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26Y1 -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26Y1
KR200470126Y1 KR2020130006258U KR20130006258U KR200470126Y1 KR 200470126 Y1 KR200470126 Y1 KR 200470126Y1 KR 2020130006258 U KR2020130006258 U KR 2020130006258U KR 20130006258 U KR20130006258 U KR 20130006258U KR 200470126 Y1 KR200470126 Y1 KR 200470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edestal
coupled
smartphon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길하
Original Assignee
황길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길하 filed Critical 황길하
Priority to KR2020130006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후방으로 배터리를 결합할 수 있는 배터리결합부와 누름감지센서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제1살균등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한 쌍의 제2살균등과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각각의 모서리마다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전방으로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기밀턱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돌출부재가 형성된 받침대와, 몸체와, 상기 받침대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몸체를 개폐할 수 있으며, 몸체의 센서홈이 형성되는 지점에 위치되면서 받침대의 누름감지센서와 접촉되는 누름센서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테두리가 형성되며 조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보조끼움부가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커버와 받침대에 각각 누름센서와 누름감지센서를 형성하여 커버를 닫을 경우 누름센서와 누름감지센서가 서로 맞닿게 되면서 살균등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스마트폰을 별도의 작업 없이 바로 살균할 수 있으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충전선을 삽입함으로써, 몸체에 위치된 스마트폰과 충전선을 연결하여 스마트폰을 충전하면서 살균할 수 있고, 살균등을 몸체의 양측으로 형성하며 커버를 몸체의 상측으로 형성하여 상기 커버를 통해 스마트폰을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 살균할 수 있어 스마트폰의 살균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받침대에 배터리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공간부에 배터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살균기를 휴대하면서 스마트폰을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Sterilizer smartphone for portable}
본 고안은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살균기를 휴대하면서도 스마트폰을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살균기에 배터리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오랜 시간 동안 살균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살균기의 공간부에 탄성부재 및 탄성고정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크기와 두께의 스마트폰을 간편하게 장착하여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857호와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를 통해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거치시켜, 스마트폰을 살균하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수납공간에 상기 수납공간과 동일한 크기나 그 보다 작은 크기의 스마트폰만을 거치시킬 수 있어, 수납공간보다 크기가 큰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수납공간에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작동스위치를 움직여야만 살균을 시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살균기를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살균기를 작동시키더라도 스마트폰 전체를 감싸지 못하였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살균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살균기에는 전원선이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스마트폰을 살균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는 후방으로 배터리를 결합할 수 있는 배터리결합부와 누름감지센서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제1살균등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한 쌍의 제2살균등과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각각의 모서리마다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전방으로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기밀턱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돌출부재가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측으로 결합되되 후방으로 누름감지센서가 삽입되어 노출되는 센서홈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제1살균등이 노출되는 제1살균등홈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제2살균등이 노출되는 제2살균등홈과 제1삽입홈에 결합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하측 각각의 모서리마다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하측 임의의 지점에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보조공간부가 형성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바닥이나 측면 중 어느 한곳이나 양쪽 모든 곳에 탄성부재와 탄성고정부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받침대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몸체를 개폐할 수 있으며, 몸체의 센서홈이 형성되는 지점에 위치되면서 받침대의 누름감지센서와 접촉되는 누름센서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테두리가 형성되며 조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보조끼움부가 형성된 커버를 통해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와 탄성고정부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살균할 수 있는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커버와 받침대에 각각 누름센서와 누름감지센서를 형성하여 커버를 닫을 경우 누름센서와 누름감지센서가 서로 맞닿게 되면서 살균등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스마트폰을 별도의 작업 없이 바로 살균할 수 있으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충전선을 