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510B1 -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 Google Patents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510B1
KR101897510B1 KR1020170116289A KR20170116289A KR101897510B1 KR 101897510 B1 KR101897510 B1 KR 101897510B1 KR 1020170116289 A KR1020170116289 A KR 1020170116289A KR 20170116289 A KR20170116289 A KR 20170116289A KR 101897510 B1 KR101897510 B1 KR 101897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lder
rotary switch
circuit boar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대연
심우빈
장길남
이후상
홍대길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는, 중공형 원통 구조이고,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광 투과창이 형성된 홀더; 상기 홀더의 양측면 일부와 대응되는 구조이고, 홀더의 양측면에 장착되어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사이드 캡; 상기 홀더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광발생부재; 상기 홀더의 내측에 장착되어 광발생부재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광 투과창으로 전달하는 라이트 가이드; 상기 사이드 캡과 결속되어 홀더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광발생부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 케이블이 내장되고, 회로기판 상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로기판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여 홀더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는 광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홀더, 사이드 캡, 광발생부재, 라이트 가이드, 회전지지부 및 광검출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조광이 가능하고, 총 클릭수의 제한이 없는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Rotary Type Switch Having Diffusion Structure For Light}
본 발명은 로터리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조광이 가능한 구조의 로터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패널의 전면패널에는 공조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부착되어있고, 공조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의장마크들이 구비되어있다.
이 문자와 표식들로 이루어지는 의장마크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아크릴 소재 등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후면에서 발하는 빛이 통과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은 공조패널에는 야간운전 시 공조패널의 시인성과 조작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조명장치를 설치하는데,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공조패널의 조명장치는 전구(1)들이 인쇄회로기판(2)상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구(1)들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면패널(3)의 의장마크(4)로 유도하기 위한 제 1렌즈(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 1렌즈(5)로부터 회전노브(6)의 표시부(7)에도 소정의 밝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회전노브(6)의 표시부(7) 내측에 제 2렌즈(8)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공조패널의 경우 회전노브의 표시부의 밝기가 복수개의 렌즈를 통해 전달되어지기 때문에 한개의 렌즈를 통해 빛을 전달받는 제어판넬의 표식보다 밝지 못하고, 회전노브가 회전하여 전구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표시부의 밝기가 어두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회전하는 회전노브의 표시부에 전구의 빛을 렌즈를 통하여 균일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노브의 경우, 회전수의 제한이 있어 한계치에 도달할 경우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구조로서, 회전입력의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고정자 권선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기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08506 (2003년 03월 11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조광이 가능하고, 총 클릭수의 제한이 없는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는, 중공형 원통 구조이고,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광 투과창이 형성된 홀더; 상기 홀더의 양측면 일부와 대응되는 구조이고, 홀더의 양측면에 장착되어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사이드 캡; 상기 홀더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광발생부재; 상기 홀더의 내측에 장착되어 광발생부재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광 투과창으로 전달하는 라이트 가이드; 상기 사이드 캡과 결속되어 홀더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광발생부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 케이블이 내장되고, 회로기판 상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로기판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여 홀더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는 광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측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요철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내측에는 요철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의 양단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홀더의 회전동작에 의해 홀더의 요철구조가 판스프링의 양단부를 타고 미끄러지며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더의 내측 중앙부에는, 광발생부재를 감싸는 내부구조 및 판스프링과 결속되는 외부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고정부는, 회전지지부에 회전되지 않도록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일단부는 광발생부재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되고, 하단부는 홀더의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광 흡수부; 및 상기 광 흡수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홀더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 광 발산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내측을 따라 빛이 전달되어 광 투과창으로 발산할 수 있는 수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는, 상기 광검출센서를 감싸는 구조로 회로기판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광검출센서로 전달될 수 있도록, 광 투과창과 대응되는 위치에 광인입구가 형성된 광누출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누출 방지부재는, 회로기판 상부면에 장착된 광검출센서 중 하나를 감싸는 구조로 하나의 공간을 형성되고, 상부면에 광인입구가 형성된 제 1 광센서 밀폐부; 상기 제 1 광센서 밀폐부와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또 다른 공간을 형성하고, 회로기판 상부면에 장착된 광검출센서 중 또 다른 하나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광인입구가 형성된 제 2 광센서 밀폐부; 및 상기 제 1 광센서 밀폐부 및 제 2 광센서 밀폐부와 일체형 구조로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회로기판 상부면과 