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082B1 -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 - Google Patents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082B1
KR101894082B1 KR1020170167343A KR20170167343A KR101894082B1 KR 101894082 B1 KR101894082 B1 KR 101894082B1 KR 1020170167343 A KR1020170167343 A KR 1020170167343A KR 20170167343 A KR20170167343 A KR 20170167343A KR 101894082 B1 KR101894082 B1 KR 10189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rtical
vertical filter
cu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훈
박재용
홍선표
김석경
이경연
Original Assignee
박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훈 filed Critical 박철훈
Priority to KR1020170167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082B1/ko
Priority to US16/765,266 priority patent/US20200306616A1/en
Priority to PCT/KR2018/013431 priority patent/WO20191121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3Measuring of sport goods, e.g. bowling accessories, golfclubs, game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06Training or aiming arrangements on billiard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11/2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 큐대를 지지하는 손가락에 끼워서 큐대의 전후 준비동작이나 타격동작시 큐대가 직선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면서 큐대 진행방향으로 수직광을 조사하여 큐대와 동일한 직선상에 수구와 목적구가 어떠한 형태로 배치되는지를 확인함은 물론 타격시 이동되는 수구가 목적구에 어느 정도의 두께로 부딪치는지를 예측하여 초보자도 쉽게 당구를 이해하게 하는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Thickness check pointer for billiard practice}
본 발명은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 큐대를 지지하는 손가락에 끼워서 큐대의 전후 준비동작이나 타격동작시 큐대가 직선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면서 큐대 진행방향으로 수직광을 조사하여 큐대와 동일한 직선상에 수구와 목적구가 어떠한 형태로 배치되는지를 확인함은 물론 타격시 이동되는 수구가 목적구에 어느 정도의 두께로 부딪치는지를 예측하여 초보자도 쉽게 당구를 이해하게 하는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당구는 당구대 위에서 적색, 백색 등의 공을 당구 큐대(Cue)로 쳐서 각자의 점수를 겨루는 레저 스포츠의 일종이다. 당구의 경기종목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를 크게 나누면 캐럼 게임과 포켓 게임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케럼 게임으로는 4구, 보크라인, 스리쿠션 등이 있다.
또한, 당구게임에 이용되는 큐대는 상대 및 하대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긴 막대봉으로 되어 있으며, 주로 목재(또는 철재)를 재료로 하여 구성된다. 당구 게임을 할 때에는 당구대 위에 놓여진 셋 이상의 당구볼 중에 큐대로 타격하는 수구와, 상기 수구가 이동하면서 부딪치는 제1목적구 및 제2목적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당구의 기본요소는 크게 큐대로 수구의 당점을 정확하게 때리는 것과, 수구와 제1목적구가 어느정도의 두께로 부딪치는 것과, 부딪친 수구가 어느방향으로 이동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당구의 기본요소 중에 수구를 때리기 이전의 준비(스트로크)동작과 타격(샷)동작시 큐대의 전후 이동이 동일한 직선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대부분 초보자나 중하수의 경우에는 큐대의 준비동작과 타격동작시 큐대가 좌우로 흔들려서 정확한 위치로의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구와 제1목적구가 가까이 있을 경우에는 두께에 대한 오차범위가 좁지만 어느정도 이상 떨어진 경우에는 수구를 제1목적구에 원하는 두께로 부딪치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감각을 익히기 위해서는 상당량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59701호(2017.07.13.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에는 당구 보조브릿지를 제안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수구를 타격하는 당구 큐의 위치를 정하고 왕복 운동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당구용 보조브릿지로서, 손가락에 끼우는 손가락 삽입링, 큐를 올려놓고 스트로크 및 샷 동작시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큐받침, 상기 큐받침 위에서 가이드되는 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큐의 선단부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수구를 향하여 광을 조사해서 수구에 당점을 표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선행문헌1은 광원에 의해 수구에 당점을 표시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나, 이는 큐대와 수구 사이의 관계에서 당점만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수구와 목적구 사이의 두께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2636호(2015.05.18.등록;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에는 당구 스트로크 연습장치를 제안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일측 단부에 상측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측 끝단부에 타격조준점이 형성되는 타격부; 상기 지지대 타측 단부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측 끝단부에 표적조준점이 형성되는 표적부; 및 상기 타격부 또는 상기 표적부 각각의 양측에 횡단면이 곡률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와 상기 표적부는 횡단면이 곡률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장치와 상기 타격부 또는 상기 보조장치와 상기 표적부의 배치가 원호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2는 큐대로 수구의 당점을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는 훈련을 가능학 한 것이나 이 역시 수구의 당점 타격만 가능할 뿐 수구와 목적구 사이의 두께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
