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073B1 -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073B1
KR101738073B1 KR1020160111000A KR20160111000A KR101738073B1 KR 101738073 B1 KR101738073 B1 KR 101738073B1 KR 1020160111000 A KR1020160111000 A KR 1020160111000A KR 20160111000 A KR20160111000 A KR 20160111000A KR 101738073 B1 KR101738073 B1 KR 10173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ing
mobile phone
metallic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범
Original Assignee
김재범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범,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재범
Priority to KR102016011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면에 아이링을 부착한 휴대폰을 그 상태에서 그대로 충전 가능하도록 하여, 충전의 편의성의 증진 뿐 아니라 휴대폰 사용상의 편의성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의 배면에 아이링이 부착된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거치식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아이링을 충전부에 고정지지함으로써 충전중에 휴대폰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Support for phone including 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면에 아이링을 부착한 휴대폰을 그 상태에서 그대로 충전 가능하도록 하여, 충전의 편의성의 증진 뿐 아니라 휴대폰 사용상의 편의성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최근들어 휴대폰의 보급이 폭발적으로 늘었고, 휴대폰의 주변 편의 장치도 많은 개선을 이루어내었다.
휴대폰 악세사리도 그 주변 편의 장치 중 하나인데, 이들 악세사리 중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하는 고리로서 소위 "아이링"이라는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상기 아이링은 도 1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배면 부착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부착부를 휴대폰의 배면 적당한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고리를 고정시키고, 고리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폰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는 휴대폰의 지지체 역할도 수행하여 휴대폰을 비스듬하게 거치하면서 동영상 등을 열람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아이링은 휴대폰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폰의 반듯한 착지가 어렵고, 특히, 아이링의 고리 부분이 금속제로 이루어져 있어 무선 충전이 용이하지 않은 특성이 있다.
한편, 무선충전이 가능한 다용도의 충전 거치대에 관한 선행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71530호에 개시된 바 있다. 동 발명은 타블렛 PC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 등을 테이블이나 벽 등의 다양한 장소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무선충전을 시킬 수 있는 다용도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형태를 갖는 무선 충전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무선충전기 삽입부가 형성되고, 전자기기 거치시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거치부, 거치부의 일단과 특정의 각도로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 타단에 특정의 각도로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지지부가 세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받침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용도 충전 거치대는 타블렛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등을 테이블 위, 테이블 옆, 또는 벽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소에 거치시킬 수 있어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타블렛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등을 거치시킴과 동시에 무선 충전을 시킬 수 있어, 영화나 드라마 시청과 같이 장시간 배터리 소모가 필요한 경우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작용효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거치대는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거치대일 뿐, 아이링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휴대폰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001) KR 10-1571530 B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의 배면에 아이링이 부착된 상태에서도 거치식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이링을 충전부에 고정지지함으로써 충전중에 휴대폰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충전 여부와 무관하게 아이링을 고정 지지하여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성 플레이트를 코일부와 컨트롤부에 선택적으로 추가 배치하여 내구성 향상 및 전파 차폐의 역할을 함으로써, 무선 충전의 전력 수신 효율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충전 송신기의 두께를 박형화함에 따라서 야기되는 기계적 특성의 저하문제를 금속성 플레이트를 통해 보강함으로써, 얇은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내구성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일부와 컨트롤부의 접촉면적을 축소함으로써 컨트롤부에 대한 코일부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따라서 컨트롤부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트롤부가 송신기의 두께 형성에 직접 참여하지 아니하며, 컨트롤부를 코일부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박형화는 물론, 수신기에 형성된 코일간 간격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전력 수신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성 플레이트에 대한 자성의 특성을 보다 강화함으로써, 코일에 의한 전자기 송신 측면에서 효율을 보다 강화하면서도 얇은 두께를 구현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일부의 불량 시, 컨트롤부와는 별도로 코일부만을 간략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부품 교체의 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이링이 배면에 부착되며, 무선 충전용 수신기가 내장되는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아이링은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고정되는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내부에 무선 충전용 송신기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원 공급을 위한 어댑터가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본체의 또 다른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링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코일 및 자성체 