결속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누출 방지부재의 상부면 구조는, 상기 홀더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곡면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센서는, 상기 회로기판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광센서; 및 상기 회로기판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광센서로부터 홀더의 회전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광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에 탑재되고,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여 조도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조도검출센서; 및 상기 조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조도 정보를 바탕으로 광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조도 및 광검출센서의 검출 임계값의 범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는, 상기 광 투과창으로부터 발산되는 빛를 광검출센서를 통해 검출 한 후,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홀더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홀더, 사이드 캡, 광발생부재, 라이트 가이드, 회전지지부 및 광검출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조광이 가능하고, 총 클릭수의 제한이 없는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요철구조, 판스프링, 스프링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홀더 내부의 조명을 구현함과 동시에 제한이 없는 클릭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에 따르면, 광투과창을 특정 위치에 형성시킨 홀더 및 특정 위치에 배치된 광검출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홀더의 회전 방향과 회전 수를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 1 광센서 밀폐부, 제 2 광센서 밀폐부 및 결속부를 포함하는 광누출 방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홀더 내부의 조명을 구현함과 동시에 광발생부재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이용하여 홀더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수를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에 따르면, 회로기판에 탑재되고,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여 조도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조도검출센서, 및 조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조도 정보를 바탕으로 광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조도 환경에 따라 홀더 내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조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조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광검출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빛의 수광 임계값을 제어함으로써, 외부 조도 환경에 따른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터리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 1 광센서 및 제 2 광센서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검출센서를 이용하여 홀더의 회전방향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 및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조도검출센서 및 광검출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도검출센서를 이용하여 광검출센서의 검출 임계값의 범위를 변경하는 제어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로터리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3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100)는, 특정 구조의 홀더(110), 사이드 캡(120), 광발생부재(130), 라이트 가이드(140), 회전지지부(150) 및 광검출센서(160)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조광이 가능하고, 총 클릭수의 제한이 없는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110)는, 중공형 원통 구조이고,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광 투과창(111)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양측면에는 사이드 캡(120)이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캡(120)은, 홀더(110)의 양측면 일부와 대응되는 구조이고, 홀더(110)의 양측면에 장착되어 회전지지부(15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속될 수 있다.
또한, 홀더(110) 내부 중앙에는 광발생부재(130)가 장착되며, 이때, 홀더(110)의 내측에 라이트 가이드(140)가 장착되어 광발생부재(130)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광 투과창(11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라이트 가이드(140)는, 특정 구조의 광 흡수부(141) 및 광 발산부(142)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흡수부(141)의 일단부는 광발생부재(13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되고, 하단부는 홀더(110)의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광 발산부(142)는, 광 흡수부(141)와 일체로 연장되어 홀더(11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라이트 가이드(140)는, 내측을 따라 빛이 전달되어 광 투과창(111)으로 발산할 수 있는 수지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광이 누출되지 않도록 특정 부위에 광 차단 잉크 또는 테이프 등을 도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내측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요철구조(112)가 형성되고, 홀더(110)의 내측에는 요철구조(112)와 대응되는 구조의 양단부가 형성된 판스프링(113)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110)의 회전동작에 의해 홀더(110)의 요철구조(112)가 판스프링(113)의 양단부를 타고 미끄러지며 클릭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내측 중앙부에는, 광발생부재(130)를 감싸는 내부구조 및 판스프링(113)과 결속되는 외부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부(114)는, 회전지지부(150)에 회전되지 않도록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검출센서(160)를 감싸는 구조로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광누출 방지부재(17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누출 방지부재(170)는, 광 투과창(11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광검출센서(1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광 투과창(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광인입구(171)가 형성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누출 방지부재(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제 1 광센서 밀폐부(172), 제 2 광센서 밀폐부(173) 및 결속부(17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 1 광센서 밀폐부(172)는,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된 광검출센서(160) 중 하나를 감싸는 구조로 하나의 공간을 형성되고, 상부면에 광인입구(171)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제 2 광센서 밀폐부(173)는, 제 1 광센서 밀폐부(172)와 격벽(174)에 의해 분리되어 또 다른 공간을 형성하고,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된 광검출센서(160) 중 또 다른 하나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광인입구(171)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결속부(175)는, 