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760A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760A
KR20190043760A KR1020170135709A KR20170135709A KR20190043760A KR 20190043760 A KR20190043760 A KR 20190043760A KR 1020170135709 A KR1020170135709 A KR 1020170135709A KR 20170135709 A KR20170135709 A KR 20170135709A KR 20190043760 A KR20190043760 A KR 20190043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sound output
pair
connection lin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우
김다미
김동순
김민
오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3760A/ko
Publication of KR2019004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 및 소리의 출력을 이어버드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음향출력부; 및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와 상기 연결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선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어폰{EARPHONE}
본 발명은 유선 및 무선으로 선택적으로 음원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음원 신호 발생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음원 신호를 전달받거나,또는 음원 신호 발생장치와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음원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118551호는 유선 이어폰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어폰이 음원 신호 발생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음원 신호발생장치와 이어폰 사이의 연결선의 제한된 길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연결선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연결선과 상기 음원 신호 발생장치에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유선 이어폰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음원 신호 발생장치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무선 이어폰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이어폰의 경우, 자체적인 전원 공급이 필요하므로 이어폰 내에 베터리가 구비되어야 한다. 무선 이어폰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기 위하여 무선 이어폰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크기가 축소되어야 하며, 배터리의 전원공급 지속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배터리의 작은 용량으로 인해 충전이 빈번해지며, 이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이어폰의 경우, 방수 기능의 개선 및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할 때, 이어폰의 하우징에 음원의 제어(예를 들어, 볼륨 조절 등)를 위한 버튼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선 및 무선으로 선택적으로 음원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의 전원공급 지속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을 모듈화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의 하우징에 음원 제어를 위한 버튼이 제거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 및 소리의 출력을 이어버드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음향출력부; 및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와 상기 연결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선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음향출력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병렬로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 각각은, 상기 통신모듈이 실장되는 메인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이어폰 하우징; 상기 메인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 하우징;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메인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 하우징과 상기 메인 배터리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배터리 하우징은 적어도 일부가 기설정된 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잇다.
상기 와이어는 외력에 의해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는 변형 가능한 통전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는 기설정된 직경을 구비하는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에는 어떠한 제어 버튼도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는 제1음향출력부 및 제2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음향출력부는 제1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음향출력부는 제2연결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에 각각 착탈가능한 제3연결단자 및 제4연결단자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자는 돌출된 수 연결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오목한 암 연결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연결단자는 연결선의 일 단부에 오목한 암 연결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단자는 연결선의 타 단부에 돌출된 수 연결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제3연결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제4연결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의 양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3연결단자 및 상기 제4연결단자는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자와 상기 제3연결단자는 서로 다른 자성을 구비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와 상기 제4연결단자는 서로 다른 자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연결단자 및 상기 제4연결단자는 서로 다른 자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선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를 수용하는 보조 배터리 하우징이 구비될 수 잇다. 이때, 상기 보조 배터리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가 상기 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홀을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가 모두 충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홀을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메인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순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에는 제어 명령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는 버튼 하우징, 상기 버튼 하우징에 수용되는 보조 기판, 상기 보조 기판에 실장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와 상기 연결선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는 상기 보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단자는 돌출한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 단말기에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단자가 외부 단말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3연결단자가 상기 제1음향출력부의 제1연결단자에 연결되면, 상기 제1음향출력부와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연결선에 의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및 무선으로 선택적으로 음원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의 전원공급 지속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을 모듈화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의 하우징에 음원 제어를 위한 버튼이 제거되어 방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어폰에 포함되는 음향출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음향출력부에 선택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선의 양 단부가 서로 체결되어 사용자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이어폰의 음향출력부가 연결선을 통해 단말기에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0)은 소리를 출력하는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 및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선(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는 사용자의 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는 기설정된 곡률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를 양쪽 귀에 거치한 상태로 음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는 외부와 통신하는 이하 설명될 통신모듈을 각각 구비하여, 무선으로 음원공급장치(예를 들어, 외부 단말기)로부터 음원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는 전력의 공급을 위한 메인 배터리(130, 