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875B1 -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875B1
KR102203875B1 KR1020190139167A KR20190139167A KR102203875B1 KR 102203875 B1 KR102203875 B1 KR 102203875B1 KR 1020190139167 A KR1020190139167 A KR 1020190139167A KR 20190139167 A KR20190139167 A KR 20190139167A KR 102203875 B1 KR102203875 B1 KR 10220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mounting body
electronic device
module
charg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875B9 (ko
Inventor
오재호
Original Assignee
(주)주파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41270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0387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주파집 filed Critical (주)주파집
Priority to KR102019013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75B1/ko
Priority to KR1020200167561A priority patent/KR102513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75B1/ko
Publication of KR10220387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7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는 전자기기가 거치되고, 내부에 충전을 위한 수단이 배치된 거치 몸체(11); 거치 몸체(11)에 형성되어 전자기기를 고정시키는 클램프 유닛(12a, 12b); 거치 몸체(11)의 아래쪽에 형성된 받침 유닛(13); 거치 몸체(11)의 회전 작동을 위한 방향 선택 수단(15); 및 방향 선택 수단(15)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로터 모듈(16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An Automatic Position Regulating Type of a Cradle for Charging in Wireless Technology}
본 발명은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자동차 또는 이와 유사한 운송 장치에 거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을 시키면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방향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기술(wireless charging technology)이 공지되어 있고, 다양한 분야에 무선 충전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등록번호 10-1924395는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10-2021095는 차량용 무접점 거치대에 대하여 개시한다.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충전 거치대는 충전 기능을 가지면서 이와 함께 정보 표시 판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충전 과정에서 휴대용 전자기기가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거치 방향의 변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고, 이와 같은 기능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이러한 기능을 가진 무선 충전 거치대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1924395(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2018.12.03. 공고)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10-2021095(주식회사 굿웨이, 2019.09.16. 공고)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거치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무선 충전 거치대는 전자기기가 거치되고, 내부에 충전을 위한 수단이 배치된 거치 몸체; 거치 몸체에 형성되어 전자기기를 고정시키는 클램프 유닛; 거치 몸체의 아래쪽에 형성된 받침 유닛; 거치 몸체의 회전 작동을 위한 방향 선택 수단; 및 방향 선택 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로터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로터 모듈에 결합되는 노브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노브 모듈에 결합되는 제1, 2 체결 유닛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체결 유닛은 제1 체결 유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는 차량에 설치되어 운행 과정에서 충전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는 운행 과정에서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거치 방향이 변경되도록 하여 운행 중 조작에 따른 안전사고의 방지되도록 하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진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에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용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전자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에 적용되는 클램프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에 적용되는 회전 유도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무선 충전 거치대는 전자기기가 거치되고, 내부에 충전을 위한 수단이 배치된 거치 몸체(11); 거치 몸체(11)에 형성되어 전자기기를 고정시키는 클램프 유닛(12a, 12b); 거치 몸체(11)의 아래쪽에 형성된 받침 유닛(13); 거치 몸체(11)의 회전 작동을 위한 방향 선택 수단(15); 및 방향 선택 수단(15)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로터 모듈(161)을 포함한다.
무선 충전 거치대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무선 충전 거치대는 차량에 설치되어 운행 과정에서 휴대용 전자기기가 거치되어 충전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거치대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에 적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거치 몸체(11)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쪽 면 또는 한쪽 부분이 접촉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거치 몸체(11)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 공간에 무선 충전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판, 전자소자 또는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 몸체(11)에 접촉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쪽 면을 통하여 무선 충전이 될 수 있다. 