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132B1 -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132B1
KR101935132B1 KR1020170016736A KR20170016736A KR101935132B1 KR 101935132 B1 KR101935132 B1 KR 101935132B1 KR 1020170016736 A KR1020170016736 A KR 1020170016736A KR 20170016736 A KR20170016736 A KR 20170016736A KR 101935132 B1 KR101935132 B1 KR 10193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ov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992A (ko
Inventor
박신호
Original Assignee
박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호 filed Critical 박신호
Priority to KR1020170016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1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테두리에 구비되고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1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면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X'자형 절첩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신속하게 덮어 보호할 수 있으며 커버를 열었을 때 부피가 줄어 걸리적거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COVERING DEVICE FOR MOBILE PHONE }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식으로 디스플레이부를 개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통화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보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고성능으로 인해 고가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크게 확대되었는데, 부주의로 떨어뜨렸을 때 충격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쉽게 파손되거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스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보호케이스에는 단말기의 측면을 보호하는 범퍼형, 측면과 후면을 보호하는 바형, 측면과 후면 및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주는 플립형 등이 있다.
범퍼형이나 바형의 경우, 선행특허문헌1과 같이 케이스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배면과 측면만 보호하고 디스플레이부는 보호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플립형의 경우에도 선행특허문헌2와 같이 여닫이식으로 디스플레이부를 덮게 되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떨어뜨리게 되면 커버가 자중에 의해 오히려 펼쳐져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립형의 경우 가죽이나 천과 같은 재질로 제조되어 반복되는 펼침동작에 의해 쉽게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립형의 경우 커버가 펼쳐진 상태에서 통화를 하게 되므로, 통화시 커버가 걸리적거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107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04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신속하게 덮어 보호할 수 있으며 접었을 때 커버의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테두리에 구비되고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1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면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X'자형 절첩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 상기 가이드부재와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이 상기 결합부재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절첩부재, 및 상기 제1절첩부재와 교차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절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이 상기 1쌍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절첩부재와 제2절첩부재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 상기 제1절첩부재와 상기 제2절첩부재의 단부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슬라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제1절첩부재와 상기 제2절첩부재의 단부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슬라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제1절첩부재와 상기 제2절첩부재의 단부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3슬라이드홈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롤러나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자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 탈부착시키는 자석잠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프레임이나, 이동통신단말기의 프레임의 외측에 별개로 결합되는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방식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미닫이식으로 구비되어 여닫이식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고, 접히고 펼쳐지는 기계적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펼쳐지거나 접히지 않는 일반적인 미닫이식에 비해 커버를 열었을 때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커버를 열었을 때 부피가 줄여 걸리적거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시 플립형 커버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를 떨어뜨렸을 때 자중에 의해 커버가 펼쳐짐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신속하게 덮어 보호할 수 있고, 접었을 때 커버의 부피를 줄여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또는 프레임의 측면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테두리에 구비되는 1쌍의 가이드부재(110),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부재(120), 상기 가이드부재(110)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130),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부재(140), 및 상기 가이드부재(110)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2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프레임의 외측에 별개로 결합되는 케이스(101)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1)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프레임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20)가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각 가이드부재(110)에 상기 슬라이더(130)의 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가이드부재(110)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130)는 상기 결합부재(120)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30)는 양단이 상기 1쌍의 가이드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복수개의 제1절첩부재(141), 및 상기 제1절첩부재(141)와 교차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절첩부재(142)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140)는 4개의 제1절첩부재(141)와 4개의 제2절첩부재(14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절첩부재(141)와 상기 제2절첩부재(142)는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절첩부재(141)의 일단과 상기 제2절첩부재(142)의 일단이 제1힌지핀(143)에 의해 링크결합되어 전체적으로 'X'자형 절첩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1절첩부재(141)와 상기 제2절첩부재(142)의 교차점에 제2힌지핀(14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힌지핀(143)과 상기 제2힌지핀(144)을 중심으로 상기 제1절첩부재(141)와 상기 제2절첩부재(142)가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다. 상기 제1힌지핀(14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첩부재(141)가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제2절첩부재(142)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나뉘어져 힌지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일단이 상기 결합부재(120)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130)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된다.