이와같이 기존 당구 보조장치로는 수구에 대한 당점위치를 안내하거나, 스트로크 자세를 교정시키는 장치에 대해서만 제시되어 있을 뿐 타격방향에 따라 수구가 어느정도의 두께로 목적구에 부딪치는지에 대한 예측정보는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수구가 목적구의 부딪치는 두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당구학습에 도움을 받아 정확한 방향으로의 타격이 가능하게하는 보조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59701호(2017.07.13.등록) : 당구 보조브릿지 한국등록특허 제10-1738073호(2017.05.15.등록) :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는,
손가락에 끼워서 큐대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광을 조사하되, 수직광은 수구 중심을 통과하여 목적구까지 조사되도록 하므로써 타격시 수구가 목적구에 어느정도의 두께로 부딪치는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수 있게 하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사되는 수직광은 타격방향인 중앙수직광과, 중앙수직광에서 목적구의 폭만큼 좌우로각각 일정각 이격되어 조사되는 2개의 측면수직광을 포함하여 3개의 수직광을 조사하여 목적구에 얇게 부딪치는 수구의 두께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는,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전원부 및 제어부와, 본체 외면에 형성되어 발광부를 작동시키는 버튼부와, 본체 전면에 설치되어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수직광 형태로 투과시켜 근거리의 수구와 원거리의 목적구에 동시에 수직광이 조사되게 하는 수직필터로 구성된 광조사체와; 상기 광조사체의 본체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어 손가락에 끼우는 고리를 형성하는 걸이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이대는 광조사체 본체의 하부로 연장되되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폭방향으로 검지손가락이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걸이대의 저면에는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더 형성하여 가이드홈이 큐대 상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여 큐대를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걸이대는 광조사체 본체의 상부로 연장되되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폭방향으로 검지손가락이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광조사체의 본체 저면에는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더 형성하여 가이드홈이 큐대 상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여 큐대를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체의 수직필터에는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3개의 수직투광부를 형성하여 3개의 수직광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수직광은 조사되는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광 사이의 간격은, 수직필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수단은, 수직필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광조사체의 본체 외부로 일단이 표출되어 수동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수직필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수단은, 수직필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수직필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박스와; 기어박스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광조사체의 전면에는 센서를 장착하여, 센서에 의해 목적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다음 전후 이동수단을 작동시켜 목적구에 도달하는 3개의 수직광 전체폭이 목적구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는,
손가락에 끼워 광을 조사하는 형태로 제공하되 조사되는 광이 수직광으로 제공하여 큐대와 수구와 제1목적구를 동일한 직선에 배치되게 하므로써, 타격된 수구가 어느정도의 두께로 제1목적구에 부딪칠 수 있는지를 예상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당구공 반지름 만큼씩 이격시킨 3개의 수직광을 제공함에 따라 수구와 제1목적구가 얇은 두께로 부딪치는 것까지 예측할 수 있으므로, 당구에 입문하는 연습생이나 하수 또는 두께에 대한 자신감이 없는 이용자들 모두에게 당구 두께에 대한 이해를 도울수 있어 당구 실력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께 확인 포인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체를 도시한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두께 확인 포인터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걸이대를 적용한 두께 확인 포인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대가 상부로 형성된 두께 확인 포인터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된 광조사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께 확인 포인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개 수직광이 조사되고 수동으로 간격이 조절되는 광조사체를 도시한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개 