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599B1 -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599B1
KR101527599B1 KR1020140104209A KR20140104209A KR101527599B1 KR 101527599 B1 KR101527599 B1 KR 101527599B1 KR 1020140104209 A KR1020140104209 A KR 1020140104209A KR 20140104209 A KR20140104209 A KR 20140104209A KR 101527599 B1 KR101527599 B1 KR 101527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arc groove
rotating body
rotation
guide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록
신재훈
김대성
손기영
Original Assignee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유영록
신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유영록, 신재훈 filed Critical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케이스(120)와 리어케이스(130)로 구성되는 본체부(110); 프론트케이스(120)의 축공(12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150); 통신단말기(1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대(161); 통신단말기(10)의 상측을 홀딩하는 홀더(165);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하는 회전동작 스위치(171); 모터(172)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보드(140); 컨트롤보드(140)로부터 출력되는 모터구동제어신호에 따라서 회전하는 모터(172); 모터(17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스크류봉(173); 스크류봉(173)의 회전에 따라서 무빙하는 선형운동자(174); 선형운동자(174)의 선형운동에 일체로 운동하는 랙기어(175); 랙기어(175)의 선형운동에 따라서 회전운동하여 회전체(150)를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152); 본체부(110)를 지지하여서 세우고 통신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박스(1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의하면, 통신단말기의 거치 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로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A SUPPORTER FOR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치되는 통신단말기의 거치 방향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블루투스 기능, 외부 스피커 기능, 충전 기능 등을 하나의 거치대에 통합 구현함으로써 피거치공간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단순 통신기술을 벗어나, 영상 및 음악 등과 같은 다른 환경의 모바일 기능들이 통신단말기로 취합되어 하나의 단말기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기능에는 통화를 기본으로 인터넷 및 생활정보, 메신저 등의 역할과 내비게이션, 동영상, 음악, 사진 등의 기능이 무선통신 기술과 접목되면서 보다 인간중심의 기능을 구현되고 있는 현실이다.
종래에는 블루투스 스피커, 차량용 거치대, 핸즈프리기능이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공간적인 사용성 및 가격적인 부담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통신단말기 거치대의 경우에는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거치할 수 있어서 통화를 위해서 세로 방향으로 거치ㅎ나 경우에는 동영상이나 TV 등과 같은 기본적으로 가로 보기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보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1. 특허문헌1: 등록특허공보 10-1020434(공고일: 2011년 03월 09일)
2. 특허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13-0115313(공개일: 2013년 10월 2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의 목적은,
첫째, 거치한 경우에 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영상이나 음악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서 출력되는 음성 및 오디오신호를 통신단말기가 아닌 스피커 박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블루투스, 외장 스피커, 충전기 등의 기능을 하나의 거치장치에 통합 구현함으로써 피거치장소(예컨대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셋째, 통신단말기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원하는 위치로 자동으로 선택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통신단말기의 화면을 볼 수 있는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통신단말기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간단한 구성으로 통신단말기를 견실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통신단말기의 출력을 스피커 박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가 없어도 통신단말기의 출력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통신단말기를 자동으로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매우 간단하고 심플한 것으로 구현함으로써 본체부의 두께가 얇더라도 충분히 본체부 내에 모두 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그리하여 본체부의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여덟째, 간단한 스위치 구성의 채택에 의해서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의 정확한 위치에서 회전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며,
아홉째, 감지스위치의 오동작 등의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회전체가 설정된 각도 이상을 지나치는 문제가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는, 축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결합하는 리어케이스로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축공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축돌기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돌기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하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고 통신단말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상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는 통신단말기의 상측을 홀딩하는 홀더; 상기 컨트롤보드에 실장되고 회전동작신호를 상기 컨트롤보드로 출력하는 회전동작 스위치; 상기 본체부 내에 내장되고 상기 회전동작 스위치로부터 회전동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보드; 상기 본체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보드로부터 출력되는 모터구동제어신호에 따라서 회전하는 모터; 상기 본체부 내에 설치되고 스크류봉의 타측을 축결합하기 위한 축홀이 형성된 스크류봉 마운트; 일측이 상기 모터에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류봉 마운트의 축홀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되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에 