거치 몸체(11)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되어 무선 충전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거치 몸체(11)의 중간 부위의 양쪽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클램프 유닛(12a, 12b)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램프 유닛(12a, 12b)에 의하여 전자기기가 거치 몸체(11)에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 유닛(12a, 12b)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전자기기의 양쪽 측면을 거치 몸체(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클램프 유닛(12a, 12b)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휴대용 전자기기가 거치 몸체(11)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클램프 유닛(12a, 12b)은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 및 기어와 같은 부품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고, 개폐 버튼(14a, 14b)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클램프 유닛(12a, 12b)은 접촉 센서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가 거치 몸체(11)에 접촉되는 상태가 탐지되어 작동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받침 유닛(13)에 접촉되는 것이 탐지되어 작동될 수 있다. 클램프 유닛(12a, 12b)은 다양한 센서의 탐지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거치 몸체(11)의 아래쪽에 받침 유닛(13)이 설치될 수 있고, 받침 유닛(13)에 의하여 전자기기의 아래쪽 또는 위쪽 부분이 받쳐질 수 있다. 받침 유닛(13)은 전자기기의 중량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이동되거나, 중량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 유닛(13)의 위쪽 부분이 거치 몸체(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받침 유닛(13)은 전자기기이 아래쪽 가장자리 또는 위쪽 가장자리를 받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거치 몸체(11)는 회전이 될 수 있고, 버튼과 같은 방향 선택 수단(15)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실린더 형상 또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방향 선택 수단(15)이 거치 몸체(11)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 형상의 방향 선택 수단(15)이 거치 몸체(11)의 뒤쪽 부분 또는 위쪽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방향 선택 수단(15)은 쉽게 접촉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손가락의 접촉에 의하여 쉽게 접촉될 수 있도록 거치 몸체(11)의 뒤쪽 부분의 위쪽에 설치될 수 있다. 거치 몸체(11)의 뒤쪽 중앙 부분에 로터 모듈(161)이 결합될 수 있고, 거치 몸체(11)는 로터 모듈(16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로터 모듈(161)은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실린더 블록이 서로 연결된 구조가 될 수 있다. 로터 모듈(161)의 한쪽 끝이 거치 몸체(11)의 뒤쪽 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로터 모듈(161)의 다른 끝은 노브 모듈(162)에 결합될 수 있고, 로터 모듈(161)은 방향 선택 수단(15)의 작동에 의하여 노브 모듈(162)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노브 모듈(162)은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한쪽 부분에 로터 모듈(161)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부분에 제1 체결 유닛(163)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 유닛(163)은 한쪽 부분이 노브 모듈(162)에 고정되고, 판 형상으로 선형으로 연장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 유닛(162)은 차량의 환기 유닛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제1 체결 유닛(163)은 차량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제2 체결 유닛(164)이 노브 모듈(162)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체결 유닛(164)의 잠금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 유닛(163)은 차량의 환기구 또는 통풍구가 같은 부분에 고정되어 노브 모듈(162)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체결 유닛(164)은 한쪽 부분이 노브 모듈(162)에 고정되면서 회전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 체결 유닛(164)은 제1 체결 유닛(163)과 함께 노브 모듈(16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2 체결 유닛(163, 164)은 노브 모듈(16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에서 휴대용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방향 선택 수단(15)가 거치 몸체(11)의 뒤쪽 면의 위쪽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램프 유닛(12a, 12b)은 거치 몸체(11)의 중간 부분의 양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클램프 유닛(12a, 12b)의 일부가 거치 몸체(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개폐 버튼(14a, 14b)에 의하여 한 쌍의 클램프 유닛(12a, 12b)이 작동될 수 있고, 각각의 개폐 버튼(14a, 14b)에 의하여 각각의 클램프 유닛(12a, 12b)이 작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독립적으로 발광 소자와 같은 충전 상태 표시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2 체결 유닛(163, 164)이 차량의 송풍구 또는 이와 유사한 부분에 결합되면 도 2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처럼, 전자기기가 거치 몸체(11)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 몸체(11)는 다양한 각도로 위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받침 유닛(13)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거치 몸체(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거치 몸체(11)가 회전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거치 몸체(11)의 내부에 가속도 센서가 같은 방향 센서가 설치되어 거치 몸체(11)가 받침 유닛(13)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기본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전자기기가 거치 몸체(11)에 거치가 되면, 접촉 상태가 탐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거치 몸체(11) 또는 받침 유닛(13)에 설치된 접촉 센서에 의하여 전자기기가 거치 몸체(11)에 거치되었는지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전자기기가 거치 몸체(11)에 거치되면 자동으로 또는 개폐 버튼(14a, 14b)의 작동에 의하여 클램프 유닛(12a, 12b)이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전자기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전자기기가 고정되면 이에 따라 무선 충전이 개시될 수 있고, 충전 과정에서 전자기기가 작동될 수 있다. 거치된 상태에서 또는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치 몸체(11)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거치 몸체(11)의 거치 방향은 두 가지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거치 방향의 조절을 위하여 거치 몸체(11)의 뒤쪽에 배치된 방향 선택 수단이 눌러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거치 몸체(11)가 회전되어 거치 방향이 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방향 선택 수단(15)이 작동되면 거치 몸체(11)가 원래의 방향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거치 몸체(11)의 방향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다수 개의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선택 수단(15)을 누르는 시간에 대응하여 거치 몸체(11)가 다양한 각도로 방향 조절이 될 수 있다. 