수직광이 조사되고 자동으로 간격이 조절되는 광조사체를 도시한 구성도 및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확인 포인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께 확인 포인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광조사체 구성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께 확인 포인터(10)는, 광조사체(20)와, 상기 광조사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손가락에 끼우는 걸이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조사체(20)는, 내부에 발광부(22)와 전원부(23) 및 제어부(24)를 포함하는 각종 부품을 안치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21)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1)는 도시된 바와같이 원반형으로 형성되거나 사각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이나 하부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착탈 가능한 덮개로 구성하여 내부에 각종 부품의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는 착탈 구조시 결합부분에 오링을 포함하는 패킹을 설치하여 수밀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1)의 수용공간에는 발광부(22), 전원부(23) 및 제어부(24)가 설치된다. 상기 발광부(22)는 전원부(2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생된 광을 일측방향으로 집광시키는 집광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3)는 교체형의 1차전지나 2차전지를 사용하거나, 충전형 2차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교체형의 경우 상술한 바와같이 본체에 덮개를 형성하여 덮개의 착탈에 의해 교체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충전형의 경우 본체 일측에 충전단자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충전케이블 또는 무선충전방식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는 외부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으면 전원부(23)와 발광부(22)를 연결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광시간은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동안만 전원공급에 의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입력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만큼만 전원을 공급한 다음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21) 외면에는 발광부(22)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부(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반발이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누르는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21)에는 전방방향으로 투광렌즈(26)를 장착하여 발광부(22)에서 발생된 광이 투광렌즈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투광렌즈(26)는 본체에 통공을 형성하고 통공에 장착하며, 가장자리는 실링처리하여 본체 내부를 밀폐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광조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투광렌즈(26)와 발광부(22) 사이에는 수직필터(27)가 더 설치된다. 상기 수직필터(27)는 발광부에서 발생되어 집광된 빛을 수직으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수직광은 최종적으로 투광렌즈를 통해 외부로 조사된다. 또한 상기 수직필터는 생성된 빛을 수직선으로 조사되는 수직광으로 더 집광시키기 위해 발광부 방향에는 넓은 면을 갖고 투광렌즈 방향으로는 좁은 면을 갖는 삼각뿔대 형태로 반사면을 형성하여 수직라인으로 집광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광렌즈는 평판렌즈로 형성하여 광을 그래도 통과시키거나, 볼록렌즈로 형성하여 수직으로 집광된 수직광의 상하길이를 더 길게 형성하고 광조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필터(27)는 사각형의 투명체 내에 반사면을 삼각뿔대 형태로 형성한 구조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본체 내부에는 수직필터와 대응되는 사각홈을 형성하여 간단하게 끼워서 장착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걸이대(30)는, 광조사체의 본체중 어느 일면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어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폭방향으로 손가락을 끼우는 고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큐대를 지지하여 큐걸이하는 손 중 큐대의 상부를 감싸는 검지(집게)손가락에 장착하는 형태로 제공되며, 걸이대가 광조사체 상부로 연장될 경우 광조사체는 큐대와 검지손가락 사이에 위치하고, 걸이대가 광조사체 하부로 연장될 경우 광조사체는 검지손가락 상부에 위치하여 광조사가 이루어진다.
도 3a와 도 3b의 제1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걸이대(30)는 일정두께와 폭으로 연장되어 도시된 후크형태 또는 링형태로 제공하여 손가락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걸이대(30)는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일정하게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걸이대가 후크형태로 제공될 때에는 내부 직경을 일반성인의 손가락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손가락에 장착시 탄성변형에 의해 사용자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장착되어 외부힘에 의해 장착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이대(30)의 내면에는 미끌림방지층(31)이 더 코팅될수 있다. 