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421A - 휴대 기기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421A
KR20150104421A KR1020140026140A KR20140026140A KR20150104421A KR 20150104421 A KR20150104421 A KR 20150104421A KR 1020140026140 A KR1020140026140 A KR 1020140026140A KR 20140026140 A KR20140026140 A KR 20140026140A KR 20150104421 A KR20150104421 A KR 20150104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opening
accommodating
wireless charging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4002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4421A/ko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ko
Priority to PCT/KR2014/011856 priority patent/WO2015122611A1/ko
Publication of KR2015010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부,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 및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 수납 장치{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PMP, 태블릿 PC 등의 휴대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령, 차량 내 휴대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설치한다고 해도 단지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용 컵 홀더에 휴대 기기를 함께 거치시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1002(2007.03.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의 수납 공간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바닥면, 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되어 수납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타측 바닥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되어 수납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개방된 타측에는 상기 휴대 기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로 유입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열 교환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구조물 내에 장착되고, 상기 구조물 내에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하부에서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서 배출된 이물질을 수납하는 이물질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납부는, 상기 구조물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벽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 또는 복수 개의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개방된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입구 커버; 및 상기 입구 커버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를 통해 휴대 기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거나 휴대 기기를 살균 및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켜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있더라도 휴대 기기가 소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 모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고정 또는 가이드함으로써,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 시킬 수 있고,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 모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크기가 다양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휴대 기기가 수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의 (b)는 휴대 기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걸림부(104),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기(108), 자외선 조사부(110), 입구 커버(112), 위치 고정부(114), 및 개구부(116)를 포함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내부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S)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5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는 휴대 기기(5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휴대 기기(50)와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은 개방되어 형성된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이 개방되어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바닥면에는 보호 패드(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삽입되어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5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 중 무선 충전 모듈(106)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6)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경우, 무선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드(118)는 무선 충전 모듈(106)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보호 패드(118)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측면 또는 내부 상면 등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 어느 곳이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에 보호 패드(118)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호 패드(118) 또는 돌기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18) 또는 돌기는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후단이 걸림부(104)에 걸림되면서 안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노출되어 형성되거나 바닥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는 충전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온 발생기(108)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발생기(108)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는 발생시킨 이온을 휴대 기기(50) 측으로 불어보내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에서 발생된 이온은 에어 홀(120)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에어 홀(120)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 내벽에 수납 공간(S)과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온 발생기(10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예를 들어,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개방된 전단)에 형성된다.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에서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에서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입구 커버(112)는 힌지(141)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141)는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힌지(141)는 휴대 기기(5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입구 커버(11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회전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서 인출되는 경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 측으로 회전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를 닫게 된다.
위치 고정부(114)는 입구 커버(112)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4)는 입구 커버(112) 중 외부로 노출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4)는 입구 커버(112)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4)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위치 고정부(114)가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위치 고정부(114)는 힌지(141)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고정부(114)는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구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타측에서 바닥면의 일부 또는 측면의 일부 또는 후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개구부(116)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는 수납 공간(S)을 포함하고 있고,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은 개방되어 형성되므로,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쓰레기 또는 동전 등과 같은 이물질이 투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로 인해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삽입하여 수납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와 무선 충전 모듈(106)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일부를 개방하여 형성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106)이 작동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력 송신부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개구부(116)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무선 충전 모듈(106)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할 수 있게 된다. 즉, 개구부(116)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무선 충전 모듈(106)과 열 교환 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거나 휴대 기기(50)를 살균 및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켜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있더라도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모듈(106)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구조물(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조물(10)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대시 보드, 좌석 시트 쿠션 하부, 및 앞 좌석 시트 백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구조물(10)이 차량의 내부 구조물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그 이외의 다양한 종류 및 형태를 가지는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실내 벽면 또는 가구 또는 전자 제품(예를 들어, 텔레비젼, 냉장고, 오디오, 세탁기 등) 등에 장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구조물(10)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구조물(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력 송신부만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형성되고, 무선 충전 모듈(106)의 충전 제어 회로는 구조물(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조물(10)의 내부에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하부에 이물질 수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124)는 개구부(116)에서 배출된 이물질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와 이물질 수납부(124) 사이에는 연통부(122)가 형성된다. 연통부(122)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개구부(116)와 이물질 수납부(124) 내의 공간을 연통하며 형성된다. 이물질 수납부(124)는 구조물(10)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124)에 이물질이 가득 차는 경우, 이물질 수납부(124)를 인출하여 이물질을 수거한 후 이물질 수납부(124)를 인입시킬 수 있다.
한편, 구조물(10)에는 상태 알림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26)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입구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26)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줄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전원 상태, 무선 충전 모듈(106)의 동작 상태(즉,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이온 발생기(108)의 동작 상태, 및 자외선 조사부(110)의 동작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각 구성들(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기(108), 및 자외선 조사부(110) 등)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의 동작 지속 시간 및 진행 정도(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한 휴대 기기(5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진행 정도, 이온 발생기(108)의 동작 시간, 자외선 조사부(110)의 살균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는 예를 들어, 착신 신호 수신(즉, 전화가 걸려온 경우),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및 SNS 메시지 수신(예를 들어, 카카오톡, 카카오 스토리, 페이스북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상태 알림부(126)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 표시 및 음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로 알려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개구부(116)가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입구와 대향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양단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일단(전단)에는 입구 커버(112)가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타단(후단)에는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후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리브(128)가 형성된다. 지지 리브(128)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리브(128)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양측면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리브(128)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후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리브(128)는 휴대 기기(50)의 폭 및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폭 등을 고려하여 그 형성되는 위치 및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지지 리브(128)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는 걸림부(104)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후단 전체가 개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후단(배면) 일부가 개방되어 개구부(116)를 이룰 수도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유선 접속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접속부(130)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접속부(130)는 케이블(예를 들어, 데이터 케이블, 충전 케이블,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유선 접속부(130)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동작을 함께 수행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 입구 커버(112)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112)는 제1 입구 커버(112-1) 및 제2 입구 커버(112-2)를 포함한다. 제1 입구 커버(112-1)는 제1 힌지(141-1)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구 커버(112-2)는 제2 힌지(141-2)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 타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구 커버(112-1)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제1 위치 고정부(11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부(114-1)는 제1 입구 커버(112-1)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구 커버(112-2)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제2 위치 고정부(11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위치 고정부(114-2)는 제2 입구 커버(112-2)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에는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입구 커버(112-1) 및 제2 입구 커버(112-2)는 각각 휴대 기기(50)에 밀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가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게 된다.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는 각각 제1 힌지(141-1) 및 제2 힌지(141-2)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 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에 의해 고정되는 휴대 기기(50)의 위치가 무선 충전 모듈(106)의 위치와 대응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되며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휴대 기기(5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는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에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1)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고,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1)와 대향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1)는 제1 탄성 부재(131-1) 및 제1 탄성 부재(131-1)와 힌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부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는 제2 탄성 부재(134-1) 및 제2 탄성 부재(134-1)와 힌지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부재(1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31-1) 및 제2 탄성 부재(134-1)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는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가 고정되는 위치는 무선 충전 모듈(106)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가이드 부재(131-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가이드 부재(134-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 내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가이드 부재(131-2)가 제1 탄성 부재(131-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고, 제2 가이드 부재(134-2)가 제2 탄성 부재(134-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타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즉, 무선 충전 모듈(106)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 모듈(106)의 위치로 유도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50)(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무선 충전 모듈(106)(보다 자세하게는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력 송신부)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지 않으면, 무선 충전이 어려울 뿐더러 무선 충전이 이루어진다 해도 무선 충전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특히, 휴대 기기(50)는 기종에 따라 다양한 크기(예를 들어, 갤럭시 노트 시리즈, 갤럭시 S 시리즈, 아이폰 시리즈 등)를 가지는데,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의 위치도 달라지므로,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108)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기 어렵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무선 충전 모듈(106)의 위치로 유도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양측 내벽에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 중 어느 하나에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토션 스프링 및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2 : 휴대 기기 수납부
104 : 걸림부
106 : 무선 충전 모듈
108 : 이온 발생기
110 : 자외선 조사부
112 : 입구 커버
112-1 : 제1 입구 커버
112-2 : 제2 입구 커버
114 : 위치 고정부
114-1 : 제1 위치 고정부
114-2 : 제2 위치 고정부
116 : 개구부
118 : 보호 패드
120 : 에어홀
122 : 연통부
124 : 이물질 수납부
126 : 상태 알림부
128 : 지지 리브
130 : 유선 접속부
131 :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
131-1 : 제1 탄성 부재
131-2 : 제1 가이드 부재
134 :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
134-1 : 제2 탄성 부재
134-2 : 제2 가이드 부재
141 : 힌지
141-1 : 제1 힌지
141-2 : 제2 힌지

