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474B1 -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474B1
KR101230474B1 KR1020120090199A KR20120090199A KR101230474B1 KR 101230474 B1 KR101230474 B1 KR 101230474B1 KR 1020120090199 A KR1020120090199 A KR 1020120090199A KR 20120090199 A KR20120090199 A KR 20120090199A KR 101230474 B1 KR101230474 B1 KR 10123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lamp
groove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선
Original Assignee
안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선 filed Critical 안창선
Priority to KR1020120090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양측으로 관통되어 스마트폰이 내측으로 위치되는 자리홈과, 상기 자리홈의 상측으로 램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램프의 불빛이 조사되는 조사홈과 터치센서가 형성되는 보조판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이나 후방에 형성되는 거치대와, 상기 본체로 USB케이블이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터치센서가 결합되는 센서홈과 램프와 대응되는 램프홈이 형성된 덮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으로 스마트폰을 위치시켜 램프를 통해 살균을 수행하면서, 본체에 형성된 인터페이스에 USB케이블을 결합하여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본체에 형성된 거치대를 통해 다수개의 스마트폰을 살균 및 충전을 수행하며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A smart phone for sterilizer of charger typ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폰과 같은 스마트폰을 양측으로 관통된 부분에 삽입한 후, 스마트폰을 살균함과 동시에 충전을 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거치대에 다른 스마트폰을 추가로 거치할 수 있고, 양측으로 관통된 부분의 양측으로 커버를 결합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살균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스마트폰의 충전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 살균기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번호 제10-2011-67653호와 같이 본체의 내측으로 모터와 벨트를 형성하여, 본체의 내측으로 위치된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를 좌, 우로 슬라이드 시키면서 휴대폰을 살균하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휴대폰을 슬라이드시키면서 살균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형성되며, 휴대폰이 슬라이드되면서 살균되기 때문에 휴대폰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공간과 휴대폰의 양측이 개방되어 있어, 램프에서 발산되는 자외선 및 오존이 퍼지게 되면서 살균능력이 저하되고, 휴대폰을 살균과 동시에 충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스마트폰이 내측으로 위치되는 자리홈과, 상기 자리홈의 상측으로 램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램프의 불빛이 조사되는 조사홈과 터치센서가 형성되는 보조판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이나 후방에 형성되는 거치대와, 상기 본체로 USB케이블이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터치센서가 결합되는 센서홈과 램프와 대응되는 램프홈이 형성된 덮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으로 스마트폰을 위치시켜 램프를 통해 살균을 수행하면서, 본체에 형성된 인터페이스에 USB케이블을 결합하여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본체에 형성된 거치대를 통해 다수개의 스마트폰을 살균 및 충전을 수행하며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투명커버를 위치시키면서 투명커버 등에 광고문구를 인쇄함으로써, 램프에서 조사되는 불빛에 의해 광고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덮개에 자리돌출부를 형성하여 램프의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고, 상기 본체에는 조사홈을 형성하고, 덮개에는 램프홈을 형성하여 램프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원활하게 조사홈과 램프홈을 통해 발산되면서 스마트폰의 살균효과를 높이면서 광고효과 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커버를 결합함으로써, 본체에 놓여 지게 되어 램프에 의해 스마트폰이 살균될 될 때, 본체의 외측으로 발산되는 빛을 없앰으로써, 스마트폰의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에 밀림방지턱을 형성하여, 커버가 본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면서, 본체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불빛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체와 덮개를 통해 스마트폰을 살균함과 동시에 충전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3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덮개(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어, 내측으로 살균이나 충전을 하고자 하는 스마트폰이 위치되는 자리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리홈(11)의 상측으로는 자외선 및 오존을 발산하는 램프(13)가 형성되되 상기 램프(13)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3)와, 상기 램프(13)에서 발산되는 자외선 및 오존이 유입되는 조사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13)를 작동시킬 수 있는 터치센서(15)가 형성되는 보조판(16)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보조판(16)에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기판(17)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으로 관통되어 있고 자리홈(11)을 본체(10)의 외측에서 막을 수 있는 커버(18)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8)는 