치합되어서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에 따라서 스크류봉의 길이방향으로 무빙하는 선형운동자; 상기 선형운동자에 설치되어서 선형운동자의 선형운동에 일체로 선형운동하는 랙기어; 상기 축돌기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어서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 상기 리어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여서 피거치대상에 세울 수 있도록 하고 통신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거치한 경우에 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영상이나 음악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서 출력되는 음성 및 오디오신호를 통신단말기가 아닌 스피커 박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블루투스, 외장 스피커, 충전기 등의 기능을 하나의 거치장치에 통합 구현함으로써 피거치장소(예컨대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통신단말기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원하는 위치로 자동으로 선택하여 거치할 수 있고, 그 결과 통신단말기의 화면을 볼 수 있는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통신단말기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간단한 구성으로 통신단말기를 견실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통신단말기의 출력을 스피커 박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가 없어도 통신단말기의 출력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통신단말기를 자동으로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매우 간단하고 심플한 것으로 구현함으로써 본체부의 두께가 얇더라도 충분히 본체부 내에 모두 내장할 수 있고, 그 결과 본체부의 두께가 얇아지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간단한 스위치 구성의 채택에 의해서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의 정확한 위치에서 회전이 정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감지스위치의 오동작 등의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회전체가 설정된 각도 이상을 지나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프론트케이스(120)와 회전체(150)의 결합 관계를 보이기 위한 일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회전체(150)가 프론트케이스(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론트케이스(120)에 다수의 구성이 마운트되어 있는 상태의 프론트케이스(12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리어케이스(130)와 스피커 박스(180)의 결합 관계를 보이기 위한 다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에 통신단말기(10)가 세로 방향으로 거치된 상태의 동작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위치에서 회전체(150)가 반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여서 통신단말기(10)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된 상태의 동작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에 있어서 변형된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162) 및 지지 플레이트(16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개시된 구성을 채택한 경우의 동작도로서, 도 11의 (a)에는 통신단말기(10)가 거치되지 않은 경우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의 (b)에는 통신단말기(10)가 거치된 상태의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인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는 본체부(110)와 회전체(150)와 지지대(161,162)와 홀더(165)와 회전동작 스위치(171)와 컨트롤보드(140)와 모터(172)와 스크류봉 마운트(124)와 스크류봉(173)과 선형운동자(174)와 랙기어(175)와 피니언기어(152)와 스피커 박스(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축공(122)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프론트케이스(120)와 상기 프론트케이스(120)에 결합하는 리어케이스(130)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150)는 프론트케이스(120)의 축공(12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축돌기(151)가 배면(150a)에 리어케이스(130)가 있는 방향인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돌기(15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프론트케이스(1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대(161,162)는 회전체(150)의 하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체(150)와 함께 회전하고, 통신단말기(10)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홀더(165)는 지지대(161,162)와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체(150)의 상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회전체(15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지지대(161,162)에 지지되는 통신단말기(10)의 상측을 홀딩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동작 스위치(171)는 프론트케이스(120)에 형성된 버튼공(e1)을 통해서 프론트케이스(120)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컨트롤보드(140)에 실장되고, 유저에 의해서 눌러지는 경우 회전동작신호를 상기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컨트롤보드(140)는 본체부(110) 내에 내장되고 상기 회전동작 스위치(171)로부터 회전동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모터(172)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모터(172)는 본체부(110) 내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론트케이스(120)의 배면(120a)[엄밀하게는 회전체 안착부(121)의 바닥부(121a)의 뒷면]에서 축공(122)의 하측에 형성된 모터하우징(172a)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보드(140)로부터 출력되는 모터구동제어신호에 따라서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크류봉 마운트(124)는 본체부(110) 내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론트케이스(120)의 배면(120a)에서 상기 축공(122)의 하측에 형성되고 스크류봉(173)의 타측을 축결합하기 위한 축홀(12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봉(173)은 일측이 상기 모터(172)에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류봉 마운트(124)의 축홀(124a)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되어서 상기 모터(172)의 회전에 따라서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선형운동자(174)는 스크류봉(173)에 치합되어서 상기 스크류봉(173)의 회전에 따라서 스크류봉(173)의 길이방향으로 무빙하는 부재이다.