미끌림방지층(31)은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 또는 밀착력이 높은 고무재질을 사용하여 코팅이 이루어져 장착 후 외부힘에 의한 위치변경이 최소화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걸이대 내면에 다수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돌출시키거나, 미끌림방지층을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걸이대(30)를 링형태로 제공할 때에도 내부 직경을 일반 성인의 손가락보다 10~40% 작게 형성하여 후크형태와 동일한 탄성재질 및 미끌림방지층의 코팅으로 탄성변형에 의해 견고한 장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이대(30)의 저면에는 가이드홈(32)이 더 형성된다. 도 1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걸이대(30)는 광조사체의 본체(21) 하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의 저면에는 광조사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2)은 U자 홈 또는 V자 홈 등 원형단면을 갖는 큐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32)은 곡면으로 형성된 걸이대(30)의 저면에서 최대한 길게 형성하여 큐대와 접촉하는 면을 증가시켜 큐대의 준비동작이나 타격동작시 가이드홈에 안내되어 좌우 흔들림없이 최대한 직선이동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32)의 지지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이대(30) 저면을 수평하게 확장시키고 확장된 저면확장부(33)에 가이드홈(32)을 길게 형성하여 큐대와 접촉되어 지지되는 면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d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이대(30)에는 저면확장부(33)의 길이방향 양 단부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를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 저면연장부(34)를 더 형성하여 큐대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32)의 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해 큐대의 준비동작이나 타격동작시 큐대가 좌우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와 도 4b의 제2실시예를 참조한 바와같이 걸이대(30)가 광조사체(20)의 상부로 연장된 형태의 경우에는 광조사체의 폭과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광조사체인의 본체(21) 상부면은 큐대 상부를 감싸는 손가락인 검지손가락과 접하는 부분을 함몰시켜 검지손가락이 내입되도록 하는 손가락안치홈(211)을 형성하여 큐대와 검지손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광조사체 두께를 최소화해 큐대의 준비동작이나 타격동작시 손가락의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가락안치홈(211)은 본체 상부면에만 형성되거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측면에도 손가락안치홈(211)을 형성하여 큐대의 상부를 감싸는 손가락과 큐대 사이의 간격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광조사체의 본체(21) 저면에 가이드홈(32)을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큐대를 내입해 큐대가 좌우 흔들림없이 직선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32)은 본체 저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본체 저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보조부재를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두께 확인 포인터(10)는 사용자가 큐대를 지지하는 손 중 큐대의 상부를 감싸는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된다.
이러한 두께확인포인터(10)를 작동시키면 광조사체에서는 가이드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광(40)이 조사된다. 이때 두께확인포인터의 가이드홈에는 큐대가 정렬되므로, 수직광은 큐대 상부면에서 큐대 길이방향으로 길게 광이 조사되어 수직라인이 형성하고, 수직라인에 수구(60) 중심과 목적구(70)가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큐대(50)를 수구(60)의 중심을 향하게 하면서 제1목적구(71)를 겨누면 수직광(40)이 큐대(50) 중심과 수구(60) 중심 및 제1목적구(71)까지 라인을 형성하게 되므로, 타격시 수구(60)가 제1목적구(71)에 어느정도의 두께로 부딪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수구(60)가 제1목적구(71)에 부딪친 후 진행하는 방향을 쉽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용 또는 연습용으로 사용하여 목적구에 대한 두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광조사체의 수직필터(27)는 폭방향에 일정간격으로 3개의 수직투광부(271)를 형성하여 1개의 중앙수직광(41)과 2개의 측면수직광(42) 등 3개의 수직광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수직필터(27)는 발광부(22)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중앙수직광(41)과 측면수직광(42)이 일정각으로 조사되게 하여 수직광 사이 폭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필터는 출구방향이 볼록한 볼록렌즈의 면에 3개의 수직투광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게 인쇄하여 광원과의 간격조절을 통해서 각 수직투광부 사이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직필터(27)를 전후이동수단(28)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광원인 발광부(22)와의 간격이 조절되어 각 수직투광부(271)를 통해 조사되는 수직광(4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조절은 미세한 각도로 이루어지며, 원하는 거리에서 수직광 사이 간격을 당구공 직름 또는 반지름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전후이동수단(28)은, 수직필터(27)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281)와; 광조사체의 본체(21) 외부로 일단이 표출되어 수동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봉(282)과;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수직필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박스(2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81)는 프레임으로 구성되거나, 광조사체 본체의 내부홈일 수 있다. 