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368A -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368A
KR20140066368A KR1020120133504A KR20120133504A KR20140066368A KR 20140066368 A KR20140066368 A KR 20140066368A KR 1020120133504 A KR1020120133504 A KR 1020120133504A KR 20120133504 A KR20120133504 A KR 20120133504A KR 20140066368 A KR20140066368 A KR 20140066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ing
coupled
block
moun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계영
최근식
정철호
임호승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호승
정철호
최근식
강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호승, 정철호, 최근식, 강계영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368A/ko
Publication of KR2014006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사이즈의 각종 전자제품을 용이하게 장착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거치대에 장착된 전자제품을 상하, 좌우방향 전환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전자제품을 장착하도록 측방으로 왕복 이동가능한 한 쌍의 지그가 구비된 장착파트부; 상기 장착파트부의 후면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장착파트부를 상하, 좌우방향으로의 전환 및 회전시키도록 모터를 포함한 구동수단이 구비된 구동파트부; 상기 구동파트부의 후면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의 거치대를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나 편평한 패널에 부착 고정하도록 취부파트부; 상기 구동파트부의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cradle for smart machinery of electric type}
본 발명은 각종 전자제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거치대에 다양한 사이즈의 각종 전자제품을 용이하게 장착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상기 거치대에 장착된 전자제품을 상하, 좌우방향 전환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이나 네비게이션, PMP, PDA 및, 테블릿 PC, 슬레이트 PC 등 각종 전자제품을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의 거치대는 차량 내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차량용 또는, 책상 등 편평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일반용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하며, 상기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거치대는 시중에 많이 출시되어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치대는 방향 전환 즉, 거치대에 장착된 전자제품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상하, 좌우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거나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모든 조작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운전 중 거치대를 조작할 경우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상기의 거치대는 하나의 전자제품만을 장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어 사이즈가 서로 다를 경우 이를 장착하지 못함은 물론 전자제품의 사이즈별로 여러 대의 거치대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이나 편평한 패널 등에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부착 설치함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각종 전자제품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트롤러를 이용한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장착파트부의 작동을 조작가능함에 따라 상기의 거치대에 장착된 전자제품을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의 방향 전환 및 360도 회전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구조물 및 편평한 패널에 부착된 상태에서 스마트기기와 같은 각종 전자제품을 장착하도록 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다양한 사이즈의 전자제품을 장착하도록 측방으로 왕복 이동가능한 한 쌍의 지그가 구비된 장착파트부; 상기 장착파트부의 후면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장착파트부를 상하, 좌우방향으로의 전환 및 회전시키도록 모터를 포함한 구동수단이 구비된 구동파트부; 상기 구동파트부의 후면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의 거치대를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나 편평한 패널에 부착 고정하도록 취부파트부; 상기 구동파트부의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장착파트부에 구비된 한 쌍의 지그에 의해 폭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각종 전자제품을 용이하게 장착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취부파트부에 구비된 부착패드에 의해 상기 전자제품이 장착된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차량이나 책상 등과 같은 편평한 패널에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떼어내어 다른 곳에 부착가능함에 따라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휴대성 및 이동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에 연결 결합된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콘트롤러의 간단한 버튼(상하, 좌우, 회전 버튼) 조작만으로도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장착파트부를 조작가능함으로써,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장착파트부 및, 상기 장착파트부에 장착된 전자제품을 원하는 위치 및 방향 즉,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의 방향 전환 및 360도 회전에 따른 작동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러므로,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는 차량의 내부 구조물 및 편평한 패널 등 다양한 장소에 부착한 상태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나 탑승자는 물론 책상에 앉아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사람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는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및 방향 등을 편리하게 조작가능함은 물론 상기 차량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장착파트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착파트부의 각 구성을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장착파트부의 작동상태를 각각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구동파트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구동파트부의 각 구성을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 구동파트부를 정면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구동파트부에 의해 장착파트부가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구동파트부에 의해 장착파트부가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취부파트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취부파트부의 각 구성을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나 책상과 같은 편평한 패널 등에 부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이나 