상기 랙기어(175)는 선형운동자(174)에 설치되어서 선형운동자(174)의 선형운동에 일체로 선형운동한다.
상기 피니언기어(152)는 축돌기(15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랙기어(175)에 치합되어서 상기 랙기어(175)의 선형운동에 따라서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체(15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스피커 박스(180)는 리어케이스(130)의 배면에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하여서 피거치대상에 세울 수 있도록 하고, 통신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스피커 박스(180)는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통신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수화음성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의하면, 회전동작 스위치(171)를 누르기만 하면 거치된 통신단말기(10)를 자동으로 가로 방향으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가 있어서 통신단말기의 이용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쉽게 회전체(1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 컨트롤보드(140)에는 통화버튼키(193)가 더 구비되는데, 통화버튼키(193)는 버튼공(e2)을 통해서 프론트케이스(120) 외부로 노출되고, 통화버튼키(193)가 입력되면 컨트롤보드(140)는 통신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음성이나 오디오신호를 통신단말기(10) 자체의 스피커가 아닌 상기 스피커 박스(180)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버튼공(e1,e2)에는 데코캡(171a,193)이 씌워져서 회전동작 스위치(171)와 통화버튼키(193)를 유저가 쉽게 식별하여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형운동자(174)는 스크류봉(173)에 동축으로 외삽되고 치합되어서 스크류봉(173)이 회전하는 경우 스크류봉(17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무빙하는 기어링(174a)과, 상기 기어링(174a)의 상단에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174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최소의 부품수로 선형운동자를 구현하여서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축돌기(151)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축돌기(151)와 회전공차를 유지하면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20)의 배면(120a)[엄밀하게는 회전체 안착부(121)의 바닥부(121a)의 뒷면]에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부재(123a,123b,123c)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박스(180)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되고, 양 측면에는 스피커공(18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측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끼음공(18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어케이스(13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끼움돌기(1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 박스(180)는 상기 리어케이스(130)에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피커 박스(180)를 쉽게 리어케이스(130)에 결합시키거나 리어케이스(130)로부터 쉽게 결합 해제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는 제1 가이드 아크홈(126a)과 제2 가이드 아크홈(126b)과 제1 작동 돌기(125a)와 제2 작동 돌기(125b)와 제1 감지스위치(185a)와 제2 감지스위치(185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이드 아크홈(126a)은 회전체(150)는 상기 축돌기(151)와 동심으로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120)에는 상기 디스크 형태의 회전체(150)를 안착하여서 회전시키기 위해서 바닥부(121a)과 둘레부(121b)로 구성되는 회전체 안착부(121)가 상기 축공(122)과 동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 안착부(121)의 상기 축공(122)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축공(122)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원호(arc) 형태로 상기 회전체 안착부(121)의 바닥부(121a)에 후방으로 요입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은 축공(122)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가이드 아크홈(126a)의 맞은편에서 상기 축공(122)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원호 형태로 상기 회전체 안착부(121)의 바닥부(121a)에 후방으로 요입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작동 돌기(125a)는 제1 가이드 아크홈(126a)의 상측 끝에서 회전체(150)가 있는 방향(즉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제1 감지스위치(185a)를 누름에 의해서 제1 감지스위치(185a)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2 작동 돌기(125b)는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의 상측 끝에서 회전체(150)가 있는 방향(즉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제2 감지스위치(185b)를 누름에 의해서 제2 감지스위치(185b)를 작동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제1 감지스위치(185a)는 회전체(150)가 프론트케이스(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이드 아크홈(126a)에 삽입되어서 제1 가이드 아크홈(126a)을 따라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150)의 축돌기(151)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회전체(150)의 배면(150a)에 구비되어 있고, 통신단말기(10)가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반시계방향의 회전)할 때에 회전각이 설정된 각도(예컨대 90도)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제1 작동 돌기(125a)에 의해서 누름 작동되어서 회전정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제2 감지스위치(185b)는 회전체(150)가 프론트케이스(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에 