본체(1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보조결합홈(18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결합홈(18d)에 결합되는 보조결합부(18a)와 상기 보조결합부(18a)에 결합되면서 본체(10)에 결합되는 보조커버(18c)가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보조커버(18c)에는 보조커버(18c)의 테두리를 따라 밀림방지턱(1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 보조결합부(18a)가 결합될 때, 본체(10)에 보조결합부(18a)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결합부(18a)에 다수개의 돌기(도면에 미도시) 등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에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홈(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측 각각의 꼭지점 부분마다 숫나사, 암나사방식이나 볼트, 너트 방식과 같이 두개의 구성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19)를 더 포함시켜 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자리홈(11)에 레일(r)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레일(r)은 자리홈(11)으로 위치되는 스마트폰이 살균 및 충전될 때,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자리홈(11)에 스마트폰을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자리홈(11)에 스마트폰을 위치시킬 때, 스마트폰이 자리홈(11)의 바닥 전체에 밀착되어 그 밀착력에 의해 자리홈(11)에서 제대로 슬라이드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자리홈(11)에 레일(r)을 형성하여 자리홈(11)의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리홈(11)에 스마트폰을 손쉽게 끼우거나 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이나 후방에 위치하면서 다른 휴대폰과 같은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1)가 형성되어 볼트 등을 통해 거치대(21)를 본체(10)에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USB케이블을 결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2)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21)와 인터페이스(22)는 본체(10)의 전방, 후방 등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본체(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보조판(16)의 상측으로 위치되어 본체(1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으면서 결합, 분리될 수 있으며, 본체(10)에 형성된 터치센서(15)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센서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자외선, 오존을 발산시키는 램프(12)와 대응되되 자외선과 오존이 외부로 퍼질 수 있는 램프홈(24)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20)에는 상기 덮개(20)가 본체(10)에 결합될 때, 본체(10)와 덮개(20)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본체(10)와 덮개(20)를 간편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결합부(19)와 대응되는 결합대(25)를 더 포함시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9)와 덮개(20)의 결합대(25)를 통해 본체(10)와 덮개(20)를 용이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본체(10)와 덮개(20)를 결합할 때, 본체(10)에 형성된 램프(12)가 흔들리지 않도록 램프(12)를 고정시키면서, 램프(12)에서 발산되는 자외선 및 오존이 조사홈(14)을 통해 자리홈(11)과 램프홈(24)으로만 발산되도록 램프홈(24)의 주위를 따라 자리돌출부(26)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상기 자리돌출부(26)의 강도를 우수하게 할 수 있도록 자리돌출부(26)에 다수개의 보강리브(27)를 더 포함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덮개(20)를 위치시키면서, 다양한 문자, 숫자, 도형 등 다양한 이미지로 형성된 광고가 인쇄된 투명한 재질의 투명커버(28)를 덮개(20)의 상측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체(10)와 덮개(20)가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0)의 보조판(16)에 형성된 고정부(13)에 램프(12)를 고정시킨 후, 상기 보조판(16)의 상측과 측면 등에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다수개의 기판(17)이 볼트, 너트방식, 숫나사, 암나사방식, 접착제를 이용한 방식 등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측으로 덮개(20)를 결합하도록 하는데, 본체(10)에 형성된 결합부(19)와 덮개(20)의 결합대(25)를 결합하면서 본체(10)와 덮개(20)를 결합하되, 상기 덮개(20)에 형성된 센서홈(23)으로 본체(10)의 터치센서(15)가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램프(12)가 덮개(20)의 램프홈(24)에 위치되면서 램프(12)의 외측으로 자리돌출부(26)가 위치되도록 하여 결합하며, 투명커버(28)가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된 인터페이스(22)에 USB케이블의 일측을 결합하고, 타측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컴퓨터 등에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본체(10) 및 덮개(20)의 상측으로 돌출된 터치센서(15)를 접촉하게 되면, 램프(12)로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터치센서(15)를 접촉시키게 되면, 터치센서(15)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기판(17)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되면서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인입되는 전원을 제어하면서 램프(12)를 작동시키게 되어 램프(12)에서 자외선 및 오존이 발생되게 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처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12)에서 자외선 및 오존이 발산되면, 사용자는 양측이 관통되어 형성된 자리홈(11)에 사용자가 살균하고자 하는 스마트폰을 위치시키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을 램프(12)를 작동시키기 전에 자리홈(11)에 위치시킬 수도 있으며, 램프(12)를 작동시킨 후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자리홈(11)에 