삽입함으로써, 몸체에 위치된 스마트폰과 충전선을 연결하여 스마트폰을 충전하면서 살균할 수 있고, 살균등을 몸체의 양측으로 형성하며 커버를 몸체의 상측으로 형성하여 상기 커버를 통해 스마트폰을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 살균할 수 있어 스마트폰의 살균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받침대에 배터리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공간부에 배터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살균기를 휴대하면서 스마트폰을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에 조사홈을 형성하여 몸체에서 작동하는 살균등의 작동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살균등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탄성부재와 탄성고정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와 두께의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고정시켜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의 측면으로 보조공간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공간부에서 스마트폰을 간편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기밀턱을 통해 받침대와 몸체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해 몸체와 받침대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받침대, 몸체, 커버가 모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몸체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이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되어 스마트폰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몸체와 받침대에 각각 형성된 제1, 2결합부를 통해 몸체와 받침대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상기 받침대, 몸체, 커버에 각각 끼움홈, 끼움부, 보조끼움부를 형성하여 받침대와 몸체, 커버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며, 보조끼움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커버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몸체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돌출부를 통해 몸체와 받침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살균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일정하게 스마트폰으로 비춰져 살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의 개봉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과 4는 본 고안인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 몸체(20), 커버(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받침대(10)는 후방으로 배터리를 결합할 수 있는 배터리결합부(11)와 누름감지센서(12)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제1살균등(13a)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한 쌍의 제2살균등(13b)과 제1삽입홈(14)이 형성되며, 각각의 모서리마다 제1결합부(15)가 형성되고 전방으로 끼움홈(16)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기밀턱(17)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돌출부재(18)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살균등(13a)과 제2살균등(13b)은 결합, 분리가 가능하여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살균등(13a)과 제2살균등(13b)은 다양한 형태의 램프(도면에 미도시)로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력을 높일 수 있도록 자외선램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해, 상기 받침대(10)에는 누름감지센서(12), 살균등(13) 등과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장치 등을 작동시키는 기판(도면에 미도시) 및 전기장치(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20)는 받침대(10)의 상측으로 결합되되 후방으로 누름감지센서(12)가 삽입되어 노출되는 센서홈(21)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제1살균등(13a)이 노출되는 제1살균등홈(22a)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제2살균등(13b)이 노출되는 제2살균등홈(22b)과 제1삽입홈(14)에 결합되는 제2삽입홈(23)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끼움홈(16)에 결합되는 끼움부(24)가 형성되며 하측 각각의 모서리마다 제1결합부(15)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25)가 형성되고, 하측 임의의 지점에 고정돌출부(26)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보조공간부(27a)가 형성되는 공간부(27)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7)에 탄성부재(28a)와 탄성고정부(28b)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결합홈(2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27)는 바닥(a)과 측면(b)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공간부(27)에 형성된 탄성부재(28a)와 탄성고정부(28b)를 바닥(a)과 측면(b) 중 어느 한 곳에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바닥(a)과 측면(b)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28a)에 의해 탄성고정부(28b)가 움직이면서 다양한 크기와 두께의 스마트폰을 공간부(27)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30)는 상기 받침대(10)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몸체(20)를 개폐할 수 있으며, 몸체(20)의 센서홈(21)이 형성되는 지점에 위치되면서 받침대(10)의 누름감지센서(12)와 접촉되는 누름센서(31)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몸체(20)의 결합홈(29)에 결합되는 테두리(32)가 형성되며 조사홈(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사홈(33)은 받침대(10)의 제1살균등(13a)과 제2살균등(13b)에서 발산되는 빛의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조사홈(33)에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창과 같은 투명부재를 추가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의 상측으로 몸체(20)를 위치시키면서 받침대(10)에 몸체(20)를 결합하도록 하는데, 상기 받침대(10)의 제1결합부(15)와 몸체(20)의 제2결합부(25)를 서로 결합하면서 받침대(10)와 몸체(20)를 결합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받침대(10)의 제1삽입홈(14)과 몸체(20)의 제2삽입홈(23)이 대응되도록 하면서 결합하고, 받침대(10)의 끼움홈(16)에 몸체(20)의 끼움부(24)를 동시에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10)의 제1살균등(13a)과 제2살균등(13b)에 몸체(20)의 제1살균등홈(22a)과 제2살균등홈(22b)이 각각 대응되도록 