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095B1 -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095B1
KR102021095B1 KR1020180103487A KR20180103487A KR102021095B1 KR 102021095 B1 KR102021095 B1 KR 102021095B1 KR 1020180103487 A KR1020180103487 A KR 1020180103487A KR 20180103487 A KR20180103487 A KR 20180103487A KR 102021095 B1 KR102021095 B1 KR 10202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ehicle
portable terminal
slide arm
charg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웨이
Priority to KR102018010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전면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슬라이딩 동작되는 슬라이드 암이 설치되고, 전면 전체영역에 무접점 충전부가 설치되며, 전면 하부에 하부 받침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암을 동작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감지부와 인접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암을 동작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감지부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를 차량의 윈드실드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탈착부와, 그리고 상기 제1 탈착부 대신에 상기 본체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를 차량의 송풍구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제1 탈착부 또는 본체와 제2 탈착부의 조합에 의해 차량의 윈드실드 또는 송풍구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폰 단말기를 거치하고 무선 충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CRADLE FOR CHARGING OF VEHICLES}
본 발명은 치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스마트폰은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를 필요로 한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운행 중에 배터리 충전은 물론 운전대를 손으로 잡고 운전을 하는 중에도 용이하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휴대폰 단말기 거치대는 항상 그 충전을 위해서 전원젝과 전력라인을 이용하여 거치대와 휴대폰 단말기를 연결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충전을 위해 적용되는 일반적인 충전시스템은 상용전압(AC 110~220V)을 다운시켜 전파 정류하고 직류전압의 출력단자와 배터리의 단자들을 접촉하여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량 내에서 스마트폰이나 헤드셋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충전전력을 공급함에 있어서, 선이 연결되어 있는 시거 잭을 12V DC 출력 포트에 꽂고 시거 잭의 선을 수신기에 연결함으로써 차량 내의 휴대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유선방식은 충전기와 배터리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경우, 양측의 단자들이 서로 다른 전위차를 가지고 있어 순간 방전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단자에 이물질이 점점 쌓이게 되어 화재가 발생할 우려까지도 있으며 습기가 묻어 자연 방전되는 등 충전기 및 배터리의 수명이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 잭을 휴대용 전자기기에 직접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운전 중에 이와 같은 연결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전력전송은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장치와 전력을 공급받는 휴대용 전자기기 간에 물리적인 접촉이 없이 자기 결합(inductive coupling),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 또는 안테나 등의 전자기장 공진 구조를 이용하여 공간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충전장치의 1차코일의 상부에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위치시키면 자기장에 의해 배터리의 2차코일에 의하여 유도기전력으로부터 유도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한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0564256호 "무선주파수 식별기술이 적용된 무선충전용패드 및 배터리팩", 특허 제0603986호 "무선충전용 배터리팩", 특허 제0751635호 "무선충전기의 오목형패드", 특허 제0971748호 "근거리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특허출원 제2008-0023483호 "무선전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특허출원 제2005-0053584호 "무선충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무선충전기는 단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뿐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없어 실용성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무선충전기는 패드 형태로 구성되어 차량 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 중에는 도로 노면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바닥으로 떨어져 운전자의 주의를 끌게 되고 그로 인해 교통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놓이는 상면의 안착부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어서 스마트폰이 충전중 미끄러지는 경우에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의 위치에 변화가 생겨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원드실드 또는 송풍구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원드실드나 송풍구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고 무선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전면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슬라이딩 동작되는 슬라이드 암이 설치되고, 전면 전체영역에 무접점 충전부가 설치되며, 전면 하부에 하부 받침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암을 동작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감지부와 인접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암을 동작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감지부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를 차량의 윈드실드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탈착부와, 그리고 상기 제1 탈착부 대신에 상기 본체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를 차량의 송풍구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탈착부는, 상기 본체를 차량의 윈드실드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 구형의 제1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압착판이 설치되는 제1 탈착부 본체와, 그리고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에 접착테이프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압착판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탈착부 본체는, 상기 제1 연결구가 상기 본체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내로 삽입된 후 너트부재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탈착부는, 상기 본체를 차량의 송풍구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 구형의 제2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집게가 설치되는 제2 탈착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탈착부 본체는, 상기 제2 연결구가 상기 본체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내로 삽입된 후 너트부재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집게가 상기 송풍구의 송풍바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둘레에 십자 형상의 슬릿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슬릿은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할 수 있도록 가속도 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드 암을 강제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사용자 조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제1 탈착부 또는 본체와 제2 탈착부의 조합에 의해 차량의 윈드실드 또는 송풍구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폰 단말기를 거치하고 무선 충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체(100)에 설치된 제1, 2 감지부()에 의해 슬라이드 암(102)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의 고정 및 분리시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의 본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의 본체와 제1 탈착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의 본체와 제2 탈착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탈착부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가 차량용 윈드실드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가 차량용 송풍구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제1 감지부(110)와, 제2 감지부(120)와, 제1 탈착부(130)와, 그리고 제2 탈착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휴대용 단말기(1)가 안착되어 고정되고 무선 충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슬라이드 암(102)과, 무접점 충전부(103)와, 그리고 하부 받침부(104)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암(102)은 휴대용 단말기(1)를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슬라이드 암(102)은 본체(100)의 전면 양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슬라이딩 동작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는 본체(100)의 전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암(102)의 동작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100)는 내부에 슬라이드 암(102)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와,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설치된다. 즉, 슬라이드 암(102)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모터에 의해 본체(100)의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본체(100) 방향으로 모이도록 슬라이딩 동작되는 것이다.
