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002A -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002A
KR20070031002A KR1020050085518A KR20050085518A KR20070031002A KR 20070031002 A KR20070031002 A KR 20070031002A KR 1020050085518 A KR1020050085518 A KR 1020050085518A KR 20050085518 A KR20050085518 A KR 20050085518A KR 20070031002 A KR20070031002 A KR 20070031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ain body
support
cup holder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002A/ko
Publication of KR2007003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5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후방에 뒷좌석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장착되는 컵 홀더에 휴대전화기, PDA 등의 전자기기의 안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승객이 전자기기를 이용하거나 보관하는 것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 백에 뒷좌석 승객이 컵을 받쳐 놓을 수 있도록 시트 백에 대하여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도중에 컵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홈형상의 지지홈부가 형성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양측으로는 좌측벽 및 우측벽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는 전방벽이 돌출형성되어 본체에는 후방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지되, 상기한 본체의 수납공간이 전방을 향하고 전방벽이 아래에 위치되도록 세운 후, 상기 수납공간에 휴대전화기나 PDA를 포함한 영상기기가 안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안치된 영상기기의 전면이 잡아주기 위한 서포트 바가 상기한 좌측벽과 우측벽 사이에 양단이 지지된 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컵 홀더, 전자기기 안치대, PDA, 서포트 바

Description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Cup holder having a chamber to set the mobile phone or the PDA}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컵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가 시트 백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가 전자기기 안치대로 사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가 영상기기 안치대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의 도면.
도 7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시트 백 30 : 컵 홀더
31 : 본체 32 : 좌측벽
33 : 우측벽 32a,33a : 작동공간
32b,33b : 지지축 32c,33c : 스톱퍼
32d,33d : 슬롯 33 : 전방벽
35 : 지지홈부 36 : 수납공간
40 : 서포트 바 41 : 좌측날개
42 : 우측날개 43,44 : 코일 스프링
50 : 컵 60 : 전자기기
본 발명은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 백에 뒷좌석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장착되는 컵 홀더에 휴대전화기, PDA 등의 전자기기의 안치고 가능하고록 하여 승객이 전자기기를 이용하거나 보관하는 것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버스와 같이 승객의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좌석의 시트 백(10)에 컵 홀더(11), 소지품이나 쓰레기의 보관을 위한 포켓(12) 등이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최근 대부분의 승객은 휴대전화기, PDA, 휴대용 게임기, 영상기기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것이 일 반적인데도 불구하고, 전자기기를 소지한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예의 전자기기를 보관하거나 안치할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PDA 등을 통해서 동영상을 시청한다든가 인터넷을 이용하게 될 경우에 손으로 전자기기를 들고 있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기의 경우에도 별도의 안치대에 보관되지 못하고 승객의 가방이나 호주머니, 또는 앞좌석의 시트 백에 형성되어 있는 포켓 등에 꽂아두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시트 후방에 뒷좌석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장착되는 컵 홀더에 휴대전화기, PDA 등의 전자기기의 안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승객이 전자기기를 이용하거나 보관하는 것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의 시트 백에 뒷좌석 승객이 컵을 받쳐 놓을 수 있도록 시트 백에 대하여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도중에 컵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홈형상의 지지홈부가 형성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양측으로는 좌측벽 및 우측벽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는 전방벽이 돌출형성되어 본체에는 후방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지되, 상기한 본체의 수납공간이 전방을 향하고 전방벽이 아래에 위치되도록 세운 후, 상기 수납공간에 휴대전화기나 PDA를 포함한 영상기기가 안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안치된 영상기기의 전면이 잡아주기 위한 서포트 바가 상기한 좌측벽과 우측벽 사이에 양단이 지지된 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백 컵 홀더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컵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가 시트 백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가 전자기기 안치대로 사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가 영상기기 안치대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컵 홀더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가 장착되는 시트 백을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컵 홀더(30)는 컵을 받치는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전화기나 PDA 등과 같은 전자기기(60)의 지지 및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전화기나 PDA 등을 포함한 전자기기(6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컵 홀더(30)의 본체(31) 양측에는 각각 좌측벽(32) 및 우측벽(33)이 상기 본체(31)의 바닥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전방에도 전방벽(34)이 본체(31)의 바닥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컵 홀더(30)의 본체(31)에는 컵(50)의 바닥을 받치기 위해 원형의 홈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홈부(35) 이외에 상기한 좌측벽(32), 우측벽(33) 및 전방벽(34)에 의해서 3면이 감싸진 수납공간(36)이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컵 홀더(30)의 기능이 전자기기(60)를 지지하거나 보관하는 기능으로 사용될 경우에 수평상으로 위치되어 있던 컵 홀더(30) 본체(31)가 수직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본체(31)의 후방단은 시트 백(20)에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한 컵 홀더(30)가 전자기기 안치대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수납공간(36)이 전방을 향하고 그 전방벽(34)이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31)는 힌지(37)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좌측벽(32)과 우측벽(33) 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30)가 컵을 받치는 기능을 할 때에는 컵(50)의 전방측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30)가 전자지기(60)를 지지 및 보관하는 전자기기 안치대로 사용될 경우에는 전자기기(60)의 전면을 잡아주기 위한 기능을 하는 서포트 바(40) 가 형성된다.