2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로부터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전력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300)은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300)에는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3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와 상기 연결선(30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선(300)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330)의 전력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배터리(330)는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대한 전력 공급의 지속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전력 공급의 지속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는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와 상기 보조 배터리(330)로부터 병렬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와 상기 보조 배터리(330)는 병렬로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가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만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 비해, 상기 보조 배터리(330)를 통해 이어폰(10)의 연속 작동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의 일 단부에는 이어버드(110, 210)가 구비되고, 타 단부에는 연결단자(190, 29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는 제1음향출력부(100) 및 제2음향출력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음향출력부(100)에는 제1연결단자(19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음향출력부(200)에는 제2연결단자(2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30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단자(190) 및 상기 제2연결단자(290)에 착탈 가능한 제3연결단자(391) 및 제4연결단자(39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자(190) 및 상기 제2연결단자(290)와 상기 제3연결단자(391) 및 상기 제4연결단자(392)를 체결하여,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가 상기 연결선(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연결단자(190)는 돌출된 수 연결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290)는 오목한 암 연결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연결단자(391)는 오목한 암 연결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단자(392)는 돌출된 수 연결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자(190)는 상기 연결선(3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3연결단자(39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290)는 상기 연결선의 타 단부에 형성된 제4연결단자(39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자(190)와 상기 제3연결단자(391)는 서로 다른 자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단자(290)와 상기 제4연결단자(392)는 서로 다른 자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제1연결단자(190)와 상기 제4연결단자(391)는 N극의 자성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단자(290)와 상기 제3연결단자(392)는 S극의 자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단자(190)와 상기 제3연결단자(391)는 서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단자(290)와 상기 제4연결단자(392)는 서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는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결선(300)과 분리된 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와 상기 연결선(3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선(300)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선(300)은 사용자의 목에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선(300)은 길이방향 양 단부를 서로 결합하여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선(300)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3연결단자(391, 392)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연결단자(391)와 상기 제4연결단자(392)를 서로 연결하면, 상기 연결선(300)은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선(300)의 양 단부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연결선(300)을 목에 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선(300)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선(300)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선(300)의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연결선(300)과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를 다시 연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목에 거치된 연결선(300)의 양 단부를 분리하여 손쉽게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연결단자(391)와 상기 제4연결단자(392)는 서로 다른 자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연결선(300)을 루프 형태로 변형하여 보관 또는 목에 거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3연결단자(391)와 상기 제4연결단자(392)가 서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의 방수 성능 개선 및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상기 한 쌍의음향출력부(100, 200)에는 어떠한 제어 버튼도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명령의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 입력부(370)는 전술한 연결선(3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0)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0)은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 및 상기 음향출력부(100, 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는 서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는 메인기판, 상기 메인기판에 실장된 통신모듈, 상기 메인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 상기 메인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 및 상기 연결선과 상기 음향출력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는 제1음향출력부(100) 및 제2음향출력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음향출력부(100)는 제1메인기판(120), 상기 제1메인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리를 출력하는 제1이어버드(110), 상기 제1메인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제1통신모듈(140), 상기 제1메인기판(120)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메인 배터리(130) 및 상기 제1음향출력부(100)와 상기 연결선(30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제1연결단자(1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음향출력부(200)는 제2메인기판(220), 상기 제2메인기판(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리를 출력하는 제2이어버드(210), 사익 제2메인기판(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통신모듈(240), 상기 제2메인기판(220)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메인 배터리(230) 및 상기 제2음향출력부(200)와 상기 연결선(30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제2연결단자(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모듈(140)과 상기 제2통신모듈(240)은 각각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3통신모듈(미도시)과 통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통신모듈(140)과 상기 제2통신모듈(240)은 상기 제3통신모듈과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통신모듈(140)과 상기 제2통신모듈(340)은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음원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통신모듈(140)이 마스터 통신모듈이고, 상기 제2통신모듈(240)이 슬레이브 통신모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통신모듈(140)이 상기 제3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제3통신모듈로부터 음원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통신모듈(240)은 상기 제1통신모듈(140)로부터 음원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연결선(300)은 상기 제1음향출력부(100) 및 상기 제2음향출력부(2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3연결단자(391) 및 제4연결단자(3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단자(391)는 상기 제1연결단자(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연결단자(392)는 상기 제2연결단자(2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300)은 보조 배터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선(300)이 상기 제1음향출력부(100) 및 상기 제2음향출력부(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330)는 