레일(r)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자리홈(11)에 끼울 때, 상기 레일(r)에 상측에 위치되면서 스마트폰이 자리홈(11)의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스마트폰이 자리홈(11)의 바닥과 밀착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자리홈(11)으로 스마트폰을 밀어 넣을 수 있으면서, 반대로 자리홈(11)에서 쉽게 스마트폰을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램프(12)에서 발산되는 자외선 및 오존이 본체(10)와 덮개(20)에 형성된 조사홈(14)을 통해 본체(10)의 내측에 위치된 자리홈(11)으로 발산되면서 스마트폰로 조사하게 되어, 스마트폰을 살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램프(12)에서 발산되는 빛이 램프홈(24)을 통해 덮개(20)와 투명커버(28)의 외측으로 발산하게 되면서 투명커버(28)에 인쇄된 광고문구 등을 환하게 비추게 되어,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램프(12)에서 자외선 및 오존이 다양한 방향으로 발생될 때, 램프(12)의 외측으로 형성된 자리돌출부(26)에 의해 램프(12)에서 발산되는 자외선 및 오존이 자리돌출부(26)가 형성된 방향으로 막히게 되면서 상기 자리돌출부(26)가 형성되지 않은 조사홈(14)이나 램프홈(24)으로만 조사되게 되어, 램프(12)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본체(10)에 스마트폰을 위치시키고 살균을 시행할 때,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된 인터페이스(22)에 별도의 USB케이블을 연결하고, 그 USB케이블을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스마트폰을 충전하면서 살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에 스마트폰을 위치시켜 살균을 수행할 때, 본체(10)가 양측으로 관통되어 있어, 그 관통된 부분으로 램프(12)의 자외선 및 오존이 퍼지게 되어 램프(12)이 효율이 낮아질 수도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램프(12)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본체(10)의 양측으로 관통된 부분을 막을 수 있도록 커버(18)를 본체(10)에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의 자리홈(11)에 스마트폰을 위치시켜 충전 및 살균을 수행하고 있을 경우, 스마트폰에 연결한 USB케이블을 분리시킨 후, 상기 본체(10)의 양측으로 형성된 보조결합홈(18d)에 보조결합부(18a)를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결합부(18a)와 보조결합홈(18d)에는 다수개의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보조결합부(18a)와 보조결합홈(18d)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 후, 상기 보조결합부(18a)에 보조커버(18c)를 결합하도록 하는데, 상기 보조커버(18c)에 형성된 밀림방지턱(18b)이 보조결합부(18a)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보조결합부(18a)와 보조커버(18c)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체(10)의 양측으로 보조결합부(18a)와 보조커버(18c)를 결합하게 되면, 램프(12)에서 발산되는 빛이 본체(10)의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되어, 본체(10)의 외부로 나가는 빛을 최소화함으로써, 램프(12)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에 커버(18)를 결합할 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본체(10)에 형성된 보조결합홈(18d)에 보조결합부(18a)가 항상 결합되어 있도록 한 후, 상기 보조결합부(18a)에 보조커버(18c)를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결합부(18a)와 보조커버(18c)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살균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커버(18)를 본체(10)에 결합하였다가 다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자리홈(11)으로 스마트폰을 슬라이드형태로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스마트폰을 살균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살균함과 동시에 충전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의 살균시 양측이 관통된 본체(10)에 보조커버(18)를 결합하게 됨으로써, 램프(12)에서 발산되는 자외선 및 오존이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램프(12)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면서 살균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덮개(20)에 형성된 자리돌출부(26)에 의해 램프(12)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램프(12)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램프(12)가 흔들리거나 쉽게 탈락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조커버(18)에 형성된 밀림방지턱(18c)에 의해 램프(12)에서 발산되는 자외선 및 오존이 본체(10)의 외측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보조커버(18)가 본체(10)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10 : 본체 11 : 자리홈
12 : 램프 13 : 고정부
14 : 조사홈 15 : 터치센서
16 : 보조판 17 : 기판
18 : 커버 18a : 보조결합부
18b : 밀림방지턱 18c : 보조커버
19 : 결합부 20 : 덮개
21 : 거치대 22 : 인터페이스
23 : 센서홈 24 : 램프홈
25 : 결합대 26 : 자리돌출부
27 : 보강리브 28 : 투명커버
50 :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Claims (11)