제 1 광센서 밀폐부(172) 및 제 2 광센서 밀폐부(173)와 일체형 구조로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회로기판(101) 상부면과 결속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광누출 방지부재(170)의 상부면 구조는, 상기 홀더(1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곡면구조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지지부(150)는, 사이드 캡(120)과 결속되어 홀더(1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101) 상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회전지지부(150)의 내부에는, 광발생부재(1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 케이블이 내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검출센서(16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되어, 광 투과창(11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여 홀더(11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광검출센서(160)는, 특정 위치에 배치된 제 1 광센서(161) 및 제 2 광센서(16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 1 광센서(161)는,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광센서(162)는,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광센서(161)로부터 홀더(110)의 회전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광센서(161)로부터 검출된 신호와 제 2 광센서(162)로부터 검출된 신호와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홀더(110)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조도검출센서 및 광검출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도검출센서를 이용하여 광검출센서의 검출 임계값의 범위를 변경하는 제어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조도검출센서(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도검출센서(180)는, 회로기판(101)에 탑재되고,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여 조도 정보를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조도검출센서(180)로부터 검출된 조도 정보를 바탕으로 광발생부재(130)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조도 및 광검출센서(160)의 검출 임계값의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검출센서(180)로부터 검출된 조도 정보를 바탕으로 낮과 밤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조도검출센서(180)로부터 검출된 조도값이 기준 조도를 초과할 경우, 광검출센서(160)로부터 수광되는 광량의 임계값을 상향 조정하여 원활한 제어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조도검출센서(180)로부터 검출된 조도값이 기준 조도 미만일 경우, 광검출센서(160)로부터 수광되는 광량의 임계값을 하향 조정하여 원활한 제어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높은 조도를 제공하는 낮에는 높은 조도의 빛이 광검출센서(160)로 침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빛 침투는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광검출센서(160)로부터 수광되는 광량의 임계값을 상향 조정하여 홀더(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광 투과창(11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에만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빛 침투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낮은 조도의 밤에는 낮은 조도의 빛에도 광검출센서(160)가 반응할 수 있어, 이러한 경우는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광검출센서(160)로부터 수광되는 광량의 임계값을 하향 조정하여 홀더(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광 투과창(11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에만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빛 침투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광 투과창(11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를 광검출센서(160)를 통해 검출 한 후,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홀더(110)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홀더, 사이드 캡, 광발생부재, 라이트 가이드, 회전지지부 및 광검출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조광이 가능하고, 총 클릭수의 제한이 없는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요철구조, 판스프링, 스프링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홀더 내부의 조명을 구현함과 동시에 제한이 없는 클릭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에 따르면, 광투과창을 특정 위치에 형성시킨 홀더 및 특정 위치에 배치된 광검출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홀더의 회전 방향과 회전 수를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 1 광센서 밀폐부, 제 2 광센서 밀폐부 및 결속부를 포함하는 광누출 방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홀더 내부의 조명을 구현함과 동시에 광발생부재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이용하여 홀더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수를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에 따르면, 회로기판에 탑재되고,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여 조도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조도검출센서, 및 조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조도 정보를 바탕으로 광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조도 환경에 따라 홀더 내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조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조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광검출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빛의 수광 임계값을 제어함으로써, 외부 조도 환경에 따른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로터리 스위치
101: 회로기판
110: 홀더
111: 광 투과창
112: 요철구조
113: 판스프링
114: 스프링 고정부
120: 사이드 캡
130: 광발생부재
140: 라이트 가이드
141: 광 흡수부
142: 광 발산부
150: 회전지지부
160: 광검출센서
161: 제 1 광센서
162: 제 2 광센서
170: 광누출 방지부재
171: 광인입구
172: 제 1 광센서 밀폐부
173: 제 2 광센서 밀폐부
174: 격벽
175: 결속부
180: 조도검출센서
190: 제어부

Claims (12)

  1. 중공형 원통 구조이고,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광 투과창(111)이 형성된 홀더(110);
    상기 홀더(110)의 양측면 일부와 대응되는 구조이고, 홀더(110)의 양측면에 장착되어 회전지지부(15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사이드 캡(120);
    상기 홀더(110)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광발생부재(130);
    상기 홀더(110)의 내측에 장착되어 광발생부재(130)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광 투과창(111)으로 전달하는 라이트 가이드(140);
    상기 사이드 캡(120)과 결속되어 홀더(1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광발생부재(1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 케이블이 내장되고, 회로기판(101) 상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회전지지부(150);