시트가 상하 적층 배열된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에 연결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아이링의 고리와 부착부 사이에는 상기 고리를 부착부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고리가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동지지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동지지부가 안착되어 상기 고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안착홈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코일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적어도 외주면에 사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체 시트는, 페라이트, 비정질 금속(amorphous metal), 연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를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코일 및 자성체 시트 사이 또는 어느 일면에 금속성 플레이트가 더 배치되며, 상기 금속성 플레이트는, 서스(SUS), 인청동, 알루미늄, 금, 은 및 동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플레이트의 일부 또는 전체에 자성재료가 코팅, 증착 또는 페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재료는, 비정질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부는, 상기 코일과 자성체 시트 또는 코일과 자성체 시트 및 금속성 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플레이트는, 상기 컨트롤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컨트롤부에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코일부의 측면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코일부의 외주부를 둘러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의 배면에 아이링이 부착된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거치식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링을 충전부에 고정지지함으로써 충전중에 휴대폰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여부와 무관하게 아이링을 고정 지지하여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성 플레이트를 코일부와 컨트롤부에 선택적으로 추가 배치하여 내구성 향상 및 전파 차폐의 역할을 함으로써, 무선 충전의 전력 수신 효율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송신기의 두께를 박형화함에 따라서 야기되는 기계적 특성의 저하문제를 금속성 플레이트를 통해 보강함으로써, 얇은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내구성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부와 컨트롤부의 접촉면적을 축소함으로써 컨트롤부에 대한 코일부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따라서 컨트롤부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부가 송신기의 두께 형성에 직접 참여하지 아니하며, 컨트롤부를 코일부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박형화는 물론, 수신기에 형성된 코일간 간격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전력 수신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성 플레이트에 대한 자성의 특성을 보다 강화함으로써, 코일에 의한 전자기 송신 측면에서 효율을 보다 강화하면서도 얇은 두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부의 불량 시, 컨트롤부와는 별도로 코일부만을 간략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부품 교체의 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평면투영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평면투영도이다.
본 발명은 아이링(20)이 배면에 부착된 휴대폰(10)을 특별히 충전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거치대(100)를 이용하여 아이링(20)이 배면이 없는 경우 휴대폰도 충전이 가능하다.
다만, 아이링(20)이 배면에 없는 경우 충전을 위해서는 휴대폰(10)을 별도로 지지하는 지지체가 형성되거나 충전면이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
반면, 아이링(20)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충전면이 바닥면을 기준으로 일정 정도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는 휴대폰(10)을 이용하는데 편의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아이링(2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23)와 고리와 결합되어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되는 부착부(21)로 이루어지는 휴대폰용 악세사리이며, 대개 부착부(21)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재질로 하는 패드이고, 고리(23)는 금속제이다.
여기서, 휴대폰의 무선충전시 송신부(140)와 수신부 사이에 금속이 개재되는 경우에는 전파 방해가 일어나서 충전이 제대로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아이링(20)이 부착된 상태에서 통상의 충전기를 사용하면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출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링이 부착된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휴대폰 거치대로서, 삽입부가 거치대 본체에 형성되어 아이링을 삽입하여 휴대폰을 거치대 상에서 고정하고, 그 상태에서 휴대폰의 충전을 수행함과 동시에 휴대폰의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휴대폰 거치대(100)는 무선 충전용 수신기를 탑재한 휴대폰을 무선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용 송신기(140)가 내장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원 공급을 위한 어댑터가 연결되는 커넥터(130), 상기 본체(110)의 또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된 아이링(20)이 삽입되는 삽입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은 아이링(20)의 고리(23)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고리(23)는 좌우 방향으로 접철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링(20)의 고리(23)와 부착부(21) 사이에는 상기 고리(23)를 부착부(21)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고리(23)가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동지지부(25)가 더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120)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동지지부(25)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2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안착홈(121)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120)가 형성된 영역의 주변에는 상기 부착부(21)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면(12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아이링(20)이 삽입부(120)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아이링(20)을 휴대폰의 배면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세워서 삽입한다. 이 경우 고리를 축회동 시키는 것이 용이해지며, 휴대폰의 편의성을 높여준다.