하면서 결합하면서 상기 받침대(10)의 상측으로 형성된 기밀턱(17)에 몸체(20)의 하측 부분이 밀착되도록 하면서 받침대(10)와 몸체(20)를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받침대(10)와 몸체(20)를 결합하게 되면, 받침대(10)의 제1삽입홈(14), 제1결합부(15), 끼움홈(16), 기밀턱(17)에 몸체(20)의 제2삽입홈(23), 제2결합부(25), 끼움부(24), 몸체(20)의 하측이 결합되면서 받침대(10)와 몸체(20)가 견고하게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와 몸체(20)가 결합되면 몸체(20)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돌출부(26)에 의해 받침대(10)와 몸체(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이격되게 되어, 받침대(10)의 제1살균등(13a)과 제2살균등(13b)에서 발산되는 빛이 일정한 거리와 각도로 분사되면서 공간부(27)에 놓여진 스마트폰에 정확하게 조사되어 스마트폰이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10)와 몸체(20)가 결합되면 상기 받침대(10)에 형성된 배터리결합부(11)에 배터리(도면에 미도시)를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결합부(11)에 배터리를 결합할 때, 배터리가 받침대(10)에서 쉽게 이격되지 않도록 배터리커버(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받침대(10)와 몸체(20)를 결합한 후, 상기 받침대(10)와 커버(30)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침대(10)와 커버(30)는 힌지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면서, 하측으로 형성된 테두리(32)가 몸체(20)의 끼움부(24)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받침대(10)와 커버(30)의 일측을 결합하면서 몸체(20)의 상측으로 커버(30)를 위치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받침대(10), 몸체(20), 커버(30)를 결합한 후,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살균하기 위해 사용자가 커버(30)를 열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몸체(20)에 형성된 공간부(27)에 스마트폰을 넣게 되면, 공간부(27)에 형성된 탄성고정부(28b)에 스마트폰이 밀착되면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8a)의 탄성에 의해 스마트폰이 견고하게 고정부(27)에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8a)와 탄성고정부(28b)는 공간부(27)의 바닥(a)이나 측면(b)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28a)과 바닥(a) 또는 측면(b)에서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중에도 스마트폰의 흔들림 없이 편리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몸체(20)의 공간부(27)에 스마트폰을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커버(30)를 닫게 되면 커버(30)의 누름센서(31)가 받침대(10)의 누름감지센서(12)를 누르게 되면서, 자동으로 제1살균등(13a)과 제2살균등(13b)이 작동하면서 공간부(27)에 놓여진 스마트폰을 살균하게 된다.
이에 더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살균하면서 동시에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침대(10)와 몸체(2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삽입홈(14)과 제2삽입홈(23)으로 사용자가 충전하고자 하는 스마트폰의 충전선(도면에 미도시)을 끼우면서 스마트폰과 충전선을 연결하여 스마트폰을 살균하면 충전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27)에 스마트폰을 위치시킬 때, 공간부(27)의 인접한 임의의 지점에 보조공간부(27a)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조공간부(27a)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스마트폰을 공간부(27)에 간편하게 끼우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살균등(13a)과 제2살균등(13b)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몸체(20)에 형성된 고정돌출부(26)에 의해 받침대(10)와 몸체(20)가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이격되어 있어, 항상 일정한 각도와 강도로 빛이 스마트폰으로 조사되어 스마트폰이 높을 살균력으로 살균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30)의 조사홈(22)을 통해 제1살균등(13a)과 제2살균등(13b)에서 조사되는 빛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제1살균등(13a)과 제2살균등(13b)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교체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살균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커버(30)를 열게 된다.
그러면, 커버(30)의 누름센서(31)가 받침대(10)의 누름감지센서(12)와 밀착되어 있다가 떨어지게 되면서 빛을 발산하고 있던 제1살균등(13a)과 제2살균등(13b)이 꺼지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몸체(20)의 공간부(27)에서 스마트폰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살균하기 위해 커버(30)를 개폐할 때, 커버(30)의 보조끼움부(34)를 잡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커버(30)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50)를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면서 살균을 할 수도 있지만,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50)를 테이블과 같은 곳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50)를 테이블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받침대(10)의 하측에 형성된 돌출부재(18)가 테이블에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50)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10 : 받침대 11 : 배터리결합부
12 : 누름감지센서 13a : 제1살균등
13b : 제2살균등 14 : 제1삽입홈
15 : 제1결합부 16 : 끼움홈
17 : 기밀턱 18 : 돌출부재
20 : 몸체 21 : 센서홈
22a : 제1살균등홈 22b : 제2살균등홈
23 : 제2삽입홈 24 : 끼움부
25 : 제2결합부 26 : 고정돌출부
27 : 공간부 28a : 탄성부재
28b : 탄성고정부 29 : 결합홈
30 : 커버 31 : 누름센서
32 : 테두리 33 : 조사홈
34 : 보조끼움부
50 :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

Claims (2)

