를 들어 컴퓨터의 USB 단자 등에 접속되어,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터미널 커넥터(3900)가 컴퓨터의 USB 단자 등에 접속이 실현된 경우, 그 접속 실현을 알려주기 위한 용도로 터미널 몸체(3100)의 후면에는 터미널 LED(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외부 충전 기기의 일부분, 예를 들어 충전 터미널(3000)의 터미널 라인(3800)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홈(1550)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홈(1550)은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에는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의 상측에서 시작해서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의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홈(1550)이 마련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크래들(1000)에 거치될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충전은 반드시 배터리(2000)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충전 터미널(3000)과 같은 외부 충전 기기에 의해서도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크래들(1000)에 거치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충전이 충전 터미널(3000)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터미널 전극부(3200) 간 전기적 접속이 디바이스 자성체(170)와 터미널 자성체(3700)의 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이탈 방지부(1500)에 홈(1550)이 마련되어 있을 경우에는 터미널 라인(3800)의 진출입이 용이해지며, 이로 인해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충전이 한층 더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a는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9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 도 9의 크래들 및 도 4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 역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과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지지부(1100) 및 배터리 수용부(120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접촉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한다.
배터리 수용부(12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2000)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경우,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 및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포함하며, 그 외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및 전측 방향 연장부(1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지지부(11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할 경우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구비되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지지부(11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할 경우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구비되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 및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1131) 및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1131)는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구비하는 부분이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에 반해,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1132)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113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1131)에 비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1132)는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구비하지 않는 부분이다.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거치할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또는, 후면(120))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에 접촉한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1131)에 비해 하측에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1132)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이 상기 크래들(1000')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또는, 후면(120))과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 간 마찰력이 감소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상기 크래들(1000')에 손쉽게 거치 및 거치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측에 구비되며,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접속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는 크래들 전측 전극판(1141)과,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판(1141)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크래들 전측 전극(1142)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 전측 전극(1142)은 둘 이상의 직사각형 형상(또는, 원 형상)의 단위 전극이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크래들 전측 전극(1142)은 둘 이상의 고리 형상의 단위 전극이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크래들 전측 전극(1142)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시키는 데 활용되는 전원 공급용 전극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대하여,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42, 1142)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내부에는 크래들 자성체(1700)가 배치될 수 있다. 크래들 자성체(1700)는 디바이스 자성체(170), 배터리 자성체(2700) 및 충전 터미널 자성체(3700)와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래들(1000')이 크래들 자성체(1700)를 구비할 경우에는, 크래들(1000')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 결합, 크래들(1000')과 배터리(2000) 간 결합, 그리고 크래들(1000')과 충전 터미널(3000) 간 결합이 자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 배터리(2000) 및 충전 터미널(3000)에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크래들 전측 전극(1142)과 디바이스 전극(142), 후술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그리고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터미널 전극(3220)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 주위에 디바이스 홈(144)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에는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중심으로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제1 크래들 돌기(1134)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크래들 돌기(1134)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크래들 돌기(1134)는 도 1b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홈(144)과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크래들 자성체(1700)와 디바이스 자성체(17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1 크래들 돌기(1134)와 디바이스 홈(144)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크래들 전측 전극(1142)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크래들 돌기(1134)가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1 크래들 돌기(1134)와 디바이스 홈(144)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1a는 도 9a에 나타낸 크래들(1000')의 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11a는 도 9a와 비교해서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의 형태, 그리고 제1 크래들 돌기(1134) 대신 제1 크래들 홈(1135)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그 이외에 도 9a에서 행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1a 대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전극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는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대하여,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전극(142)과 크래들 전측 전극(1142)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42, 1142)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전극부(140) 주위에 디바이스 