삽입되어서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을 따라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축돌기(151)에 중심으로 상기 제1 감지스위치(185a)와 1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제1 감지스위치(185a)의 맞은편에서 상기 회전체(150)의 배면(150a)에 구비되어 있고, 가로 방향으로 있는 통신단말기(10)가 세로 방향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회전(시계방향의 회전)할 때에 회전각이 설정된 각도(예컨대 90도)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제2 작동 돌기(125b)에 의해서 누름 작동되어서 회전정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하는 스위치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의하면, 제1 작동 돌기(125a)가 제1 감지스위치(185a)를 누르거나 또는 제2 작동 돌기(125b)가 제2 감지스위치(185b)를 누르는 간단한 구성과 동작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전체(150)를 정확한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는 기술저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보드(140)는 제1 감지스위치(185a) 또는 제2 감지스위치(185b)로부터 정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 이후로 모터(17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할 때에는 모터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서 회전시키는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는 스토퍼 가이드 아크홈(127)와 스토퍼(187)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 가이드 아크홈(127)은 제1 가이드 아크홈(126a) 또는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으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축공(122)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상기 제1 가이드 아크홈(126a) 또는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의 중심각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중심각의 원호(arc) 형태로 상기 회전체 안착부(121)의 바닥부(121a)에서 후방으로 요입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스토퍼(187)는 회전체(150)가 프론트케이스(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가이드 아크홈(127)에 삽입되어서 스토퍼 가이드 아크홈(127)을 따라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150)의 축돌기(151)로부터 제1 감지스위치(185a) 또는 제2 감지스위치(185b)보다 더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회전체(150)의 배면(150a)에 돌출되어 있고, 통신단말기(10)가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그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상기 회전체(150)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187)와 스토퍼 가이드 아크홈(127)의 구성에 의하면 예비적으로 회전체(150)의 회전을 설정된 각도에서 멈추게 하도록 함으로써 제1,2 스위치가 오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회전체(150)를 설정된 각도에서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에 있어서 지지대(161,162)에는 단말기 안착홈(161a,162a)이 형성되어 있고, 단말기 안착홈(161a,162a)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충전단자(19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충전단자(191)에 통신단말기(10)가 접속되게 되면 외부입력포트(194)에 접속되는 외부입력단자(P1)를 통해서 충전전류를 통신단말기(1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에 있어서 통신단말기(10)가 안착 구비되도록 상기 지지대(162)에 하방으로 요입되어 있는 단말기 안착홈(162a)과, 상기 지지대(162)의 내주면에 대향하여서 상하방향으로 요입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채널(162b)과, 상기 가이드채널(162b)의 상측 끝에는 단차 형성된 단턱(162c)과, 상기 가이드채널(162b)에 삽입되어서 가이드채널(162b)을 따라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63a)가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통신단말기(10)를 지지하는 평판형의 지지 플레이트(163)와, 하단은 상기 단말기 안착홈(162a)의 바닥에 탄지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63)에 탄지되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63)에 상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6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지지 플레이트(163)와 홀더(165) 사이에 지지된 통신단말기(10)를 탄성부재(164)의 탄성복원력으로 견실하게 잡아줄 수 있고, 그 결과 다양한 사이즈의 통신단말기(10)를 사이즈에 관계없이 견실하게 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에 있어서, 상기 홀더(165)에는 양끝단이 아래로 살짝 만곡형성되어 있어서 단말기를 잡아주기 위한 이탈방지날개(165b)가 형성되어 있고, 홀더(165)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165a)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에 있어서, 리드와이어(L1)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151a)이 축돌기(151)에 형성되어 있고, 프론트케이스(120)의 측면에는 볼륨스위치(192) 구비되어 있으며 회전체(150)의 전면에는 미끄럼방지러버(R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100)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8과 같이 초기에 통신단말기(10)가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영화, 네비게이션,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등을 시청하기 위해서 통신단말기(10)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가 회전동작 스위치(171)의 데코캡(171a)을 누르면 회전동작 스위치(171)가 회전동작신호를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하고, 컨트롤보드(140)는 모터구동제어신호를 모터(172)로 출력한다.