즉, 상기 제1절첩부재(141) 중 하나와 상기 제2절첩부재(142) 중 하나는 상기 결합부재(12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된다. 즉, 4개의 제1절첩부재(141)와 4개의 제2절첩부재(142) 중 도 1에서 좌측 선단에 구비되는 제1절첩부재(141)와 제2절첩부재(142)의 각 단부가 제1결합핀(145)으로 상기 결합부재(120)에 링크결합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120)에 상기 제1절첩부재(141)와 상기 제2절첩부재(142)의 단부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슬라이드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홈(121)은 상기 결합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凸'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핀(145)이 상기 제1슬라이드홈(121)에 안착되면 이탈되지 않고 상기 결합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결합핀(145)의 단부에는 제1롤러(147)가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홈(121)의 내측벽에 대해 상기 제1결합핀(145)이 원활하게 슬라이드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롤러(147)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140)의 선회동작시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슬라이드이동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에서 우측 선단에 구비되는 제1절첩부재(141)와 제2절첩부재(142)의 각 단부는 제2결합핀(146)으로 상기 슬라이더(130)에 링크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130)에는 상기 제1절첩부재(141)와 상기 제2절첩부재(142)의 단부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슬라이드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슬라이드홈(131)은 상기 슬라이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凸'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핀(146)이 상기 제2슬라이드홈(131)에 안착되면 이탈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결합핀(146)의 단부에도 상기 제1롤러(147)와 같은 롤러(도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상기 슬라이더(130)와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부재(110)를 따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50)의 양단부는 상기 1쌍의 가이드부재(110)의 가이드홈(11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이동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50)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11)의 내측벽에 접촉하는 제2롤러(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11)의 내측벽에 레일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롤러(155)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레일홈(112)에 동시에 안착되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50)가 상기 가이드부재(11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2롤러(155)를 통해 마찰저항을 줄여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슬라이드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30)의 양단부에도 제2롤러(155)와 같은 롤러나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50)와 슬라이더(130)의 양단부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울임방향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140)가 자중에 의해서도 쉽게 펼쳐질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떨어뜨렸을 때 상기 커버부재(140)가 신속하게 펼쳐짐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덮어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상기 제1힌지핀(143)으로 링크결합되는 상기 제1절첩부재(141)와 상기 제2절첩부재(142)의 단부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수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50)에는 상기 제1힌지핀(143)을 수용하는 제3슬라이드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슬라이드홈(151)은 상기 지지부재(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3슬라이드홈(151)의 양쪽으로 개방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슬라이드홈(151)은 상기 개방부(152)보다 깊게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핀(143)이 상기 개방부(152)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재(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방부(152)는 상기 지지부재(15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핀(143)이 상기 제3슬라이드홈(15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절첩부재(141)와 상기 제2절첩부재(142)가 상기 지지부재(150)의 양쪽 측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선회동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더(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60)는 상기 결합부재(120)와 평행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직교하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1쌍의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20) 및 상기 고정부재(160)가 전체적으로 사각틀을 이루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130)는 자석잠금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60)에 탈부착된다. 가령, 상기 슬라이더(130)에 영구자석(17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160)에 극성이 다른 영구자석(172)을 구비하거나, 상기 고정부재(160)를 철(Fe)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30)를 자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60)에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상기 커버부재(140)가 펼쳐져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상기 커버부재(140)가 접혀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첩부재(141)와 제2절첩부재(142)는 상기 제1힌지핀(143)과 제2힌지핀(144)을 중심으로 펼쳐져 'X'자형을 이루게 되고 상기 지지부재(150)들은 상기 제2힌지핀(144)과 함께 이동하여 소정간격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30)는 상기 자석잠금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60)에 고정된 것이다.
도 1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영구자석(171)의 자력보다 큰 외력을 상기 슬라이더(130)에 가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130)가 상기 고정부재(160)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제1절첩부재(141)와 제2절첩부재(142)가 접히게 되고, 이때 상기 지지부재(150)들도 함께 이동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20) 쪽에 몰려 위치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240)는 복수개의 제1절첩부재(241)와 제2절첩부재(242)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연속하여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40)는 좌측 선단이 결합부재(220)에 결합되고, 우측 선단이 슬라이더(230)에 결합되며, 하단이 1쌍의 가이드부재(211)(212) 중 아래쪽의 가이드부재(212)에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240)를 이루는 제1절첩부재(241)와 제2절첩부재(242) 중 좌측 선단에 위치하는 제1절첩부재(241)와 제2절첩부재(242)는 결합부재(220)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고, 우측 선단에 위치하는 제1절첩부재(241)와 제2절첩부재(242)는 슬라이더(230)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40)를 이루는 제1절첩부재(241)와 제2절첩부재(242)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절첩부재(241)와 제2절첩부재(242)는 아래쪽의 가이드부재(212)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다.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절첩부재(241)와 제2절첩부재(242)의 단부에는 제3결합핀(247)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아래쪽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212)에는 제1실시예의 제1슬라이드홈(121)과 동일한 '凸'자 형상의 가이드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결합핀(247)은 상기 가이드부재(210)의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드이동하게 된다.
