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47Y1 -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47Y1
KR200487647Y1 KR2020170000081U KR20170000081U KR200487647Y1 KR 200487647 Y1 KR200487647 Y1 KR 200487647Y1 KR 2020170000081 U KR2020170000081 U KR 2020170000081U KR 20170000081 U KR20170000081 U KR 20170000081U KR 200487647 Y1 KR200487647 Y1 KR 200487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aligning
storage case
slidin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158U (ko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이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호 filed Critical 이태호
Priority to KR2020170000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4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1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장축변들 및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단축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장축변의 제1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위치정렬부 및 상기 제1 위치와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위치정렬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 및 커버면 및 상기 커버면과 연결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장축변들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전체를 덮는 제1 방향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부를 덮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장축변들과 연결되는 상기 테두리부의 일부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위치정렬부 및 제2 위치정렬부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제3 위치정렬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위치정렬부 및 제2 위치정렬부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되는 제4 위치정렬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SLIDE TYPE OPENING AND SHUTTING MULTIPURPOSE STORAGE CASE}
본 고안은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적인 사용 형태 및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부착한 상태에서의 카드타입의 물품 수납, 스마트폰의 거치 등의 다용도로 사용 가능한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스마트폰은 현대인들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필수품이 되었다. 스마트폰을 휴대하기 위해서 손으로 들거나 주머니 또는 가방 속에 넣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색깔과 형상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보호 케이스들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가죽이나 플라스틱, 실리콘 재질의 케이스 속에 스마트폰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서 휴대하고 있다.
그리고 별도의 지갑이나 다이어리에 보관하는 신용카드, 명함, 교통카드 등을 핸드폰과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수납형 휴대폰 보호 케이스들도 많이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감싸도록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며, 신용카드, 명함, 교통카드 등을 수납하는 것은 부가적인 기능에 속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케이스의 일측에 삽입구를 마련하여 카드를 수납 및 인출하는 형태이거나, 덮개를 열거나 닫는 다이어리형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케이스의 일측에 삽입구가 형성된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경우 카드의 삽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삽입구에 노출된 카드의 일부분을 두 손가락으로 잡고 인출하여야 하므로 카드의 인출에 불편함이 있고, 다이어리형 타입의 경우 카드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해서는 반드시 덮개를 열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한편,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폰용 액세서리가 판매되고 있으나, 이러한 스마트용 액세서리는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용도에만 제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346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2722호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드타입 물품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 부착하여 스마트폰과 함께 사용자가 휴대한 카드타입 물품의 휴대 및 스마트폰을 거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납된 카드타입의 물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슬라이딩부재가 가이드부재를 완전히 덮은 상태 및 슬라이딩부재가 가이드부재의 일부를 덮은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수납된 물품의 안전한 보호가 가능하며,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고자 할 때 슬라이딩부재가 가이드부재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된 물품이 필요 없이 인출되어 분실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장축변들 및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단축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장축변의 제1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위치정렬부 및 상기 제1 위치와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위치정렬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 및 커버면 및 상기 커버면과 연결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장축변들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전체를 덮는 제1 방향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부를 덮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장축변들과 연결되는 상기 테두리부의 일부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위치정렬부 및 제2 위치정렬부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제3 위치정렬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위치정렬부 및 제2 위치정렬부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되는 제4 위치정렬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노출되는 빛반사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커버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및 슬라이딩부재를 세운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대향하지 않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면에 구비되고, 물품의 표면에 반복 탈부착 가능한 점착성 물질이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탈부착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장축변들과 평행하고 상기 장축변들과 결합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제3 위치정렬부재 및 제4 위치정렬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정렬부 및 제2 위치정렬부는, 상기 장축변들로부터 상기 장축변들에 연결된 면(面)들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절개홈; 상기 절개홈과 이웃하고 상기 절개홈 방향으로 수축된 후 복원 가능하게 구성된 텐션바; 및 상기 텐션바의 일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위치정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위치정렬부 및 제4 위치정렬부는 상기 위치정렬홈에 체결되도록 상기 텐션바에 대응되는 위치정렬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커버면보다 높게 위치하여 물품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테두리부 및 