도 4의 평면투영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아이링(20)은 휴대폰 거치대(100)의 송신부(140)에서 발생되는 전파의 진행경로를 방해해서는 안되며, 따라서 송신부(140)의 코일부(150)는 상기 삽입부(120)를 회피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삽입부(120)의 주변부에 코일이 권선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삽입부(120)를 회피하는 방안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위 예시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요약하면, 상기 삽입부(130)는, 상기 고리(23)가 삽입부(130)에 끼워졌을 때 코일부(150)가 고리(23)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도록 함으로써, 코일부(150)가 삽입부(120)를 회피하여 설계되었으며, 상기 고리(23)를 삽입부(120)에 끼워서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본체(110)의 테두리 일영역에는 본체 구동을 표시하는 작동램프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작동램프의 설치 위치는 위 테두리 일영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삭제
상기 커넥터(130)는 통상의 AC 내지 DC를 전원으로 하는 어댑터가 연결되며, 이러한 커넥터(130)는 마이크로 유에스비(micro USB)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충전 대상 단말기는 무선충전용 수신기가 구비된 태블릿(tablet), 스마트폰(smartphone) 등 단말기이며, 아이링을 부착함으로써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단말기는 위 종류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충전용 송신기(140)는 박형으로 구형되며, 부피 비대를 예방함으로써, 상품성 향상과 더불어 편의성의 증대는 본 발명에서 가장 큰 특징을 이룬다. 특히, 송신기(140)가 노출되거나 부각되지 아니하고 자연스러운 연출을 통한 제품의 심미감과 더불어 기능성 부여를 통해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송신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송신기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140)는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코일부(150)와, PCB(161)가 구비된 컨트롤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컨트롤부(160)는 코일부(15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두께 형성에 직접 참여하지 아니하고, 따라서 송신기(140)의 박형화가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코일부(150)와 컨트롤부(160)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컨트롤부(160)에 대한 코일부(150)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따라서 작동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나란한 배치를 통해 접촉부위를 최소화하여 전자기파에 의한 간섭을 줄이고, 그로 인한, 오작동 내지는 훼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능저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코일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51)과 자성체 시트(153)를 포함하며, 코일(151)과 자성체 시트(153)는 상/하 적층 배열된 구조를 이룬다.
코일(151)은 무선 송신을 위한 것이며, 자성체 시트(153)는 전력을 송신하고, 하부로의 전력 누출을 차단해 줌으로써, 코일(15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송출되는 전자기파의 방향을 유도하여 코일(151)에 집중되도록 하여 산란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자성체 시트(153)는 재질로서 페라이트(ferrite)인 것이 바람직하나, 자성을 갖는 한 다른 재질로 대체 가능하다. 즉, 비정질 금속(amorphous metal), 연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를 재질로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위 시트의 재질이 페라이트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수신기는 자성체 시트(153)에 금속성 플레이트(155)가 더 적층될 수 있으며,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성 플레이트(155)는 자성체 시트(153)와 적층되어 도 6a와 같이 코일부(150)를 감싸거나, 또는 6b와 같이 코일부(150) 및 컨트롤부(160)를 함께 감싸도록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코일부(150)와 컨트롤부(160) 각각에 분리된 구조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금속성 플레이트(155)는 외부 충격에 의해 송신기(140)의 훼손을 방지하고, 내구성 향상 및 전자기파의 산란을 차폐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박형의 송신기(140)로 하여금 기계적 강도 보강은 물론, 충격에 의한 훼손을 방지하면서, 특히, 전자기파의 산란을 차폐하여 주변 전자기파(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내지는 와이파(wifi)이 등의 무선통신기파) 와의 간섭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였다.