상기 회전봉(282)은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구조이나, 회전봉을 회전버튼으로 구성하고 회전버튼과 기어박스 사이에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버튼 클릭에 의해 모터를 작동시켜 회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283)는 전달받은 회전력을 감속해 필터로 전달시켜 수직필터가 미세하게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직필터(27)와 기어박스(283)의 연결은 수직필터 일측에 기어를 설치한 다음 웜과 웜휠 또는 랙과 피니언을 사용하여 회전력을 직선으로 변경시켜 이동되게 하는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직필터(27)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설명하였으나, 수직필터는 본체에 고정시키고 전후이동수단은 발광부에 설치하여 발광부의 이동으로 수직필터와 발광부의 사이간격을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은 수동방식은 제1목적구가 안치된 위치에서의 3개 수직광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게한 것이나 이외에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간격조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전후이동수단(28)은 광조사체의 수직필터(27)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281)와, 수직필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박스(283)와, 기어박스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84)를 포함하여 구성될수 있다. 이때 상기 광조사체의 본체(21) 전면에는 센서(29)를 장착하여, 센서(29)에 의해 목적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다음 전후이동수단(28)을 작동시켜 목적구에 도달하는 3개의 수직광 전체폭이 목적구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29)에 의해 목적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에 따라 수직필터이동데이터와 대비하여 수직필터를 이동시켜 목적구 지점에서의 원하는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직필터이동데이터는 거리에 따른 수직필터의 이동값을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7a와 7b를 참조하여 전후이동수단의 자동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광조사체의 버튼부(25) 클릭 신호가 제어부(24)로 전달되는 제1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버튼부는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전달하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버튼과 센서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하나로 구성하거나 별도로 구성하여 각각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단계는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24)는 전원부(23)의 전원을 발광부(22)로 전달시켜 발광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센서(29)를 작동시키는 단계이다. 즉, 작동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는 발광부로 전원을 연결하는 것과 동시에 센서에도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제3단계로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센서(29)에 의해 목적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거리측정은 적외선, 초음파,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측정이 이루어진다. 센서에 의한 거리측정은 센서가 향하는 방향의 어느 하나만 측정하거나, 센서의 좌우 스캔을 통해 일정영역 예컨대 좌우 2~5°영역에서의 근거리 수구와 원거리 목적구 모두 측정할 수 있다.
제4단계로는 센서(29)에 의해 측정된 센서값을 제어부(24)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설정에 따라 센서가 향하는 어느 하나로 측정된 센서값만 전송하거나, 근거리의 수구측정 센서값과 원거리의 목적구측정 센서값 모두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5단계로는 제어부가 센서에서 전달받은 측정값에 의해 수직필터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즉, 제어부(24)는 센서(29)에서 전송받은 하나의 센서값 또는 전송받은 두 개의 센서값 중 선택된 원거리의 센서값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DB 중 이격거리에 따른 수직필터이동량을 저장한 수직필터이동데이터를 검색하여 센서값의 거리와 대응되는 수직필터이동량을 독출하는 단계이다.
제6단계로는 제어부(24)는 전원부(23)의 동력을 모터(284)로 공급하여 수직필터를 독출된 수직필터이동량만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전후이동수단의 이동과정을 통해 광조사체에서 3개의 수직광이 일정각도로 이격되어 조사되되 3개 수직광의 전체 이격각도는 제1목적구가 안치되는 위치에서 당구공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각도로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목적구(71)와 제2목적구(72) 사이의 각도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큐대(50)로 수구(60)를 타격하고, 타격된 수구(60)는 이동하면서 제1목적구(71)와 얇게 부딪쳐야 부딪침에 의한 꺾임각도를 최소화하여 제2목적구(72)를 타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하나의 수직광을 조사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는 수구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광을 조사하기 때문에 수직광이 제1목적구의 최대 외각에 조사되어도 수구는 반지름정도의 두께가 제1목적구와 겹쳐서 부딪치게 되므로 얇게 부딪치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수구가 제1목적구에 얇게 부딪치게 할려면 두께확인 포인터가 제1목적구의 면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조사되어야 하므로 얇은 두께에 대해서는 수직광에 의한 도움을 전혀 받을 수 없다.