네비게이션, PMP, PDA 및, 테블릿 PC, 슬레이트 PC 등 각종 전자제품(500)을 장착함은 물론 콘트롤러(400)의 버튼 조작에 따라 전자제품(500)을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 및 회전(360°)시키도록 하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는 도 1과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의 전자제품(500)을 장착하도록 하는 장착파트부(1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파트부(100)의 후면에는 장착파트부(100)를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 및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동파트부(200)가 결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파트부(200)의 후면부에는 상기 구동파트부(200)를 지지 고정함은 물론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를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나 편평한 패널 등에 부착 고정하도록 하는 취부파트부(300)가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파트부(300)에는 상기 구동파트부(300)의 구동수단과 연결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을 포함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4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장착파트부(100)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전자제품(500)이 장착되는 부분인 전면패널(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패널(110)의 후면에는 상기 구동파트부(200)에 결합됨은 물론 상기 전면패널(110)과의 사이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후면패널(12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패널(110)과 후면패널(120)은 착탈가능하도록 볼트 체결되어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 측인 후면패널(120)에는 제1구동기어(18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구동기어(111) 측방인 후면패널(120)에는 제1구동기어(180)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19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구동기어(180)에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기어를 갖는 제1대구경 기어부(1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대구경 기어부(181)의 전면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1랙기어(131)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1대구경 기어부(18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소구경 기어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구동기어(190)에는 상기 제1대구경 기어부(181)와 맞물리도록 외주면에 복수 개의 기어를 갖는 제2대구경 기어부(19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대구경 기어부(191)의 전면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2랙기어(141)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2대구경 기어부(19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소구경 기어부(19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과 상기 후면패널(120) 사이에는 상기 제1구동기어(180)의 회전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제1지그플레이트(130)가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130)의 상면에는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130)를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구동기어(180)의 제1소구경 기어부(182)와 맞물린 상태에서 직선 운동하는 제1랙기어(13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131)의 대응되는 측인 상기 전면패널(110)과 상기 후면패널(120) 사이에는 상기 제2구동기어(190)의 회전에 따라 제1지그플레이트(130)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130)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제2지그플레이트(140)가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지그플레이트(1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지그플레이트(140)를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구동기어(190)의 제2소구경 기어부(192)와 맞물린 상태에서 직선 운동하는 제2랙기어(14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130)와 상기 제2지그플레이트(140)에는 상기 제1,2지그플레이트(130,140)가 벌어질 경우 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제1,2지그플레이트(130,140)를 잡아당기는 탄성스프링(133)이 설치되어 있는데, 즉 상기 탄성스프링(133)의 일단은 제1지그플레이트(130)에 결합됨과 함께 탄성스프링(133)의 타단은 제2지그플레이트(14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130)에는 탄성스프링(133)의 일단이 결합되는 스프링블록(134)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블록(134)은 상기와 같이 제1지그플레이트(130)에만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탄성스프링(133)의 양단을 각각 결합하도록 제1,2지그플레이트(130,140)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의 일 측방인 제1지그플레이트(130)의 일면에는 전면패널(110)의 전면에 전자제품(500)을 고정 장착하기 위한 제1지그(15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의 타 측방인 제2지그플레이트(130)의 일면에는 상기 제1지그(150)와 더불어 전자제품(500)을 전면패널(110)의 전면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제2지그(160)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의 장착파트부(100) 구성 중 전면패널(110) 측에 전자제품(5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탄성스프링(133)에 의해 제1,2지그플레이트(130,14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벌어지거나 겹쳐짐에 따라 상기 장착파트부(100)에 다양한 크기의 전자제품(500)을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스프링(133)에 의해 상기 제1,2지그(150,160) 간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전자제품(500)의 외면을 조임에 따라 상기 제1,2지그(150,160)에 의해 전자제품(500)을 전면패널(110)의 전면에 유동됨 없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1,2지그(150,160)의 일면 즉, 전자제품(500)과 접촉되는 부분인 제1,2지그(150,160)에는 상기 제1,2지그(150,160)에 의해 전면패널(110)에 고정 장착되는 전자제품(500)의 외관이 손상이나 흠집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드러우면서도 일정 탄성을 갖는 우레탄 재질의 흠집방지부재(151,16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후면패널(120)의 상부에는 제2구동기어(190)의 제2대구경 기어부(191) 외주면에 형성된 각 기어 사이에 끼워지거나 탈거되면서 상기 제2구동기어(190)를 회전가능 및 정지시키도록 하는 기어고정수단(17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기어고정수단(170)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후면패널(120)에는 제2구동기어(190)의 제2대구경 기어부(191)에 끼워지거나 탈거되면서 상기 제2구동기어(190)의 회전을 정지 및 회전시키도록 하는 기어고정대(17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후면패널(120)에 타단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기어고정대(171)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기어고정대(17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정 