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435A -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435A
KR20210066435A KR1020190155672A KR20190155672A KR20210066435A KR 20210066435 A KR20210066435 A KR 20210066435A KR 1020190155672 A KR1020190155672 A KR 1020190155672A KR 20190155672 A KR20190155672 A KR 20190155672A KR 20210066435 A KR20210066435 A KR 20210066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martphone
unit
rotating
statio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민정
Original Assignee
주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정 filed Critical 주민정
Priority to KR102019015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435A/ko
Publication of KR2021006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T)의 하단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00); 상기 고정부(200)와 힌지(400)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회동부(100); 상기 스마트폰(S)과 맞닿아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충전부(300); 상기 회동부(100)에 구비되되, 스마트폰(S)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정용 포켓(110); 및 상기 회동부(100)와 고정부(200)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어 회동부(100)와 고정부(200)가 서로 밀착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회동부(100)가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록킹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Cradle Type Smartphone Recharger}
본 발명은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테이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테이블의 하단에 부착될 수 있는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스마트폰을 거치함과 동시에 충전을 할 수 있는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가 많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는 스마트폰을 소정 각도 기울여 지지한 상태로 스마트폰을 충전하게 되는데,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의 예시를 개시하고 있다(특허문헌 1). 근래들어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의 형상 및 기능과 관련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나오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테이블 또는 책상 위에 놓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테이블 또는 책상 위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스마트폰 충전기가 테이블 위에 있게 되면, 사용자가 업무 또는 학습을 하는 도중이라고 하더라도 충전 중인 스마트폰에 자꾸 눈이 가게되고, 업무 또는 학습 과정에서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51820호 (공고일: 2017.06.29.) 등록특허공보 제10-1738073호 (공고일: 2017.05.22.) 등록특허공보 제10-1230474호 (공고일: 2013.02.0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를 사용하면서도 테이블 또는 책상 위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함과 더불어, 업무 또는 학습 중에 사용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T)의 하단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00); 상기 고정부(200)와 힌지(400)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회동부(100); 상기 스마트폰(S)과 맞닿아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충전부(300); 상기 회동부(100)에 구비되되, 스마트폰(S)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정용 포켓(110); 및 상기 회동부(100)와 고정부(200)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어 회동부(100)와 고정부(200)가 서로 밀착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회동부(100)가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록킹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부(300)는 상기 회동부(100) 및 상기 고정부(200) 중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고정부(200)는 테이블(T) 하단에 부착용 양면 테이프(211) 및 부착 고무(212) 중 하나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부(120)는 상기 회동부(100)에 형성된 록킹 걸림부(122), 상기 고정부(200)에 형성된 록킹 홀(123)을 포함하되, 록킹 록킹 걸림부(122)가 상기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려있을 때는 상기 회동부(100)가 상기 고정부(200)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록킹 걸림부(122)가 상기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려있지 아니할 때는 상기 회동부(100)가 상기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100)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록킹 해제 버튼(121) 및 상기 록킹 해제 버튼(121)과 일단이 강체 결합된 록킹 샤프트(121)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록킹 걸림부(122)는 상기 록킹 샤프트(121)의 소정 부분에 강체 결합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121)의 타단은 탄성부재(125)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버튼(121)을 누를 경우 상기 록킹 샤프트(121) 및 상기 록킹 걸림부(122)는 상기 록킹 걸림부(122)와 상기 록킹 홀(123)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록킹 걸림부(122)는 서보모터(126)의 작동에 의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리거나 혹은 걸리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되, 사용자의 손동작, 상기 스마트폰(T)의 진동, 상기 스마트폰(T)의 벨소리, 및 상기 충전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완전 충전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에 반응하여 록킹 걸림부(122)가 상기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서보모터(126)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동부(100)가 상기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는 테이블 또는 책상의 저면에 부착되어 사용됨으로써, 테이블 또는 책상 상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사용이 필요할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거치된 회동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마트폰 자체가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마트폰 사용의 편의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 사용자가 업무 또는 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의 충전이 완료되었거나,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걸려오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스마트폰이 거치된 회동부를 회동시켜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 사실을 시각적으로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충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충전기가 실제로 사용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충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충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록킹부의 구현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이벤트 발생시 회동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부(200)는 테이블 또는 책상 상편의 저면에 부착수단(210)에 의하여 고정되는 부분이고, 회동부(100)는 상기 고정부(200)와 힌지(400)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부착수단(210)은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부착수단이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아니하나,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부착용 양면 테이프(211)를 사용하고 있다.