서포트 바(40)는 지지하는 대상에 따라서 본체(31)의 바닥면에 대한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포트 바(40)의 위치조절수단으로서 좌측벽(32)과 우측벽(33)에는 소정크기의 작동공간(32a,33a)이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작동공간(32a,33a)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축(32b,3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축(32b,33b)에는 코일 스프링(43,44)이 태엽식으로 말린 채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43,44)의 외측 끝단이 상기한 서포트 바(40)에 양단에 각각 고정장착된다. 서포트 바(40)의 양단에는 각각 약 90도 각도로 절곡형성된 좌측날개(41)와 우측날개(42)가 위치되고, 상기 좌측날개(41) 및 우측날개(42)의 외측면에 코일 스프링(43,44)의 일단이 고정장착된다.
즉, 컵 홀더(30)를 전자기기(60)를 지지 및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체(31)를 수직상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한 서포트 바(40)를 당기게 되면 태엽형식으로 지지축(32b,33b)에 말린 코일 스프링(43,44)이 인장되면서 서포트 바(40)가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한 서포트 바(40)를 외측으로 당기던 힘이 제거될 때에는 상기한 코일 스프링(43,44)의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서포트 바(40)는 본체(31)의 바닥면을 향하여 복귀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컵 홀더(30)가 컵(50)을 받치는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에 본체(31)에 홈형상으로 마련된 지지홈부(35)에 컵(50)의 하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컵(50)이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에 대비하여 상기한 서포트 바(40)로써 컵(50)의 전면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한 서포트 바(40)는 코일 스프링(43,44)의 압축력에 의하여 본체(31)를 향하려는 성질이 가지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한 서포트 바(40)가 컵(50)의 중앙부 측면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32c,33c)의 형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스톱퍼(32c,33c)를 작동공간(32,33)의 일측면에 좌측벽(32) 및 우측벽(33)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한 서포트 바(40)를 전방으로 당겨 스톱퍼 바(40)의 양측 하단이 스톱퍼(32c,33c)의 위에 놓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코일 스프링(43,44)이 감겨 있는 지지축(32b,33b)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스톱퍼(32c,33c)가 위치되어지되, 상기 스톱퍼(32c,33c)의 하측으로 지지축(32b,33b)의 안내를 받으며 코일 스프링(43,44)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바(40)의 양단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43,44)의 도중이 통과될 수 있도록 스톱퍼(32c,33c)와 작동공간(32,33)의 외측벽 사이에는 슬롯(32d,33d)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한 서포트 바(40)를 조작하여 컵(50)의 전방측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포트 바(40)의 양단이 스톱퍼(32c,33c)의 상측면 높이보다 밖에 위치되도록 당긴 상태에서 상기한 서포트 바(40)의 양단이 스톱퍼(32c,33c)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전방벽(34)을 향해 당기게 되는 것이다. 스톱퍼(32c,33c)의 상부면에 서포트 바(40)가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포트 바(40)를 당기고 있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서포트 바(40)의 양측 끝단이 스톱퍼(32c,33c)의 상면에 지지되고, 결국 상기한 서포트 바(40)는 컵(50)의 전방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서포트 바(40)의 내측면 즉, 전자기기(60)가 접촉되는 면에는 전자기기(60)에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패드(45)가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컵 홀더(30)를 컵(50)을 받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컵 홀더(30)의 본체(31)를 회동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서포트 바(40)를 외측으로 끌어내어 서포트 바(40)의 양측 하단이 스톱퍼(32c,33c)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로 셋팅한다. 서포트 바(40)의 셋팅이 끝난 후에 사용자는 컵(50)의 하부가 본체(31)에 형성된 지지홈부(35)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상기한 서포트 바(40)가 컵(50)의 중간부 전면을 지지해주므로서 차량 주행에 따른 흔들림이 전달되더라도 컵(50)이 승객을 향해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한 컵 홀더(30)를 전자기기 안치대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가 수직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킨다. 그런 다음, 좌측벽(32)과 우측벽(33) 및 전방벽(34)으로 이루어진 수납공간(36)에 휴대폰 또는 PDA를 포함한 전자기기(60)를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상기한 서포트 바(40)를 외측으로 당기어 전자기기(60)가 수납공간(36)으로 원활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전자기기(60)의 하단이 상기한 전방벽(34)에 닿게 되면 사용자는 외측으로 당기고 있던 서포트 바(40)를 놓게 되는데, 상기 서포트 바(40)는 태엽형식으로 형성된 코일 스프링(43,44)에 의해서 그 내측면이 전자기기(60)의 외측면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60)의 하단은 전방벽(34)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 전면은 서포트 바(40)에 의해서 지지되어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전자기기(60)는 넘어지지 않게 되고, 좌석에 앉은 승객은 전자기기(6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보다 편안한 상태로 지켜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수납공간(36)에는 휴대전화기나 PDA 뿐만이 아니라, 악세사리나 소지품 등 다양한 물품이 보관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되는 시트 백 컵 홀더는 전자기기 안치대를 겸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서 사용자가 좌석에 편안하게 앉아서 휴대폰이나 PDA 등의 전자기기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컵을 받쳐 놓은 경우에는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서포트 바의 위치를 조절하여 컵의 전방면이 지 지되도록 하므로서 컵이 승객을 향하여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차량의 시트 백에 뒷좌석 승객이 컵을 받쳐 놓을 수 있도록 시트 백에 대하여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도중에 컵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홈형상의 지지홈부가 형성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31)의 양측으로는 좌측벽(32) 및 우측벽(33)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31)의 전방에는 전방벽(34)이 돌출형성되어 본체(31)에는 후방이 개방된 수납공간(36)이 형성되어지되,