탄성을 갖는 스프링(17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패널(120)의 일측 상부 측에는 기어고정대(171)가 제2구동기어(190)의 회전 및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기어고정대(171)를 누르거나 누름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기어고정대(171)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를 회동시키는 누름대(174)가 결합된 누름부(173)의 상부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어고정대(171)의 단부 즉, 제2대구경 기어부(191)의 기어 사이에 끼워지거나 탈거되는 측인 기어고정대(171)의 단부는 상기 제2대구경 기어부(191)의 각 기어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 및 탈거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어고정대(171)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인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동파트부(200)는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구동파트부(200)의 후면 측에는 상기 취부파트부(30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210)가 설치되어 있고,상기 고정부(210)의 전면부에는 상기 장착파트부(100)에 결합되는 작동부(220)가 결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파트부(200)에는 상기 작동부(220)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1구동수단(2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파트부(200)에는 상기 작동부(220)를 좌우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2구동수단(2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파트부(200)에는 상기 작동부(220)를 360°회전시키는 제3구동수단(2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고정부(210)는, 상기 취부파트부(300)의 후면 측에 위치하는 반원형상의 제1고정블록(2110)이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고정블록(2110)과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시킬 경우 하나의 원형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블록(211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취부파트부(300)의 후면 측에 위치하는 반원형상의 제2고정블록(2120)이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블록(2110)의 외주면 중 직선형태를 갖는 측면의 상, 하부에는 제1상,하부 체결공(2111,2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블록(2120)의 외주면 중 직선형태를 갖는 측면의 상, 하부에는 상기 제1상, 하부 체결공(2111,2112)과 일치되어 볼트 체결되도록 제2상, 하부 체결공(2121,21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블록(2110)의 중앙부에는 반원형의 제1축공(21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블록(21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축공(2113)과 맞대어진 상태에서는 하나의 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반원형의 제2축공(2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고정블록(2110,2120))의 각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1,2고정블록(2110,2120)이 맞대어지게 결합된 고정부(210)에서 후술할 작동부(220)의 결합블록(2210)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블록(2210)의 결합홈부(2211) 내로 삽입되는 제1,2결합돌부(2114,2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작동부(220)는, 상기 고정부(210)의 제1,2고정블록(2110,2120) 일면에는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블록(221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의 결합블록(2210) 외주면에는 제1,2고정블록(2210,2120)의 제1,2결합돌부(2114,2124)가 삽입되는 결합홈부(2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블록(2210)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제3구동수단(250)의 회전모터(251) 축이 삽입 결합되도록 키홈을 갖는 원형의 축공(22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블록(2210)의 외측부에는 후술할 왕복 이동하는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와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의 단부가 각각 삽입 위치하는 제1상하, 좌우스크류공(2213,2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블록(2210)에는 상기 결합블록(2210)과 같이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블록(2220)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블록(2220)의 일면 중앙부에는 외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형상부(22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형상부(2221)에는 후술할 구동부재(2240)의 삽입부(2242)가 삽입 위치하는 반원형상부(2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원형상부(2222)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결합부재(2260)가 삽입되는 부재공(2223)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형상부(2221)의 외 측방인 상기 회전블록(222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와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가 각각 삽입되어 통과하는 제2상하, 좌우스크류공(2224,2225)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상하, 좌우스크류공(2224,2225) 측인 회전블록(2220)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상하, 좌우 스크류블록(2280,2282)이 각각 삽입 결합되는 상하, 좌우 스크류블록홈(2226,22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블록(2220)의 전면에는 장착파트부(100)의 후면패널(120)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파트부(100)와 같이 작동 즉, 장착파트부(100)와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의 전환 및 회전되는 구동플레이트(2230)가 위치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플레이트(2230)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구동부재(2240)가 삽입되어 구동플레이트(2230)에 체결되는 체결홈부(22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부(2231) 내에는 후술할 구동부재(2240)의 삽입부(2242)가 삽입되는 중앙삽입공(22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플레이트(2230)에는 구동부재(2240)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부재(2240)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플레이트(2230)의 체결홈부(2231) 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랜지부(22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2241)에는 상기 플랜지부(2241)의 후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플레이트(2230)의 중앙삽입공(2232)으로 삽입됨은 물론 상기 회전블록(2220)의 반원형상부(2222)에 삽입 위치하는 반구형태의 삽입부(22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구형태의 삽입부(2242) 중앙부에는 후술할 결합부재(2260)이 삽입되는 관통공(22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재(2240)의 