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568B1 - 휴대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568B1
KR101533568B1 KR1020140035809A KR20140035809A KR101533568B1 KR 101533568 B1 KR101533568 B1 KR 101533568B1 KR 1020140035809 A KR1020140035809 A KR 1020140035809A KR 20140035809 A KR20140035809 A KR 20140035809A KR 101533568 B1 KR101533568 B1 KR 10153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rtable terminal
guide
guide pip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규
Original Assignee
김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규 filed Critical 김춘규
Priority to KR102014003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휴대단말기의 하단테두리와 양측테두리 뿐만 아니라 상단테두리도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단테두리 파지구조를 개선하여 휴대단말기의 장착 및 분리에 방해를 주지않으면서도 파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체케이스의 회동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조절된 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손쉽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거치대{HOLDER FOR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핸드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휴대단말기를 오토바이 등에 설치하기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휴대단말기의 하부면과 양측테두리는 물론, 상측 테두리까지 감싸는 형태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휴대단말기의 이탈 현상을 최소화 하되, 상측테두리를 감싸는 클램프의 상하 위치조절 및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장착 및 분리가 손쉽도록 함과 동시에 적정 수준의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에는 핸드폰 등의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설치된다.
종래 거치대는 본체케이스 하단부에 갈고리 형태의 하단파지부(200)가 형성되고 양측 테두리에는 날개 형태의 측면파지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본체케이스 전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단파지부가 휴대단말기의 하단테두리를 지지하고 양 측면파지부가 각각 휴대단말기의 양측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는 하단테두리와 양 측면테두리에 의해 하측 및 양측으로 흔들리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거치대를 오토바이 등 운행 중 진동발생이 심한 대상물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거치대가 휴대단말기의 좌우하측으로의 요동은 어느 정도 막을 수는 있지만 휴대단말기가 위쪽으로 이동하려는 현상을 막기 어렵다.
물론 양 측면파지부의 가압력에 의해 이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오토바이 처럼 운행중 요동이 심할 경우 양 측면파지부의 가압력 만으로는 해당 현상을 완전히 방지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본체케이스 상단에 휴대단말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쌀만한 구조를 설치할 경우 휴대 단말기의 장착이나 분리 시 방해요인이 되므로, 불가피하게 양 측면파지부와 하단파지부만을 구비한 상태로 제작 및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88309호(2013.07.16)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휴대단말기의 하단테두리와 양측테두리 뿐만 아니라 상단테두리도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단테두리 파지구조를 개선하여 휴대단말기의 장착 및 분리에 방해를 주지않으면서도 파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체케이스의 회동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조절된 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손쉽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는,
설치 대상물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측면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관, 상기 본체의 하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측에 위치한 휴대단말기의 하단 테두리를 지지하는 하단파지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측에 위치한 휴대단말기의 좌우 양측 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측면파지부, 상기 가이드관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측에 위치한 휴대단말기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상단파지부 상단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파지부는 상기 양 가이드관(400)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관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직선이동이 가능하고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승강편, 상기 양 승강편 상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싸는 상단파지편 및 상기 양 가이드관 내부 중 상기 양 승강편 하단부와 상기 가이드관 내부 하단부를 연결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는 하강유도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강유도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편 하단부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관 내부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편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인장됨과 동시에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편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승강편과 함께 승강되는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 상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편과 이탈방지돌기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걸럼턱에 걸려 추가 상승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후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후측단부면 중앙에는 원형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은 요철부가 내부둘레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유도블록, 링 형태이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외부둘레면에는 결합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철부와 치합되어 있고 내부둘레면에는 체결홈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외부둘레면이 중앙을 향해 수축이 가능하고 수축과 동시에 반대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는 탄성링,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후측면과 마주하고 있는 연결판, 상기 회전판 중 상기 회전유도블록과 마주하는 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링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외부둘레면에는 각 체결홈에 끼워지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블록, 상기 회전판의 후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설치 대상물의 둘레를 감싸 고정되는 장착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단파지부가 휴대단말기의 상단테두리까지 감싸 지지할 수 있으므로, 결국 하단파지부와 측면파지부 및 상단파지부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상하좌우 테두리를 동시에 감쌀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체에 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상단파지부의 승강편이 가이드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하되 하강유도 탄성부재에 의해 아래쪽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발휘됨에 따라,
상단파지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장착하고 장착 후 상단파지부가 하강유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고 휴대단말기의 상단 테두리를 가압지지하므로 휴대단말기의 장착 및 분리 시 상단파지부가 전혀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며 다양한 길이의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승강편이 최대 상승하였을 때 이탈방지돌기가 가이드관의 걸림턱에 걸려 추가적인 상승을 차단함에 따라, 승강편이 상승과정에서 가이드관으로부터 원치 않게 완전히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본체가 탄성링의 결합돌기와 회전유도블록의 요철부 간 치합구조에 의해 각 요철부가 각 결합돌기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감에 따라 상기 고정블록을 중심으로 일정각도씩 다단으로 회동될 수 있고,
각 요철부의 돌출지점이 각 결합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링의 외부둘레면이 중심지점을 향해 수축됨에 따라 요철부의 돌출지점이 각 결합돌기를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고, 타고 넘어감과 동시에 탄성링의 탄성력에 의해 각 결합돌기가 요철부의 함몰지점에 끼워져 원치않는 추가회전이 차단된다.