돌기(147)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면(1133)에는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중심으로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제1 크래들 홈(1135)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크래들 홈(1135)은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크래들 홈(1135)은 도 5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돌기(147)와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크래들 자성체(1700)와 디바이스 자성체(17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1 크래들 홈(1135)과 디바이스 돌기(147)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크래들(100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크래들 전측 전극(1142)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크래들 홈(1135)이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1 크래들 홈(1135)과 디바이스 홈(144)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디바이스 전극(142)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9b를 참고하면,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측에 구비되고,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와 접속하여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배터리 수용부(1200)에 배터리 몸체(2100)가 수용될 경우, 배터리(20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및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거쳐,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배터리(2000)에 의하지 않고 터미널 전극부(3200)와 직접적으로 접속하여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충전 터미널(300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터미널 전극부(3200),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및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거쳐,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도 4a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는 배터리 몸체(2100)의 정면(2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정면(2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에 대하여,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전측 전극(22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152, 22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a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전면(2130)에는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를 중심으로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주위에 제1 배터리 돌기(2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에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를 중심으로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주위에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원형의 제2 크래들 홈(1137)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크래들 홈(1137)은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2 크래들 홈(1137)은 도 4a에 나타낸 배터리(2000)의 제1 배터리 돌기(2140)와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크래들 자성체(1700)와 배터리 자성체(270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2 크래들 홈(1137)과 제1 배터리 돌기(2140)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크래들(1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크래들 홈(1137)이 크래들 후측 전극부(114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2 크래들 홈(1137)과 제1 배터리 돌기(2140)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배터리 전측 전극(2220)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1b는 도 9b에 나타낸 크래들(1000')의 후방 사시도의 변형예이다. 도 11b는 도 9b와 비교해서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의 형태, 그리고 제2 크래들 홈(1137) 대신 제2 크래들 돌기(1138)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그 이외에 도 9b에서 행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1b에 대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비록 앞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가 도 7에 나타낸 충전 터미널(3000)의 터미널 전극부(3200)와 접속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도 11b에 나타낸 크래들(1000')의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와 접속할 수도 있다. 즉, 배터리 몸체(2100)는 도 11b에 나타낸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 경우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도 11b에 나타낸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와 접속하게 된다.
도 4b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는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에 대하여,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간에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전기적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간 기구적 결합의 결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후측 전극(2320)과 크래들 후측 전극(1152) 간 쇼트 발생이 방지되어, 양 전극(1152, 2320) 간 보다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b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몸체(2100)의 후면(2160)에는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를 중심으로 배터리 후측 전극부(2300) 주위에 제2 배터리 홈(217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면(1136)에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를 중심으로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주위에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원형의 제2 크래들 돌기(1138)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크래들 돌기(1138)는 사각형, 막대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제2 크래들 돌기(1138)는 도 4b에 나타낸 배터리(2000)의 제2 배터리 홈(2170)과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크래들 자성체(1700)와 배터리 자성체(2700)의 자기적 결합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2 크래들 돌기(1138)와 제2 배터리 홈(2170)의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2000)가 크래들(10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 간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크래들 돌기(1138)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2 크래들 돌기(1138)와 제2 배터리 홈(2170) 간 안정적인 기구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래들 후측 전극(1152)과 배터리 후측 전극(2320) 간 전기적 접속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9a 및 도 11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전측 방향 연장부(1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측 방향 연장부(116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하측이라 함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아래쪽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측 방향 연장부(1160)는 크래들(1000')이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확대해줌과 동시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하측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은 상술한 디바이스 지지부(1100), 배터리 수용부(1200) 이외에, 후측 방향 연장부(1300) 및 상측 연장부(16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전측 방향 연장부(1160)와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전측 방향 연장부(1160)와 달리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크래들(1000')을 기준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거치되는 쪽(즉, 도 10b에서 크래들(1000')을 기준으로 전측)의 반대쪽(즉, 10b에서 크래들(1000')을 기준으로 후측)에서, 크래들(1000')이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확대해줌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에 기여한다.