이에 상기 수직광을 중앙수직광(41) 1개와 상기 중앙수직광에서 좌우로 각각 당구공의 반지름의 간격으로 이격된 측면수직광(42) 2개 등 총 3개로 조사되면, 수구(60) 중심에는 중앙수직광(41)을 정렬시키고, 제1목적구(71)에는 2개의 측면수직광 중 부딪치는 방향의 측면수직광(42)을 기준으로 잡아서 측면수직광(42)이 제1목적구(71)의 최외각에 근접되는 위치에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배치가 완료되면 큐대(50)로 수구(60)를 타격하고, 타격된 수구(60)는 중앙수직광(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목적구(71)에 얇게 부딪친 다음 꺾이는 각도를 최소화하면서 제2목적구(72)로 이동되어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두께 확인 포인터(10)는, 조사된 수직광(40)이 큐대(50)와 수구(60)와 제1목적구(71)에 모두 표시되게 함으로써, 수구 타격시 수구(60)가 어느정도의 두께로 제1목적구(71)에 부딪칠 수 있는지를 쉽게 예측하여 당구이해를 도울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10 : 두께 확인 포인터
20 : 광조사체
21 : 본체 22 : 발광부
23 : 전원부 24 : 제어부
25 : 버튼부 26 : 투광렌즈
27 : 수직필터 28 : 전후이동수단
29 : 센서
211 : 손가락안치홈 271 : 수직투광부
281 : 지지대 282 : 회전봉
283 : 기어박스 284 : 모터
30 : 걸이대
31 : 미끌림방지층 32 : 가이드홈
33 : 저면확장부 34 : 저면연장부
40 : 수직광
41 : 중앙수직광 42 : 측면수직광
50 : 큐대
60 : 수구
70 : 목적구
71 : 제1목적구 72 : 제2목적구

Claims (11)

  1.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21)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발광부(22)와 전원부(23) 및 제어부(24)와, 본체 외면에 형성되어 발광부를 작동시키는 버튼부(25)와, 본체 전면에 설치되어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수직광 형태로 투과시켜 근거리의 수구와 원거리의 목적구에 동시에 수직광이 조사되게 하는 수직필터(27)로 구성된 광조사체(20)와;
    상기 광조사체의 본체(21)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어 손가락에 끼우는 고리를 형성하는 걸이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조사체의 수직필터(27)에는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3개의 수직투광부(271)를 형성하여 1개 중앙수직광(41)과 2개 측면수직광(42)이 조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30)는 광조사체 본체(21)의 하부로 연장되되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폭방향으로 검지손가락이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걸이대(30)의 저면에는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2)을 더 형성하여 가이드홈(32)이 큐대(50) 상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여 큐대를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30)는 저면을 수평하게 확장시킨 저면확장부(33)를 더 형성하여 가이드홈(32)의 길이를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30)는 저면을 수평으로 형성한 저면확장부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를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 저면연장부(34)를 더 형성하여 가이드홈(32)의 길이를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30)는 광조사체 본체(21)의 상부로 연장되되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폭방향으로 검지손가락이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광조사체의 본체(21) 저면에는 광조사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2)을 더 형성하여 가이드홈(32)이 큐대(50) 상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여 큐대를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수직광(41)과 측면수직광(42)은 조사되는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수직광(41)과 측면수직광(42) 사이의 간격은, 수직필터(27)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수단(28)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수단(28)은,
    수직필터(27)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281)와;
    광조사체의 본체 외부로 일단이 표출되어 수동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봉(282)과;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수직필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박스(28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수단(28)은, 수직필터(27)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281)와; 수직필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박스(283)와; 기어박스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84);로 구성되고;
    상기 광조사체의 본체 전면에는 센서(29)를 장착하여, 센서에 의해 목적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다음 전후 이동수단을 작동시켜 목적구에 도달하는 3개의 수직광 전체폭이 목적구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확인 포인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수단(28)은,
    광조사체의 버튼부(25) 클릭 신호가 제어부(24)로 전달되는 제1단계;
    제어부(24)는 전원부(23)의 전원을 발광부(22)로 전달시켜 발광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센서(29)를 작동시키는 제2단계;
    작동된 센서(29)에 의해 목적구(7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3단계;
    센서(29)에 의해 측정된 센서값을 제어부(24)로 전송하는 제4단계;
    제어부(24)는 측정된 거리값을 미리 저장된 이격거리에 따른 수직필터이동량을 저장한 수직필터이동데이터와 대비하여 수직필터이동량을 독출하는 제5단계;
    제어부(24)는 전원부(23)의 동력을 모터(284)로 공급하여 독출된 수직필터이동량만큼 수직필터(27)를 이동시키는 제6단계;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두께 확인 포인터.