삽입부(2242)에는 후술할 회전모터(25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결합부재(2260)에 의하여 구동플레이트(2230)이 회전되도록 원형슬라이드부(2250)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원형슬라이드부(2250)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결합부재(2260)의 일단이 위치 및 결합부재(2260)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결합부재(2260)의 일단에 너트 체결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체결홈(22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2251)에는 결합부재(2260)가 삽입되는 체결구멍(22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블록(2220)과 원형슬라이드부(2250) 사이에는 상기 회전블록(2220)의 부재공(2223)에 일단이 삽입 및 상기 원형슬라이드부(2250)의 체결구멍(2252)에 타단이 삽입됨은 물론 상기 부재공(2223)과 체결구멍(2252)에서 양단부가 너트 체결하여 상기 회전블록(2220)과 원형슬라이드부(2250)를 연결 결합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회전모터(251)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결합블록(2210) 및 회전블록(22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플레이트(2230) 즉, 장착파트부(10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결합부재(22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플레이트(2230) 후면의 상부 및 측면에는 후술할 상하, 좌우각도조절스크류(233,243)의 상하, 좌우밀음볼(236,246)을 각각 잡아주는 상하, 좌우볼부재(2271,2273)가 내삽된 상하, 좌우 스크류 슬라이드블록(2270,2272)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블록(2220)의 상하 스크류블록홈(2226)에는 후술할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 가이드부(2281)를 갖는 상하 스크류블록(228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블록(2220)의 좌우 스크류블록홈(2227)에는 후술할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의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 가이드돌부(2283)를 갖는 좌우 스크류블록(22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블록(222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2230) 사이는 방향 전환 및 회전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블록(2220)과 구동플레이트(2230) 사이에서 위치하는 상하, 좌우각도조절스크류(233,243)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블록(2220)과 구동플레이트(2230) 사이에는 상하, 좌우각도조절스크류(233,243)의 외측부를 각각 감싸도록 하는 자바라 형태의 보호부재(229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제1구동수단(230)은, 구동력이 발생하는 상하구동모터(2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구동모터(231)의 축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하 기어부(23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기어부(232)에 맞물림은 물론 상기 상하 기어부(232)의 회전에 따라 일정 거리를 직선 왕복이동 하면서 장착파트부(100)를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블록(2210)에는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가 삽입되는 상하지지공(2371)을 갖는 상하기어칼라(23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에는 상기 상하 기어부(232)와 맞물리도록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기어를 갖는 상하랙기어(2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랙기어(234)의 상부면에는 상하스크류 블록(2280)의 상하가이드돌부(2281)가 삽입되는 상하가이드홈부(2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랙기어(234)의 단부에는 상하볼부재(2271)에 결합되는 상하밀음볼(2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제2구동수단(240)은, 구동력이 발생하는 좌우구동모터(2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구동모터(241)의 축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좌우 기어부(24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기어부(242)에 맞물림은 물론 상기 좌우 기어부(242)의 회전에 따라 일정 거리를 직선 왕복 이동하면서 장착파트부(100)를 좌우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블록(2210)에는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를 지지하도록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가 삽입되는 좌우지지공(2471)을 갖는 좌우기어칼라(24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에는 상기 좌우 기어부(242)와 맞물리도록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기어를 갖는 좌우랙기어(2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랙기어(244)의 상부면에는 좌우스크류 블록(2282)의 좌우가이드돌부(2283)가 삽입되는 좌우가이드홈부(2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랙기어(244)의 단부에는 좌우볼부재(2273)에 결합되는 좌우밀음볼(2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구동모터(231)를 지지 고정하는 상하모터블록(238) 및, 상기 좌우구동모터(241)를 지지 고정하는 좌우모터블록(248)은 결합블록(2210) 또는, 회전블록(2220)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제3구동수단(250)은, 상기 구동파트부(200)의 고정부(210)의 제1,2고정블록(2110,2120) 후면에는 결합블록(2210)의 축공(2212)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2고정블록(2110,2120)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블록(2210)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하는 결합블록(2210)에 의해 회전블록(2220)과 구동플레이트(2230) 및 상기 회전블록(2220)과 결합부재(2260)에 의해 결합된 원형슬라이드부(225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장착파트부(100)를 360°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이 발생하는 회전모터(25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취부파트부(300)는 도 11과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파트부(200) 즉, 구동파트부(200)의 고정부(210)를 지지 고정하는 취부블록(31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취부블록(31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홈(31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취부블록(310)의 후면에는 상기 구동파트부(200)의 후면부가 결합되는 지지대(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312)에는 상하구동모터(231)가 삽입 위치하도록 하는 결착홈(3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취부블록(310)의 저면에는 상기 취부블록(310)이 결합 및 분리가능함은 물론 상기 취부블록(310)을 지지하는 받침블록(3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블록(320)의 상면에는 상기 받침블록(320)의 상면에 취부블록(310)을 착탈가능하게결합하도록 상기 각 가이드홈(311)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취부블록(3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32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받침블록(320)의 저면에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를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나 