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444B1 -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444B1
KR101118444B1 KR1020100053656A KR20100053656A KR101118444B1 KR 101118444 B1 KR101118444 B1 KR 101118444B1 KR 1020100053656 A KR1020100053656 A KR 1020100053656A KR 20100053656 A KR20100053656 A KR 20100053656A KR 101118444 B1 KR101118444 B1 KR 101118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hone battery
battery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955A (ko
Inventor
봉민
Original Assignee
봉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민 filed Critical 봉민
Priority to KR102010005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44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재충전이 가능한 휴대폰배터리를 통해 MP3, 핸드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로 보조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자원 절약 및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휴대폰배터리를 폐기하기 위해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을 줄여 이로 인한 대기 및 수질, 토양오염을 예방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 고정부재를 통해 휴대폰배터리를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THE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AUXILIARY POWER FEED MECHANISM WHICH USES THE FLOWERY WORDS CHARGING BATTERY}
본 발명은 재충전이 가능한 휴대폰배터리를 통해 MP3, 핸드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로 보조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자원 절약 및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휴대폰배터리를 폐기하기 위해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을 줄여 이로 인한 대기 및 수질, 토양오염을 예방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 고정부재를 통해 휴대폰배터리를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색소비자연맹에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게재한 글에 따르면 한해 폐기되는 국내 핸드폰은 1400만대 가량되는데, 이 중 300만대만이 수거되고, 나머지 1,100만대는 가정에서 보관되거나 쓰레기로 배출되고 있다 한다.
이렇게 버려지는 핸드폰 한대당 스페어 배터리를 포함한 평균 2개의 핸드폰 배터리가 버려진다고 가정할 때, 그 수는 폐핸드폰의 두배인 2,200만개 이상이 된다.
해가 갈수록 폐핸드폰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한 가구당 평균 1.5대의 폐핸드폰을 보관하고 있고, 한 해당 버려지는 폐핸드폰 배터리들은 단순한 폐기물로 여겨지고 있으나, 소비자의 핸드폰 교체주기가 2년 안팎으로 단축된 것일 뿐 폐핸드폰 배터리 자체의 기능과 수명에는 문제가 없다.
본 발명자는 재충전이 가능한 휴대폰배터리를 통해 MP3, 핸드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로 보조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자원 절약 및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휴대폰배터리를 폐기하기 위해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을 줄여 이로 인한 대기 및 수질, 토양오염을 예방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 고정부재를 통해 휴대폰배터리를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재충전이 가능한 휴대폰배터리를 통해 MP3, 핸드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로 보조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자원 절약 및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휴대폰배터리를 폐기하기 위해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을 줄여 이로 인한 대기 및 수질, 토양오염을 예방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 고정부재를 통해 휴대폰배터리를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폰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배터리 접속핀과,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접속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 전원접속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휴대폰배터리를 고정시키는 위치조절 고정부재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접속핀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는 USB 접속단자, 24핀 접속단자 및 20핀 접속단자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또한, 상기 배터리 접속핀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로 출력하는 전압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발광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충전된 휴대폰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에는 스피커와, 외부 오디오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입력접속부와, 상기 오디오입력접속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전원접속부와 상기 휴대용전자기기를 상호접속시키는 케이블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재충전이 가능한 휴대폰배터리를 통해 MP3, 핸드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로 보조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배터리를 생활용품으로 재활용하여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자원 절약 및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휴대폰배터리를 폐기하기 위해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을 줄여 이로 인한 대기 및 수질, 토양오염을 예방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 고정부재를 통해 휴대폰배터리를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휴대폰배터리의 접속단자의 형성위치 및 휴대폰배터리의 접속단자 사이의 전후간격에 따라 배터리 접속핀의 전후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USB 접속단자와 핀접속단자 중 선택된 1종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전원접속부를 통해 휴대폰배터리를 보다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음은 물론 MP3, 핸드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로 휴대폰배터리의 전원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전압조절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 접속핀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입력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접속핀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세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전원스위치를 통해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발광부가 휴대폰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특히, 야간에 상기 발광부가 빛을 발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오디오입력접속부 및 증폭부를 통해 필요에 따라 외부 오디오장치의 입력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와 상기 휴대용전자기기를 상호접속시키는 케이블커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폰배터리로 외부의 전원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하여 충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전자기기로도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전원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몸체에서 상부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배터리 접속핀이 개별적으로 각각 전후이동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9는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구비된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몸체에서 상부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위치조절 고정부재(30) 및 상부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에는 수용공간(110), 배터리 접속핀(도 3의 130) 및 외부 전원접속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공간(110)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10)에는 재충전이 가능한 휴대폰배터리가 수용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일측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5)의 일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는 접속단자(미도시)와 접속된다.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15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150)는 공지된 케이블커넥터 등을 통해 외부의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폰배터리(5)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150)는 공지된 상기 케이블커넥터 등을 통해 MP3, 핸드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 휴대폰배터리(5)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10)에는 상기 케이블커넥터 상기 휴대폰배터리(5)로 공급 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미도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춘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조절 고정부재(3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5)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위치조절되어 휴대폰배터리(5)와 접하여 휴대폰배터리(5)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커버(50)는 상기 몸체(10)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수평안착되어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을 커버 즉, 개폐하게 된다.