컨트롤보드(140)로부터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한 모터(172)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모터(172)의 회전에 따라서 스크류봉(173)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봉(173)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서 기어링(174a)이 좌측방향[외부입력포트(194)가 있는 방향]으로 선형운동하고, 랙기어(175) 역시 기어링(174a)과 일체로 좌측방향으로 선형운동한다.
랙기어(175)가 좌측방향으로 선형운동함에 따라서 피니언기어(15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기어(15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체(1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봉(173), 기어링(174a), 랙기어(175) 및 피니언기어(152)의 구성들에 의하여 본체부(110)의 내부와 같이 두께가 얇은 공간에서도 모터(172)의 회전을 회전체(150)의 회전으로 동력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회전체(1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동작 중에 통신단말기(10)가 가로 방향으로 놓이는 위치에서 회전체(150)가 정확하게 정지하는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
회전체(1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제1 감지스위치(185a)가 제1 가이드 아크홈(126a)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데, 통신단말기(10)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즉 90°에 이르면 제1 감지스위치(185a)가 제1 작동 돌기(125a) 위치에 이르고, 제1 작동 돌기(125a)가 제1 감지스위치(185a)를 눌러서 제1 감지스위치(185a)가 온되어서 회전정지신호를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한다.
제1 감지스위치(185a)로부터 회전정지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보드(140)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모터의 회전은 정지되며 이때 회전체(150)는 회전정지되어서 통신단말기는 90°의 가로 방향 위치에 있게 된다(도 9 참조).
한편, 컨트롤보드(140)는 제1 감지스위치(185a)로부터 신호를 받은 경우 다음 회의 모터(172)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놓여진 통신단말기(10)를 세로 방향으로 다시 복귀시키기 위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는데, 이는 위의 동작과 역순인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유저가 회전동작 스위치(171)의 데코캡(171a)을 다시 누르면 회전동작 스위치(171)가 회전동작신호를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하고, 컨트롤보드(140)는 모터구동제어신호를 모터(172)로 출력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보드(140)는 이미 제1 감지스위치(185a)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모터(172)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컨트롤보드(140)로부터 역방향 회전의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한 모터(172)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크류봉(173)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랙기어(175)는 기어링(174a)과 일체로 우측방향으로 선형운동한다.
랙기어(175)가 우측방향으로 선형운동함에 따라서 피니언기어(15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기어(15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체(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제 회전체(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동작 중에 통신단말기(10)가 세로 방향으로 놓이는 위치에서 회전체(150)가 정확하게 정지하는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
회전체(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제2 감지스위치(185b)가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데, 통신단말기(10)가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즉 0°에 이르면 제2 감지스위치(185b)가 제2 작동 돌기(125b) 위치에 이르고, 제2 작동 돌기(125b)가 제2 감지스위치(185b)를 눌러서 제2 감지스위치(185b)가 온되어서 회전정지신호를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한다.
제2 감지스위치(185b)로부터 회전정지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보드(140)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모터(172)의 회전은 정지되며 이때 회전체(150)는 회전정지되어서 통신단말기는 0°의 세로 방향 위치에 있게 된다(도 8 참조).