Claims (14)

  1.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로 유입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바닥면, 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되어 수납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타측 바닥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되어 수납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개방된 타측에는 상기 휴대 기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리브가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로 유입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열 교환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구조물 내에 장착되고,
    상기 구조물 내에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하부에서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서 배출된 이물질을 수납하는 이물질 수납부가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납부는,
    상기 구조물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벽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 또는 복수 개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개방된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입구 커버; 및
    상기 입구 커버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상기 무선 충전 모듈과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40026140A 2013-03-20 2014-03-05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104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40A KR20150104421A (ko) 2014-03-05 2014-03-05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PCT/KR2014/011856 WO2015122611A1 (ko) 2014-02-12 2014-12-04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40A KR20150104421A (ko) 2014-03-05 2014-03-05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421A true KR20150104421A (ko) 2015-09-15

Family

ID=5424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140A KR20150104421A (ko) 2013-03-20 2014-03-05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44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6884B2 (en)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multi-station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816636B2 (en) Console door pocket for electronic devices
US9205159B2 (en) Multi-charg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KR102081718B1 (ko) 컵 홀더 장치
KR20150084210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2014009593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JP2016107686A (ja) アームレスト
KR20150107671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50104421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32079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178214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KR20160010972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6000717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60028764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69392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CN111903141A (zh) 扬声器设备和分配方法
US10142724B2 (en) Sound output devices
KR102158366B1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60010971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0475451Y1 (ko) 음향기기 렉 캐리어용 마이크 수납케이스
KR20150076517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20140128683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JP3174232U (ja) 携帯電話機等の電気機器類の消毒装置
KR20160036452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