커버면 사이에서 상측의 테두리부로부터 하측의 커버면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연장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안쪽면에서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커버면에 연장되고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커버면을 향해 구배져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커버면의 일부가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되어 구비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일측이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 인접하게 배치된 물품지지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품지지턱은 상기 연결부의 위치에서 커버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상기 거치부재는 링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에 의하면, 카드타입 물품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 부착하여 스마트폰과 함께 사용자가 휴대한 카드타입 물품의 휴대 및 스마트폰을 거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납된 카드타입의 물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슬라이딩부재가 가이드부재를 완전히 덮은 상태 및 슬라이딩부재가 가이드부재의 일부를 덮은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수납된 물품의 안전한 보호가 가능하며,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고자 할 때 슬라이딩부재가 가이드부재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된 물품이 필요 없이 인출되어 분실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의 내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가 스마트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 내부에 신용카드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의 거치부재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의 내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는 가이드부재(100), 상기 가이드부재(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20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00)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장축변들(101, 102) 및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단축변들(103, 10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0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일 예로, 가이드부재(100)는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00)는 각각의 장축변(101, 102)의 제1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위치정렬부(110) 및 제1 위치와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위치정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정렬부(110) 및 제2 위치정렬부(120)는 슬라이딩부재(200)가 슬라이딩 하여 이동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일 예로, 제1 위치정렬부(110)는 제2 위치정렬부(120)의 위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위치정렬부(110, 120)는 절개홈(111, 121), 텐션바(112, 122) 및 위치정렬홈(113,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홈(111, 121)은 가이드부재(100)의 장축변들(101, 102)로부터 장축변들(101, 102)에 연결된 면(面)들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텐션바(112, 122)는 절개홈(111, 121)과 이웃하고 절개홈(111, 121) 방향으로 수축된 후 복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텐션바(112, 122)는 가이드부재(100)의 면들을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홈(111, 121)에 의해 형성되며, 슬라이딩부재(200)가 가이드부재(100)에 결합될 때 절개홈(111, 121)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가 되며, 이에 의해 텐션바(112, 122)는 절개홈(111, 121)의 반대측 방향으로 텐션에 의한 힘이 작용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텐션바(112, 122)는 제1 위치정렬부(110) 및 제2 위치정렬부(120) 중 다른 하나의 위치정렬부의 위로 위치하는 위치정렬부에 구비되는 경우 절개홈(111, 1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위치정렬부(110)에 구비되는 텐션바(112)는 그 텐션바(112)와 이웃하는 절개홈(1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위치정렬홈(113, 123)은 텐션바(112, 122)의 일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치정렬홈(113, 123)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의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00)는 커버면(210) 및 커버면(210)과 연결된 테두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220)는 가이드부재(100)의 장축변들(101, 102)과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00)는 테두리부(220)가 가이드부재(100)와 결합되어 가이드부재(100) 전체를 덮는 제1 방향 및 가이드부재(100)의 일부를 덮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테두리부(220)는 슬라이딩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홈(221)은 가이드부재(100)의 장축변들(101, 102)과 평행하고 장축변들(101, 102)과 결합될 수 있다. 테두리부(220)의 일부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부재(100)의 제1 위치정렬부(110) 및 제2 위치정렬부(120)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제3 위치정렬부(230)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부재(100)의 제1 위치정렬부(110) 및 제2 위치정렬부(120)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되는 제4 위치정렬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위치정렬부(230)는 제4 위치정렬부(240)의 위로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3 위치정렬부(230)는 가이드부재(100)의 제1 위치정렬부(110)에 대응될 수 있고, 제4 위치정렬부(240)는 가이드부재(100)의 제2 위치정렬부(120)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위치정렬부(230) 및 제4 위치정렬부(240)는 제1 위치정렬부(110) 및 제2 위치정렬부(120)의 위치정렬홈(113, 123)에 체결되도록 텐션바(112, 122)에 대응되는 위치정렬돌기(231, 241)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렬돌기(231, 241)는 상기 슬라이딩홈(22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200)는 테두리부(220)가 커버면(210)보다 높게 위치하여 물품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부재(200)는 테두리부(220) 및 커버면(210) 사이에서 상측의 테두리부(220)로부터 하측의 커버면(210)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연장된 연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200)는 상기 슬라이딩홈(22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슬라이딩홈(221)에 인접하게 배치된 물품지지턱(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품지지턱(260)은 슬라이딩부재(200)의 커버면(210)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200)는 카드타입 물품, 예를 들면, 명함,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의 카드타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수납되는 카드타입 물품은 상기 물품지지턱(26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는 빛반사패널(300), 인출가이드(400), 탈부착시트(500), 거치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빛반사패널(300)은 슬라이딩부재(200)와 대향하는 가이드부재(100)의 일면에 구비되고, 슬라이딩부재(20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빛반사패널(300)은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 보는 물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거울일 수 있다.