한편, 컨트롤보드(140)는 제2 감지스위치(185b)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다음 회의 모터(172)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전과는 다른 방향의 즉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110 : 본체부 120 : 프론트케이스
120a : 프론트케이스의 배면 e1,e2 : 버튼공
121 : 회전체 안착부 121a : 회전체 안착부의 바닥부
121b : 회전체 안착부의 둘레부 122 : 축공
123a,123b,123c : 회전 가이드 부재
124 : 스크류봉 마운트 124a : 축홀
125a : 제1 작동 돌기 125b : 제2 작동 돌기
126a : 제1 가이드 아크홈 126b : 제2 가이드 아크홈
127 : 스토퍼 가이드 아크홈 130 : 리어케이스
131 : 끼움돌기 140 : 컨트롤보드
150 : 회전체 150a : 회전체의 배면
150b : 회전체의 측면
151 : 축돌기
151a : 통과공
152 : 피니언기어
161,162 : 지지대 162b : 가이드채널
161a,162a: 단말기 안착홈
162c : 단턱
163 : 지지 플레이트 163a : 가이드돌기
164 : 탄성부재 165 : 홀더
165a : 이탈방지돌기 165b : 이탈방지날개
171 : 회전동작 스위치 171a, 193a : 데코캡
172 : 모터 172a : 모터하우징
173 : 스크류봉 174 : 선형운동자
174a : 기어링 174b : 장착플레이트
175 : 랙기어 180 : 스피커 박스
180a : 스피커공 180b : 끼음공
185a : 제1 감지스위치 185b : 제2 감지스위치
187 : 스토퍼
191 : 충전단자 192 : 볼륨스위치
193 : 통화버튼키 194 : 외부입력포트
P1 : 외부입력단자
R1 : 미끄럼방지러버
L1 : 리드와이어
10 : 통신단말기

Claims (4)

  1. 축공(122)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프론트케이스(120)와 상기 프론트케이스(120)에 결합하는 리어케이스(130)로 구성되는 본체부(110);
    상기 프론트케이스(120)의 축공(12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축돌기(151)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돌기(15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체(150);
    상기 회전체(150)의 하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체(150)와 함께 회전하고, 통신단말기(1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대(161,162);
    상기 지지대(161,162)와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체(150)의 상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회전체(15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지지대(161,162)에 지지되는 통신단말기(10)의 상측을 홀딩하는 홀더(165);
    컨트롤보드(140)에 실장되고 회전동작신호를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하는 회전동작 스위치(171);
    상기 본체부(110) 내에 내장되고 상기 회전동작 스위치(171)로부터 회전동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모터(172)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보드(140);
    상기 본체부(1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보드(140)로부터 출력되는 모터구동제어신호에 따라서 회전하는 모터(172);
    상기 본체부(110) 내에 설치되고 스크류봉(173)의 타측을 축결합하기 위한 축홀(124a)이 형성된 스크류봉 마운트(124);
    일측이 상기 모터(172)에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류봉 마운트(124)의 축홀(124a)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되어서 상기 모터(17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스크류봉(173);
    상기 스크류봉(173)에 치합되어서 상기 스크류봉(173)의 회전에 따라서 스크류봉(173)의 길이방향으로 무빙하는 선형운동자(174);
    상기 선형운동자(174)에 설치되어서 선형운동자(174)의 선형운동에 일체로 선형운동하는 랙기어(175);
    상기 축돌기(15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랙기어(175)에 치합되어서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체(150)를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152);
    상기 리어케이스(130)의 배면에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하여서 피거치대상에 세울 수 있도록 하고, 통신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박스(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50)는 상기 축돌기(151)와 동심으로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120)에는 상기 디스크 형태의 회전체(150)를 안착하여서 회전시키기 위해서 바닥부(121a)과 둘레부(121b)로 구성되는 회전체 안착부(121)가 상기 축공(122)과 동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공(122)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축공(122)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원호(arc) 형태로 상기 회전체 안착부(121)의 바닥부(121a)에 요입 형성된 제1 가이드 아크홈(126a);
    상기 축공(122)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가이드 아크홈(126a)의 맞은편에서 상기 축공(122)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원호 형태로 상기 회전체 안착부(121)의 바닥부(121a)에 요입되어서 형성된 제2 가이드 아크홈(126b);
    상기 제1 가이드 아크홈(126a)의 상측 끝에서 회전체(150)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제1 감지스위치(185a)를 작동시키는 제1 작동 돌기(125a);
    상기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의 상측 끝에서 회전체(150)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제2 감지스위치(185b)를 작동시키는 제2 작동 돌기(125b);
    상기 제1 가이드 아크홈(126a)에 삽입되어서 제1 가이드 아크홈(126a)을 따라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150)의 축돌기(151)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회전체(150)의 배면(150a)에 구비되어 있고, 통신단말기(10)가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회전각이 설정된 각도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제1 작동 돌기(125a)에 의해서 누름 작동되어서 회전정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하는 제1 감지스위치(185a);