KR1020170167343A 2017-12-07 2017-12-07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 KR10189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43A KR101894082B1 (ko) 2017-12-07 2017-12-07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
US16/765,266 US20200306616A1 (en) 2017-12-07 2018-11-07 Thickness checking pointer for billiard practice
PCT/KR2018/013431 WO2019112190A1 (ko) 2017-12-07 2018-11-07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43A KR101894082B1 (ko) 2017-12-07 2017-12-07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082B1 true KR101894082B1 (ko) 2018-08-31

Family

ID=6340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343A KR101894082B1 (ko) 2017-12-07 2017-12-07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06616A1 (ko)
KR (1) KR101894082B1 (ko)
WO (1) WO201911219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292B1 (ko) 2018-10-25 2019-07-24 박철훈 두께 및 당점 정보를 제공하는 당구포인터장치
KR102125702B1 (ko) * 2019-02-13 2020-06-23 주식회사 고큐 당구용 큐대지지대
KR20220002157U (ko) 2021-03-02 2022-09-13 고경훈 당구 연습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997A (ko) * 2003-03-03 2004-09-08 강병국 당점 유도 레이저 당구채
US20080090670A1 (en) * 2006-10-13 2008-04-17 Sen-Yung Liu Aiming Device For Billiard Cue
KR101267908B1 (ko) * 2012-04-11 2013-05-27 신재청 자세 교정용 당구 큐
KR101738073B1 (ko) 2016-08-30 2017-05-22 김재범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KR101759701B1 (ko) 2015-11-05 2017-07-20 한정택 당구 보조브릿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493A (ko) * 2011-06-18 2012-12-27 강지구 이동선과 힘, 당점을 알 수 있는 당구공 및 당구대, 그리고 큐 및 과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997A (ko) * 2003-03-03 2004-09-08 강병국 당점 유도 레이저 당구채
US20080090670A1 (en) * 2006-10-13 2008-04-17 Sen-Yung Liu Aiming Device For Billiard Cue
KR101267908B1 (ko) * 2012-04-11 2013-05-27 신재청 자세 교정용 당구 큐
KR101759701B1 (ko) 2015-11-05 2017-07-20 한정택 당구 보조브릿지
KR101738073B1 (ko) 2016-08-30 2017-05-22 김재범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292B1 (ko) 2018-10-25 2019-07-24 박철훈 두께 및 당점 정보를 제공하는 당구포인터장치
WO2020085725A1 (ko) * 2018-10-25 2020-04-30 에이에스케이 주식회사 두께 및 당점 정보를 제공하는 당구포인터장치
KR102125702B1 (ko) * 2019-02-13 2020-06-23 주식회사 고큐 당구용 큐대지지대
WO2020166800A1 (ko) * 2019-02-13 2020-08-20 주식회사 고큐 당구용 큐대지지대
KR20220002157U (ko) 2021-03-02 2022-09-13 고경훈 당구 연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06616A1 (en) 2020-10-01
WO2019112190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082B1 (ko) 당구 연습용 두께 확인 포인터
KR102003292B1 (ko) 두께 및 당점 정보를 제공하는 당구포인터장치
US20070167248A1 (en) Golf putter with laser
KR101966789B1 (ko) 두께 확인 및 큐대 지지용 당구포인터
US20050037851A1 (en) Laser light aiming trainer for the game of pool and similar games
CA2605916A1 (en) Putting practice aid
US5338262A (en) Cue ball angle determinator
KR101656638B1 (ko) 가이드라인 시현 기능을 가지는 골프 티
KR101883104B1 (ko) 거리측정이 가능한 볼마커
KR101957112B1 (ko) 당구대에서 당구공의 안착 지점을 정확하게 안내하는 플레이서
US5683302A (en) Laser bowling ball guiding apparatus
GB2276825A (en) A snooker cue
KR101146396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2021074B1 (ko) 당구 연습용 당점표시 포인터
US20050153784A1 (en) Training aid for golfers
GB2200732A (en) Shooting game apparatus
KR101627654B1 (ko) 골프스윙 시 클럽헤드의 궤적을 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57689A (ko) 골프 에이밍 디바이스
US4288943A (en) Simulated firing and sighting system
KR101450189B1 (ko) 퍼터용 퍼팅방향 확인장치
KR10231951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측정 및 일직선 스트로크 가이드를 위한 골프 퍼터
CN211798729U (zh) 台球姿势调整装置
KR20090119051A (ko) 골프공 정렬기
JP2007082965A (ja) レーザーサイトつきゴルフストロークの練習機
KR102253307B1 (ko) 당구용 수구 정확도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