  1. 양측으로 관통되어 스마트폰이 내측으로 위치되는 자리홈(11)과, 상기 자리홈(11)의 상측으로 램프(1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3)와 상기 램프(12)의 불빛이 조사되는 조사홈(14)과 터치센서(15)가 형성되는 보조판(16)으로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방이나 후방에 형성되는 거치대(21)와, 상기 본체(10)로 USB케이블이 결합되는 인터페이스(22),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터치센서(15)가 결합되는 센서홈(23)과 램프(12)와 대응되는 램프홈(24)이 형성된 덮개(20)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보조판(16)에는 다수개의 기판(17)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양측으로 커버(18)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8)는 본체(10)의 양측으로 고정되는 보조결합부(18a)와, 상기 보조결합부(18a)와 결합되며 밀림방지턱(18b)이 형성된 보조커버(18c)와, 상기 보조결합부(18a)가 결합되는 보조결합홈(18d)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자리홈(11)에 레일(r)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가 결합되는 본체(10)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결합부(19)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에는 본체(10)의 결합부(19)와 대응되는 결합대(25)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에는 본체(10)의 램프(12)가 끼워지는 자리돌출부(26)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에 형성된 자리돌출부(26)에는 보강리브(27)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에는 상측으로 투명한 재질의 투명커버(28)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28)에는 다양한 문자, 도형 등으로 이루어진 광고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KR1020120090199A 2012-08-17 2012-08-17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KR10123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199A KR101230474B1 (ko) 2012-08-17 2012-08-17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199A KR101230474B1 (ko) 2012-08-17 2012-08-17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474B1 true KR101230474B1 (ko) 2013-02-06

Family

ID=4789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199A KR101230474B1 (ko) 2012-08-17 2012-08-17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4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0334A (ko) * 2013-10-31 2015-05-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멀티 충전기 및 살균기
KR20160077688A (ko) 2014-12-24 2016-07-04 장대규 휴대 전자기기용 살균기
KR20210066435A (ko) 2019-11-28 2021-06-07 주민정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KR102401943B1 (ko) 2021-12-31 2022-05-2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소독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259Y1 (ko) 2005-04-11 2005-07-25 윤한무 휴대폰 살균기 겸용 칫솔 살균장치
KR200431808Y1 (ko) 2006-09-02 2006-11-27 이상덕 의료용 초음파 살균 세척기
KR20100010679U (ko) * 2009-04-22 2010-11-01 이지현 컴퓨터 유에스비 전원을 이용한 냉음극관 램프방식의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259Y1 (ko) 2005-04-11 2005-07-25 윤한무 휴대폰 살균기 겸용 칫솔 살균장치
KR200431808Y1 (ko) 2006-09-02 2006-11-27 이상덕 의료용 초음파 살균 세척기
KR20100010679U (ko) * 2009-04-22 2010-11-01 이지현 컴퓨터 유에스비 전원을 이용한 냉음극관 램프방식의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0334A (ko) * 2013-10-31 2015-05-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멀티 충전기 및 살균기
KR102369199B1 (ko) 2013-10-31 2022-03-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멀티 충전기 및 살균기
KR20160077688A (ko) 2014-12-24 2016-07-04 장대규 휴대 전자기기용 살균기
KR20210066435A (ko) 2019-11-28 2021-06-07 주민정 거치형 스마트폰 충전기
KR102401943B1 (ko) 2021-12-31 2022-05-2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474B1 (ko)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JP5857292B2 (ja) ポータブル電子機器用のケース
US20170165386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torage and charging cabinet having sterilization function
CN105412956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消毒装置
KR2011008307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살균 및 충전 장치
US20140287801A1 (en) Protective shell and charging device assembly for mobile phone
US20200290535A1 (en) Car jump start power source
KR101483149B1 (ko)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단말기용 무선 충전 고정 장치
US20120257432A1 (en) USB AC Adapter with Removable USB Vehicle Power Adapter
KR200470126Y1 (ko)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
CN203677572U (zh) 一种便携式手机消毒充电设备
US8646937B2 (en) Switch panel illumination structure
KR20150138793A (ko) 휴대폰 살균기
RU2015145491A (ru) МОДЕРН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СВЕТА НА ОРГАНИЧЕСКИХ СВЕТОИЗЛУЧАЮЩИХ ДИОДАХ (ОСИДах)
GB201312751D0 (en) Theft detection
KR20130045038A (ko) 보조배터리 케이스
CN212063557U (zh) 具有隐藏保护开关的杀菌消毒充电宝
US20220149656A1 (en) Device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s and sanitizing surfaces
WO2016105108A1 (ko) 휴대 전자기기용 살균기
CN204026193U (zh) 折叠式太阳能台灯
MY167321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BR102012021779A2 (pt) Aparelho de informação de posição de veículo
KR101695635B1 (ko) 휴대용 살균기 및 자가발전에 의한 휴대용 조작기
KR101587440B1 (ko) 태양광 충전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97120B1 (ko)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