상기 제1음향출력부(100) 및 상기 제2음향출력부(2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의 지속 구동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330)는 전술한 메인 배터리(130, 230)와는 병렬로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300)은 상기 보조 배터리(3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형성된 보조기판(320) 및 상기 보조기판(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명령 입력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370)는 누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370)는 음향출력부를 온오프하고 음원의 볼륨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370)는 모바일 단말기에 걸려온 전화를 받거나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370)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더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선(300)은 마이크(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380)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통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380)는 상기 보조 기판(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380)로 입력된 소리 신호는 상기 보조기판(320) 및 상기 메인기판(120, 22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더 참조하여, 음향출력부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이어폰에 포함되는 음향출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을 함께 참조하면,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 각각은 이어폰 하우징(101, 201), 메인 배터리 하우징(131, 231), 및 상기 이어폰 하우징(101, 201)과 상기 메인 배터리 하우징(131, 231) 사이에서 연장되는 와이어(150, 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하우징(101, 201)은 음향출력을 위한 드라이버(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드러이버에 대해서는 이미 다수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어폰 하우징은 전술한 통신모듈이 실장되는 메인기판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전술한 메인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이어폰 하우징과 상기 배터리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메인기판과 상기 메인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음향출력부(100)는 제1이어버드(110)가 결합되고 제1 메인기판(120)이 수용되는 제1 이어폰 하우징(101), 제1 메인 배터리(130)가 수용되는 제1 배터리 하우징(131) 및 상기 제1 이어폰 하우징(101)과 상기 제1 배터리 하우징(131)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와이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150)는 상기 제1 메인 배터리(130)와 상기 제1메인기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음향출력부(200)는 제2이어버드(210)가 결합되고 제2 메인기판(220)이 수용되는 제2 이어폰 하우징(201), 제2 메인 배터리(230)가 수용되는 제2 배터리 하우징(131) 및 상기 제2 이어폰 하우징(201)과 상기 제2 배터리 하우징(231)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와이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250)는 상기 제2 메인 배터리(230)와 상기 제2메인기판(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배터리 하우징(131) 및 상기 제2 메인 배터리 하우징(231)은 적어도 일부가 기설정된 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메인 배터리 하우징(131) 및 상기 제2 메인 배터리 하우징(23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부가 기설정된 곡률로 만곡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음향출력부(100) 및 상기 제2음향출력부(200)가 사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메인 배터리 하우징(131) 및 상기 제2 메인 배터리 하우징(231)은 제1 및 제2 메인 배터리(130, 230)의 수용을 위한 직선부(1311, 2311) 및 상기 직선부(1311, 2311)로부터 연장되는 만곡부(1312, 2312)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만곡부(1312, 2312) 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배터리(130, 230)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50, 25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통전선(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1312, 2312)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가 사용자의 귀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어폰 하우징(101) 및 상기 제2 이어폰 하우징(201)은 상기 제1 및 제2 메인기판(120, 220)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수지 재질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배터리 하우징(131) 및 상기 제2 메인 배터리 하우징(231) 역시, 제1 및 제2 메인 배터리(130, 23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수지 재질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어폰 하우징(101), 상기 제2 이어폰 하우징(201), 상기 제1 메인 배터리 하우징(131) 및 상기 제2 메인 배터리 하우징(231)은 외력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의 귀의 형상은 동일한 사용자라도 양 쪽 귀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고, 사용자마다 귀의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귀의 형상에 대하여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를 안정적으로 그리고 이물감 없이 거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음향출력부(100, 200)의 형상이 사용자에 의해 어느 정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와이어(150) 및 상기 제2와이어(250)는 외력에 의해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와이어(150) 및 상기 제2와이어(250)는 기설정된 두께 또는 직경을 가지는 통전 금속 및 상기 통전 금속을 둘러싸는 피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와이어(150) 및 상기 제2와이어(250)는 통전 소재 및 상기 통전 소재 둘레를 감싸는 피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전 소재는 외력에 의해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금속(기설정된 두께 또는 직경의 구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150) 및 상기 제2와이어(250)의 형상이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의 외부 형상을 사용자의 귀의 형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개개인은 상기 제1와이어(150) 및 상기 제2와이어(250)의 변형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를 자신의 귀에 맞춤형으로 착용 또는 거치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연결선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음향출력부에 선택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4를 함께 참조하면, 연결선(300)은 전술한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300)은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와의 전기적 그리고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제3연결단자(391) 및 제4연결단자(392)를 연결선(30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선(300)은 보조 배터리(330) 및 상기 보조 배터리(330)를 수용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 하우징(33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배터리 하우징(331)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330)의 충전을 위한 충전 홀(331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배터리(330)는 상기 충전 홀(3315)을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에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충전 핀을 상기 충전 홀(3315)에 삽입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330)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연결선(300)이 전술한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홀을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330)뿐만 아니라 전술한 메인 배터리(130, 230)도 충전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가 상기 연결선(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홀(3315)을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330)와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가 모두 충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홀(3315)을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와 상기 보조 배터리(330)가 순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가 상기 보조 배터리(330)에 비해 우선 충전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 배터리(330)가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에 비해 우선 충전될 수 있다.
