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300A -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1300A KR20160121300A KR1020150051141A KR20150051141A KR20160121300A KR 20160121300 A KR20160121300 A KR 20160121300A KR 1020150051141 A KR1020150051141 A KR 1020150051141A KR 20150051141 A KR20150051141 A KR 20150051141A KR 20160121300 A KR20160121300 A KR 201601213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magnetic force
- case
- portable terminal
- cra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거치되며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케이스에 단말기가 장착되면 상기 단말기가 중력 방향에 비스듬한 각도로 세워져서 사용자의 시선이 눈보다 아래 쪽을 향할 때 시선의 각도가 화면에 직각 방향에 맞춰져 자립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리튬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연료 전지, 수은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수소 이온 전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전기 저장용 배터리, 거치대 단자, 및 제1 자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거치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자력부에 대해서 자력 결합되는 제2 자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충전 단자와 상기 거치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충전 단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연결 단자와 상기 거치대 단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외부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거치되며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케이스에 단말기가 장착되면 상기 단말기가 중력 방향에 비스듬한 각도로 세워져서 사용자의 시선이 눈보다 아래 쪽을 향할 때 시선의 각도가 화면에 직각 방향에 맞춰져 자립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리튬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연료 전지, 수은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수소 이온 전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전기 저장용 배터리, 거치대 단자, 및 제1 자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거치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자력부에 대해서 자력 결합되는 제2 자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충전 단자와 상기 거치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충전 단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연결 단자와 상기 거치대 단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외부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종 전자 기기의 소형화가 달성되어 각종 모바일 기기가 발명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대표하는 장치로서, 휴대용 단말기가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는 단지 통신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온갖 컨텐츠를 제공하고 소통을 가능하게 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매우 작은 크기 안에 각종 정밀 기기가 내장되어 통상적으로 소정의 케이스 내에 수용하여 사용함이 보통이다. 아울러,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내부 전원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내부 전원의 충전을 위해 소정의 충전기가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과정에서, 단말기를 일일이 상기 충전기에 대해 연결하여 충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충전 과정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며 간단히 휴대용 단말기를 소정의 거치대에 거치하는 것 만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거치 모듈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거치되며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거치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거치되며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로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케이스에 단말기가 장착되면 상기 단말기가 중력 방향에 비스듬한 각도로 세워져서 사용자의 시선이 눈보다 아래 쪽을 향할 때 시선의 각도가 화면에 직각 방향에 맞춰져 자립하도록 소정의 빗면을 갖게 구성되며, 내부에 리튬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연료 전지, 수은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수소 이온 전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전기 저장용 배터리, 거치대 단자, 및 제1 자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거치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자력부에 대해서 자력 결합되는 제2 자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충전 단자와 상기 거치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충전 단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연결 단자와 상기 거치대 단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외부 연결 단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대 단자는 서로 직경이 상이한 환형으로 구성된 수개의 환형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환형 단자는 상기 제1 자력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연결 단자는, 상기 제2 자력부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거리를 갖는 수개의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단자부는 상기 각각의 환형 단자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자력부와 상기 제2 자력부가 자력 결합될 때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제1 자력부와 상기 제2 자력부가 서로 자력 결합될 때 상기 거치대와 상기 케이스의 상대 위치를 제한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제1 자력부 또는 상기 제2 자력부의 중심에 구비되는 홈, 및 다른 하나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출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를 케이스에 안착시킨 상태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을 위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케이스를 분리시킬 필요 없이, 케이스에 휴대용 단말기를 수납한 상태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와 거치대 사이의 거치는 소정의 자성을 갖는 자력부를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서 케이스의 거치 및 거치 해제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한편, 환형 단자와 상기 환형 단자에 대응하는 단자부를 가짐에 따라서, 상기 제1 자력부와 상기 제2 자력부가 결합하여 상기 거치대에 상기 케이스가 거치될 때, 상기 케이스의 어떠한 배향에도 불구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거치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환형 단자는 제1 자력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단자부는 각각의 환형 단자에 대응하는 배치를 가지므로, 상기 케이스를 상기 제1 자력부를 중심으로 틸팅시켜 배향각이 상이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환형 단자와 단자부 사이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및 충전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안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거치대 사이의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의 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안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거치대 사이의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의 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상부" 는 "하부"로 해석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1)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와 휴대용 단말기(H) 사이의 안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와 거치대(200) 사이의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1)의 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1)은, 휴대용 단말기(H)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가 거치되며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20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H)와 상기 거치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한다.