거치 몸체(11)의 방향 조절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전자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거치 몸체의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무선 충전 모듈은 충전을 위한 전력을 전송하는 트랜스미터(21); 트랜스미터(21)의 한쪽 부분에 결합된 제1 제어 기판(22); 및 트랜스미터(21)의 다른 쪽에 결합된 제2 제어 기판(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기판(21)에 방향 선택 수단(15)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제어 기판(24)에 개폐 버튼(14a, 14b)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기판(21)에 거치 몸체의 방향 조절 또는 클램프 유닛의 작동을 위한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2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2 제어 기판(22, 24)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PCB)과 같은 전자 기판이 될 수 있고, 충전 거치대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기판의 종류 또는 이에 의한 무선 충전 방식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충전 모듈은 고정 기판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고정 기판은 고정 몸체(25); 고정 몸체(25)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트랜스미터에 대응되는 형상과 사각 판 형상이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노출 홀(251); 고정 몸체(25)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어 한 쌍의 개폐 버튼(14a, 14b)이 고정되는 고정 홀(252a, 252b); 및 고정 몸체(25)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받침 유닛의 위쪽 부분이 삽입되는 유도 홀(25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25)의 양쪽에 클램프 유닛의 이동을 유도하는 슬라이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몸체(25)는 무선 충전 모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충전 모듈이 고정 몸체(25)에 고정되면, 고정 몸체(25)의 앞쪽에 보호 케이스가 결합되면서 고정 몸체(25)의 뒤쪽에 연결 케이스가 결합되어 거치 몸체가 만들어질 수 있다.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이 배치되는 거치 몸체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에 적용되는 클램프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클램프 유닛(12a, 12b)의 각각은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어 전자기기의 측면에 접촉되는 고정 날개(31); 고정 날개(31)의 안쪽 부분에 배치되어 전자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 패드(32); 각각의 고정 날개(31)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면서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부재(331); 각각의 고정 날개(31)로부터 가이드 부재(331)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결합 몸체(332); 및 결합 몸체(332)로부터 연장되면서 맞물림 이빨이 형성된 작동 부재(3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331)에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거치 몸체의 내부에 맞물림 이빨에 결합되면서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어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 유닛(13)은 받침 몸체(34) 및 받침 몸체(34)에 결합되는 유도 몸체(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 몸체(34)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이 되면서 위쪽 부분이 거치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받침 몸체(34)의 아래쪽 부분은 곡면 형상이 될 수 있고,곡면 형상으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한 쌍의 받침 핸드(341, 342)가 연장될 수 있다. 유도 몸체(35)의 위쪽으로 한 쌍의 선형으로 연장되는 유도 홀이 형성된 유도 블록(351)이 연장되고, 유도 몸체(35)의 다른 쪽에 받침 몸체(34)에 끝 부분이 일체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핸드(352, 353)이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유도 홀에 각각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어 유도 몸체(35)가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받침 유닛(13)에 탄성 수단이 결합되어 탄성에 의하여 전자기기가 제거되면 받침 유닛(13)이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 유닛(13)이 받침 몸체(34) 및 유도 몸체(35)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전자기기가 안정적으로 받쳐지도록 한다. 받침 유닛(13)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에 적용되는 회전 유도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로터 모듈(161)은 거치 몸체의 뒤쪽 면에 결합되는 결합 블록(511); 결합 블록(511)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 유도 블록(512); 및 회전 유도 블록(512)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 축(513) 및 유도 블록(512)의 한쪽 면에 원형을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 체결 돌기(514)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 모듈(161)의 회전 유도 블록(512)이 결합되는 노브 모듈(162)은 전체적으로 드럼 형상이 되는 노브 몸체(521); 노브 몸체(521)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 블록(522); 및 고정 블록(522)의 내부에 형성되는 축 유도 블록(5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축 유도 블록(524)은 걸림 블록(525)과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걸림 블록(525)의 안쪽에 수용 블록(523)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유도 블록(512)은 수용 블록(523)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걸림 블록(525)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중심 축(513)은 축 유도 블록(524)의 중심을 관통하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중심 축(513)은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기어 또는 이와 유사한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중심 축(513)은 회전 유도 블록(512)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중심 축(512)의 회전과 함께 결합 블록(511)이 회전되어 거치 몸체가 회전될 수 있다. 