편평한 패널에 부착 고정시키도록 일정 점성을 갖는 부착패드(330)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 및 위치 즉,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나 책상과 같은 편평한 패널에 장착파트부(100)와 구동파트부(200) 및 취부파트부(300)가 결합된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의 취부파트부(300)의 각 구성 중 저부에 설치된 부착패드(330)를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나 편평한 패널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힘을 가해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를 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의 각 파트부(100,200,300)를 전부 결합한 상태에서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취부파트부(300)를 부착한 다음 상기 장착파트부(100)와 구동파트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취부파트부(300)에 결합하거나 또는, 취부파트부(300)의 각 구성 중 받침블록(320)의 저면에 구비된 부착패드(330)를 부착한 후 상기 장착파트부(100)와 구동파트부(200) 및 취부파트부(300)의 취부블록(310)을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취부블록(310)의 가이드홈(311)에 상기 받침블록(320)의 가이드부(321)를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를 부착한 다음,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제품(500) 즉,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이나 네비게이션, PMP, PDA 및, 테블릿 PC, 슬레이트 PC 등 각종 전자제품(500)을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에 장착한다.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의 장착파트부(100)에 전자제품(50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장착파트부(100)의 기어고정수단(170)에 구비된 각 구성 중 하나인 누름부(173)를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부(173)는 도 4에서 도 5로 이동하면서 상기 누름부(173)에 결합된 누름대(174)는 기어고정대(171)의 일단이 하방 측으로 이동 즉, 제2구동기어(190)의 제2대구경 기어부(191)로부터 분리되도록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장착파트부(100)의 제1,2지그플레이트(130,140)는 물론 제1,2지그(150,160)은 양 측방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1,2지그(150,160) 중 어느 하나의 지그(1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장착파트부(100)의 측방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130)는 제1지그(150)에 의해 장착파트부(100)의 측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130)의 상면에 결합된 제1랙기어(131)도 측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랙기어(131)와 상기 제1구동기어(180)의 제1소구경 기어부(182)가 서로 맞물려 있음에 따라 상기 제1구동기어(180)는 도 5의 화살표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기어(180)의 제1대구경 기어부(181)과 맞물린 제2구동기어(190)의 제2대구경 기어부(191)에 의해 상기 제2구동기어(190)는 제1구동기어(180)와 반대방향 즉, 도 5의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190)의 제2소구경 기어부(192)는 상기 제2지그플레이트(140)의 상면에 결합된 제2랙기어(141)와 맞물려 있음에 따라 상기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190)에 의해 제2랙기어(141)와 제2지그플레이트(140)는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1,2지그(150,160)의 간격이 최대한 벌어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장착파트부(100)의 전면패널(110)에 장착하고자 하는 전자제품(500)을 위치시키고 나서 어느 하나의 지그(13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제1,2지그플레이트(130,140)를 서로 연결 결합 및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탄성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2지그플레이트(130,140)가 겹쳐지도록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자제품(500)의 양 측면은 상기 제1,2지그(150,10)와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파트부(100)의 전면패널(110)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누름부(173)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기어고정대(171)은 스프링(172)의 탄성력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제2구동기어(190)의 제2대구경 기어부(191)의 각 기어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2구동기어(190)의 회전 방지 및 제1구동기어(180)의 회전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2지그플레이트(130,140)도 이동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장착파트부(100)에 전자제품(500)을 견고하게 장착함은 물론 상기 장착파트부(100)에서 전자제품(5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장착파트부(100)에 전자제품(5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제품(50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장착파트부(100)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방향 전환 또는,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자제품(500)을 상하방향으로 방향 전환시켜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의 콘트롤러(400) 상면에 구비된 각종 버튼 중 상하 방향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 8a에서 도시된 상하구동모터(231)가 작동되면서 구동력이 발생됨과 함께 상기 상하구동모터(231)의 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축에 결합된 상하기어부(232)도 회전된다.
상기의 상하기어부(232)가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의 상하랙기어(234)와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상하기어부(2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는 상하 스크류블록(2280) 내에서 직선 왕복 이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하 스크류블록(2280)의 상하 가이드돌부(2281)가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의 상하가이드홈부(235) 내에 삽입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상하 가이드돌부(2281)와 상하가이드홈부(235)에 의해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는 안내를 받으면서 일정하게 직선 왕복 이동한다.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의 상하밀음부(236)가 장착파트부(100)의 상부를 밀어줌에 따라 상기 장착파트부(100)는 도 8b에서와 같이 수직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233)의 상하밀음부(236)는 장착파트부(100)의 상부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장착파트부(100)는 도 9에서와 같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제품(500)을 좌우방향으로 방향 전환시켜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의 콘트롤러(400) 상면에 구비된 각종 버튼 중 좌우 방향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 8a에서 도시된 좌우구동모터(241)가 작동되면서 구동력이 발생됨과 함께 상기 좌우구동모터(241)의 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축에 결합된 좌우기어부(242)도 회전된다.