무접점 충전부(103)는 휴대용 단말기(1)를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본체(100)의 전면 전체영역에는 휴대용 단말기(1)를 무접점 상태에서 충전할 수 있는 무접점 충전부(103)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는 본체(100)의 전면에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무접점 충전부(103)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무접점 충전부(103)의 구성 및 원리는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당업자에 의해 널리 실시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 받침부(104)는 본체(100)의 전면에 안착되는 휴대용 단말기(1)를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하부 받침부(104)는 휴대용 단말기(1)의 하부를 받치도록 본체(1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는 본체(100)의 전면에 안착된 후 하부 받침부(10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본체(100)로부터 임의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0)는 슬라이드 암(102)이 설치되는 전면 양측 중 그 일측에 사용자 조작 스위치(106)가 설치된다. 이러한 사용자 조작 스위치(106)는 슬라이드 암(102)을 강제로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즉, 휴대용 단말기(1)가 본체(100)에 안착되고 슬라이드 암(10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 스위치(106)를 터치하게 되면, 사용자 조작 스위치(106)의 터치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터치 신호에 따라 슬라이드 암(102)을 강제로 동작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 스위치(106)의 터치에 의해 슬라이드 암(102)의 고정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 감지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를 고정하기 위해 슬라이드 암(102)을 동작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제1 감지부(110)는 본체(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제어부와 연결된다. 이때, 제1 감지부(110)는 근접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감지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가 본체(100)의 전면으로 근접되는 경우에 슬라이드 암(102)을 본체(100)의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동작시키고, 휴대용 단말기(1)가 본체(100)에 완전히 안착되는 경우에 슬라이드 암(102)을 본체(100) 방향으로 모이도록 동작시키게 된다. 즉, 슬라이드 암(102)은 평상시 본체(100) 방향으로 모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1)의 근접시 제1 감지부(110)와 제어부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를 고정하도록 동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를 본체(100)에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2 감지부(120)는 휴대용 단말기(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슬라이드 암(102)을 동작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제2 감지부(120)는 본체(100)의 전면 하부에 제1 감지부(110)와 인접되도록 설치되고 제어부와 연결된다. 이때, 제2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감지부(120)는 휴대용 단말기(1)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슬라이드 암(102)을 본체(100)의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동작시키게 된다. 즉, 슬라이드 암(102)은 휴대용 단말기(1)의 고정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제2 감지부(120)와 제어부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도록 동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를 본체(100)로부터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제1 탈착부(130)는 본체(100)를 차량의 윈드실드(10)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1 탈착부 본체(132)와, 그리고 지지부재(138)를 포함한다.
제1 탈착부 본체(132)는 본체(100)를 차량의 윈드실드(10)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 구형의 제1 연결구(134)가 형성되고 타단에 압착판(136)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 탈착부 본체(132)는 제1 연결구(134)가 본체(100)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08) 내로 삽입된 후 너트부재(109)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지지부재(138)는 원판 형상의 형성되고 차량의 윈드실드(10)에 접착테이프(139)에 의해 부착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38)는 압착판(136)이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탈착부 본체(132)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탈착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의 거치를 위해 제1 탈착부 본체(132)와 지지부재(138)에 의해 차량의 윈드실드(10)에 설치되게 된다.