도 5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 고정부재(30)는 크게, 전후위치조절 고정판(310), 좌우위치조절 고정판(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위치조절 고정판(310)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후 가이드홈(111)을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전후 가이드홈(111)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 바닥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위치조절 고정판(3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후 가이드홈(111)내에 수용되어 상기 전후위치조절 고정판(310)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전후 가이드돌기(311)가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 가이드돌기(311)는 상기 전후위치조절 고정판(310) 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위치조절 고정판(330)은 상기 전후 가이드홈(111)과 직교하도록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 바닥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좌우 가이드홈(113)을 따라 사용자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상기 좌우 가이드홈(113)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위치조절 고정판(330)의 하부면에는 상기 좌우 가이드홈(113)내에 수용되어 상기 좌우위치조절 고정판(330)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좌우 가이드돌기(331)가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가이드돌기(331)는 상기 좌우위치조절 고정판(330)의 하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 가이드홈(111)의 일측 내주면과 타측 내주면에는 반원형상의 고정홈(111a)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후 가이드돌기(311)의 일측과 타측에는 고정부재(3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11a)는 상기 전후 가이드돌기(311)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각각 수평구비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311a1)와; 상기 탄성부재(311a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홈(111a)내에 삽입되는 단면형상이 원형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볼부재(311a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11a)를 통해 상기 전후위치조절 고정판(310)이 전후이동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 가이드홈(113)의 전측 내주면과 후측 내주면에는 반원형상의 고정홈(113a)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가이드돌기(331)의 전측과 후측에는 고정부재(33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31a)는 상기 좌우 가이드돌기(331)의 전측 내부와 후측 내부에 각각 수평구비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331a1)와; 상기 탄성부재(331a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홈(113a)내에 삽입되는 단면형상이 원형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볼부재(331a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31a)를 통해 상기 좌우위치조절 고정판(330)이 좌우이동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은 상기 수용공간(110)내에서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은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후 가이드홈(112)을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전후이동하는 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의 타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의 일측면에는 상기 전후 가이드홈(112)내에 수용되어 상기 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전후 가이드돌기(133)가 상기 전후 가이드홈(112)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 가이드홈(112)의 상측 내주면과 하측 내주면에는 반원형상의 고정홈(112a)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후 가이드돌기(133)의 상측과 하측에는 고정부재(13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3a)는 상기 전후 가이드돌기(133)의 상측 내부와 하측 내부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33a1)와; 상기 탄성부재(133a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홈(112a)내에 삽입되는 단면형상이 원형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있는 볼부재(133a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3a)를 통해 상기 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이 전후이동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휴대폰배터리(5)의 접속단자(미도시)의 전후형성위치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 모두의 전후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배터리 접속핀(130)이 개별적으로 각각 전후이동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은 앞서 상술한 바와 달리 개별적으로 전후위치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은 제 1, 2, 3배터리 접속핀(130a, 130b, 130c)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은 제 1, 2, 3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b, 131c, 131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b)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 1배터리 접속핀(130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c)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 2배터리 접속핀(130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3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d)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 3배터리 접속핀(130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3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b, 131c, 131d)은 사용자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전후 가이드홈(112)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 1, 2, 3배터리 접속핀(130a, 130b, 130c) 역시 상기 제 1, 2, 3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b, 131c, 131d)을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3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b, 131c, 131d)은 상기 제 1, 2, 3전후위치조절 고정판(131b, 131c, 131d)의 상극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후가이드홈(112)의 