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277B1 -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277B1
KR101868277B1 KR1020170048668A KR20170048668A KR101868277B1 KR 101868277 B1 KR101868277 B1 KR 101868277B1 KR 1020170048668 A KR1020170048668 A KR 1020170048668A KR 20170048668 A KR20170048668 A KR 20170048668A KR 101868277 B1 KR101868277 B1 KR 101868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ortable terminal
clip
contact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석
Original Assignee
정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석 filed Critical 정종석
Priority to KR102017004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차량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가 무접점에 의해 충전을 이루어 간편하게 차량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및 사용이 용이한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클립과; 상기 클립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타측이 송풍구 외부로 연장되어 위치 변경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타측 끝단에 후면이 고정되고, 차량용 전원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수단이 상,하,좌,우 중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가 자력에 의해 안착 고정되게 자력부재가 전면 중앙에 함물수용되게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무접점에 의해 충전을 이루는 무접점 충전을 이루는 안착면이 전면으로 구비되는 무접점 충전부;로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무접점 충전부에 안착 고정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및 충전을 이루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Charging Cradle}
본 발명은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차량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가 무접점에 의해 충전을 이루어 간편하게 차량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및 사용이 용이한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스마트폰은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를 필요로 한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운행 중에 배터리 충전은 물론 운전대를 손으로 잡고 운전을 하는 중에도 용이하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휴대폰 단말기 거치대는 항상 그 충전을 위해서 전원젝과 전력라인을 이용하여 거치대와 휴대폰 단말기를 연결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충전을 위해 적용되는 일반적인 충전시스템은 상용전압(AC 110~220V)을 다운시켜 전파 정류하고 직류전압의 출력단자와 배터리의 단자들을 접촉하여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량 내에서 스마트폰이나 헤드셋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충전전력을 공급함에 있어서, 선이 연결되어 있는 시거 잭을 12V DC 출력 포트에 꽂고 시거 잭의 선을 수신기에 연결함으로써 차량 내의 휴대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유선방식은 충전기와 배터리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경우, 양측의 단자들이 서로 다른 전위차를 가지고 있어 순간 방전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단자에 이물질이 점점 쌓이게 되어 화재가 발생할 우려까지도 있으며 습기가 묻어 자연 방전되는 등 충전기 및 배터리의 수명이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 잭을 휴대용 전자기기에 직접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운전 중에 이와 같은 연결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전력전송은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장치와 전력을 공급받는 휴대용 전자기기 간에 물리적인 접촉이 없이 자기 결합(inductive coupling),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 또는 안테나 등의 전자기장 공진 구조를 이용하여 공간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충전장치의 1차코일의 상부에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위치시키면 자기장에 의해 배터리의 2차코일에 의하여 유도기전력으로부터 유도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한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0564256호 "무선주파수 식별기술이 적용된 무선충전용패드 및 배터리팩", 특허 제0603986호 "무선충전용 배터리팩", 특허 제0751635호 "무선충전기의 오목형패드", 특허 제0971748호 "근거리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특허출원 제2008-0023483호 "무선전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특허출원 제2005-0053584호 "무선충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무선충전기는 단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뿐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없어 실용성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무선충전기는 패드 형태로 구성되어 차량 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 중에는 도로 노면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바닥으로 떨어져 운전자의 주의를 끌게 되고 그로 인해 교통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놓이는 상면의 안착부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어서 스마트폰이 충전중 미끄러지는 경우에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의 위치에 변화가 생겨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차량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가 무접점에 의해 충전을 이루어 간편하게 차량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및 사용이 용이한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용 