제2 탈착부(140)는 본체(100)를 차량의 송풍구(20)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2 탈착부 본체(142)를 포함한다.
제2 탈착부 본체(142)는 본체(100)를 차량의 송풍구(20)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 구형의 제2 연결구(144)가 형성되고 타단에 탄성부재(14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집게(146)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 탈착부 본체(142)는 제2 연결구(144)가 본체(100)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08) 내로 삽입된 후 너트부재(109)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연결되고, 집게(146)가 송풍구(20)의 송풍바(2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본체(100)에 형성되는 돌출부(108)는 둘레에 십자 형상의 슬릿(108A)이 길게 형성된다. 이때, 슬릿(108A)은 돌출부(108)의 선단부에서 본체(100)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슬릿(108A)은 너트부재(109)의 조임시 수축됨으로써 제1 연결구(134)와 제2 연결구(144)는 돌출부(108)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08) 내로 제1 연결구(134)를 삽입하고 너트부재(109)로 조여 본체(100)와 제1 탈착부(130)의 제1 탈착부 본체(132)를 서로 연결하게 되고, 지지부재(138)를 차량의 윈드실드(10)에 접착시키고 지지부재(138)의 표면에 압착판(136)을 결합하게 됨으로써 제1 탈착부 본체(132)와 지지부재(138)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0)의 전면에 휴대용 단말기(1)를 거치하고 무선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1)는 제1 감지부(110)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슬라이드 암(102)에 의해 본체(100)의 전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후, 무접점 충전부(103)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08) 내로 제2 연결구(144)를 삽입하고 너트부재(109)로 조여 본체(100)와 제2 탈착부(140)의 제2 탈착부 본체(142)를 서로 연결하게 되고, 집게(146)에 의해 제2 탈착부 본체(142)를 송풍구(20)의 송풍바(22)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0)의 전면에 휴대용 단말기(1)를 거치하고 무선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1)는 제1 감지부(110)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슬라이드 암(102)에 의해 본체(100)의 전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후, 무접점 충전부(103)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는 도 5와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슬라이드 암(102)이 제2 감지부(120)와 제어부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도록 동작되게 된다. 즉, 슬라이드 암(102)은 휴대용 단말기(1)의 고정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제2 감지부(120)와 제어부에 의해 본체(100)의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동작되므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를 본체(100)로부터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1)가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 스위치(106)의 터치에 따라 슬라이드 암(102)을 강제로 동작시켜 본체(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즉, 사용자 조작 스위치(106)의 터치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터치 신호에 따라 슬라이드 암(102)을 강제로 동작됨으로써 슬라이드 암(102)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휴대용 단말기(1)를 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는, 본체(100)와 제1 탈착부(130) 또는 본체(100)와 제2 탈착부(140)의 조합에 의해 차량의 윈드실드(10) 또는 송풍구(20)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1)를 거치하고 무선 충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는, 본체(100)에 설치된 제1, 2 감지부(110, 120)에 의해 슬라이드 암(102)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의 고정 및 분리시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02: 슬라이드 암 103: 무접점 충전부
104: 하부 받침부 106: 사용자 조작 스위치
108: 돌출부 109: 너트부재
110: 제1 감지부
120: 제2 감지부
130: 제1 탈착부
132: 제1 탈착부 본체 134: 제1 연결구
136: 압착판 138: 지지부재
140: 제2 탈착부
142: 제2 탈착부 본체 144: 제2 연결구
146: 집게 148: 탄성부재

Claims (7)

  1. 차량의 원드실드나 송풍구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고 무선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전면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슬라이딩 동작되는 슬라이드 암이 설치되고, 전면 전체영역에 무접점 충전부가 설치되며, 전면 하부에 하부 받침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암을 동작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감지부;
    상기 제1 감지부와 인접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암을 동작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감지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를 차량의 윈드실드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탈착부; 및
    상기 제1 탈착부 대신에 상기 본체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를 차량의 송풍구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착부는,
    상기 본체를 차량의 윈드실드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 구형의 제1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압착판이 설치되는 제1 탈착부 본체; 및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에 접착테이프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압착판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탈착부 본체는,
    상기 제1 연결구가 상기 본체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내로 삽입된 후 너트부재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착부는,
    상기 본체를 차량의 송풍구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 구형의 제2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집게가 설치되는 제2 탈착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탈착부 본체는,
