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549A - 무선 이어셋 - Google Patents
무선 이어셋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1549A KR20170011549A KR1020150104351A KR20150104351A KR20170011549A KR 20170011549 A KR20170011549 A KR 20170011549A KR 1020150104351 A KR1020150104351 A KR 1020150104351A KR 20150104351 A KR20150104351 A KR 20150104351A KR 20170011549 A KR20170011549 A KR 201700115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ntact terminal
- terminal portion
- communication module
- wireless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기존 케이블형 무선 이어셋의 문제점인 미사용시 보관 문제, 짧은 배터리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넥 밴드형 무선 이어셋의 문제점인 음향을 청취하는 동안 불필요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품을 실장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양단에 구비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각 일단에 연결된 이어리시버, 상기 제1 하우징이 착탈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양단에 구비되어 만곡부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 등의 타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가 음향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어셋은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음향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사용자 등에게 제공하는 기기를 지칭한다. 무선 이어셋의 구조적인 방식에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귀에 안착되는 한 쌍의 유닛부를 연결하는 밴드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폰형, 한 쌍의 유닛부를 연결하는 밴드가 사용자의 뒷 목에 걸쳐지는 넥 밴드형, 한 쌍의 유닛부를 서로 연결하여 배터리 등을 실장하는 케이블 형, 사용자의 귀 둘레에 유닛부를 곧바로 고정시키는 귀걸이형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의 넥 밴드 형의 경우, 귀에 착용하는 유닛부에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아 넥 밴드 부분과 유닛부가 유선으로 연결된다. 넥 밴드와 단말기는 무선으로 연결되나, 넥 밴드 부분과 유닛부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완전한 무선 방식이라 보기 어려우며, 유선부분이 단선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도 선이 걸리는 등 불편함을 준다. 나아가, 이어셋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도 넥 밴드 부분을 사용자의 목에 항상 걸어놓아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케이블 형 무선 이어셋의 경우, 좌측 유닛부와 우측 유닛부를 케이블로 연결하고 케이블의 일 지점에 유닛부를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하우징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케이블 형 무선 이어셋의 경우, 무선 이어셋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목에 안정적으로 착용시키기 어려워 보관에 문제가 있으며, 사용중인 경우에는 배터리를 위한 공간의 제한이 있어 사용시간에 제한이 있었다.
이러한 무선 이어셋의 단점을 해결하고,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무선 이어셋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기존 케이블형 무선 이어셋 또는 넥 밴드형 무선 이어셋 각각이 갖는 단점들을 해결하고, 추가적인 장점들을 가져오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 케이블형 무선 이어셋의 문제점인 미사용시 보관 문제, 짧은 배터리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넥 밴드형 무선 이어셋의 문제점인 음향을 청취하는 동안 불필요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을 실장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양단에 구비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각 일단에 연결된 이어리시버, 상기 제1 하우징이 착탈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양단에 구비되어 만곡부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면에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함몰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된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1 자성부와 대응되는 제2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자성부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된 케이블의 일 영역 이상이 끼워지는 결합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어리시버는, 제3 자성부를 갖는 제1 이어리시버 및 상기 제3 자성부와 반대극의 제4 자성부를 갖는 제2 이어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각 와이어는, 단부에 상기 제1 이어리시버 및 상기 제2 이어리시버가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제3 자성부 또는 제4 자성부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5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에 실장된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되는 제1 접촉단자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접촉단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접촉단자부 및 상기 제2 접촉단자부와 연결되고 제2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이어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에 실장된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되는 제1 접촉단자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접촉단자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접촉단자부 및 상기 제2 접촉단자부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에 실장된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되는 제1 접촉단자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접촉단자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접촉단자부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실장되고 상기 제2 접촉단자부와 연결된 보조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실장되어 상기 제어부의 진동 신호에 의해 진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향을 청취하는 도중에 분리된 넥 밴드인 제2 바디의 착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필요시 이어셋인 제1 바디의 배터리를 보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어셋인 제1 