상기의 좌우기어부(242)가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의 좌우랙기어(244)와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좌우기어부(24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는 좌우 스크류블록(2282) 내에서 직선 왕복 이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좌우 스크류블록(2282)의 좌우 가이드돌부(2283)가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의 좌우가이드홈부(245) 내에 삽입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좌우 가이드돌부(2283)와 좌우가이드홈부(245)에 의해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는 안내를 받으면서 일정하게 직선 왕복 이동한다.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의 좌우밀음부(246)가 장착파트부(100)의 측부를 밀어줌에 따라 상기 장착파트부(100)는 수직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243)의 좌우밀음부(246)는 장착파트부(100)의 측부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장착파트부(100)는 도 10에서와 같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자제품(500)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의 콘트롤러(400) 상면에 구비된 각종 버튼 중 회전표시가 도시된 히전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구동파트부(200)의 고정부(210) 즉, 반원형상의 제1,2고정블록(2110,2120)의 후면 측에 결합된 제3구동수단(250)의 회전모터(251)가 구동되면서 회전력이 발생한다.
상기 회전모터(251)의 축은 결합블록(2210)의 축공(2212)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블록(2210)의 결합홈부(2211)에는 상기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된 반원형상의 제1,2고정블록(2110,2120)에 형성된 제1,2결합돌부(2114,2115)가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모터(251)의 회전력은 결합블록(2210)으로 전달되어 상기 결합블록(2210)은 상기 제1,2고정블록(2110,212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한다.
상기 결합블록(2210)에는 회전블록(2220)이 결합블록(2210)과 같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전블록(2220)과 상기 원형슬라이드부(2250) 사이에 설치된 결합부재(2260)의 양단부가 상기 회전블록(2220)의 부재공(2223)과 상기 원형슬라이드부(2250)의 체결구멍(2252)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 등에 의해 상기 회전블록(2220)과 원형슬라이드부(2250)를 연결 고정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블록(22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블록(2220)이 동시에 회전되고, 산기 회전블록(2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2260) 또한 회전한다.
상기 결합부재(226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된 원형슬라이드부(2250)가 상기 회전하는 결합부재(2260)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원형슬라이드부(2250)가 결합된 구동부재(2240)와 상기 구동부재(2240)가 결합된 구동플레이트(2230)도 상기 결합부재(2260)와 같이 회전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플레이트(2230)와 결합된 장착파트부(100)도 회전됨에 따라 즉, 장착파트부(100)가 일직선 형태로 위치되거나 또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장착파트부(100)를 회전시켜 상기 장착파트부(100)에 장착된 전자제품(5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1)에서 콘트롤러(400)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파트부(200)의 제1,2,3구동수단(230,240,250)을 각각 작동시켜 상기 장착파트부(100)를 상하, 좌우방향으로의 방향전환 및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장착파트부(100)에 장착된 전자제품(50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100: 장착파트부
110,120: 전, 후면패널 130,140: 제1,2지그플레이트
131,141: 제1,2랙기어 133: 탄성스프링
134: 스프링블록 150,160: 제1,2지그
151,161: 흠집방지부재 170: 기어고정수단
171: 기어고정대 172: 스프링
173: 누름부 174: 누름대
180,190: 제1,2구동기어 181,191: 제1,2대구경 기어부
182,192: 제1,2소구경 기어부 200: 구동파트부
210: 고정부 220: 구동부
230,240,250: 제1,2,3구동수단 231,241: 상부, 좌우구동모터
232,242: 상하, 좌우 기어부 233,243: 상하, 좌우각도조절스크류
234.244: 상하, 좌우랙기어 235,245: 상하, 좌우 가이드홈부
236,246: 상하, 좌우 밀음볼 237,247: 상하, 좌우기어칼라
238,248: 상하, 좌우모터블록 251: 회전모터
300: 취부파트부 310: 취부블록
311: 가이드홈 312: 지지대
313: 결착홈 320: 받침블록
321: 가이드부 330: 부착패드
400: 콘트롤러 500: 전자제품
2110,2120: 제1,2고정블록 2114,2124: 제1,2결합돌부
2210: 결합블록 2211: 결합홈부
2220: 회전블록 2221: 돌출형상부
2222: 반원형상부 2230: 구동플레이트
2231: 체결홈부 2240: 구동부재
2242: 삽입부 2250: 원형슬라이드부
2251: 체결홈 2260: 결합부재
2270,2272: 상하, 좌우 스크류 슬라이드 블록
2280,2282: 상하, 좌우 스크류 블록
2281,2283: 상하, 좌우 가이드돌부
2371,2471: 상하, 좌우지지공

Claims (7)

  1. 차량의 내부 구조물 및 편평한 패널에 부착된 상태에서 스마트기기와 같은 각종 전자제품을 장착하도록 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다양한 사이즈의 전자제품을 장착하도록 측방으로 왕복 이동가능한 한 쌍의 지그가 구비된 장착파트부;
    상기 장착파트부의 후면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장착파트부를 상하, 좌우방향으로의 전환 및 회전시키도록 모터를 포함한 구동수단이 구비된 구동파트부;
    상기 구동파트부의 후면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의 거치대를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나 편평한 패널에 부착 고정하도록 취부파트부;
    상기 구동파트부의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장착파트부는, 전자제품이 장착되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에 결합됨과 함께 구동파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패널과의사이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 측인 후면패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대구경 기어부와, 상기 제1대구경 기어부의 전면에 형성된 제1소구경 기어부가 구비된 제1구동기어;