고정홈(112a)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고정부재(133a)에 의해 각각 전후이동된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휴대폰배터리(5)의 접속단자(미도시) 사이의 전후간격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의 전후위치를 각각 개별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15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USB 접속단자(151)와 핀접속단자(153)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핀접속단자(153)는 24핀 접속단자 또는 20핀 접속단자로 이루어지거나 30핀 접속단자 등 다양한 핀접속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몸체(10)의 일측면 후측에는 상기 USB 접속단자(15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몸체(10)의 일측면 전측에는 상기 핀접속단자(1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USB 접속단자(151)와 핀접속단자(153)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150)를 통해 휴대폰배터리(5)를 보다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음은 물론 MP3, 핸드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미도시)로 휴대폰배터리(5)의 전원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전압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압조절부(미도시)는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상기 전압조절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전측면에는 상기 전압조절부(미도시)로 설정전압을 입력할 수 있는 전압입력버튼(미도시)이 누름식 버튼 다이얼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압조절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상기 전압조절부(미도시)에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150)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외부전원접속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전자기기(미도시)의 입력전압세기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세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LED 등의 발광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전측면 타측에는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고 충전된 휴대폰배터리(5)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12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180)는 주전원스위치(181)와 보조전원스위치(18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전원스위치(181)와 보조전원스위치(183)는 상기 몸체(10)의 전측면 타측에 누름식 또는 다이얼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주전원스위치(181)를 ON상태 및 OFF상태로 조작하여 휴대폰배터리(5)의 전원을 휴대용 전자기기(미도시) 및 후술할 스피커(12)로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주전원스위치(181)를 ON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보조전원스위치(183)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휴대폰배터리(5)의 전원은 상기 발광부(120)로 공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발광부(120)가 빛을 발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스위치(180)의 보조전원스위치(183)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상기 발광부(120)가 빛을 발광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특히, 야간에 상기 발광부(120)가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 몸체(10)의 하부면에 구비된 스피커(12)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에는 스피커(12), 오디오입력접속부(14) 및 증폭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2)는 상기 몸체(10)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입력접속부(14)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전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 오디오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오디오입력접속부(14)는 공지된 케이블커넥터 등을 통해 외부 오디오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증폭부(미도시)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오디오입력접속부(14)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12)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상기 스피커(12), 오디오입력접속부(14) 및 증폭부(미도시)를 통해 필요에 따라 외부 오디오장치의 입력신호를 상기 스피커(12)를 통해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전측면에는 외부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폰배터리(5)가 충전될 시 빛을 발광하여 휴대폰배터리(5)가 충전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LED 등의 공지된 충전램프(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전측면에는 상기 스피커(12)가 출력하는 음성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볼륨조절부(18)가 다이얼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휴대폰배터리(5)를 이용하여 MP3, 핸드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미도시)로 보조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배터리(5)를 생활용품으로 재활용하여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자원 절약 및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휴대폰배터리(5)를 폐기하기 위해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을 줄여 이로 인한 대기 및 수질, 토양오염을 예방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5)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상기 위치조절 고정부재(30)를 통해 휴대폰배터리(5)를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 휴대폰배터리, 10; 몸체,
12; 스피커, 14; 오디오 입력접속부,
16; 충전램프, 18; 볼륨조절부,
110; 수용공간, 111, 112; 전후 가이드홈,
111a, 112a, 113a; 고정홈, 113; 좌우 가이드홈,
120; 발광부, 130; 배터리 접속핀,
130a; 제 1배터리 접속핀, 130b; 제 2배터리 접속핀,
130c; 제 3배터리 접속핀,
131, 310; 전후위치조절 고정판, 133a, 311a, 331a; 고정부재,
133a1, 311a1, 331a1; 탄성부재, 133a2, 311a2, 331a2; 볼부재,
131b; 제 1전후위치조절 고정판,
131c; 제 2전후위치조절 고정판,
131d; 제 3전후위치조절 고정판,
150; 외부전원접속부, 151; USB접속단자,
153; 핀 접속단자, 180; 전원스위치,
181; 주전원스위치, 183; 보조전원스위치,
30; 위치조절 고정부재, 311; 전후 가이드돌기,
330; 좌우위치조절 고정판, 331; 좌우 가이드돌기,
50; 상부커버.