    상기한 본체(31)의 수납공간(36)이 전방을 향하고 전방벽(34)이 아래에 위치되도록 세운 후, 상기 수납공간(36)에 휴대전화기나 PDA를 포함한 영상기기(60)가 안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36)에 안치된 영상기기(60)의 전면이 잡아주기 위한 서포트 바(40)가 상기한 좌측벽(32)과 우측벽(33) 사이에 양단이 지지된 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서포트 바(40)는 본체(31)를 향해 끌리는 힘을 받도록 그 양단이 각각 좌측벽(32)과 우측벽(33)에는 지지축(32b,33b)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32b,33b)에 코일형상으로 감긴 코일 스프링(43,44)의 일단이 상기한 서포트 바(40)의 양단에 고정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 의 컵 홀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31)가 컵(50)의 지지를 위해 사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었을 경우에, 상기한 서포트 바(40)를 외측으로 인출시켜 컵(50)의 측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셋팅하기 위하여 상기한 좌측벽(32)과 우측벽(33)에는 스톱퍼(32c,33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서포트 바(40)의 내측면에는 패드(45)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KR1020050085518A 2005-09-14 2005-09-14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KR20070031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518A KR20070031002A (ko) 2005-09-14 2005-09-14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518A KR20070031002A (ko) 2005-09-14 2005-09-14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002A true KR20070031002A (ko) 2007-03-19

Family

ID=4365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518A KR20070031002A (ko) 2005-09-14 2005-09-14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00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12B1 (ko) * 2008-05-22 2010-06-1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노트북 고정장치
KR20150032080A (ko) 2013-09-17 2015-03-25 주식회사 대창 컵 홀더 장치
KR20150074359A (ko)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대창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60118737A (ko)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대창 전자파 차폐 케이스
KR20160118789A (ko)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대창 단말기 수납 장치
US9908479B2 (en) 2015-10-05 2018-03-06 Hyundai Motor Company Supporter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or article in vehicle
CN111823991A (zh) * 2019-04-15 2020-10-27 丰田合成株式会社 旋转式托架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12B1 (ko) * 2008-05-22 2010-06-1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노트북 고정장치
KR20150032080A (ko) 2013-09-17 2015-03-25 주식회사 대창 컵 홀더 장치
KR20150074359A (ko)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대창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60118737A (ko)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대창 전자파 차폐 케이스
KR20160118789A (ko)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대창 단말기 수납 장치
US9908479B2 (en) 2015-10-05 2018-03-06 Hyundai Motor Company Supporter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or article in vehicle
CN111823991A (zh) * 2019-04-15 2020-10-27 丰田合成株式会社 旋转式托架装置
CN111823991B (zh) * 2019-04-15 2022-08-02 丰田合成株式会社 旋转式托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1002A (ko)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US9278648B2 (en) Device for attaching a tablet computer
CN106274592B (zh) 用于车辆的能折叠桌组件
US7168669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for vehicle
US8827341B2 (en) Vehicle portable device holding system
US8777173B2 (en) Holding apparatus
US7364230B2 (en) Portable mounting device for mobile entertainment unit
JP2003200785A (ja) センタコンソールアセンブリ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9296340B2 (en) Device for attaching a tablet computer
US10351067B2 (en) Mobility devic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AU2012216737A1 (en) Retaining device
KR101397329B1 (ko) 깊이 조절 가능한 컵 홀더 장치
CN113226117A (zh) 多功能托架
JP5925565B2 (ja) 車両用保持装置
JP2002104052A (ja) 小物収納装置
JP6163400B2 (ja) 車両のトレー構造
KR10139536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리어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KR101905945B1 (ko) 충전장치
CN210258154U (zh) 一种汽车用储物盒式杯托
KR102552156B1 (ko)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KR100643958B1 (ko)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JP2009143507A (ja) 車両用収納装置
CN108420219B (zh) 长条部件支承装置、后壳以及带后壳座椅
KR101439443B1 (ko) 차량용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