    상기 제1구동기어 측방인 후면패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대구경 기어부와 맞물리는 제2대구경 기어부와, 상기 제2대구경 기어부의 전면에 형성된 제2소구경 기어부가 구비된 제2구동기어;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상면에 상기 제1구동기어의 제1소구경 기어부와 맞물리는 제1랙기어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1지그플레이트;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의 대응되는 측인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면에 제2구동기어의 제2소구경 기어부와 맞물리는 제2랙기어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그플레이트;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에 결합 설치되는 스프링블록;
    상기 제1지그플레이트의 스프링블록과 상기 제2지그플레이트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2지그플레이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제1,2지그플레이트를 잡아당기는 탄성스프링;
    상기 제1,2지그플레이트의 각 일면에 각각 결합되어 전면패널에 전자제품을 고정 장착하도록 하는 제1,2지그;
    상기 후면패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기어를 회전 및 정지시키도록 하는 기어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기어고정수단은, 후면패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구동기어의 제2대구경 기어부에 끼워지거나 탈거되면서 상기 제2구동기어를 회전 및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단부가 뾰족한 형태의 기어고정대와,
    상기 기어고정대에 일단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후면패널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기어고정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후면패널의 상부 측에 상부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기어고정대가 제2구동기어를 회전 및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기어고정대를 누르거나 누름상태를 해제하도록 기어고정대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를 회동시키는 누름대가 구비된 누름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파트부는, 취부파트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전면부에 결합 설치됨과 함께 장착파트부의 후면패널에 결합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제1, 2구동수단;
    상기 작동부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의 고정부는, 취부파트부에 볼트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상,하부 체결공과, 중앙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1축공과,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부가 구비된 반원형상의 제1고정블록;
    상기 취부파트부에 볼트 체결됨과 함께 상기 제1고정블록과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 고정되도록 상기 제1상, 하부체결공과 일치되어 볼트 체결되게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상,하부체결공과, 중앙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2축공과,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부가 구비된 반원형상의 제2고정블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작동부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된 제1,2고정블록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2결합돌부가 삽입되게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부와, 중앙부에 형성되어 회전모터의 축이 결합되는 원형의 축공과, 외측부에 형성되어 왕복이동하는 상하각도조절스크류와 좌우각도조절스크류의 단부가 각각 삽입 위치하는 제1상하, 좌우스크류공이 구비된 결합블록;
    일면 중앙부에 반원형상부를 갖는 돌출형상부와, 상기 반원형상부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어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부재공과, 상기 돌출형상부의 외측방인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와 좌우각도조절스크류가 각각 삽입되어 통과하는 제2상하, 좌우스크류공과, 상기 제2상하, 좌우스크류공 측인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하, 좌우 스크류블록이 각각 삽입 결합되는 상하, 좌우 스크류블록홈이 구비되어 결합블록에 결합되는 회전블록;
    상기 회전블록의 전면에 위치 및 장착파트부의 후면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파트부와 같이 작동되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체결홈부와, 상기 체결홈부 내에 형성되는 중앙삽입공이 구비된 구동플레이트;
    상기 구동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홈부에 삽입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후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중앙삽입공을 삽입 및 상기 회전블록의 반원형상부에 삽입 위치되도록 관통공을 갖는 반구형태의 삽입부가 구비된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구멍이 구비된 원형슬라이드부;
    상기 회전블록과 상기 원형슬라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일단은 회전블록의 부재공으로 삽입 및 타단은 원형슬라이드부의 체결구멍으로 삽입함은 물론 양단부에 너트 체결하여 상기 회전블록과 원형슬라이드부를 연결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구동플레이트의 후면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각도조절스크류의 단부에 형성된 밀음볼을 잡아주는 상하볼부재가 내삽된 상하 스크류 슬라이드블록;
    상기 구동플레이트의 후면 측면에 결합되어 좌우각조조절스크류의 단부에 형성된 밀음볼을 잡아주는 좌우볼부재가 내삽된 좌우 스크류 슬라이드블록;
    상기 회전블록의 상하, 좌우 스크류블록홈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 좌우각도조절스크류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된 상하, 좌우 스크류블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6. 제 4 항에 있어서,