바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넥 밴드인 제2 바디에 결합시켜 보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넥 밴드인 제2 바디의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의 무선 이어셋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리시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을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의 무선 이어셋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리시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을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1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무선 이어셋(10)은 전자 부품이 실장되고 이어셋이 연결되는 제1 바디(100) 및 제1 바디(100)가 착탈되며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는 제2 바디(200)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제1 하우징(110), 케이블(120), 이어리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의 제1 바디(10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양 이어리시버(130)를 착용시 제1 하우징(110)은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납작하고 긴 바(Bar) 모양을 할 수 있다. 바 모양의 제1 하우징(110)은 제1 바디(100)의 전체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사용자가 제1 바디(100)를 제2 바디(200)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별도로 착용한 경우에 목에 걸리적 거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의 무선이어셋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제1 하우징(110)이 바 모양을 갖는 경우 내측으로 휘어진 만곡 형상을 하여 사용자가 제1 바디(100)을 제2 바디(200)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별도로 착용한 경우에 제1 하우징(110)이 목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의 내측면만 만곡되어 휘어진 형상을 가지고 외측면은 평평한 면을 가져 평판 모양의 피씨비부(111) 효율적으로 공간을 차지하여 실장될 수 있다. 또는 제1 하우징(110)의 내측면뿐만 아니라 외측면 또한 만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제1 하우징(110)의 내측면 및 외측면 모두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제1 하우징(110)에 실장되어 외부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피씨비부(111)에 실장되어 제1 하우징(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주 전원 공급부(112)는 제1 하우징(110) 내에 실장되어 무선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주 전원 공급부(112)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주 전원 공급부(112)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주 전원 공급부(112)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주 전원 공급부(112)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주 전원 공급부(112)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120)은 제1 하우징(110)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120)은 제1 하우징(110) 내에서 무선 통신 모듈이 수신한 음향 신호를 후술할 이어리시버(13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하여 무선 통신 모듈이 송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리시버(130)는 케이블(120)의 각 일단에 연결되어 케이블(120)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소리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하우징(110) 또는 케이블(120)의 일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제어 신호의 입력을 받는 곳으로서, 음향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가 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호 신호 송/수신 등에 관여하는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가 케이블(120)의 일 영역에 구비된 경우, 사용자 입력부(140)는 마이크(2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바디(100)의 제1 하우징(110)은 제2 바디(200)의 제2 하우징(210)과 착탈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0)의 외측면은 제1 하우징(110)의 내측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함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는 형상이라 함은 제2 하우징(210)의 함몰부(220) 안착면(160)과 제2 하우징(210)의 내측면이 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하우징(110)의 내측면 전체와 제2 하우징(210)의 함몰부(220) 안착면(160) 전체가 반드시 접할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제1 자성부(150) 및 이와 인력을 발생시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210)의 결합을 시켜줄 제2 자성부(230)가 서로 결합할 수 있을 정도로 안정적인 영역을 제공하면 족하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21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제1 자성부(150) 및 제2 자성부(230)는 각각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자성부(150)는 제1 하우징(110)의 내측면 양쪽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자성부(150) 및 제2 자성부(230)는 경우에 따라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의 내부에 실장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의 외면에 노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외면에 노출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 자성부(150) 및 제2 자성부(230)의 결합면 또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240)는 제2 하우징(210)의 양단에 구비되어 와이어(240) 및 와이어(240)를 포함한 제2 바디(200)의 만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만곡부를 형성한 와이어(240) 및 제2 바디(200)는 사용자의 목에 감겨 착용될 수 있다. 와이어(240)는 합금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240)는 형상 기억 합금 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와이어(240)는 변형이 용이한 금속 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변형이 비교적 자유로운 금속 와이어(240)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목의 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각자에 맞게 고정시킬 수 있다.