도 7은 상기 커버부재(240)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상기 커버부재(24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커버부재(240)가 펼쳐지고 접힐 때 상기 제3결합핀(247)은 상기 가이드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만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240)의 하단부는 아래쪽의 가이드부재(2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240)의 상단부는 접힐 때 위쪽의 가이드부재(211)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펼쳐질 때에는 위쪽의 가이드부재(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부재(240)의 하단부는 아래쪽의 가이드부재(212)에 구속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가로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고 상기 커버부재(240)의 상단부만 이동통신단말기의 세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절첩부재(241)와 제2절첩부재(242)는 지지부재(2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310)와 결합부재(320) 및 고정부재(360)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프레임(301)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10)와 결합부재(320) 및 고정부재(36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프레임(301)과 일체로 제조된다.
도 9는 커버부재(340)가 디스플레이부(302)의 일측 가장자리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340)가 접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302)가 완전하게 노출되도록 커버부재(340)와 슬라이더(330)가 프레임(301)의 한쪽에 구비된다.
제4실시예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410)가 프레임(401)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구비되고, 커버부재(440)와 지지부재(450)가 상기 가이드부재(410)를 따라 프레임(401)의 측면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10)는 디스플레이부(402)와 평행하게 형성된 평면부(411)와 프레임(401)의 측면에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4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곡면부(412)는 상기 결합부재(420)와 상기 지지부재(450)가 보관되는 공간으로, 급격하게 절곡된 부분 없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420)와 상기 지지부재(450)가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50)의 양단부에는 롤러부재(455)나 베어링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평면부(411)와 곡면부(41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는 커버를 열었을 때, 즉 상기 커버부재(440)를 접었을 때 상기 결합부재(420)와 상기 지지부재(450)가 프레임(401)의 측면에 보관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402)를 가리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가이드부재 111 : 가이드홈
112 : 레일홈 120 : 결합부재
121 : 제1슬라이드홈 130 : 슬라이더
131 : 제2슬라이드홈 140 : 커버부재
141 : 제1절첩부재 142 : 제2절첩부재
143 : 제1힌지핀 144 : 제2힌지핀
145 : 제1결합핀 146 : 제2결합핀
147 : 제1롤러 150 : 지지부재
151 : 제3슬라이드홈 152 : 개방부
155 : 제2롤러 160 : 고정부재
171,172 : 영구자석

Claims (12)

  1.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외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1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으로 상기 가이드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면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X'자형 절첩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결합부재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절첩부재;
    상기 제1절첩부재와 교차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절첩부재;
    상기 제1절첩부재와 상기 제2절첩부재의 각 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핀; 및
    상기 제1결합핀의 단부에 구비된 제1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에 상기 제1결합핀을 수용하는 제1슬라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홈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제1롤러가 슬라이드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이 상기 1쌍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절첩부재와 제2절첩부재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제1절첩부재와 상기 제2절첩부재의 단부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슬라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제1절첩부재와 상기 제2절첩부재의 단부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3슬라이드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자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 고정시키는 자석잠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평면부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에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프레임의 외측에 별개로 결합되는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KR1020170016736A 2017-02-07 2017-02-07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KR10193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36A KR101935132B1 (ko) 2017-02-07 2017-02-07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36A KR101935132B1 (ko) 2017-02-07 2017-02-07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992A KR20180091992A (ko) 2018-08-17
KR101935132B1 true KR101935132B1 (ko) 2019-01-04

Family

ID=6340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736A KR101935132B1 (ko) 2017-02-07 2017-02-07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213A1 (ko) * 2019-09-30 202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041B1 (ko) * 2004-08-04 2004-12-16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총기보관함의 절첩식 도어구조
KR200456030Y1 (ko) * 2011-05-24 2011-10-07 백승욱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62569B1 (ko) * 2013-12-11 2014-11-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전화 용 슬라이드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74A (ko) 2015-06-24 2017-01-03 이경록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충전식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53173B1 (ko) 2015-06-25 2017-07-04 고재송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041B1 (ko) * 2004-08-04 2004-12-16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총기보관함의 절첩식 도어구조
KR200456030Y1 (ko) * 2011-05-24 2011-10-07 백승욱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62569B1 (ko) * 2013-12-11 2014-11-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전화 용 슬라이드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213A1 (ko) * 2019-09-30 202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992A (ko)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093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JP4866205B2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及びその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有する携帯端末機
EP1530345A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341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전화기
KR10193513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KR101316252B1 (ko) 이동 단말기
KR100785103B1 (ko) 회동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딩 및회동가능한 힌지모듈
KR100628761B1 (ko)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KR101144136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681351B1 (ko) 슬라이딩이동 개폐 및 회전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20070034877A (ko) 스토퍼를 갖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94164B1 (ko) 단말기
KR101117585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20190090649A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2200573B1 (ko) 휴대폰 액세서리
KR101153193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397454Y1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KR100617740B1 (ko)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 그 락킹 장치
KR100657784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70068666A (ko)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0617146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89405Y1 (ko)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딩파트
KR101129266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967232B1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