케이스(100)에는 휴대용 단말기(H)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H)는 통상 사용되는 스마트폰 등일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H)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가 적절히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H)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틀 형태의 몸체(110)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H)의 외측에는 소정의 충전 단자(E)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충전 단자(E)는 휴대용 단말기(H) 내부의 내부 전원과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거치대(200)는 상기 케이스(100)가 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200)는 소정의 충전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H)의 내부 전원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H)의 충전을 수행하는 소정의 변압기 등과 같은 회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200)에 상기 케이스(100)가 거치됨에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H)가 상기 거치대(200)에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케이스(100)에 휴대용 단말기(H)가 장착되어 거치대(200)에 거치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H)가 중력 방향에 비스듬한 각도로 세워져서 사용자의 시선이 눈보다 아래쪽을 향하게 될 때 시선의 각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H)의 화면에 직각 방향으로 맞춰져서 자립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일 예로, 상기 거치대(200)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100)를 거치하여 지지하는 소정의 지지면이 마련되되, 상기 지지면은 소정의 빗각을 갖는 빗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면에 거치되는 케이스(100)에 휴대용 단말기(H)가 장착되면 사용자가 시선을 아래쪽으로 할 때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H)의 화면이 직각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H)를 비스듬하게 지지하는 소정의 지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수단으로서 소정의 지지 빔, 소정의 돌부 및 홈부, 소정의 고정 수단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 및 휴대용 단말기(H)를 시선의 각도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자립시키는 수단이면 그 종류에 한정을 두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H)의 지지는 상기 케이스(100)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H)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거치대(200)에 거치되어 자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100)는 내부에 리튬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연료 전지, 수은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수소 이온 전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전기 저장용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H)와 상기 거치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한다. 즉,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H)와 상기 거치대(200)의 충전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일종의 배선 구조와 같은 역할을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H)에 구비된 충전 단자(E)와 상기 거치대(200)에 구비된 충전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대(200)는 거치대 단자(22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H)에 구비된 충전 단자(E)와 상기 거치대 단자(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충전 단자(E)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연결 단자(120)와 상기 거치대 단자(220)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외부 연결 단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는 외부 연결 단자(140), 내부 연결 단자(120), 및 상기 내부 연결 단자(120)와 외부 연결 단자(140)를 연결하는 소정의 배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연결 단자(140)와 외부 연결 단자(120) 는 소정의 배선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외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H)가 케이스(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0)가 상기 거치대(200)에 거치될 경우, 상기 연결 단자를 매개로 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H)와 상기 거치대(200)에 포함된 충전 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내부, 외부라는 용어는 단순히 각각의 부재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00)의 내측에 상기 내부 연결 단자(120)가 구비되고 케이스(100)의 외측에 상기 외부 연결 단자(1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1)은 휴대용 단말기(H)를 케이스(100)에 안착시킨 상태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H)의 충전을 위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H)로부터 상기 케이스(100)를 분리시킬 필요 없이, 케이스(100)에 휴대용 단말기(H)를 수납한 상태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대(200)는 제1 자력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제1 자력부(210)에 대해서 자력 결합되는 제2 자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제2 자력부(130)는 서로 자력 결합될 수 있는 부재로서, 스스로 자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자성에 의해 자성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부재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자력부(210)가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자력부(130)가 상기 자성에 의해서 자력 결합될 수 있는 철 재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역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제2 자력부(130)가 양자 모두 자성을 갖는 부재일 경우, 서로 자력 결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자극(N, S)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제2 자력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을 가져야 하며, 양자 모두가 자성을 갖지 아니한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상기 제2 자력부(130)는 반드시 외부로 노출되는 것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소정의 커버 내측에 배치되어 자장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일 예로 상기 제2 자력부(13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단지 제1 자력부(210)의 자성에 의해 자력 결합될 수 있는 배치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거치대(200)와 상기 케이스(100)는 소정의 자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자력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거치대(200)와 케이스(100) 사이의 거치와 거치 해제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대 단자(220)는 서로 직경이 상이한 환형으로 구성된 수개의 환형 단자(222)를 포함하되, 상기 환형 단자(222)는 상기 제1 자력부(210)를 중심으로 동심원으로 배치된다.