연결선(300)을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만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홀(3315)을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될 때 상기 메인 배터리(130, 230)가 상기 보조 배터리(330)에 비해 우선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선(300)에는 제어 명령 입력부(3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선(300)과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370)를 통해 통화의 연결 및 종료, 그리고 볼륨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370)는 버튼 하우징(371), 상기 버튼 하우징(371)에 수용되는 보조기판(320, 도 2 참조), 상기 보조기판(320)에 실장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375)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375)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375)을 통해 전화의 수신 및 종료, 볼륨의 조절 등을 위한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와 상기 연결선(30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370)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제어 명령 입력부(370)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은 상기 보조기판(320)을 통해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구비되는 메인기판(120, 2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메인기판(120, 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통신모듈(140, 2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370)는 상기 보조기판(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380, 도 2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380)로 입력된 음성신호는 상기 보조기판(320)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120, 220)으로 전달된 후에,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140, 2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380)는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통화가 이루어질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3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연결선(301), 제2연결선(302) 및 제3연결선(30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선(301)은 상기 제3연결단자(391)와 상기 보조 배터리(3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선(301)은 상기 제3연결단자(391)와 상기 보조 배터리(330)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선(302)은 상기 제4연결단자(392)와 상기 보조기판(3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결선(302)은 상기 제4연결단자(392)와 상기 보조기판(320)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연결선(303)은 상기 보조 배터리(330)와 상기 보조기판(3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연결선(303)은 상기 보조 배터리(330)와 상기 보조기판(320)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단자(391), 상기 제1연결선(301), 상기 보조 배터리 하우징(331), 상기 제3연결선(303), 상기 버튼 하우징(371), 상기 제2연결선(302) 및 상기 제4연결단자(392)는 상기 연결선(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선(301-303)을 둘러싸는 절연피복과, 상기 보조 배터리 하우징(331) 및 상기 버튼 하우징(37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출한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3연결단자(391)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4연결단자(392)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연결단자(391)가 상기 제4연결단자(39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선(3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연결선(300)을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분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5는 도 4의 연결선의 양 단부가 서로 체결되어 사용자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연결단자(391)와 제4연결단자(392)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연결선(300)은 폐루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선(300)이 불필요한 경우에 상기 연결선(300)의 제3연결단자(391)와 제4연결단자(392)를 결합하여 목걸이 형태로 목에 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선(300)이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원형 목걸이 형태로 목에 착용될 수 있으므로, 연결선(300)의 분실 우려가 없다.
또한,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구비되는 메인 배터리(130, 230)가 방전되거나, 제어 명령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상기 연결선(3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와 연결선(300)의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목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연결선(30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100, 200)에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인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모두 방전된 경우, 연결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음향출력부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더 참조하여, 음향출력부와 모바일 단말기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이어폰의 음향출력부가 연결선을 통해 단말기에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도 2 및 6을 함께 참조하면, 연결선(300)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구비되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제3연결단자(391)는 제1음향출력부(100)에 구비되어 돌출한 형태로 형성된 제1연결단자(19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선(300)의 길이방향 타 단부에 구비되어 돌출한 형태로 형성된 제4연결단자(392)는 외부 단말기(M)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단말기(M)는 모바일 단말기가 될 수 있고, 상기 제4연결단자(39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오목한 형태의 단말기 연결단자(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4연결단자(392)가 외부 단말기(M)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3연결단자(391)가 상기 제1음향출력부(100)의 제1연결단자(190)에 연결되면, 상기 제1음향출력부(100)와 상기 외부 단말기(M)는 상기 연결선(300)에 의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외부 단말기(M)에 구비되는 단말기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제1메인기판(120) 및 보조기판(32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배터리에 의해 보조 배터리(330) 및 제1 메인 배터리(130)가 충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메인 배터리(130) 및 보조 배터리(330)가 모두 방전된 상태라도, 상기 제1음향출력부(100)는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사용자는 제어 명령 입력부(370)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및 무선으로 선택적으로 음원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출력부에 구비되는 메인 배터리와 별도로 연결선에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를 통해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의 전원공급 지속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에 포함되는 음향출력부와 연결선을 모듈화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출력부에는 어떠한 제어 명령 입력부 또는 제어 버튼도 구비되지 않으므로 음향출력부의 방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제1음향출력부 110 제1이어버드