Claims (7)

  1. 휴대폰배터리(5)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0)과, 상기 수용공간(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5)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배터리 접속핀(130)과,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 전원접속부(150)가 구비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휴대폰배터리(5)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휴대폰배터리(5)를 고정시키는 위치조절 고정부재(30)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을 커버하는 상부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치조절 고정부재(3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후 가이드홈(1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부재(311a)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전후위치조절 고정판(310)과;
    상기 전후 가이드홈(111)과 직교하도록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 바닥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좌우 가이드홈(113)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부재(331a)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좌우위치조절 고정판(3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150)는 USB 접속단자(151)와 핀접속단자(153)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터리 접속핀(130)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원접속부(150)로 출력하는 전압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에는 스피커(12)와, 외부 오디오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입력접속부(14)와, 상기 오디오입력접속부(14)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12)로 출력하는 증폭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발광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고 충전된 휴대폰배터리(5)의 전원을 휴대용 전자기기와 상기 스피커(12) 및 상기 발광부(120)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80)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스위치(180)는 휴대폰배터리(5)의 전원을 휴대용 전자기기 및 상기 스피커(12)로 공급 및 차단하는 주전원스위치(181)와;
    휴대폰배터리(5)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120)로 공급 및 차단하는 보조전원스위치(183);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전원접속부(150)와 상기 휴대용전자기기를 상호접속시키는 케이블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53656A 2010-06-08 2010-06-08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KR101118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656A KR101118444B1 (ko) 2010-06-08 2010-06-08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656A KR101118444B1 (ko) 2010-06-08 2010-06-08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955A KR20110133955A (ko) 2011-12-14
KR101118444B1 true KR101118444B1 (ko) 2012-03-06

Family

ID=4550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656A KR101118444B1 (ko) 2010-06-08 2010-06-08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79Y1 (ko) * 2013-06-18 2013-11-06 원희진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77Y1 (ko) * 2013-07-22 2015-03-20 김형일 휴대용 휴대폰 및 충전지 충전기
CA3133454A1 (en) * 2019-03-15 2020-09-24 The Coleman Company, Inc. Battery p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9382B1 (en) 2002-07-27 2003-10-28 Eagle Fan Mobile phone charger with automatic ligh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9382B1 (en) 2002-07-27 2003-10-28 Eagle Fan Mobile phone charger with automatic l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79Y1 (ko) * 2013-06-18 2013-11-06 원희진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955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080231225A1 (en)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solar power, and clothing assembly having the same
JPWO2015063994A1 (ja) 電源装置
KR101437948B1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KR101118444B1 (ko)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US7492582B2 (en)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solar cell module
JP2006504240A (ja) 外装型電池パック
CN103872718A (zh) 名片盒式移动电源
KR20110120378A (ko) 휴대폰 멀티 충전기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CN205407893U (zh) 带大容量电池蓝牙音箱手机
KR200478882Y1 (ko)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용 파워팩
US20110012555A1 (en) Charging device and connection element
CN204026193U (zh) 折叠式太阳能台灯
CN205304273U (zh) 一种移动电源
CN105892579A (zh) 多功能键盘及显示装置
US20090045770A1 (en) Headgear assembly capable of collecting solar power
KR20060107145A (ko) 무선 충전기 거치형 메모판
KR20160089120A (ko) 착탈식 배터리 및 이와 연결되는 전자 기기
KR200215562Y1 (ko) 빛 에너지를 이용한 핸드폰 충전배터리
US2014018520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N220359151U (zh) 一种手持机结构
CN214045713U (zh) 一种带蓝牙音箱的手机支架
KR20170118553A (ko) 배터리 호환이 가능한 휴대용 충전기
KR20027460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