즉,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 단자(220)는 환형으로 구성된 수개의 환형 단자(222)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환형 단자(222)는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환형 단자(222)중 적어도 하나는 - 극에 연결되며 나머지 중 하나는 + 극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일 예로 상기 환형 단자(222)의 수가 2 개일 경우, 어느 하나의 환형 단자(222)는 - 극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환형 단자(222)는 + 극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형 단자(222)가 3 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경우에도, 각각의 환형 단자(222) - 극 또는 + 극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극성과 연결되는 환형 단자(22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단자(222)가 4 개일 경우,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환형 단자(222)와 다른 극성과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환형 단자(222)는 상기 제1 자력부(210)를 중심으로 동심원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의 환형 단자(222)는 제1 자력부(210)의 중심(N)을 중심으로 공유하여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환형 단자(222)가 각각 직경이 상이함에 따라서 상기 제1 자력부(210)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이격거리가 상이한 과녁판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 극과 연결된 환형 단자(222)와 + 극과 연결된 환형 단자(222)는 서로 이격되어 쇼트가 발생하지 않게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된 외부 연결 단자(140)는, 상기 제2 자력부(130)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거리를 갖는 수개의 단자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단자부(142)는 상기 각각의 환형 단자(222)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단자부(142)와 각각의 환형 단자(222)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배치된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연결 단자(140)는 수개의 단자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개의 단자부(142)는 상기 제2 자력부(130)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거리를 갖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개의 단자부(142)의 배치는 예컨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되거나, 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위치에 산개한 배치도 가능하며, 상기 각각의 단자부(142)가 일 점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소정의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각각의 단자부(142)는 상기 거치대 단자(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환형 단자(222)의 위치에 대응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제2 자력부(130)가 자력 결합되어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제2 자력부(130) 사이의 위치 관계가 고정될 때, 상기 제1 자력부(210)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각각의 환형 단자(222)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의 단자부(142)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단자부(142)는 상기 제2 자력부(130)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재술하면,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력부(210)와 각각의 환형 단자(222) 사이의 거리인 R1, R2, R3 는 각각 제2 자력부(130)와 각각의 단자부(142) 사이의 거리인 r1, r2, r3 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R1, R2, R3 는 각각 환형 단자가 구성하는 원의 반지름이며, 상기 r1, r2, r3 는 상기 제2 자력부(130)의 중심과 상기 각각의 단자부(14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1, r2, r3 는 상기 제2 자력부(130)의 중심(M)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각각의 단자부(142)가 형성하는 동심원의 각각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한다 함은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 외에, 약간의 거리 차이를 갖는 경우도 포함하되, 상기 제1 자력부(210)의 중심과 제2 자력부(130)의 중심이 중첩될 때 상기 각각의 환형 단자(222)와 각각의 단자부(142)가 서로 접촉하도록 적절하게 대응되는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자력부(130)에 가장 인접한 단자부(142)를 제1 단자부(142)라 하고, 상기 제1 자력부(210)에 가장 인접한 환형 단자(222)를 제1 환형 단자(222)라 할 때,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제2 자력부(130)가 서로 자력 결합되면 상기 제1 단자부(142)와 상기 제1 환형 단자(222)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환형 단자(222)와 상기 단자부(142)가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형 단자(222)와 마찬가지로, 상기 복수의 단자부(142)는 - 극 또는 + 극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 극과 연결되는 단자부(142)는 + 극과 연결되는 단자부(142)와 쇼트되지 않도록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상기 제2 자력부(130)가 결합하여 상기 거치대(200)에 상기 케이스(100)가 거치될 때, 상기 케이스(100)의 어떠한 배향에도 불구하고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거치대(2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환형 단자(222)는 상기 제1 자력부(210)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단자부(142)는 상기 각각의 환형 단자(222)에 대응하는 배치를 가지므로,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를 상기 제1 자력부(210)를 중심으로 틸팅시켜 배향각이 상이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각각의 단자부(142)와 상기 제1 자력부(210) 사이의 거리는 유지되므로, 상기 환형 단자(222)와 단자부(142) 사이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H)의 거치 및 충전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위치 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상기 제2 자력부(130)가 서로 자력 결합될 때 상기 거치대(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대 위치를 제한하게 구성된다.