이때, 금속성 플레이트(155)는 스테인리스 스틸(STS, stainless stee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인청동 금, 은 동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금속성 플레이트(155)에 자성을 더 부여하기 위하여 자성체를 더 결합하거나, 그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서 자성체를 더 코팅 할 수도 있는 데, 이는 무선 충전을 위한 전력 송신의 효율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금속성 플레이트(155)에 자성을 부여하는 방식은 바람직하게는 코팅이 좋은데, 이는 금속성 플레이트(155)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비정질 금속 등을 코팅하는 방법에 의해 자성체 시트(153)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정질 금속을 코팅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비정질 금속과 이종의 재질인 페라이트를 자성체 시트(153)로 사용하였을 때 적용하는 것이 좋다. 다만, 자성체 시트(153)로 비정질 금속을 사용하고, 금속성 플레이트(155)에 자성을 더 부여하기 위하여 비정질 금속을 코팅하는 것은 비정질 금속을 금속성 플레이트(155) 상에 이중으로 코팅하는 것이며, 이를 공정상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송신기(140)는 모듈로서 존재하여, 도 6과 같이 사출에 의해 미리 제작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사출부(170)에 의해 모듈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기(140)는 코일부(130)를 모체로 하여 성형하는 제1사출부(171), 코일부(130)의 측면에 배치되는 컨트롤부(160)를 모체로하여 컨트롤부(160)를 감싸듯 성형하는 제2사출부(173)를 포함하며, 이때, 제1사출부(171)와 제2사출부(173)는 인서트 사출에 의한 성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코일부(150)를 모체로 하는 인서트 사출을 진행함으로써, 코일부(150)의 모듈화가 가능하며, 적어도 코일부(150)가 불량일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의 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코일부 또는 컨트롤부의 오류 발생 시 전 구성요소들이 적층 구조이므로 모두에 대해서 교체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병렬관계이므로 병렬구조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유치의 경제성이 예상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휴대폰 거치대 110 : 본체
120 : 삽입부 130 : 커넥터
140 : 무선 충전 송신기 150 : 코일부
151 : 코일 153 : 자성체 시트
155 : 금속성 플레이트 160 : 컨트롤부
161 : PCB 170 : 사출부
171 : 제1사출부 173 : 제2사출부

Claims (11)

  1. 아이링이 배면에 부착되며, 무선 충전용 수신기가 내장되는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아이링은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고정되는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내부에 무선 충전용 송신기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원 공급을 위한 어댑터가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본체의 또 다른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링이 삽입되는 삽입부;
    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코일 및 자성체 시트가 상하 적층 배열된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에 연결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이링의 고리와 부착부 사이에는 상기 고리를 부착부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고리가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동지지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동지지부가 안착되어 상기 고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안착홈이 더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의 주변부에는 상기 부착부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리가 삽입부에 끼워졌을 때 코일부가 고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를 삽입부에 끼워서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이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코일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적어도 외주면에 사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시트는,
    페라이트, 비정질 금속(amorphous metal), 연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를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코일 및 자성체 시트 사이 또는 어느 일면에 금속성 플레이트가 더 배치되며,
    상기 금속성 플레이트는, 서스(SUS), 인청동, 알루미늄, 금, 은 및 동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플레이트의 일부 또는 전체에 자성재료가 코팅, 증착 또는 페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재료는, 비정질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코일과 자성체 시트 또는 코일과 자성체 시트 및 금속성 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플레이트는,
    상기 컨트롤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컨트롤부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코일부의 측면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코일부의 외주부를 둘러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11. 삭제
KR1020160111000A 2016-08-30 2016-08-30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KR10173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00A KR101738073B1 (ko) 2016-08-30 2016-08-30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00A KR101738073B1 (ko) 2016-08-30 2016-08-30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073B1 true KR101738073B1 (ko) 2017-05-22

Family

ID=5905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000A KR101738073B1 (ko) 2016-08-30 2016-08-30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073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9511A (zh) * 2017-11-30 2018-03-16 湖南欧智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兼具移动电源、无线充电、翻盖功能的移动设备支架
KR101894082B1 (ko) 2017-12-07 2018-08-31 박철훈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
KR20190052955A (ko) 2017-11-09 2019-05-17 아인베스트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