노브 모듈(162)에 잠금 유도 유닛(53)이 결합될 수 있고, 잠금 유도 유닛(53)은 링 형상의 플랜지 유닛(531); 플랜지 유닛(531)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 몸체(532); 및 연장 몸체(532)에 형성된 한 쌍의 유도 날개(534a, 53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 유닛(531)의 안쪽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 이빨을 가진 체결 부위(533)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 부위(533)에 제1 체결 유닛의 한쪽 끝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체결 유닛(164)이 한 쌍의 유도 날개(534a, 534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 유닛(164)은 잠금 몸체(541); 잠금 몸체(541)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 부재(542a, 542b); 및 한 쌍의 회전 부재(542a, 542b)의 끝 부분에 형성된 결합 탭(54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탭(543)은 유도 날개(534a, 534b)에 형성된 체결 홀에 결합되어 제2 체결 유닛(164)이 잠금 유도 유닛(53)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고, 체결 홀 및 결합 탭(543)의 둘레 면에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맞물림 선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거치대가 고정되는 부위에 따라 제2 체결 유닛(164)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는 차량에 설치되어 운행 과정에서 충전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는 운행 과정에서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거치 방향이 변경되도록 하여 운행 중 조작에 따른 안전사고의 방지되도록 하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대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진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에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거치 몸체 12a, 12b: 클램프 유닛
13: 받침 유닛 14a, 14b: 개폐 버튼
15: 방향 선택 수단 21: 트랜스미터
22, 24: 제어 기판 23: 구동 수단
25: 고정 몸체 31: 고정 날개
32: 보호 패드 34: 받침 몸체
35: 유도 몸체
161: 로터 모듈 162: 노브 모듈
163, 164: 체결 유닛

Claims (4)

  1.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무선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전자기기가 거치되고, 내부에 충전을 위한 수단이 배치된 거치 몸체(11);
    거치 몸체(11)에 형성되어 전자기기를 고정시키는 클램프 유닛(12a, 12b);
    거치 몸체(11)의 아래쪽에 형성된 받침 유닛(13);
    거치 몸체(11)의 회전 작동을 위한 방향 선택 수단(15); 및
    방향 선택 수단(15)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로터 모듈(161)을 포함하고,
    로터 모듈(161)에 결합되는 노브 모듈(162)을 더 포함하는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노브 모듈(162)에 결합되는 제1, 2 체결 유닛(163, 164)를 더 포함하는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체결 유닛(164)은 제1 체결 유닛(16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1020190139167A 2019-11-04 2019-11-04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10220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167A KR102203875B1 (ko) 2019-11-04 2019-11-04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1020200167561A KR102513364B1 (ko) 2019-11-04 2020-12-03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167A KR102203875B1 (ko) 2019-11-04 2019-11-04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561A Division KR102513364B1 (ko) 2019-11-04 2020-12-03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875B1 true KR102203875B1 (ko) 2021-01-15
KR102203875B9 KR102203875B9 (ko) 2022-06-24

Family

ID=7412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167A KR102203875B1 (ko) 2019-11-04 2019-11-04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8824A (zh) * 2022-02-08 2022-03-08 深圳市鑫精盟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线缆收卷的车载充电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99B1 (ko) * 2014-08-12 2015-06-10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KR101924395B1 (ko) 2018-08-30 2018-12-03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KR20180129186A (ko) * 2017-05-25 2018-12-05 주식회사 아울에스피아이 휴대폰의 거치위치를 조정하는 무선 충전 거치대
KR102021095B1 (ko) 2018-08-31 2019-09-16 주식회사 굿웨이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99B1 (ko) * 2014-08-12 2015-06-10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KR20180129186A (ko) * 2017-05-25 2018-12-05 주식회사 아울에스피아이 휴대폰의 거치위치를 조정하는 무선 충전 거치대
KR101924395B1 (ko) 2018-08-30 2018-12-03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KR102021095B1 (ko) 2018-08-31 2019-09-16 주식회사 굿웨이 차량용 무접점 충전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8824A (zh) * 2022-02-08 2022-03-08 深圳市鑫精盟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线缆收卷的车载充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875B9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4865A (en) Trackball device
KR102203875B1 (ko)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US20180375979A1 (en) Adapter for a holding device
US10086751B2 (en) Vehicle lighting system having a spotlight
US20140219647A1 (en) Motor, holder and image capture device using same
AU2013349215A1 (en) Operation unit
CN103782087A (zh) 致动器以及车辆用前照灯
KR102513364B1 (ko)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JP2020038176A (ja) エンコーダの回転部材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エンコーダの回転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20220153545A (ko)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JP2013120181A (ja) 回転角度検出装置
US9921603B2 (en) Staging operation unit
JP2008251414A (ja) スイッチ装置
CN112467884A (zh) 无线充电设备、系统以及方法
KR102532674B1 (ko) 차량용 무선 충전기
KR20190001181U (ko) 차량의 스크롤 스위치 어셈블리
KR102539844B1 (ko) 방향 전환 구조의 충전기
JP2019056858A (ja) 撮像装置
GB2549386A (en) Touch detection on a curved surface
KR101897510B1 (ko)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JP5790639B2 (ja) 照光式操作装置
KR102315870B1 (ko) 마운트의 회전 제어 장치
CN220061549U (zh) 一种cmy混色装置
CN109246261A (zh) 终端和用于终端的感光控制方法
US11073923B2 (en)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