송풍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클립과; 상기 클립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타측이 송풍구 외부로 연장되어 위치 변경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타측 끝단에 후면이 고정되고, 차량용 전원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수단이 상,하,좌,우 중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가 자력에 의해 안착 고정되게 자력부재가 전면 중앙에 함물수용되게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무접점에 의해 충전을 이루는 무접점 충전을 이루는 안착면이 전면으로 구비되는 무접점 충전부;로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무접점 충전부에 안착 고정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및 충전을 이루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 끝단이 클립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무접점 충전부가 고정되어 상기 무접점 충전부가 위치변경되게 중앙에 힌지부재가 구비되어 몸체부의 타측 끝단이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회동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 끝단이 클립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무접점 충전부가 고정되어 상기 무접점 충전부가 위치변경되게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절부재가 상호 결합되게 구비되어 몸체부의 타측 끝단이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회동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 끝단이 클립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무접점 충전부가 고정되어 상기 무접점 충전부가 위치변경되게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으로 일체를 이루게 연장되고 프렉시블하게 변형되는 기둥부재가 구비되어 뭄체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 충전부의 측면에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탄력부재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탄력적으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 충전부의 측면에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며 길이가 변경되게 외측으로 연장 또는 내측으로 수용되는 슬라이드 바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차량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가 무접점에 의해 충전을 이루어 간편하게 차량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및 사용이 용이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몸체부의 제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몸체부의 제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무접점 충전부의 제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무접점 충전부의 제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충전 거치대의 무접점 충전부의 제2 및 제3 실시 예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거치대(이하 충전 거치대라 칭함)(10)는 클립(22)과, 몸체부(20)와, 무접점 충전부(60)로 구비된다.
상기 클립(22)는 차량용 송풍구(1)에 고정결합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클립(22)는 차량의 냉방 및 난방을 위해 구비되는 송풍구(1)에 구비되는 다수의 숭풍바(2) 중 어느 하나가 클립(22)의 중앙에 삽입되게 전면이 탈력적으로 개방되게 절개된 탈부착형으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클립(22)는 송풍구(1)에 고정되는 공지의 탈부착형 클립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22) 후면에 클립(22)와 일체를 이루게 상기 클립(22)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타측이 송풍구(1) 외부로 연장되어 위치 변경되는 몸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20)는 클립(22)에 고정을 이루며, 무접점 충전부(60)가 위치변경되게 구비되며, 그 한 예로 일측 끝단이 클립(22)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무접점 충전부(60)가 고정되고, 중앙에 힌지부재(50)가 구비되어 무접점 충전부(60)가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회동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재(50)는 어느 일측이 몸체부(20) 또는 무접점 충전부(60)에 고정되고, 타측에 타측에 회동볼(52)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회동볼(52)을 탄력적으로 수용하는 수용수단(54)이 구비되어 회동볼(52)이 일정 힘 이상에서 회동을 이루어 무접점 충전부(60)의 위치변경을 자유로이 이루게 구비된다.
물론, 상기 수용수단(5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홈(56)이 구비되어 회동불(52)의 수용시 탄성홈(56)에 의해 수용수단(54)이 벌어지고, 자체 탄력에 의해 원형 복원되어 회동볼(52)을 일정한 압력으로 수용 고정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시 수용수단(54)에 탄성링(58)이 더 구비되어 회동볼(52)이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회동볼(52)의 이탈을 방지하고, 회동볼(52)을 일정한 압력으로 수용고정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접점 충전부(60)는, 상기 몸체부(20) 타측 끝단에 후면이 고정되고, 차량용 전원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수단(62)이 상,하,좌,우 중 어느 한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4)가 자력에 의해 안착 고정되게 자력부재(64)가 전면 중앙에 함물수용되게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에 무접점에 의해 충전을 이루는 안착면(66)이 전면으로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안착면(66)에 무접점 충전을 위한 충전부재(68)가 띠형태를 이루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접점 충전부(60)는 원형 또는 적어도 3각 또는 3각 이상의 다각형을 이룬 판 형태를 이루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충전 거치대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착면(66)에 충전부재(68) 및 자력부재(64)가 함몰 수용되고, 외측 어느 한면 또는 후면에 전원공급수단(62)이 매립된 상태를 이룬 무접점 충전부(60)와,