회동부(100)에는 스마트폰(T)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고정용 포켓(11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포켓(110)의 재질은 크게 한정되지 아니하나, 다양한 사이즈의 스마트폰(T)에 적용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스마트폰(T)의 화면을 바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 수지 시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TPU) 등과 같이 기존에 보호 필름으로 사용하던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회동부(100) 내에서 고정용 포켓(110)에 수납된 스마트폰과 직접 맞닿을 수 있는 부분에 충전부(300)가 구비되는데, 위 충전부(300)가 무선충전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부(300)의 소정 영역에는 전력 공급용 단자(3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회동부(100)가 힌지(400)를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회동부(100)와 고정부(200)는 추후 설명될 록킹부(120)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충전이 진행 중일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동부(10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충전이 완료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전화/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동부(100)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4는 회동부(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후방에서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를 도시한 바라본 것인데, 회동부(100)와 고정부(200)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는 회동부(100)가 고정부(200)에 고정되게 하거나 또는 풀어지게끔 하는 록킹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부(100)의 소정 영역에는 록킹 해제 버튼(121)이 구비되어 있는데, 회동부(100)가 도 3과 같이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록킹 해제 버튼(121)을 누르게 되면 회동부(100)는 도 2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바뀌게 된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스마트폰(S)이 회동부(100)의 고정용 포켓(110)에 수납된 상태로 테이블(T)의 하부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충전이 진행 중일 경우에는 회동부(100)가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사용자가 로킹 해제 버튼(121)을 누르거나, 충전이 완료되거나, 혹은 전화가 걸려오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로킹부(120)가 풀려서 회동부(100)가 고정부(200)로부터 분리되어 세워짐으로써 사용자가 이벤트의 발생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벤트의 종류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결정하여 정할 수 있을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제2 실시예에서는 충전부(300)가 회동부(100)가 아닌 고정부(200)에 형성되어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충전부(300)에 충격이 덜 가게 된다. 이 때 고정용 포켓(110)에 수납된 스마트폰(S)과 고정부(200)에 형성된 충전부(300)의 거리를 가깝게 하기 위해서는 회동부(100)의 두께를 얇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구조적 강도 확보를 위해서는 회동부(100)의 두께가 어느 정도 두꺼워질 수 밖에 없으므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동부(100)에서 스마트폰(S)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부를 형성하고, 충전부(300)의 소정 부분이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충전부(300)를 관통부를 통하여 스마트폰(T)에 가깝게 다가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를 도시하고 있는데, 부착수단(210)으로서 부착 고무(212)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실시예는 유리판을 상판으로 하는 테이블 또는 책상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도 9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록킹부(120)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9(a)는 회동부(100)와 고정부(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 9(b)를 회동부(100)와 고정부(200)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회동부(100)에는 록킹 해제 버튼(121), 상기 록킹 해제 버튼(121)과 연결된 록킹 샤프트(124), 상기 록킹 샤프트(124)와 강체 결합되어 있는 록킹 걸림부(122)가 구비되는데, 록킹 해제 버튼(121)을 누르지 아니한 도 9(a)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25)의 복원력에 의하여 록킹 걸림부(122)가 고정부(200)에 형성된 록킹 홀(123)의 주변에 걸려서 회동부(100)는 고정부(2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동하지 아니한다.
사용자가 록킹 해제 버튼(121)을 누르게 되면,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록킹 샤프트(124) 및 상기 록킹 걸림부(122)가 탄성부재(125)를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록킹 걸림부(122)가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리는 상태가 해제되어 회동부(100)는 고정부(200)로부터 분리되어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록킹 걸림부(122)의 상면은 경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회동부(100)를 고정부(200)쪽으로 밀게 되면 록킹 홀(123)의 주변부가 록킹 걸림부(122)의 경사지 상면과 맞닿으면서 탄성부재(125)를 조금씩 압축하게 되며, 회동부(100)가 고정부(200)에 최종적으로 맞닿게 되는 순간 탄성부재(125)의 복원력에 의하여 록킹 걸림부(122)가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리게 되어 회동부(100)와 고정부(20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0은 서보모터(126)와 같은 전동수단에 의하여 록킹 걸림부(122)가 회동함으로써 록킹 상태와 해제 상태가 제어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a)는 록킹 걸림부(122)가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려서 회동부(100)와 걸림부(200)가 서로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 10(b)는 록킹 걸림부(122)가 록킹 홀(123) 주변에 걸리지 않아 회동부(100)가 걸림부(200)로부터 분리되어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동수단에 의하여 록킹부(120)를 제어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센서부(510)를 통하여 이벤트를 인지하거나, 충전부(300)로부터 스마트폰이 완충되었다는 신호를 받았을 경우, 제어부(500)는 서보모터 작동부(530)를 통하여 서보모터(126)를 작동시켜서 회동부(100)가 고정부(200)로부터 분리되어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할 수 있게된다. 이벤트의 종류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손동작(예를 들면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에 손을 가깝게 대는 동작)을 감지할 경우(동작 센서 이용), 전화 또는 메시지가 스마트폰에 도달했을 경우(진동 센서 또는 음향 센서 이용) 서보모터 작동부(530)가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임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회동부 110: 고정용 포켓