또한,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도 9b 또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하측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크래들(1000')이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더욱 확대해줌과 동시에,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하측을 지지해줌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 및 배터리(2000)의 안정적인 수용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와 함께 배터리 수용부(1200)를 형성한다. 즉,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전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후측 방향 연장부(13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하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나아가, 후술하는 상측 연장부(16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앞서 언급한 홈(1550)과 동일한 이유로, 후측 방향 연장부(1300)에는 후측 방향 연장부(1300)의 상측에서 시작해서 후측 방향 연장부(1300)의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홈(135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후측 방향 연장부(1300)에 홈(1350)이 마련될 경우에는 터미널 라인(3800)의 진출입이 용이해지며, 이로 인해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충전이 더욱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측 연장부(160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전측에서 후측을 항햐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상측이라 함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상하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그 위쪽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측 연장부(1600)는 배터리 수용부(120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함과 동시에,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가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측 연장부(1600)에는 상측 연장부(1600)의 후측에서 시작해서 상측 연장부(1600)의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16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1650)는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잔량 표시부(2800)를 통해 배터리(2000)에 저장된 전원의 잔량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2는 도 1과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전방 사시도로서, 도 12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100)와는 달리 태블릿 PC(10)만 단독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일단부(예를 들어, 하측 단부)에는 디바이스 전극부(14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2의 스마트 디바이스(100'), 도 13의 크래들(1000") 및 도 4의 배터리(2000)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b는 도 12의 스마트 디바이스(100'), 도 13의 크래들(1000") 및 도 4의 배터리(2000)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은 앞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과 비교해서,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 대신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제1 크래들 돌기(1134) 또는 제1 크래들 홈(1135)은 마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내부에 크래들 자성체(17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3에 나타낸 크래들(1000")의 후방 사시도는 도 9b(또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 역시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과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지지부(1100) 및 배터리 수용부(1200)를 포함한다.
즉, 디바이스 지지부(11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면(120)에 접촉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을 지지한다. 또한, 배터리 수용부(1200)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에 기초하여 마련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2000)를 수용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의 경우에는, 디바이스 지지부(1100)가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 및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에서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과 동일하다. 즉,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후측에 접촉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의 경우에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측에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가 구비되어 있던 것에 반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의 경우에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하측에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가 위치해 있다.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는 도 12에 나타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전극부(140)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는 예를 들어 C타입 단자로 이루어지거나, 5핀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디바이스 전극부(14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가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 역시 크래들 전측 전극부(1140)와 마찬가지로 크래들 하측 전극판 및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판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크래들 하측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의 경우에도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0')과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지지부(1100)가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및 전측 방향 연장부(1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에 대해 추가적으로 언급하면,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후측에 구비되고,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와 접속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배터리 수용부(1200)에 수용되는 배터리(20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배터리 전측 전극부(2200), 크래들 후측 전극부(1150),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 및 디바이스 전극부(140)를 거쳐,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충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전측 방향 연장부(1160)에 대해 추가적으로 언급하면, 전측 방향 연장부(1160)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113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10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는 전측 방향 연장부(116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측 방향 연장부(1160) 및 크래들 하측 전극부(1170)는 크래들(1000")에 거치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하측을 함께 지지해줌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에 함께 기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안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태블릿 PC 20: 자켓
100, 100': 스마트 디바이스
140: 디바이스 전극부
1000, 1000', 1000": 크래들
1100: 디바이스 지지부
1110: 제1 디바이스 지지부 1120: 제2 디바이스 지지부
1130: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
1131: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
1132: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
1133: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
1134: 제1 크래들 돌기 1135: 제1 크래들 홈
1136: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
1137: 제2 크래들 홈 1138: 제2 크래들 돌기
1140: 크래들 전측 전극부 1150: 크래들 후측 전극부
1160: 전측 방향 연장부 1170: 크래들 하측 전극부
1200: 배터리 수용부 1300: 후측 방향 연장부
1310: 제1 후측 방향 연장부 1320: 제2 후측 방향 연장부
1400: 배터리 하측 지지부 1500: 배터리 이탈 방지부
1600: 상측 연장부
1610: 제1 상측 연장부 1620: 제2 상측 연장부
1700: 크래들 자성체
2000: 배터리 2100: 배터리 몸체
2130: 배터리 몸체의 전면 2140: 제1 배터리 돌기
2160: 배터리 몸체의 후면 2170: 제2 배터리 홈
2200: 배터리 전측 전극부 2300: 배터리 후측 전극부
2700: 배터리 자성체
3000: 충전 터미널 3100: 터미널 몸체
3200: 터미널 전극부 3700: 터미널 자성체
3800: 터미널 라인 3900: 터미널 커넥터

Claims (38)

  1.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로서,