와이어(240)는 내측에 금속 소재의 뼈대 및 외측에 금속 소재의 뼈대를 감싸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는 플라스틱이 될 수도 있고, 또는 고무와 같이 뼈대가 변형되더라도 외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1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결합 홈(250)은 제2 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케이블(120)의 일 영역 이상이 끼워질 수 있다. 결합 홈은 케이블(120)의 일정 부분이 끼워져 제1 바디(100)가 제2 바디(200)에 더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케이블(120)이 덜렁거려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주는 것을 최소화 할 수도 있다.
결합 홈(250)은 제2 하우징(210)의 양 방향으로 뻗은 제1 결합 홈(2501) 및 상측으로 뻗은 제2 결합 홈(2502)을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이어리시버(130)를 사용하지 않고 제1 바디(100)를 제2 바디(200)에 결합시킨 경우에는 케이블(120)을 제1 결합 홈(2501)에 끼워서 보관할 수 있고, 이어리시버(1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결합 홈(2502)에 끼워서 선이 거추장스럽게 덜렁거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리시버(13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의 우측 귀에 착용되는 이어리시버(130)를 제1 이어리시버(1301), 사용자의 좌측 귀에 착용되는 이어리시버(130)를 제2 이어리시버(1302)로 정의 한다.
제1 이어리시버(1301) 및 제2 이어리시버(1302)는 각각 제3 자성부(1303)와 제4 자성부(1304)를 실장할 수 있다. 제3 자성부(1303)와 제4 자성부(1304)는 서로 반대극을 가져 인력을 발생할 수 있다. 제3 자성부(1303)와 제4 자성부(1304)는 각 이어리시버(13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어리시버(130)의 배면은 이어팁(1305)이 향한 방향의 반대 면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어리시버(130)의 배면은 특히 평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형상의 이어리시버(130)에 제3 자성부(1303) 및 제4 자성부(1304)가 구비되어 인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10)을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이어리시버(1301)와 제2 이어리시버(1302)가 인력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이어리시버(1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300)가 무선 이어셋(10)을 목에 걸치더라도 케이블(120) 및 이어리시버(130)가 덜렁거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이어셋(1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는 와이어(240)의 단부에는 제1 이어리시버(1301) 및 제2 이어리시버(1302) 각각이 안착되는 안착면(160)이 구비될 수 있다. 안착면(160)은 제1 이어리시버(1301)의 제3 자성부(1303) 및 제2 이어리시버(1302)의 제4 자성부(1304)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5 자성부(1601)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제1 이어리시버(1301)와 제2 이어리시버(1302)를 결합시키지 않고 안착면(160)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이어리시버(1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무선 이어셋(10)을 목에 걸치더라도 케이블(120) 및 이어리시버(130)가 덜렁거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접촉단자부(170)는 제1 하우징(110)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2 접촉단자부(260)는 제2 하우징(210)의 표면상에 제1 접촉단자부(170)와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접촉단자부(170)와 제2 접촉단자부(26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210)이 결합시 서로 연결되어 회로적으로 전류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회로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될 수도 있다.
제1 접촉단자부(170)와 제2 접촉단자부(260) 중 어느 하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일정 거리 압축 가능한 포고(Pogo)핀의 형태로 구비되어 제1 하우징(110)의 제2 하우징(210)에 다소 이격되어 결합되더라도 제1 접촉단자부(170)와 제2 접촉단자부(260)의 결합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스피커(270)는 제2 하우징(210)에 실장될 수 있다. 스피커(270)는 제2 하우징(210)의 양 쪽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접촉단자부(170)의 접촉 반대편 일단이 무선 통신 모듈에 연결되고 제2 접촉단자부(260)의 접촉 반대편 일단이 스피커(270)에 연결되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스피커(270)를 통해 출력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어리시버(130)를 통해 음향을 청취하거나 스피커(270)를 통해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이어리시버(130)는 사용자의 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므로 외부의 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 스피커(270)를 통해서 들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스위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를 포함하는 음향 선택 회로는 무선 통신 모듈에서 이어져 이어리시버(130)로 이어지는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고 제1 접촉단자부(170)로 이어지는 경로를 제공하여 이를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이크(280)는 제1 바디(1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바디(200), 즉, 와이어(240)의 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와이어(240)의 단부에 마이크(280)가 구비되는 경우 마이크(280)로 입력된 음향 신호가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어 외부 단말기를 통한 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바디(200)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된 와이어(240)의 단부는 사용자의 입에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어리시버(130)의 착용여부에 관계 없이 사용자의 음성을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와이어(240)의 단부에 마이크(280)가 구비되는 경우 마이크(280)로부터 제2 하우징(210)의 제2 접촉단자부(260)까지 회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와이어(240)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여 이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조 전원 공급부(290)는 제2 하우징(210)내에 실장되어 제1 바디(100)에 보조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착용되므로 무게 및 부피의 제약이 있고, 따라서 제1 바디(100)에 구비된 주 전원 공급부(112)는 전원 용량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보조 전원 공급부(290)는 제2 접촉단자부(260) 및 제1 접촉단자부(170)를 통해 주 전원 공급부(11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0)을 제2 하우징(210)에 결합시킨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보조 전원 공급부(290)의 전원이 주 전원 공급부(112)로 이동하여 주 전원 공급부(112)를 충전할 수 있다.