도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결합사시도
도3은 상단파지부가 하강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4는 도3 상태의 일부 측단면도
도5는 상단파지부가 상승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6은 도5 상태의 일부 측단면도
도7은 회전유도블록과 탄성링, 고정블록, 회전판 및 장착밴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8은 도7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후면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하단파지부(200), 측면파지부(300), 가이드관(400) 및 상단파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거치대의 뼈대 역할 및 장착될 휴대단말기의 후면 지지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스(110) 내부에 후술할 측면파지부(300)의 벌어짐과 오므라짐 작동을 위한 구동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10) 전측에는 커버판(120)이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후술할 측면파지부의 작동을 위한 구동부(130)는 양 측면파지부(30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시켜 상호 간 간격을 좁히거나 자동으로 벌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당 구동부(130)는 공지의 거치대에 적용된 기술을 통해 구현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측면파지부의 단순 양방향 직선이동만을 구현하고 상호 간 간격을 자동으로 벌리는 구조가 필요 없을 경우, 구동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체(100)에는 하단파지부(200)가 연결된다.
하단파지부(200)는 휴대단말기(2)의 하단테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L" 형태로 상단부가 케이스(110) 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아래 구간이 본체(100)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참고로 하단파지부(200)의 돌출길이나 폭 등은 장착될 휴대단말기(2)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단파지부(200)가 설치된 본체(100)에는 측면파지부(300)가 연결된다.
측면파지부(300)는 휴대단말기(2)의 양 측면을 감싸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100) 양측에 상호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마치 날개형태로 본체 외측을 향해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양 측면파지부(300)의 측단부는 전측을 향해 구부러짐에 따라 휴대단말기(2)의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양 측면파지부(300)는 일측이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함에 따라 상호 간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좌우폭이 다양한 휴대단말기의 장착이 가능하다.
이때 양 측면파지부(300) 간 간격조절은 구동부(130)를 통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구동부를 통해 양 측면파지부(300) 간 간격이 원터치 형태로 자동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분리가 손쉽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양 측면파지부의 상하길이 등은 본체 크기를 고려하여 장착될 휴대단말기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파지부(300) 까지 설치된 본체(100)에는 가이드관(400)이 설치된다.
가이드관(400)은 후술할 상단파지부(500)의 설치 및 승강 경로 안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상단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태이고 케이스(110)의 후측면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관(400)은 상하 길이가 케이스(110)의 상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고 케이스와 별도로 제작되거나 동시에 성형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관(400) 내부의 상단지점에는 상단파지부(500)의 과도한 상승을 차단하기 위한 걸림턱(410)이 형성된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가이드관(400)이 두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이드관은 후술할 상단파지부(500)의 형상 등에 따라 하나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가이드관(400)에는 상단파지부(500)가 연결된다.
상단파지부(500)는 휴대단말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승강편(510)과 상단파지편(520) 및 하강유도 탄성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승강편(510)은 상단파지부(500)와 가이드관(400)의 연결기능 및 상단파지부(500) 승강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상하 일정길이를 갖는 직선 바아(BAR) 형태이고 양 가이드관(400)에 삽입된다.