상기 무접점 충전부(60) 후면에 중앙에 일체를 이루게 구비되는 몸체부(20)의 힌지부재(50)의 회동볼(52) 또는 수용수단(54)이 구비된 상태에서 클립부(20)와 상호 일체를 이루고 연장되어 상기 회동볼(52) 또는 수용수단(54)과 상호 대응되게 회동볼(52) 또는 수용수단(54)이 일체를 이루어 클립(22) 후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 분리된 몸체부(20)의 힌지부재(50)의 회동볼(52)과 수용수단(54)이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회동볼(52)이 수용수단(54)에 수용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탄성링(58)에 의해 수용수단(54)을 다시 한번 압착 고정함으로 힌지부재(50)의 회동볼(52)이 수용수단(54)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회동볼(52)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부(20)와 일체를 이룬 클립(22)이 차량에 구비된 송풍구(1)의 송풍바(2)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충전 거치대(10)는 사용자가 무접점 충전부(60)의 전원공급수단(62)에 공지의 시가잭과 같은 차량용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무접점 충전부(6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4)의 후면을 무접점 충전부(60)의 안착면(66)에 접근시키면 안착면(66)에 구비된 자력부재(64)가 휴대용 단말기를 자력에 의해 안착면(66)에 안착 고정한다.
그리고, 충전수단(68)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4)에 무접점으로 충전을 이룬다.
이러한 무접점 충전은 종래에 사용되는 기술과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금속판이 더 구비되어 자력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거치대(10)에 자력에 의해 안착 고정된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의 송풍구의 송풍바에 고정된 상태를 이룸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무접점에 의한 충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별도로 휴대용 단말기에 충전장치를 연결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자력에 의해 안착 고정됨으로 충전 및 사용이 용이하고 충전장치의 분리없이 간편하게 분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에 의해 무접점 충전부가 자유로이 위치 변경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방향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접점 충전 및 사용이 용이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몸체부의 제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설명된 충전 거치대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 끝단이 클립(22)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무접점 충전부(60)가 고정되어 상기 무접점 충전부(60)가 위치변경되게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절부재(50-1)가 상호 결합되게 구비되어 몸체부(20)의 타측 끝단이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회동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절부재(50-1)는 클립(22)에 연장되는 제1 관절봉(52-1)과, 상기 제1 관절봉(52-1) 끝단과 상호 상.하로 회동되게 고정되는 제2 관절봉(54-1)이 구비되며, 제2 관절봉(54-1) 끝단에 무접점 충전부(60)와 상호 고정되고, 제2 관절봉(54-1)과 좌.우로 회동되게 고정되는 제3 관절봉(56-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관절봉(56-1)은 본 발명의 회전부재(50)와 같이 회동볼(52)과 수용수단(54)으로 구비되어 무접점 충전부(60)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몸체부(20)는 제1 내지 제3 관절봉(52-1,54-1,56-1)이 상호 회동하여 무접점 충전부(6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무접점 충전부(60)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송풍구에서 송풍되는 냉방 또는 난방열기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및 사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관절부재(50-1)은 상호 공지된 볼트와 너트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고정 및 풀림을 자유로이 이룰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몸체부의 제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설명된 충전 거치대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가 일측 끝단이 클립(22)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무접점 충전부(60)가 고정되어 상기 무접점 충전부(60)가 위치변경되게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으로 일체를 이루게 연장되고 프렉시블하게 변형되는 기둥부재(50-2)가 구비되어 몸체부(2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되게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부재(50-2)의 타측 끝단은 본 발명의 회전부재(50)와 같이 회동볼(52)과 수용수단(54)으로 구비되어 무접점 충전부(60)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몸체부(20)는 프렉시블한 기둥부재(50-2)의 형태 변형에 의해 무접점 충전부(6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무접점 충전부(60)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송풍구에서 송풍되는 냉방 또는 난방열기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및 사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무접점 충전부의 제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설명된 충전 거치대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접점 충전부(60)의 측면에 휴대용 단말기(4)의 측면을 지지하는 탄력부재(70)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4)를 탄력적으로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무접점 충전부(60)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양측면에 탄력적으로 라운드 되게 돌출된 탄력부재(70)가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무접점 충전부의 안착면(66)에 자력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탄력부재(70)에 의해 다시 한번더 고정된다.