보조 전원 공급부(290)는 제2 접촉단자부(260)와 대응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별도의 충전 크래들을 통해 충전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하우징(210)에 구비된 마이크(280)로 유에스비(micro-USB) 방식 등의 포트(Port)를 통해 충전이 될 수도 있다.
구동부(180)는 제1 하우징(110)에 실장되어 제어부가 생성한 진동 신호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제어부는 주 전원 공급부(112)의 전원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와 같이 무선 이어셋(10) 내부에서 발생한 이벤트 또는 센싱에 따라 진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이어셋(10)과 연결된 외부 단말기의 이벤트에 따른 신호, 즉,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등에 대한 신호에 따라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에는 광출력부(291)를 포함할 수 있다. 광출력부(291)는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광출력부(291)는 제어부가 생성한 발광 신호에 의해 발광될 수 있다. 제어부는 주 전원 공급부(112)의 전원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와 같이 무선 이어셋(10) 내부에서 발생한 이벤트 또는 센싱에 따라 발광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이어셋(10)과 연결된 외부 단말기의 이벤트에 따른 신호, 즉,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등에 대한 신호에 따라 발광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제1 바디
200: 제2 바디
110: 제1 하우징 1101: 제1 하우징 내측면
1102: 제1 하우징 외측면 111: 피씨비부
112: 주 전원 공급부 120: 케이블
130: 이어리시버 1301: 제1 이어리시버
1303: 제3 자성부 1302: 제2 이어리시버
1304: 제4 자성부 1305: 이어팁
140: 사용자 입력부 150: 제1 자성부
160: 안착면 1601: 제5 자성부
170: 제1 접촉단자부 180: 구동부
210: 제2 하우징 220: 함몰부
230: 제2 자성부 240: 와이어
250: 결합 홈 2501: 제1 결합 홈
2502: 제2 결합 홈 260: 제2 접촉단자부
270: 스피커 280: 마이크
290: 보조 전원 공급부 291: 광출력부
110: 제1 하우징 1101: 제1 하우징 내측면
1102: 제1 하우징 외측면 111: 피씨비부
112: 주 전원 공급부 120: 케이블
130: 이어리시버 1301: 제1 이어리시버
1303: 제3 자성부 1302: 제2 이어리시버
1304: 제4 자성부 1305: 이어팁
140: 사용자 입력부 150: 제1 자성부
160: 안착면 1601: 제5 자성부
170: 제1 접촉단자부 180: 구동부
210: 제2 하우징 220: 함몰부
230: 제2 자성부 240: 와이어
250: 결합 홈 2501: 제1 결합 홈
2502: 제2 결합 홈 260: 제2 접촉단자부
270: 스피커 280: 마이크
290: 보조 전원 공급부 291: 광출력부
Claims (10)
- 부품을 실장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양단에 구비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각 일단에 연결된 이어리시버;
상기 제1 하우징이 착탈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양단에 구비되어 만곡부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면에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함몰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된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1 자성부와 대응되는 제2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자성부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된 케이블의 일 영역 이상이 끼워지는 결합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리시버는,
제3 자성부를 갖는 제1 이어리시버; 및
상기 제3 자성부와 반대극의 제4 자성부를 갖는 제2 이어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와이어는,
단부에 상기 제1 이어리시버 및 상기 제2 이어리시버가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제3 자성부 또는 제4 자성부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5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실장된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되는 제1 접촉단자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접촉단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접촉단자부; 및
상기 제2 접촉단자부와 연결되고 제2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이어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실장된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되는 제1 접촉단자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접촉단자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접촉단자부; 및
