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371A -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371A
KR20140034371A KR1020120099950A KR20120099950A KR20140034371A KR 20140034371 A KR20140034371 A KR 20140034371A KR 1020120099950 A KR1020120099950 A KR 1020120099950A KR 20120099950 A KR20120099950 A KR 20120099950A KR 20140034371 A KR20140034371 A KR 20140034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power
battery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149B1 (ko
Inventor
허정헌
이기범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9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1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3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핸드폰 배터리의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 배면에 구비되는 케이스 본체와, 이에 납작한 스파이럴 구조로 배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공진시키는 수전용 공진코일과, 그 내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수신하는 급전코일; 및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하는 RF 정류기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핸드폰을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 미터 이격한 상태에서 핸드폰을 사용하면서도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EXTERIOR CASE OF MOBILE PHONE FOR WIRELESS CHARGING USING ELECTROMAGNETIC COUPLED RESONANCE METHOD}
본 발명은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핸드폰 배터리의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핸드폰 배터리의 충전 방식은 크게 전원에 유선으로 연결하는 유선 충전 방식과, 전원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선 충전 방식의 경우, 핸드폰 일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충전 단자에 충전용 어댑터를 연결하고, 어댑터의 코드를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였다.
무선 충전 방식의 경우, 도 1의 좌측과 같이 핸드폰 배면 케이스에 전자기 유도코일을 설치하고, 도 2와 같이 핸드폰 케이스의 전자기 유도코일에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송전 코일이 설치된 충전용 패드를 구비한다.
핸드폰은 도 2와 같이, 충전용 패드 상에 올려놓는 순간부터 충전이 시작된다. 이러한 무선 방식은 핸드폰뿐만 아니라 전동 칫솔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채용한 핸드폰 충전 장치의 일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055280호(발명의 명칭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용 케이스)가 개시된 바 있다. 이 기술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상술한 충전용 패드에 해당)과, 그 신호를 충전용 전원으로 변환 출력하는 핸드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은 충전용 어댑터를 핸드폰 및 전원에 연결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유선 방식보다는 편리하나, 전자기 유도 코일과 송전 코일은 불과 수 센티미터 이내에 이격시켜야만 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상 제한이 따랐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충전을 위해서 자신의 핸드폰을 충전용 패드에 올려놓아야 하므로 충전중 핸드폰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드폰 사용을 위하여 핸드폰을 충전용 패드로부터 분리하는 순간 충전 작동이 정지되므로 그만큼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
특히, 휴게소나 편의점과 같이 다수개의 핸드폰을 동시에 충전하는 장치가 필요한 경우, 핸드폰을 동시에 여러 개 올려놓을 수 있도록 충전용 패드의 면적도 그에 비례하여 커져야 하므로 제조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드폰을 충전용 패드에 올려놓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한 상태에서도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드폰 배터리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로서, 상기 핸드폰 배면에 구비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납작한 스파이럴 구조로 배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공진시키는 수전용 공진코일; 상기 수전용 공진코일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전용 공진코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급전코일; 및 상기 급전코일로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상기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하는 RF 정류기;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핸드폰의 배면을 구성한다. 이때, 일단은 상기 RF 정류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를 상기 핸드폰 배면에 결합시 상기 배터리의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RF 정류기에 의해 정류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한다.