이때 각 승강편(510)은 가이드관(40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다.
또한 각 승강편(510)은 가이드관(400)에 삽입되었을 때 상단부가 가이드관(400) 위쪽으로 약간 돌출된다.
상단파지편(520)은 이렇게 가이드관(400)으로부터 돌출된 각 승강편(510) 상단부를 상호 횡 방향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실질적으로 휴대단말기(2)의 상단 테두리 지지역할을 하는 것으로, 역시 바아 형태이고 양 승강편(510)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전측을 향해 갈로리 형태로 구부러져 있으며 상호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승강편(510)은 상단파지편(52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동시에 상하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각 승강편(510)에는 하강유도 탄성부재(530)가 연결된다.
하강유도 탄성부재(530)는 승강편(510)과 상단파지편(520)이 상승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발휘해 상단파지편(520)이 휴대단말기(2) 상단테두리를 강하게 가압 지지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코일스프링 형태이고 각 가이드관(400) 내부 중 각 승강편(510) 하단부와 가이드관(400)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승강편(510)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가이드관(400) 바닥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각 승강편(510)이 상승될 때 각 하강유도 탄성부재(530)는 위쪽으로 인장됨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탄성력이 발휘된다.
이 상태에서 각 승강편의 하단부근에는 이탈방지돌기(512)가 형성되는데,
이탈방지돌기(512)는 승강편(51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상승하여 가이드관(400) 외부로 빠져버리는 현상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 승강편(510)의 하단부 부근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탈방지돌기(512)는 승강편(510)의 상승 시 함께 상승되다가 가이드관(400) 상단부근에 형성된 걸림턱(410)에 걸림에 따라 승강편(510)이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상단파지부(500)까지 설치된 본체(100)의 후측에는 각도조절부(600)가 연결된다.
각도조절부(600)는 본체(100)를 일정각도씩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회전유도블록(610)과 탄성링(620), 연결판(630) 및 고정블록(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회전유도블록(610)은 본체(100)와 연결되어 본체(100)의 회동에 필요한 구조가 형성된 부분으로, 케이스(110) 후측면 중 양 가이드관(400) 사이 지점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이고 후측단부면 중앙에는 후술할 탄성링(620)과 고정블록(64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612)이 전측을 향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612)의 내부둘레면에는 톱니 형태의 요철부(614), 즉 돌출지점과 함몰지점이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회전유도블록(610)에는 탄성링(620)이 연결된다.
탄성링(620)은 회전유도블록(610)과 본체(100)의 회전 시 적정 탄성력을 발휘하여 본체(100) 및 회전유도블록(610)이 일정각도씩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원치 않는 회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2중 링 형태이고 외부둘레면에는 결합돌기(622)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링(620)은 회전유도블록(610)의 결합홈(61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결합돌기(622)가 결합홈(612) 요철부(614)의 함몰지점에 기어치합 형태로 삽입되어 체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탄성링(620)은 링 구조임에 따라 회전유도블록(610)의 회전 중 요철부(614)의 돌출지점이 결합돌기(622)를 타고 남어가는 과정에서 탄성링(620)의 둘레면이 중심부를 향해 쉽게 꺽여져 수축되는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탄성링(620)의 내부 둘레면에는 체결홈(624)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렇게 탄성링(620)에는 연결판(630)이 연결된다.
연결판(630)은 본체(100)를 후술할 장착밴드(700)와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재 형태이고 전측면이 회전유도블록(610)의 후측면과 마주한 상태로 위치한다.
이때 연결판(630)의 전측면 중심지점에는 탄성링(620)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블록(640)이 전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데, 고정블록(640)은 탄성링(62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링 형태이고 외부둘레면에는 탄성링(620)의 각 체결홈(624)과 결합되는 체결돌기(642)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판(630)은 고정블록(640)이 탄성링(6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블록(640)의 각 체결돌기(642)가 탄성링(620)의 각 체결홈(624)에 끼워진 형태로, 즉 기어치합 구조로 결합됨에 따라 회전유도블록과 결합된다.