그러므로, 무접점 충전부에 안착 고정된 휴대용 단말기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에 의해 충격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무접점 충전부는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부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어 자유로이 위치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무접점 충전부의 제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설명된 충전 거치대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접점 충전부(60)의 측면에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며 길이가 변경되게 외측으로 연장 또는 내측으로 수용되는 슬라이드 바(8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80) 끝단은 휴대용 단말기(4)를 지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바(80)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면 또는 양면에 걸림돌기(82)가 다수 배열되고, 무접점 충전부(60)에 상기 슬라이드 바(80)가 수용되는 수용홈(84)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82)와 상호 탄력적으로 걸림되는 걸림턱(86)이 구비되어 슬라이드 바(80)의 연장 및 수용시 일정한 압력으로 슬라이드 바(80)를 슬라이드 이송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휴대용 단말기(4)가 무접점 충전부(60)의 안착면(66)에 자력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슬라이드 바(80)에 의해 다시 한번더 고정되어,
무접점 충전부(60)에 안착 고정된 휴대용 단말기(4)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에 의해 충격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무접점 충전부는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부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어 자유로이 위치변경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충전 거치대의 무접점 충전부의 제2 및 제3 실시 예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도 1 및 도 2, 도 5 및 도 6에 설명한 충전 거치대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접점 충전부(60)의 측면에 탄력부재(70)와 슬라이드 바(80)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상,하,좌,우로 지지 고정한다.
그러므로, 휴대용 단말기가 무접점 충전부의 안착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탄력부재와 슬라이드 바에 의해 다시 한번 더 고정되어,
무접점 충전부에 안착 고정된 휴대용 단말기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에 의해 충격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무접점 충전부는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부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어 자유로이 위치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충전 거치대 20: 몸체부
22: 클립
50: 힌지부재
52: 회동볼 54: 수용수단
56: 탄력홈 58: 탄성링
50-1: 관절부재
52-1: 제1 관절봉 54-1: 제2 관절봉
56-1: 제2 관절봉
50-2: 기둥부재
60: 무접점 충전부
62: 전원공급수단 64: 자력부재
66: 안착면 68: 충전수단
70: 탄력부재
80: 슬라이드 바 82: 걸림돌기
84: 수용홈 86: 걸림턱

Claims (6)

  1. 차량용 송풍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클립(22)과; 상기 클립(22)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타측이 송풍구 외부로 연장되어 위치 변경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 타측 끝단에 후면이 고정되고, 차량용 전원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수단(62)이 상,하,좌,우 중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4)가 자력에 의해 안착 고정되게 자력부재(64)가 전면 중앙에 함물수용되게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무접점에 의해 충전을 이루는 무접점 충전을 이루는 안착면(66)이 전면으로 구비되는 무접점 충전부(60);로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20)는 클립(22)에 고정을 이루며, 무접점 충전부(60)가 위치변경되게 일측 끝단이 클립(22)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무접점 충전부(60)가 고정되고, 중앙에 힌지부재(50)가 구비되어 무접점 충전부(60)가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회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재(50)는 어느 일측이 몸체부(20) 또는 무접점 충전부(60)에 고정되고, 타측에 회동볼(52)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회동볼(52)을 탄력적으로 수용하는 수용수단(54)이 구비되어 회동볼(52)이 일정 힘 이상에서 회동을 이루어 무접점 충전부(60)의 위치변경을 자유로이 이루게 구비되고,
    상기 수용수단(5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홈(56)이 구비되어 회동불(52)의 수용시 탄성홈(56)에 의해 수용수단(54)이 벌어지고, 자체 탄력에 의해 원형 복원되어 회동볼(52)을 일정한 압력으로 수용 고정하게 구비되며,