    상기 제2 연결구가 상기 본체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내로 삽입된 후 너트부재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집게가 상기 송풍구의 송풍바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둘레에 십자 형상의 슬릿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슬릿은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할 수 있도록 가속도 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암을 강제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사용자 조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KR1020180103487A 2018-08-31 2018-08-31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KR10202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87A KR102021095B1 (ko) 2018-08-31 2018-08-31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87A KR102021095B1 (ko) 2018-08-31 2018-08-31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095B1 true KR102021095B1 (ko) 2019-09-16

Family

ID=6806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87A KR102021095B1 (ko) 2018-08-31 2018-08-31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09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875B1 (ko) 2019-11-04 2021-01-15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20210053804A (ko) 2019-11-04 2021-05-12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20210093717A (ko) 2020-01-20 2021-07-28 안영철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KR20220100428A (ko) 2021-01-08 2022-07-15 (주)주파집 차량용 무선 충전기
KR20220100414A (ko) 2021-01-08 2022-07-15 (주)주파집 방향 전환 구조의 충전기
KR20220153545A (ko) 2020-12-03 2022-11-18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20230114503A (ko) *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엘케이에스글로벌 원격 의료를 위한 생체 모니터링 및 케어 시스템에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용 거치대
KR20240000973A (ko) 2022-06-24 2024-01-03 (주)주파집 트랜스미터 위치 조절 구조의 무선 충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073A (ko) * 2014-02-18 2015-08-26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25315A (ko) * 2014-08-27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 단말 거치 장치
KR20180113941A (ko) * 2018-08-23 2018-10-17 주식회사 인트비즈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073A (ko) * 2014-02-18 2015-08-26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25315A (ko) * 2014-08-27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 단말 거치 장치
KR20180113941A (ko) * 2018-08-23 2018-10-17 주식회사 인트비즈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875B1 (ko) 2019-11-04 2021-01-15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20210053804A (ko) 2019-11-04 2021-05-12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20210093717A (ko) 2020-01-20 2021-07-28 안영철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KR20220153545A (ko) 2020-12-03 2022-11-18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20220100428A (ko) 2021-01-08 2022-07-15 (주)주파집 차량용 무선 충전기
KR20220100414A (ko) 2021-01-08 2022-07-15 (주)주파집 방향 전환 구조의 충전기
KR102532674B1 (ko) 2021-01-08 2023-05-17 (주)주파집 차량용 무선 충전기
KR20230114503A (ko) *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엘케이에스글로벌 원격 의료를 위한 생체 모니터링 및 케어 시스템에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용 거치대
KR102654009B1 (ko) 2022-01-25 2024-04-03 주식회사 엘케이에스글로벌 원격 의료를 위한 생체 모니터링 및 케어 시스템에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용 거치대
KR20240000973A (ko) 2022-06-24 2024-01-03 (주)주파집 트랜스미터 위치 조절 구조의 무선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095B1 (ko)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US9270130B2 (en) Method and system to mount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wirelessly charge
US10491727B1 (en) Mobile phone holder with wirelessly activated robotic arms and charger
CN105634052B (zh) 电子设备的机会式充电
CN107444462B (zh) 无线充电方向盘
CN107635041B (zh) 一种电动手机夹
RU114779U1 (ru) Система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давления в шинах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давления в шинах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145682B1 (ko) 차량용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제어 방법
CN109715434B (zh) 用于电动车辆的有线无线兼用的充电装置
AU2018241093A1 (en) Compact multifunctional battery booster
KR101461101B1 (ko)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120092455A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 장치
KR20170134999A (ko)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KR20190037902A (ko)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CN108679802B (zh) 一种空调控制装置及空调器
KR101868277B1 (ko)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TWM612915U (zh) 無線充電系統及其電動摩托車
JP2015213423A (ja) 非接触充電デバイス用可変利得基準アンテナ
CN211336277U (zh) 一种摩托车上用手机支架及充电底座
KR102507739B1 (ko)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CN210881927U (zh) 一种多功能车载手机支架
KR20150146164A (ko) 무접점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N107623346A (zh) 电池充电、放电控制电路
CN209534969U (zh) 用于为电池充电的便携式装置
KR101423397B1 (ko)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