    상기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에 삽입되어서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을 따라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축돌기(151)에 중심으로 상기 제1 감지스위치(185a)의 맞은편에서 상기 회전체(150)의 배면(150a)에 구비되어 있고, 가로 방향으로 있는 통신단말기(10)가 세로 방향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회전할 때에 회전각이 설정된 각도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제2 작동 돌기(125b)에 의해서 누름 작동되어서 회전정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보드(140)로 출력하는 제2 감지스위치(185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아크홈(126a) 또는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으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축공(122)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상기 제1 가이드 아크홈(126a) 또는 제2 가이드 아크홈(126b)의 중심각보다 큰 중심각의 원호(arc) 형태로 상기 회전체 안착부(121)의 바닥부(121a)에서 요입되어 있는 스토퍼 가이드 아크홈(127);
    상기 스토퍼 가이드 아크홈(127)에 삽입되어서 스토퍼 가이드 아크홈(127)을 따라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150)의 배면(150a)에 돌출되어 있고, 통신단말기(10)가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그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상기 회전체(150)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187)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통신단말기(10)가 안착 구비되도록 상기 지지대(162)에 하방으로 요입되어 있는 단말기 안착홈(162a)과,
    상기 지지대(162)의 내주면에 대향하여서 상하방향으로 요입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채널(162b)과,
    상기 가이드채널(162b)의 상측 끝에는 단차 형성된 단턱(162c)과,
    상기 가이드채널(162b)에 삽입되어서 가이드채널(162b)을 따라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63a)가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통신단말기(10)를 지지하는 평판형의 지지 플레이트(163)와,
    하단은 상기 단말기 안착홈(162a)의 바닥에 탄지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63)에 탄지되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63)에 상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6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KR1020140104209A 2014-08-12 2014-08-12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KR101527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209A KR101527599B1 (ko) 2014-08-12 2014-08-12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209A KR101527599B1 (ko) 2014-08-12 2014-08-12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599B1 true KR101527599B1 (ko) 2015-06-10

Family

ID=5350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209A KR101527599B1 (ko) 2014-08-12 2014-08-12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5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7763A (zh) * 2018-12-07 2019-02-1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音响、播放系统和播放系统控制方法
KR102203875B1 (ko) * 2019-11-04 2021-01-15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20210053804A (ko) * 2019-11-04 2021-05-12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313A (ko) * 2010-11-25 2013-10-21 토마스 부흐할터 모바일 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차용 홀더
KR20140066368A (ko) * 2012-11-23 2014-06-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313A (ko) * 2010-11-25 2013-10-21 토마스 부흐할터 모바일 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차용 홀더
KR20140066368A (ko) * 2012-11-23 2014-06-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7763A (zh) * 2018-12-07 2019-02-1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音响、播放系统和播放系统控制方法
CN109327763B (zh) * 2018-12-07 2024-05-1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音响、播放系统和播放系统控制方法
KR102203875B1 (ko) * 2019-11-04 2021-01-15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20210053804A (ko) * 2019-11-04 2021-05-12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KR102513364B1 (ko) * 2019-11-04 2023-03-23 (주)주파집 자동 위치 조절 방식의 무선 충전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08938B (zh) 相机模组及电子装置
CN101784955B (zh) 自动对焦组件
US10101639B2 (en) Low-profile lens mount
US10680396B2 (en)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US7064912B2 (en) Lens driving apparatus, thin camera, and a cellular phone having a thin camera
US9343837B2 (en) Docking apparatus of electronic apparatus
CN109803071B (zh) 摄像头组件及移动终端
KR101527599B1 (ko)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US7741940B2 (en) Actuator device for optical device and image-capture apparatus
CN102025255B (zh) 音圈马达及相机模组
CN208000447U (zh) 图像投影装置
US20170327054A1 (en) Multifunctional stand for communication terminal
EP3175288B1 (en) Low-profile lens mount
EP3657772A1 (en) Driving mechanism,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01495947A (zh) 具有可移动磁盘的指点装置及方法
JP2009284018A (ja) 情報端末
US20090321237A1 (en) Key structure
US7634190B2 (en) Lens module with focusing mechanism
US6291782B1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10068616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이동 통신 단말기,그리고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KR20050105408A (ko) 통신기기용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TW201225486A (en) Actuator,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EP1713138A1 (en) Battery-locking mechanism for electronic apparatus
CN112153250A (zh) 镜头模组及移动终端
WO2019096125A1 (zh) 壳体组件、功能组件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