    적어도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 -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이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크래들에 거치됨 -;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는 크래들 전측 전극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터리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와 접속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디바이스 자성체 및 상기 배터리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자성체와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크래들 자성체;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거치되는 쪽의 반대쪽에서 상기 크래들이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측 방향 연장부는 상기 크래들의 좌우방향으로 더 연장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후측 방향 연장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와 함께 배터리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될 경우, 상기 크래들 자성체는 상기 배터리 자성체와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와 접속하며, 상기 배터리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 및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를 거쳐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데 활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접촉부에 비해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지 않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측 비접촉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는,
    상기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는,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크래들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크래들 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1 크래들 홈이 마련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크래들 홈이 마련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를 중심으로 제2 크래들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3.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로서,
    적어도 일부분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에 접촉하는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 -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측이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크래들에 거치됨 -;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일단부에 구비된 디바이스 전극부와 접속하는 크래들 하측 전극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터리의 배터리 전측 전극부와 접속하는 크래들 후측 전극부;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디바이스 자성체 및 상기 배터리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자성체와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크래들 자성체;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거치되는 쪽의 반대쪽에서 상기 크래들이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크래들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측 방향 연장부는 상기 크래들의 좌우방향으로 더 연장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후측 방향 연장부는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와 함께 배터리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될 경우, 상기 크래들 자성체는 상기 배터리 자성체와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는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와 접속하며, 상기 배터리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터리 전측 전극부, 상기 크래들 후측 전극부,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부 및 상기 디바이스 전극부를 거쳐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데 활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지지부 몸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크래들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 하측 전극부는 상기 전측 방향 연장부에 마련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210185811A 2021-06-09 2021-12-23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KR102598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41199.5A CN117501555A (zh) 2021-06-09 2022-06-03 智能设备放置用支架及结合于该支架的电池
PCT/KR2022/007959 WO2022260378A1 (ko) 2021-06-09 2022-06-03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096 2021-06-09
KR20210075096 2021-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171A KR20220166171A (ko) 2022-12-16
KR102598330B1 true KR102598330B1 (ko) 2023-11-03

Family

ID=8453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811A KR102598330B1 (ko) 2021-06-09 2021-12-23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654B1 (ko) * 2023-05-30 2024-04-04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동 책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08Y1 (ko) * 2011-05-12 2011-10-07 김영욱 휴대단말기 통합형 충전장치
KR101868277B1 (ko) * 2017-04-14 2018-07-17 정종석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58U (ko) * 1998-06-01 2000-01-15 김영환 충전기
US7311526B2 (en) 2005-09-26 2007-12-25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US7467948B2 (en) 2006-06-08 2008-12-23 Nokia Corporation Magnetic connecto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20120070414A (ko) * 2010-12-21 2012-06-29 (주)파트론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KR20120092455A (ko) * 2011-02-11 2012-08-21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트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 장치
KR20140001286U (ko) * 2012-08-24 2014-03-05 김종안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20160121300A (ko) * 2015-04-10 2016-10-19 이수연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KR20180136066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내비게이션 기능 및 태블릿 컴퓨터 기능을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KR20210044421A (ko) *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팝폰 Uv램프가 구비된 휴대폰 충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08Y1 (ko) * 2011-05-12 2011-10-07 김영욱 휴대단말기 통합형 충전장치
KR101868277B1 (ko) * 2017-04-14 2018-07-17 정종석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171A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4272B1 (en) Modular electrical receptacle
KR101822855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모듈
US7688030B2 (en) Charger unit for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ystem for protective storage of an adapter plug
CN104160561B (zh) 具有分流触点的连接器插座
US20170344065A1 (en) Mobile device case and peripheral system
US20210305748A1 (en) Magnetic connector assembly
KR102598330B1 (ko)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US20200313451A1 (en) Multi-purpose electrical charging structure
CN100432891C (zh) 用于便携式计算装置的热接触适配器
US20210036537A1 (en) Multifunctional wireless charger
KR200484178Y1 (ko) 다중 충전 시스템
CN107834305B (zh) 充电设备及电子装置
CN117501555A (zh) 智能设备放置用支架及结合于该支架的电池
JP3201775U (ja) 小型通信端末機器の充電台システム
KR20100094176A (ko) 카드 배터리 및 카드 배터리의 커넥터
CN219013911U (zh) 终端设备和支架的连接结构和配套的终端设备
CN210668906U (zh) 带usb插孔排插
CN218733321U (zh) 可穿戴式医疗设备用充电座
CN220399969U (zh) 一种扫描翻译笔
KR102465607B1 (ko) 착탈식 케이블
CN211296237U (zh) 便于充电的充电座
CN211296236U (zh) 方便充电的外壳
US20240055895A1 (en) Connecting shell and support
CN210724268U (zh) 充电座和充电装置
US11803713B2 (en) Charging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