    상기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11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여 홀더(11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는 광검출센서(160);
    상기 회로기판(101)에 탑재되고,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여 조도 정보를 제어부(190)에 전달하는 조도검출센서(180); 및
    상기 조도검출센서(180)로부터 검출된 조도 정보를 바탕으로 광발생부재(130)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조도 및 광검출센서(160)의 검출 임계값의 범위를 제어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10)의 내측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요철구조(112)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110)의 내측에는 요철구조(112)와 대응되는 구조의 양단부가 형성된 판스프링(113)이 장착되고,
    상기 홀더(110)의 회전동작에 의해 홀더(110)의 요철구조(112)가 판스프링(113)의 양단부를 타고 미끄러지며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10)의 내측 중앙부에는, 광발생부재(130)를 감싸는 내부구조 및 판스프링(113)과 결속되는 외부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고정부(114)는, 회전지지부(150)에 회전되지 않도록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140)는,
    일단부는 광발생부재(13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되고, 하단부는 홀더(110)의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광 흡수부(141); 및
    상기 광 흡수부(141)와 일체로 연장되어 홀더(11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 광 발산부(1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140)는, 내측을 따라 빛이 전달되어 광 투과창(111)으로 발산할 수 있는 수지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100)는,
    상기 광검출센서(160)를 감싸는 구조로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11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광검출센서(1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광 투과창(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광인입구(171)가 형성된 광누출 방지부재(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누출 방지부재(170)는,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된 광검출센서(160) 중 하나를 감싸는 구조로 하나의 공간을 형성되고, 상부면에 광인입구(171)가 형성된 제 1 광센서 밀폐부(172);
    상기 제 1 광센서 밀폐부(172)와 격벽(174)에 의해 분리되어 또 다른 공간을 형성하고,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된 광검출센서(160) 중 또 다른 하나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광인입구(171)가 형성된 제 2 광센서 밀폐부(173); 및
    상기 제 1 광센서 밀폐부(172) 및 제 2 광센서 밀폐부(173)와 일체형 구조로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회로기판(101) 상부면과 결속되는 결속부(17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누출 방지부재(170)의 상부면 구조는, 상기 홀더(1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곡면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센서(160)는,
    상기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광센서(161); 및
    상기 회로기판(101)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 투과창(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광센서(161)로부터 홀더(110)의 회전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광센서(16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100)는,
    상기 광 투과창(11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를 광검출센서(160)를 통해 검출 한 후,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홀더(110)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계산하는 제어부(19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
KR1020170116289A 2017-09-12 2017-09-12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KR101897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289A KR101897510B1 (ko) 2017-09-12 2017-09-12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289A KR101897510B1 (ko) 2017-09-12 2017-09-12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510B1 true KR101897510B1 (ko) 2018-09-12

Family

ID=6359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289A KR101897510B1 (ko) 2017-09-12 2017-09-12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5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404A (ja) * 1998-12-04 2000-06-23 Sony Corp スイッチ装置
KR200308506Y1 (ko) 2002-12-26 2003-03-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로터리스위치용 조명장치
JP2009176470A (ja) * 2008-01-22 2009-08-06 Canon Inc 電子機器
KR20120039188A (ko) * 2010-10-15 2012-04-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KR101759320B1 (ko) * 2016-02-22 2017-07-1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404A (ja) * 1998-12-04 2000-06-23 Sony Corp スイッチ装置
KR200308506Y1 (ko) 2002-12-26 2003-03-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로터리스위치용 조명장치
JP2009176470A (ja) * 2008-01-22 2009-08-06 Canon Inc 電子機器
KR20120039188A (ko) * 2010-10-15 2012-04-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KR101759320B1 (ko) * 2016-02-22 2017-07-1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5145B2 (ja) 照明装置
US20070195513A1 (en) Illumination-type rotational control device
CN110770802A (zh) 传感器组件和包括这种传感器组件的设备.
JP6182417B2 (ja) 屋外用照明装置
US11235702B2 (en) Arrangement of electric pixel matrix display and rotary actuator with improved light guide
CN109313282A (zh) 传感器的探测区域调整系统、自动门传感器、标记以及传感器的探测区域调整方法
CN116736996A (zh) 鼠标滚轮装置
KR101897510B1 (ko)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US20190018440A1 (en) Rotational operation device
JP4855872B2 (ja) ノブ型表示装置
US20190098731A1 (en) Programmable flashlight with automatic light intensity adjustment means
KR20150092670A (ko) 감시 카메라
JP2008251414A (ja) スイッチ装置
JP2008311056A (ja) 表示装置
ES2958667T3 (es) Dispositivos ópticos de entrada
KR20170136222A (ko) 원형 센서등
KR101854199B1 (ko) 주/야간 모드 조절버튼을 가지는 원형 센서등
JP2007059296A (ja) 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690547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369894B1 (ko) 감지각 조절이 가능한 센서등
JP2008268801A (ja) 表示装置
JP6017054B2 (ja) 表示装置
KR101958104B1 (ko) Led 비상구 위치 표시등
KR101883267B1 (ko) 원형 센서등의 엘이디모듈
JPS5826134B2 (ja) 反射形光電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