120: 록킹부 121: 록킹해제 버튼
121: 록킹 샤프트 122: 록킹 걸림부
123: 록킹 홀 124: 록킹 샤프트
125: 탄성부재 126: 서보모터
200: 고정부 210: 부착수단
211: 부착용 양면 테이프
212: 부착 고무
300: 충전부 310: 전력공급용 단자
400: 힌지
510: 센서부 520: 완충신호 수신부
500: 제어부 530: 서보모터 작동부

Claims (6)

  1.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T)의 하단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00);
    상기 고정부(200)와 힌지(400)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회동부(100);
    상기 스마트폰(S)과 맞닿아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충전부(300);
    상기 회동부(100)에 구비되되, 스마트폰(S)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정용 포켓(110); 및
    상기 회동부(100)와 고정부(200)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어 회동부(100)와 고정부(200)가 서로 밀착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회동부(100)가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록킹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300)는 상기 회동부(100) 및 상기 고정부(200) 중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테이블(T) 하단에 부착용 양면 테이프(211) 및 부착 고무(212) 중 하나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20)는 상기 회동부(100)에 형성된 록킹 걸림부(122), 상기 고정부(200)에 형성된 록킹 홀(123)을 포함하되,
    록킹 록킹 걸림부(122)가 상기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려있을 때는 상기 회동부(100)가 상기 고정부(200)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록킹 걸림부(122)가 상기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려있지 아니할 때는 상기 회동부(100)가 상기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100)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록킹 해제 버튼(121) 및 상기 록킹 해제 버튼(121)과 일단이 강체 결합된 록킹 샤프트(121)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록킹 걸림부(122)는 상기 록킹 샤프트(121)의 소정 부분에 강체 결합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121)의 타단은 탄성부재(125)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버튼(121)을 누를 경우 상기 록킹 샤프트(121) 및 상기 록킹 걸림부(122)는 상기 록킹 걸림부(122)와 상기 록킹 홀(123)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록킹 걸림부(122)는 서보모터(126)의 작동에 의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리거나 혹은 걸리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되,
    사용자의 손동작, 상기 스마트폰(T)의 진동, 상기 스마트폰(T)의 벨소리, 및 상기 충전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완전 충전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에 반응하여 록킹 걸림부(122)가 상기 록킹 홀(123)의 주변부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서보모터(126)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동부(100)가 상기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KR1020190155672A 2019-11-28 2019-11-28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KR20210066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672A KR20210066435A (ko) 2019-11-28 2019-11-28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672A KR20210066435A (ko) 2019-11-28 2019-11-28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35A true KR20210066435A (ko) 2021-06-07

Family

ID=7637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672A KR20210066435A (ko) 2019-11-28 2019-11-28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43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74B1 (ko) 2012-08-17 2013-02-06 안창선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KR101738073B1 (ko) 2016-08-30 2017-05-22 김재범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KR101751820B1 (ko) 2016-04-08 2017-06-29 임동춘 거치구조를 갖는 무선 충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74B1 (ko) 2012-08-17 2013-02-06 안창선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KR101751820B1 (ko) 2016-04-08 2017-06-29 임동춘 거치구조를 갖는 무선 충전기
KR101738073B1 (ko) 2016-08-30 2017-05-22 김재범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6577B1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angle cradling
US20190111855A1 (en) Rotationally limited connection system
CN101938538B (zh) 可折叠移动终端
US7839625B2 (en) Tool belt with smart cell technology
KR101391547B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JP3193967U (ja) 無線充電ホルダー
CN208402074U (zh) 耳机盒
KR20100130345A (ko) 선형 개폐식 폴더 타입 휴대폰 케이스
KR20210066435A (ko)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US20180099622A1 (en) Integrated hanger case for mobile device
KR20170075201A (ko) 휴대용 충전팩
KR20130008317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화장품 케이스
KR20170108267A (ko) 이동 단말기
JP2011083067A (ja) 無接点充電装置及びその端末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491272Y1 (ko) 탈부착 사용 구조를 갖는 휴대폰 보조 배터리
CN207652846U (zh) 一种多功能的移动终端防水保护套
CN110635539A (zh) 一种支架式无线充电装置
KR20170054877A (ko) 이동 단말기
KR101597336B1 (ko) 커버 디바이스
KR101543532B1 (ko) 휴대기기 각도 조절용 거치장치
KR20100005566U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102602283B1 (ko) 무선충전기
KR102266193B1 (ko) 스마트폰 케이스
CN220139607U (zh) 一种具有支架功能的手机屏幕保护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