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제2 자력부(130)가 서로 자력 결합될 때 상기 거치대(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대 위치를 제한한다. 이때 상대 위치를 제한한다 함은 상기 거치대(200)와 케이스(100)가 서로 완전히 고정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함이 아니라 소정의 외력의 인가가 없는 한 상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제2 자력부(130) 사이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단자부(142)와 상기 환형 단자(222)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위치를 유지함은 상기 제1 자력부(210)의 중심과 상기 제2 자력부(130)의 중심이 일치하는 상태에서 서로 회전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제1 자력부(210) 또는 상기 제2 자력부(130)의 중심에 구비되는 홈(150), 및 다른 하나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홈(150)에 대응하는 돌출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서, 예컨대 상기 제1 자력부(210)의 중심 상에 돌출부(2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자력부(130)의 중심 상에 상기 돌출부(230)에 대응하는 홈(150)이 구비될 경우, 상기 제1 자력부(210)와 상기 제2 자력부(130)가 자력 결합되면 상기 홈(150)에 상기 돌출부(230)가 삽입되어 적절한 위치를 한정함에 따라서 상기 단자부(142)와 상기 환형 단자(222)가 부적절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150)과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거치대(200)를 고정하여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부재가 아니라, 단지 제1 자력부(210)와 제2 자력부(130) 사이의 자력 결합의 최적의 위치를 표시하는 소정의 입체물로 충분하다. 한편, 상기 홈(150) 및 돌출부(230)는 반드시 자력부에 연결되는 형태 외에, 자력부 상에 소정의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상에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모듈(1)은 역류 방지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모듈(1)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충전할 때, 단자 사이의 비정상적 접촉이 이루어질 경우 전류의 역류가 방지되고 휴대폰 및 휴대폰 거치 모듈(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역류 방지 회로는 일 예로 전류의 통전을 제어하는 소정의 MOS 트랜지스터, 및 쇼트키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환형 단자(222)와 단자부(142)는 4개 이상의 단자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서, 환형 단자(222)와 단자부(142)는 서로 4극 접지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기적 연결에 의한 충전과 동시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함에 의한 휴대폰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도 가능해질 수 있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00) 및/또는 거치대(200)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는 자성을 갖는 부재의 접근에 따라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해제되는 부재로서, 그 구성 형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일 예로, 상기 케이스(100)에 리드 스위치가 구비될 경우, 상기 케이스(100)가 거치되는 거치대(200)에 구비된 제1 자력부(210)가 케이스(100)에 접근하여 거치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리드 스위치가 작동하여 내부 연결 단자(120)와 외부 연결 단자(140)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거치대(200)에 리드 스위치가 구비될 경우,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된 제2 자력부(130)가 거치대(200)에 접근하여 거치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리드 스위치가 작동하여 상기 복수의 거치대 단자(220)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거며, 반대로 멀어질 경우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리드 스위치를 구비함에 따라서, 불필요한 외부 통전에 따른 방전 및 전력 소모가 방지되며,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만 이루어져 통상의 경우 외부로 유출되는 전류가 없으므로 방수 케이징이 달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0)와 거치대(200)가 접촉한 상태에서만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서로 이격되어 별도로 관리될 때, 외부 습기 등에 의해서 통전되는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휴대폰 거치 모듈
100: 케이스
110: 몸체
120: 내부 연결 단자
130: 제2 자력부
140: 외부 연결 단자
142: 단자부
150: 홈
200: 거치대
210: 제2 자력부
220: 거치대 단자
222: 환형 단자
230: 돌출부
100: 케이스
110: 몸체
120: 내부 연결 단자
130: 제2 자력부
140: 외부 연결 단자
142: 단자부
150: 홈
200: 거치대
210: 제2 자력부
220: 거치대 단자
222: 환형 단자
230: 돌출부
Claims (5)