이렇게 설치된 연결판(630)의 후측면에는 장착밴드(700)가 설치된다.
장착밴드(700)는 본체를 비롯한 거치대 전체를 오토바이 핸들 등의 설치 대상물에 설치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밴드 형태이고 일단부가 회전판의 후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회전판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장착밴드(700)는 도5와 같이 설치 대상물(1) 둘레를 둘러싼 상태로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사용과정 등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5와 같이 장착밴드(700)를 오토바이 핸들 등의 설치 대상물(1)에 결합시켜 거치대 전체를 고정설치한다.
그 후 도4와 같이 휴대단말기(2)를 장착하기 이전에 상단파지부(500)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상승시킨다.
이때 상단파지부(500)의 각 승강편(510)이 각 가이드관(40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단파지부(500)는 정확히 직선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승강편(510)과 연결된 하강유도 탄성부재(530)는 승강편(510)의 상승에 의해 위쪽으로 인장되고 인장됨과 동시에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된다.
그리고 승강편(510)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이탈방지돌기(512)가 가이드관(400)의 걸림턱(410)에 걸림에 따라 상단파지부(500)는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게 되므로, 과도한 상승에 의해 승강편(510)이 가이드관(4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렇게 상단파지부(500)가 상승됨에 따라 본체(100) 상단부와 상단파지편(520) 사이 공간이 벌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2)를 해당 공간을 통해 본체(100) 전면상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는 하단테두리가 하단파지부(200) 상에 안착되어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차단되고 양 측면테두리는 각 측면파지부(300)가 감싸 지지하기 때문에 양측으로의 흔들림 등의 현상이 차단된다.
그 후 상단파지부(500)를 놓으면 도3과 같이 상단파지부(500) 전체는 하강유도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쪽 직선방향으로 하강 되면서 상단파지편(520)이 휴대단말기(2)의 상단테두리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하단파지부(200)와 양 측면파지부(300) 및 상단파지부(500)가 휴대단말기(2)의 상하좌우 테두리를 둘러싸 동시에 지지하는 형태가 되므로 휴대단말기가 좌우하측을 물론 상측으로 이동될 가능성이 방지된다.
특히 오토바이 등 운행 중 상하 요동이 심하게 발생되는 경우에도 휴대단말기는 상단파지부에 의해 상측으로 요동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 후 휴대단말기(2)를 거치대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역시 상단파지부(500)를 위쪽으로 직선 상승시켜 본체(100) 상단과 상단파지편(520) 간 공간을 확보한 뒤 휴대단말기를 손쉽게 빼낼 수 있다.
휴대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회동시키고자 할 경우, 본체(100)를 잡고 회동시키면 회전유도블록(610)이 함께 회동되고, 이 과정에서 회전유도블록(610)의 요철부(614) 중 돌출지점이 탄성링(620)의 각 결합돌기(622)를 순차적으로 타고넘어 간 후 결합돌기(622)가 요철부(614)의 일측 함몰지점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체(100)는 요철부의 돌출지점이 결합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횟수에 따른 각도씩 다단으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이 완료된 후 결합돌기(622)가 요철부(614)의 함몰지점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적정수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본체(100)가 원치 않게 회동 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위의 설명 및 도면은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의 일 예를 제시한 것일 뿐 당업자에 의한 변형 또는 조합이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10 : 케이스
120 : 커버판 130 : 구동부
200 : 하단파지부 300 : 측면파지부
400 : 가이드관 410 : 걸림턱
500 : 상단파지부 510 : 승강편
512 : 이탈방지돌기 520 : 상단파지편
530 : 하강유도 탄성부재 600 : 각도조절부
610 : 회전유도블록 612 : 결합홈
614 : 요철부 620 : 탄성링
622 : 결합돌기 624 : 체결홈
630 : 연결판 640 : 고정블록
642 : 체결돌기 700 : 장착밴드
1 : 설치 대상물 2 : 휴대단말기

Claims (4)

  1. 설치 대상물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측면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관,
    상기 본체의 하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측에 위치한 휴대단말기의 하단 테두리를 지지하는 하단파지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측에 위치한 휴대단말기의 좌우 양측 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측면파지부,
    상기 가이드관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측에 위치한 휴대단말기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상단파지부 상단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파지부는 상기 양 가이드관(400)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관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직선이동이 가능하고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승강편,
    상기 양 승강편 상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단테두리를 감싸는 상단파지편 및
    상기 양 가이드관 내부 중 상기 양 승강편 하단부와 상기 가이드관 내부 하단부를 연결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는 하강유도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2. 제1항에서,