WO2019103448A1 (ko) * 2017-11-22 2019-05-31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KR200489659Y1 (ko) * 2018-05-16 2019-07-17 대한특허개발(주) 휴대폰 거치형 무선 충전장치
KR20190114539A (ko)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휴먼디지텍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WO2020055560A1 (en) * 2018-09-10 2020-03-19 Popsockets Llc Induction charg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grip attachment
CN111373628A (zh) * 2017-11-22 2020-07-03 获领株式会社 便携式终端设备无线充电装置
WO2020141680A1 (ko) * 2019-01-04 2020-07-09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200573B1 (ko) 2019-08-06 2021-01-07 이준성 휴대폰 액세서리
KR20210066435A (ko) 2019-11-28 2021-06-07 주민정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KR20230087836A (ko) 2021-12-10 2023-06-1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무선 충전기
KR20230112871A (ko) 2022-01-21 2023-07-28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거치대
KR20230122202A (ko) 2022-02-14 2023-08-22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능한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거치대
US11899496B2 (en) 2012-03-14 2024-02-13 Popsockets Llc Docking connector platfor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34Y1 (ko) * 2013-12-31 2015-02-0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34Y1 (ko) * 2013-12-31 2015-02-0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9495B2 (en) 2012-03-14 2024-02-13 Popsockets Llc Docking connector platfor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11899496B2 (en) 2012-03-14 2024-02-13 Popsockets Llc Docking connector platfor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20190052955A (ko) 2017-11-09 2019-05-17 아인베스트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
WO2019103448A1 (ko) * 2017-11-22 2019-05-31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CN111373628A (zh) * 2017-11-22 2020-07-03 获领株式会社 便携式终端设备无线充电装置
US11527913B2 (en) 2017-11-22 2022-12-13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N107809511A (zh) * 2017-11-30 2018-03-16 湖南欧智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兼具移动电源、无线充电、翻盖功能的移动设备支架
KR101894082B1 (ko) 2017-12-07 2018-08-31 박철훈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
KR20190114539A (ko)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휴먼디지텍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200489659Y1 (ko) * 2018-05-16 2019-07-17 대한특허개발(주) 휴대폰 거치형 무선 충전장치
US11404913B2 (en) 2018-09-10 2022-08-02 Popsockets Llc Induction charg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grip attachment
WO2020055560A1 (en) * 2018-09-10 2020-03-19 Popsockets Llc Induction charg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grip attachment
US11239697B2 (en) 2019-01-04 2022-02-01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WO2020141680A1 (ko) * 2019-01-04 2020-07-09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200573B1 (ko) 2019-08-06 2021-01-07 이준성 휴대폰 액세서리
KR20210066435A (ko) 2019-11-28 2021-06-07 주민정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KR20230087836A (ko) 2021-12-10 2023-06-1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무선 충전기
KR20230112871A (ko) 2022-01-21 2023-07-28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거치대
KR20230122202A (ko) 2022-02-14 2023-08-22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능한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073B1 (ko)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ES2676700T3 (es) Disposición de una bobina de comunicación y una bobina de carga de inducción
KR102129799B1 (ko) 이동 단말기
CN105594093B (zh) 用于电子设备和附件的具有磁性保持件的感应式充电接口
KR101685413B1 (ko) 무선충전 시스템이 적용된 헤드셋
US20120091952A1 (en) Contactless charging system
KR101718325B1 (ko)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KR20170043866A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160087671A (ko) 무선 충전장치
JP2006013629A (ja) 携帯電話機
KR101901455B1 (ko) 무선 충전용 수신기가 구비된 단말용 케이스
US9136895B2 (en) Arrangement for coupling a mobile phone to an external antenna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CN105552516B (zh) 一种天线及移动终端
KR101984642B1 (ko)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1245286B2 (en) Power receiving antenna configured i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90043045A (ko) 배면에 액세서리가 부착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CN111095945B (zh) 用于将耳机耦接至移动装置的附接模块
EP4262232A1 (en) Speaker module and earpiece
KR20170011549A (ko) 무선 이어셋
KR20200000511U (ko)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KR20140034371A (ko)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KR101627460B1 (ko)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US20240136863A1 (en) Magnet assembly for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combine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