또는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핸드폰의 배면 커버를 감싸도록 탈부착된다. 이때, 일단은 상기 RF 정류기에 케이블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핸드폰 외측면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RF 정류기에 의해 정류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에 의하면, 전자기감응공명 방식을 채택하여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 미터 이격한 거리에서도 핸드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핸드폰을 사용하면서도 충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충전 대상이 되는 핸드폰 개수가 많아지더라도 전력 전송장치의 면적을 확장시킬 필요가 없어, 전력 전송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를 핸드폰의 배면 커버로 구성함으로써 핸드폰의 디폴트 기능으로 사용하는 이외에, 핸드폰 배면 커버를 감쓰는 보조 케이스 형태로 제작하여 기존 핸드폰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전용 공진코일을 핸드폰 케이스 내부 표면에 부착하거나, 케이스 내부에 매립시킴으로써 기존 케이스의 부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종래의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충전용 패드와 충전중인 핸드폰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와 핸드폰 본체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와 핸드폰 본체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가 장착된 핸드폰과 전력 전송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핸드폰 충전용 케이스 본체가 핸드폰의 배면을 직접 구성하는 제1실시예와, 핸드폰의 배면 커버를 감싸도록 탈부착되는 제2실시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케이스 본체는 핸드폰을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액세서리 제품으로 판매되는 보조 케이스에 해당된다.
제1실시예에 의한 핸드폰 충전용 케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 수전용 공진코일(11), 급전코일(12), RF 정류기(13) 및 커넥터(14)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본체(10)는, 일반 핸드폰 케이스와 동일하게 핸드폰(1) 배면에 노출된 배터리, 카메라, 확장 메모리, USIM 칩 등의 전자기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수전용 공진코일(11)은, 케이스 본체(10)에 납작한 형태의 스파이럴 구조로 배치되어, 도 5와 같이 외부의 전력 전송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공진시킨다.
급전코일(12)은, 수전용 공진코일(11) 내부에 배치되고, 그 일측으로 인출되어, 수전용 공진코일(11)로부터 전력을 수신한다.
상술한 수전용 공진코일(11)과 급전코일(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케이스 본체(10)의 내부 표면에 부착하거나, 패턴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매립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코일의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핸드폰 내부 전자기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전용 공진코일(11)과 급전코일(12)이 설치되는 공간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 된다.
RF 정류기(13)는, 급전코일(12)로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설정된 DC 전력을 제공한다.
커넥터(14)는, RF 정류기(13)와 핸드폰(1) 배터리(2)의 연결단자(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케이스 본체(10)를 핸드폰(1) 배면에 체결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14)와 연결단자(3)의 구조는,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접촉 또는 삽입에 의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핸드폰 충전용 케이스에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전력 송신장치(30)의 일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전력 송신장치(30)는, 전원(31)에 연결된 RF 발진기(32)로부터 고주파 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고주파 전력은 RF 증폭기(33)에 의해 증폭되어 급전코일(34)로 공급된다. 급전코일(34) 둘레에는 스파이럴 형태의 송전용 공진코일(35)이 구비되어 상술한 수전용 공진코일(11)로 공진 주파수의 전력을 전송한다.
이때 전력 송신장치(30)와 핸드폰 충전용 케이스가 장착된 핸드폰(1) 사이의 거리 d는 수 미터가 된다. 즉, 핸드폰 본 발명의 핸드폰 충전용 케이스가 장착된 핸드폰(1)을 소지한 사용자가 전력 송신장치(30)로부터 수 미터 범위 이내에만 있으면 자동으로 핸드폰 배터리(2)가 충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2)를 충전하면서 핸드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드폰을 올려놓는 종래의 충전용 패드와 달리, 충전시키려는 핸드폰의 장소적인 제약이 없어 충전 대상이 되는 핸드폰의 개수가 많아지더라도 전력 송신장치(30)의 크기를 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제2실시예에 의한 핸드폰 충전용 케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0), 수전용 공진코일(21), 급전코일(22), RF 정류기(23) 및 커넥터(24)로 이루어진다. 수전용 공진코일(21), 급전코일(22), RF 정류기(23)는 제1실시예와 ㄷ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케이스 본체(20)는, 통상의 핸드폰(1)의 배면 커버를 감싸도록 탈부착되는 것으로, 핸드폰을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이다. 즉, 제2실시예의 케이스 본체(20)는, 제1실시예와 달리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모든 핸드폰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커넥터(24)는 통상적으로 핸드폰(1) 하측단에 형성된 충전단자(4)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RF 정류기(23)와 케이블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 본체(20)를 핸드폰(1) 배면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커넥터(24)를 핸드폰(1)충전단자(4)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전력 송신장치(30)로부터 수 미터 범위에 있기만 하면 충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그 변형물과 균등물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1 : 핸드폰 2 : 배터리
3 : 연결단자 4 : 충전단자
10, 20 : 케이스 11, 21 : 수전용 공진코일