120 제1메인기판 130 제1 메인 배터리
140 제1통신모듈 150 제1와이어
190 제1연결단자 200 제2음향출력부
210 제2이어버드 220 제2메인기판
230 제2 메인 배터리 240 제2통신모듈
250 제2와이어 290 제2연결단자
300 연결선 320 보조기판
330 보조 배터리 370 제어 명령 입력부
380 마이크 391 제3연결단자
392 제4연결단자

Claims (18)

  1.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 및 소리의 출력을 이어버드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음향출력부; 및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와 상기 연결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선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음향출력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병렬로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 각각은,
    상기 통신모듈이 실장되는 메인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이어폰 하우징;
    상기 메인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 하우징;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메인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 하우징과 상기 메인 배터리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 하우징은 적어도 일부가 기설정된 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외력에 의해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에는 어떠한 제어 버튼도 구비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는 제1음향출력부 및 제2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음향출력부는 제1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음향출력부는 제2연결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선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에 각각 착탈가능한 제3연결단자 및 제4연결단자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는 돌출된 수 연결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오목한 암 연결단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3연결단자는 연결선의 일 단부에 오목한 암 연결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단자는 연결선의 타 단부에 돌출된 수 연결단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제3연결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제4연결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의 양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3연결단자 및 상기 제4연결단자는 서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와 상기 제3연결단자는 서로 다른 자성을 구비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와 상기 제4연결단자는 서로 다른 자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단자 및 상기 제4연결단자는 서로 다른 자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를 수용하는 보조 배터리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가 상기 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홀을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가 모두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홀을 통해 충전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메인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순차적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에는 제어 명령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는 버튼 하우징, 상기 버튼 하우징에 수용되는 보조 기판, 상기 보조 기판에 실장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와 상기 연결선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이 상기 한 쌍의 음향출력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입력부는 상기 보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연결단자는 돌출한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 단말기에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4연결단자가 외부 단말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3연결단자가 상기 제1음향출력부의 제1연결단자에 연결되면, 상기 제1음향출력부와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연결선에 의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170135709A 2017-10-19 2017-10-19 이어폰 KR20190043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709A KR20190043760A (ko) 2017-10-19 2017-10-19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709A KR20190043760A (ko) 2017-10-19 2017-10-19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60A true KR20190043760A (ko) 2019-04-29

Family

ID=6628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709A KR20190043760A (ko) 2017-10-19 2017-10-19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37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375B1 (ko) * 2020-08-25 2021-11-11 에스텍 주식회사 배터리 탈부착식 무선 이어폰
KR102365288B1 (ko) * 2020-12-08 2022-02-22 주식회사 디브이원시스템 이어버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375B1 (ko) * 2020-08-25 2021-11-11 에스텍 주식회사 배터리 탈부착식 무선 이어폰
KR102365288B1 (ko) * 2020-12-08 2022-02-22 주식회사 디브이원시스템 이어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5421A1 (en) Wireless earphone set
US7813762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adapter for a hearing assistance device
US841210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ustom earmold
US7130654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being detachable from a communication device
JP5328350B2 (ja) ヘッドマウント装置の電子的インターフェーシング
US200600395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inductive interface
US20070053544A1 (en) Wireless headphone
US20100142740A1 (en) Hearing aid wireless communication adaptor
KR101745898B1 (ko) 사용자단말기와의 일체형 충전구조를 갖는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US20180109864A1 (en) Bluetooth Headphone With Charging and Analog Pass Through Connector
EP3214851A1 (en) Acoustic output device
US9369558B2 (en)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s for cord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US7372970B2 (en) Pocket hearing aid
KR20190043760A (ko) 이어폰
US20210211811A1 (en) Multi-part eardrum-contact hearing aid placed deep in the ear canal
EP3509319B1 (en) Sound output device
KR20170011549A (ko) 무선 이어셋
US11445287B2 (en) Sound output device
CN102594969A (zh) 手机
US20170070804A1 (en) Multifunction Wireless Adapter
KR200385662Y1 (ko) 커넥터를 갖춘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
CN211089895U (zh) 一种音频设备
KR101939921B1 (ko) 블루투스 이어셋
KR200409910Y1 (ko) 무선 헤드셋
JP3210457U (ja) ヘッドセ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