    제1구동수단은, 구동력이 발생하는 상하구동모터; 상기 상하구동모터의 축부에 결합되는 상하 기어부; 상기 상하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일정 거리를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상하 기어부와 맞물리는 상하랙기어와,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하 스크류 블록의 가이드돌부가 삽입되는 상하가이드홈부와, 상기 상하랙기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볼부재와 결합되는 상하밀음볼이 구비된 상하각도조절스크류;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를 지지하도록 결합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각도조절스크류가 삽입되는 상하지지공을 갖는 상하기어칼라;로 구성되고,
    제2구동수단은, 구동력이 발생하는 좌우구동모터; 상기 좌우구동모터의 축부에 결합되는 좌우 기어부; 상기 좌우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일정 거리를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좌우 기어부와 맞물리는 좌우랙기어와, 상부면에 형성되어 좌우 스크류 블록의 가이드돌부가 삽입되는 좌우가이드홈부와, 상기 좌우랙기어의 단부에 형성되어 좌우볼부재와 결합되는 좌우밀음볼이 구비된 좌우각도조절스크류;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를 지지하도록 결합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각도조절스크류가 삽입되는 좌우지지공을 갖는 좌우기어칼라;로 구성되며,
    제3구동수단은, 구동파트부의 고정부의 제1,2고정블록 후면에 결합됨과 함께 작동부의 결합블록의 축공에 축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취부파트부는, 구동파트부의 후면부를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파트부의 후면부가 결합되도록 결착홈을 갖는 지지대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취부블록;
    상기 취부블록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취부블록이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각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취부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가 구비된 받침블록;
    상기 받침블록의 저면에 결합되어 거치대를 부착 고정시키도록 일정 점성을 갖는 부착패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KR1020120133504A 2012-11-23 2012-11-23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140066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504A KR20140066368A (ko) 2012-11-23 2012-11-23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504A KR20140066368A (ko) 2012-11-23 2012-11-23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368A true KR20140066368A (ko) 2014-06-02

Family

ID=5112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504A KR20140066368A (ko) 2012-11-23 2012-11-23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36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45Y1 (ko) * 2014-09-12 2014-12-01 안기복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1527599B1 (ko) * 2014-08-12 2015-06-10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US10272846B2 (en) 2016-04-14 2019-04-30 Hyundai Motor Europe Technical Center Gmbh Device holder assembly, dashboard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holding a mobile electronics device
KR20200134539A (ko) * 2019-05-22 2020-12-02 이승복 이륜차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KR20210002070U (ko) * 2020-03-09 2021-09-17 선전 이티안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회전 가능한 핸드폰 클램핑 지지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99B1 (ko) * 2014-08-12 2015-06-10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KR200475445Y1 (ko) * 2014-09-12 2014-12-01 안기복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US10272846B2 (en) 2016-04-14 2019-04-30 Hyundai Motor Europe Technical Center Gmbh Device holder assembly, dashboard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holding a mobile electronics device
KR20200134539A (ko) * 2019-05-22 2020-12-02 이승복 이륜차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KR20210002070U (ko) * 2020-03-09 2021-09-17 선전 이티안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회전 가능한 핸드폰 클램핑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6368A (ko) 전자식 스마트기기 거치대
US8157237B2 (en) Display screen turning apparatus
CN204962188U (zh) 夹持结构及具有所述夹持结构的可移动平台
MY157046A (en) Operating table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CN105960558B (zh) 夹持结构及具有所述夹持结构的可移动平台
CN109383402A (zh) 车载显示屏及汽车
CN114076246A (zh) 投影设备位置调节支架
CN204962189U (zh) 夹持结构及具有所述夹持结构的可移动平台
US9739414B2 (en) Multi-axis carrying device
CN204805865U (zh) 夹持结构及具有所述夹持结构的可移动平台
CN113245869B (zh) 一种机床钳工加工可转动夹持装置
CN104964132A (zh) 一种显示器升降旋转架
CN107327677A (zh) 夹持装置及遥控器
CN112432023A (zh) 一种自动云台连接机构
US200701276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uidance system positioner
CN101441394A (zh) 投影仪调整装置
WO2021008436A1 (zh) 义齿承载机构、义齿三维扫描仪及其控制方法
CN108717907A (zh) 一种滑动离合式电动操作机构
KR100866639B1 (ko) 디스플레이용 회전장치
CN108972405B (zh) 定位装置
WO2021127922A1 (zh) 电子设备及使用方法
CN202546177U (zh) 可调角度的支撑架
CN214306215U (zh) 一种自动云台连接机构
CN217234991U (zh) 一种带投影仪功能的电脑一体机
CN216671500U (zh) 一种用于继电器生产线的过渡旋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