    상기 하강유도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편 하단부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관 내부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편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인장됨과 동시에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 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3. 제2항에서,
    상기 승강편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승강편과 함께 승강되는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 상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편과 이탈방지돌기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상기걸럼턱에 걸리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본체 후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후측단부면 중앙에는 원형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은 요철부가 내부둘레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유도블록,
    링 형태이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외부둘레면에는 결합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철부와 치합되어 있고 내부둘레면에는 체결홈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외부둘레면이 중앙을 향해 수축이 가능하고 수축과 동시에 반대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는 탄성링,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후측면과 마주하고 있는 연결판,
    회전판 중 상기 회전유도블록과 마주하는 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링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외부둘레면에는 각 체결홈에 끼워지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블록,
    상기 회전판의 후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설치 대상물의 둘레를 감싸 고정되는 장착밴드
    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20140035809A 2014-03-27 2014-03-27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153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809A KR101533568B1 (ko) 2014-03-27 2014-03-27 휴대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809A KR101533568B1 (ko) 2014-03-27 2014-03-27 휴대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568B1 true KR101533568B1 (ko) 2015-07-06

Family

ID=5378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809A KR101533568B1 (ko) 2014-03-27 2014-03-27 휴대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3998A (zh) * 2017-12-26 2018-06-15 徐州昌南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上下铺的新型手机支架
KR20220101376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디엔디컴퍼니 스마트폰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92Y1 (ko) * 1999-11-02 2000-03-15 이춘래 휴대폰용 차량거치대 고정장치
KR20080010631A (ko) * 2006-07-27 2008-01-31 (주)큐세븐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130117030A (ko) * 2012-04-17 2013-10-25 김상덕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92Y1 (ko) * 1999-11-02 2000-03-15 이춘래 휴대폰용 차량거치대 고정장치
KR20080010631A (ko) * 2006-07-27 2008-01-31 (주)큐세븐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130117030A (ko) * 2012-04-17 2013-10-25 김상덕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3998A (zh) * 2017-12-26 2018-06-15 徐州昌南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上下铺的新型手机支架
KR20220101376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디엔디컴퍼니 스마트폰 거치대
KR102454654B1 (ko) * 2021-01-11 2022-10-13 주식회사 디엔디컴퍼니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568B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CN108488159B (zh) 开闭式架子固定夹
KR200462449Y1 (ko) 캔 오픈장치
KR20170067941A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커버에 설치되는 핸드폰 홀더 거치대
KR101990472B1 (ko) 화재감지기용 센서 탈부착장치
US7104305B1 (en) Vertically adjustable rod support assembly
JP4422634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操作具取付構造
JP2017180077A5 (ko)
KR101431721B1 (ko) 압력밥솥 뚜껑개폐장치
JP5882000B2 (ja) カーテン生地の端部保持装置
KR101435591B1 (ko) 플레이트 버너의 가스캔 고정장치
CN205013998U (zh) 伸缩式自拍杆
JP3171229U (ja) 突っ張り型手すり用水準器
KR200480127Y1 (ko) 차량용 차광막
CN108910543B (zh) 一种奶茶杯取杯装置
US2819922A (en) Tool for installing and removing fluorescent lamps
JP6316650B2 (ja) 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における巻取りボックス
CN202890435U (zh) 一种烤烟叶夹具
US1844685A (en) Clamping means for globes and the like
JP3779897B2 (ja) 開閉ハンガー装置
CN207658301U (zh) 一种医疗消毒袋用盛放装置
KR200345253Y1 (ko) 링겔대
US20150121762A1 (en) Pull cord fixing support for inner and outer windows
KR101531464B1 (ko) 알콜램프 스탠드 장치
KR101425276B1 (ko) 뜸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