상기 제2 접촉단자부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실장된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되는 제1 접촉단자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접촉단자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접촉단자부;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실장되고 상기 제2 접촉단자부와 연결된 보조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 - 제1 항에 있어서,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실장되어 상기 제어부의 진동 신호에 의해 진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셋.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4351A KR20170011549A (ko) | 2015-07-23 | 2015-07-23 | 무선 이어셋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4351A KR20170011549A (ko) | 2015-07-23 | 2015-07-23 | 무선 이어셋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1549A true KR20170011549A (ko) | 2017-02-02 |
Family
ID=5815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4351A KR20170011549A (ko) | 2015-07-23 | 2015-07-23 | 무선 이어셋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154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20153A (zh) * | 2017-10-26 | 2018-03-20 | 深圳市乐伟科技有限公司 | 一种耳机 |
KR102128298B1 (ko) * | 2019-04-19 | 2020-06-30 | (주)모비프렌 | 넥밴드형 이어폰 |
WO2021042942A1 (zh) * | 2019-09-06 | 2021-03-11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无线耳机及无线耳机系统 |
-
2015
- 2015-07-23 KR KR1020150104351A patent/KR20170011549A/ko unkno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20153A (zh) * | 2017-10-26 | 2018-03-20 | 深圳市乐伟科技有限公司 | 一种耳机 |
KR102128298B1 (ko) * | 2019-04-19 | 2020-06-30 | (주)모비프렌 | 넥밴드형 이어폰 |
WO2021042942A1 (zh) * | 2019-09-06 | 2021-03-11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无线耳机及无线耳机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87943B2 (en) | Earpiece with wirelessly recharging battery | |
US8027638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ustom earmold | |
US7813762B2 (en) | Wireless communications adapter for a hearing assistance device | |
CN102804741B (zh) | 包括耳机和便携保持装置的耳机系统 | |
US8170262B1 (en) | Wireless air tube headset | |
US2006003957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inductive interface | |
KR101718325B1 (ko) |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 |
CN115411804A (zh) | 具有无线充电的设备贮存器 | |
US20210211815A1 (en) |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al device worn in the ear canal, electrical device, charging module, and hearing system | |
KR20170011549A (ko) | 무선 이어셋 | |
KR20160021590A (ko) | 블루투스 헤드셋 | |
CN111095945B (zh) | 用于将耳机耦接至移动装置的附接模块 | |
US20210211811A1 (en) | Multi-part eardrum-contact hearing aid placed deep in the ear canal | |
TW202239216A (zh) | 具可拆卸式外接式配件的耳機 | |
CN212115641U (zh) | 无线充电耳机及无线充电耳机系统 | |
US10911857B2 (en) | Sound output apparatus | |
KR101914539B1 (ko) |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 |
WO2017141581A1 (ja) | 携帯電話とヘッドセットを脱着可能に接続する装置 | |
KR20190043760A (ko) | 이어폰 | |
WO2018146088A1 (en) | A wireless binaural hearing device with two charging connectors and a system comprising such a hearing device | |
EP3576424B1 (en) | System comprising a pair of sound output devices | |
KR102188530B1 (ko) | 무선 이어폰 모듈 | |
CN212137895U (zh) | 一种无线耳机 | |
CN214014462U (zh) | 骨传导无线耳机 | |
CN217428317U (zh) | 一种兼容性好的蓝牙耳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