    상시 수용수단(54)에 탄성링(58)이 더 구비되어 회동볼(52)이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회동볼(52)의 이탈을 방지하고, 회동볼(52)을 일정한 압력으로 수용고정하게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무접점 충전부에 안착 고정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및 충전을 이루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 끝단이 클립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무접점 충전부가 고정되어 상기 무접점 충전부가 위치변경되게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절부재가 상호 결합되게 구비되어 몸체부의 타측 끝단이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회동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 끝단이 클립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무접점 충전부가 고정되어 상기 무접점 충전부가 위치변경되게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으로 일체를 이루게 연장되고 프렉시블하게 변형되는 기둥부재가 구비되어 뭄체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 충전부의 측면에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탄력부재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탄력적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 충전부의 측면에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며 길이가 변경되게 외측으로 연장 또는 내측으로 수용되는 슬라이드 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KR1020170048668A 2017-04-14 2017-04-14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KR10186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68A KR101868277B1 (ko) 2017-04-14 2017-04-14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68A KR101868277B1 (ko) 2017-04-14 2017-04-14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277B1 true KR101868277B1 (ko) 2018-07-17

Family

ID=6304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668A KR101868277B1 (ko) 2017-04-14 2017-04-14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680A1 (ko) * 2019-01-04 2020-07-09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KR20220166171A (ko) * 2021-06-09 2022-12-16 (주)에스피에스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455A (ko) * 2011-02-11 2012-08-21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트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 장치
KR101394295B1 (ko) * 2013-12-12 2014-05-13 오준호 차량용 거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455A (ko) * 2011-02-11 2012-08-21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트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 장치
KR101394295B1 (ko) * 2013-12-12 2014-05-13 오준호 차량용 거치 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자바라 충전기 (2015.08.26 공개) *
[네이버 블로그] 자바라 충전기 (2015.08.26 공개), http://blog.naver.com/h_paradise/220462352990 *
[네이버 블로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고속무선충전기 (2017.02.15공개) *
[네이버 블로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고속무선충전기 (2017.02.15공개), http://blog.naver.com/dct1028/220936445831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680A1 (ko) * 2019-01-04 2020-07-09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US11239697B2 (en) 2019-01-04 2022-02-01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KR20220166171A (ko) * 2021-06-09 2022-12-16 (주)에스피에스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KR102598330B1 (ko) * 2021-06-09 2023-11-03 (주)에스피에스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095B1 (ko)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AU2018241093B2 (en) Compact multifunctional battery booster
ES2325734T3 (es) Cargador y dispositivo de recarga.
KR101868277B1 (ko)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CN104037952A (zh) 具有多兼容性的无线充电器和充电系统
US20080079388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20130038280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spect to a surface of a wireless battery charging apparatus of a vehicle
KR200494536Y1 (ko) 이륜차량용 휴대폰 무선충전 거치대
CN111933851A (zh) 支撑装置、电池固定座及电动车
KR200477762Y1 (ko)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US11239697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JP5518033B2 (ja) 車道セクション
KR20170134999A (ko)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US10875415B2 (en) Method of charging electric autonomous moving body
CN205039599U (zh) 一种车载无线充电支架
WO2021224647A3 (en) Docking system for wireless charging of two- wheeled electric vehicles
CN204481524U (zh) 一种车载移动终端固定及无线充电装置
JP2013207819A (ja) 無接点充電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無接点充電装置を搭載した車両
CN108431875A (zh) 自行车锚定系统
US11228188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grip holder
CN212572641U (zh) 一种新型车载充电手机支架
CN208738881U (zh) 一种车载用太阳能无线充电器
MX2019008842A (es) Estructura de montaje en vehiculo para dispositivo de recepcion de energia sin contacto.
CN208445318U (zh) 无线充电装置
CN208369320U (zh) 用于车载电子设备的无线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