  1. 후방으로 배터리를 결합할 수 있는 배터리결합부(11)와 누름감지센서(12)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제1살균등(13a)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한 쌍의 제2살균등(13b)과 제1삽입홈(14)이 형성되며, 각각의 모서리마다 제1결합부(15)가 형성되고 전방으로 끼움홈(16)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기밀턱(17)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돌출부재(18)가 형성된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의 상측으로 결합되되 후방으로 누름감지센서(12)가 삽입되어 노출되는 센서홈(21)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제1살균등(13a)이 노출되는 제1살균등홈(22a)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제2살균등(13b)이 노출되는 제2살균등홈(22b)과 제1삽입홈(14)에 결합되는 제2삽입홈(23)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끼움홈(16)에 결합되는 끼움부(24)가 형성되며 하측 각각의 모서리마다 제1결합부(15)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25)가 형성되고, 하측 임의의 지점에 고정돌출부(26)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보조공간부(27a)가 형성되는 공간부(27)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7)의 바닥(a)이나 측면(b) 중 어느 한곳이나 양쪽 모든 곳에 탄성부재(28a)와 탄성고정부(28b)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결합홈(29)이 형성된 몸체(20);
    상기 받침대(10)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몸체(20)를 개폐할 수 있으며, 몸체(20)의 센서홈(21)이 형성되는 지점에 위치되면서 받침대(10)의 누름감지센서(12)와 접촉되는 누름센서(31)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몸체(20)의 결합홈(29)에 결합되는 테두리(32)가 형성되며 조사홈(33)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24)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보조끼움부(34)가 형성된 커버(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
  2. 삭제
KR2020130006258U 2013-07-26 2013-07-26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 KR200470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58U KR200470126Y1 (ko) 2013-07-26 2013-07-26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58U KR200470126Y1 (ko) 2013-07-26 2013-07-26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126Y1 true KR200470126Y1 (ko) 2013-11-29

Family

ID=5074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258U KR200470126Y1 (ko) 2013-07-26 2013-07-26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2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8308A (zh) * 2014-12-10 2015-03-25 东莞市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翻盖手机按压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KR20150115516A (ko) 2014-04-04 2015-10-14 에스에스아이(주)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살균기
KR20160077688A (ko) 2014-12-24 2016-07-04 장대규 휴대 전자기기용 살균기
KR20190098573A (ko) *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케이스 장치
KR20210121901A (ko) 2020-03-31 2021-10-08 윤강식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KR20220114701A (ko) 2021-02-09 2022-08-17 김정은 길이 가변이 가능한 uv 살균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632U (ko) * 2010-04-05 2011-10-12 오상택 휴대용 전자 담배 살균 및 충전 장치
KR101275879B1 (ko) * 2012-10-10 2013-06-18 김상선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632U (ko) * 2010-04-05 2011-10-12 오상택 휴대용 전자 담배 살균 및 충전 장치
KR101275879B1 (ko) * 2012-10-10 2013-06-18 김상선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516A (ko) 2014-04-04 2015-10-14 에스에스아이(주)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살균기
CN104458308A (zh) * 2014-12-10 2015-03-25 东莞市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翻盖手机按压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N104458308B (zh) * 2014-12-10 2017-03-22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翻盖手机按压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KR20160077688A (ko) 2014-12-24 2016-07-04 장대규 휴대 전자기기용 살균기
KR20190098573A (ko) *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케이스 장치
KR102533781B1 (ko) * 2018-02-14 2023-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케이스 장치
KR20210121901A (ko) 2020-03-31 2021-10-08 윤강식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KR20220114701A (ko) 2021-02-09 2022-08-17 김정은 길이 가변이 가능한 uv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126Y1 (ko) 휴대용 스마트폰 살균기
US10186884B2 (en)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multi-station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60030612A1 (en) Mobile phone charger with sterilization ultraviolet led
TW200701907A (en) Snap and lift package for contact lens
USD736516S1 (en) Rhinestone covered container for stun device
KR20150138793A (ko) 휴대폰 살균기
KR20200048184A (ko) 휴대용 살균 로봇
KR20170000133U (ko) 화장품 수납용 기능성 가방
CN204133358U (zh) 一种坐便器座圈组件
KR101230474B1 (ko) 스마트폰 충전용 살균기
US10047947B1 (en) Salt lamp with salt crystal supporting arrangement
KR20210044421A (ko) Uv램프가 구비된 휴대폰 충전기
RU2505735C1 (ru)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й стерилизатор для портативных цифровых устройств и аксессуаров
CN104013984A (zh) 一种带无线充电功能的消毒装置
RU124565U1 (ru)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й стерилизатор для портативных цифровых устройств и аксессуаров
JP2013086012A (ja) タッチパネル式機器のクリーニング装置
WO2015074207A1 (zh) 一种紫外线消毒器
CN210904207U (zh) 一种手机uv消毒盒
MX2007014813A (es) Aparato para cuidado de pisos equipado con fuente de luz electroluminiscente .
KR200462816Y1 (ko) 위조 지폐 식별기
KR200439969Y1 (ko) 휴대폰 살균장치
TWM484847U (zh) 自走式清潔設備之充電裝置
AU2010101476A4 (en) Toilet navigation light (P Light)
JP2012243658A (ja) 保安灯
TWI770600B (zh) 具uv燈殺菌之智慧充電裝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