- 휴대용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거치되며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케이스에 단말기가 장착되면 상기 단말기가 중력 방향에 비스듬한 각도로 세워져서 사용자의 시선이 눈보다 아래 쪽을 향할 때 시선의 각도가 화면에 직각 방향에 맞춰져 자립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리튬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연료 전지, 수은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수소 이온 전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전기 저장용 배터리,
거치대 단자, 및
제1 자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거치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자력부에 대해서 자력 결합되는 제2 자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충전 단자와 상기 거치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충전 단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연결 단자와 상기 거치대 단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외부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단자는,
서로 직경이 상이한 환형으로 구성된 수개의 환형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환형 단자는 상기 제1 자력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으로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단자는,
상기 제2 자력부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거리를 갖는 수개의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단자부는 상기 각각의 환형 단자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자력부와 상기 제2 자력부가 자력 결합될 때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위치 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제1 자력부와 상기 제2 자력부가 서로 자력 결합될 때 상기 거치대와 상기 케이스의 상대 위치를 제한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제1 자력부 또는 상기 제2 자력부의 중심에 구비되는 홈, 및 다른 하나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1141A KR20160121300A (ko) | 2015-04-10 | 2015-04-10 |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1141A KR20160121300A (ko) | 2015-04-10 | 2015-04-10 |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7543U Division KR20170000086U (ko) | 2016-12-26 | 2016-12-26 |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1300A true KR20160121300A (ko) | 2016-10-19 |
Family
ID=5725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1141A KR20160121300A (ko) | 2015-04-10 | 2015-04-10 |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130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38688A1 (ko) * | 2018-12-27 | 2020-07-02 | 전정현 | 모바일 프린터 |
KR20220166171A (ko) * | 2021-06-09 | 2022-12-16 | (주)에스피에스 |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2350Y1 (ko) | 2011-11-14 | 2012-09-06 | 곽판수 | 가정용 충전기를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
-
2015
- 2015-04-10 KR KR1020150051141A patent/KR201601213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2350Y1 (ko) | 2011-11-14 | 2012-09-06 | 곽판수 | 가정용 충전기를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38688A1 (ko) * | 2018-12-27 | 2020-07-02 | 전정현 | 모바일 프린터 |
KR20200081049A (ko) * | 2018-12-27 | 2020-07-07 | 전정현 | 모바일 프린터 |
KR20220166171A (ko) * | 2021-06-09 | 2022-12-16 | (주)에스피에스 |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60105047A1 (en) | Mobile device mounting and charging system | |
KR101822855B1 (ko) | 휴대용 충전 케이스 모듈 | |
CA2817386C (en) | Lithium ion battery and charger thereof | |
KR101790891B1 (ko) | 자석 부착식 무선 충전기 | |
RU2617699C2 (ru) |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тчика мощности для индуктивной подачи мощности в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CN111384750A (zh) | 具有可旋转磁性支架的感应充电器 | |
JP5813135B2 (ja) | 移動充電器 | |
US20210029475A1 (en) | Charging contact connection for a charger, mating contact connection, charging contact system and electrical device | |
KR20160121300A (ko) |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
KR20140062837A (ko) |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용 거치형 도킹 스테이션 | |
CN104037882B (zh) | 一种充电器 | |
KR20170000086U (ko) | 휴대용 단말기 거치 모듈 | |
CN219018484U (zh) | 充电电池盒、用于智能眼镜的电池及智能眼镜 | |
CN207426776U (zh) | 磁吸式充电结构 | |
KR101955772B1 (ko) |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 |
CN211298703U (zh) | 一种可充电眼镜盒装置 | |
CN209896742U (zh) | 分离式车载充电器 | |
CN114035327A (zh) | Ar眼镜可拆卸电池的装配结构、ar眼镜 | |
CN209627644U (zh) | 耳机无线式充电结构 | |
CN219734727U (zh) | 电子设备的支架组件 | |
KR101727024B1 (ko) | 충전기 연결장치 | |
CN203933112U (zh) | 一种充电器 | |
CN219477647U (zh) | 一种吸附式充电装置 | |
CN219717951U (zh) | 一种无线充电主体件、配件和组件 | |
CN215870825U (zh) | 一种磁吸充电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WICV |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