12, 22 : 급전코일 13, 23 : RF 정류기
14, 24 : 커넥터 30 : 전력 전송장치
31 : 전원 32 : RF 발진기
33 : RF 증폭기 34 : 급전코일
35 : 송전용 공진코일

Claims (5)

  1. 핸드폰 배터리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로서,
    상기 핸드폰 배면에 구비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납작한 스파이럴 구조로 배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공진시키는 수전용 공진코일;
    상기 수전용 공진코일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전용 공진코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급전코일; 및
    상기 급전코일로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상기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하는 RF 정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핸드폰의 배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RF 정류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를 상기 핸드폰 배면에 결합시 상기 배터리의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RF 정류기에 의해 정류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핸드폰의 배면 커버를 감싸도록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RF 정류기에 케이블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핸드폰 외측면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RF 정류기에 의해 정류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KR1020120099950A 2012-09-10 2012-09-10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KR101408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950A KR101408149B1 (ko) 2012-09-10 2012-09-10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950A KR101408149B1 (ko) 2012-09-10 2012-09-10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371A true KR20140034371A (ko) 2014-03-20
KR101408149B1 KR101408149B1 (ko) 2014-06-17

Family

ID=5064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950A KR101408149B1 (ko) 2012-09-10 2012-09-10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2027A (zh) * 2019-07-10 2019-10-08 蓝沛光线(上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无线充电的手机壳
WO2023163365A1 (ko) * 2022-02-28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기의 성능 향상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221B1 (ko) 2019-04-05 2019-06-25 신안군 비콘을 이용하는 휴대폰 거치용 무선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407B2 (en) * 2008-05-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charging in wireless power environment
KR101083630B1 (ko) * 2009-05-22 2011-11-17 정춘길 무접점 방식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어모듈 배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2027A (zh) * 2019-07-10 2019-10-08 蓝沛光线(上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无线充电的手机壳
WO2023163365A1 (ko) * 2022-02-28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기의 성능 향상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149B1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827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ultiple coils
CN102318161B (zh) 用于便携式外壳的无线电力传送
KR101574322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다중 안테나
CN102318214B (zh) 用于经由无线电场发射电力或接收电力的方法和装置
KR101572743B1 (ko) 근거리 효율적인 무선 전력 송신
JP5628191B2 (ja) 電子デバイスにおける無線電力および近距離場通信のレトロフィッティング
US20120098484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battery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KR101929765B1 (ko)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140197784A1 (en) Wireless side charging
EP3007317B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held mobile terminal
WO2021082907A1 (zh) 无线充电系统、充电线缆、电子设备及其无线充电方法
KR20140091362A (ko) 무선충전용 수신코일과 엔에프씨 안테나가 배터리에 함께 설치된 무선충전 배터리 모듈
KR101408149B1 (ko)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US20200037674A1 (en) Wearable apparatus for wired or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onic device
KR20090131746A (ko) 무선광대역통신모듈이 내장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전력송수신 스테이션
KR101386059B1 (ko) 전자기 유도 및 자기 공진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케이스 및 무선 충전 방법
KR20180124274A (ko) 자기유도 및 자기공진 겸용 무선충전 패치 장치, 및 무선충전 수신기
US10476282B2 (en) Multiunit charger
KR20140060157A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JP5529697B2 (ja) 非接触充電装置およ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101575956B1 (ko) 듀얼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 충전 장치
KR102196543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50002047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50129598A (ko) 듀얼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 충전 장치
CN205986257U (zh) 一种新型蓝牙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