인출가이드(400)는 슬라이딩부재(200)의 내부로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인출가이드(400)는 슬라이딩부재(200)의 안쪽면에서 테두리부(220)로부터 커버면(210)에 연장되고, 테두리부(220)로부터 커버면(210)을 향해 구배질 수 있다. 이러한 인출가이드(400)는 테두리부(220)의 내부로 수납된 물품, 예를 들면, 신용카드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신용카드를 슬라이딩부재(200)의 외측을 향해 당기면 인출가이드(400)에 근접한 신용카드의 일부분이 인출가이드(400)를 통해 안내되어 슬라이딩부재(2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인출가이드(400)는 슬라이딩부재(20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탈부착시트(500)는 사용자의 휴대 가능한 물품,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의 배면에 가이드부재(100)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탈부착시트(500)는 가이드부재(100)의 슬라이딩부재(200)와 대향하지 않는 일면에 구비되고, 물품의 표면에 반복 탈부착 가능한 점착성 물질이 표면에 도포되어 있다. 탈부착시트(500)의 노출된 면에는 탈부착시트(500)의 사용전에 탈부착시트(500)의 노출된 면을 보호하는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탈부착시트(500)의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는 면을 "부착면(510)"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거치부재(600)는 슬라이딩부재(200)의 커버면에 탈찰되고, 가이드부재(100) 및 슬라이딩부재(200)를 세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거치부재(600)가 슬라이딩부재(200)에 구비되기 위해, 슬라이딩부재(200)는 커버면(210)의 일부가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되어 구비되는 개구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재(600)는 상기 개구부(2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일측이 개구부(2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개구부(211) 및 거치부재(600)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거치부재(600)는 개구부(211)의 일측에 힌지핀(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재(600)가 접힌 상태 즉, 거치부재(600)가 슬라이딩부재(200)의 커버면(210)과 동일 평면에 위치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개구부(211)의 타측에 근접한 걸림구멍(212)을 포함하고, 거치부재(600)의 타측에는 걸림구멍(212)에 탈착되는 탈착구(6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치부재(600)를 개구부(2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탈착구(610)가 걸림구멍(212)으로부터 분리되어 거치부재(600)는 가이드부재(100) 및 슬라이딩부재(200)를 거치 가능한 상태로 펼쳐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가 스마트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 내부에 신용카드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의 거치부재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일 예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폰에 부착하기 위해, 탈부착시트(500)의 부착면(510)에 미리 부착되어 있는 이형지를 제거하고, 도 4와 같이 탈부착시트(500)의 노출된 부착면(510)을 스마트폰(20)의 배면에 부착한다. 이때, 가이드부재(100)의 하단부는 스마트폰(20)의 하단부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부착한다.
스마트폰(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카드타입 물품을 슬라이딩부재(200)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카드타입 물품을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슬라이딩부재(200)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카드타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10)를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슬라이딩부재(200)가 가이드부재(100)를 완전히 덮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슬라이딩부재(20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딩부재(200)는 가이드부재(100)의 일부분을 덮는 상태가 되고, 슬라이딩부재(200)의 내부의 일부, 즉 인출가이드(400)가 위치하는 슬라이딩부재(200)의 내부의 일부가 노출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20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3 위치정렬부(230)는 제1 위치정렬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제2 위치정렬부(120)에 대응되고 제4 위치정렬부(240)는 제2 위치정렬부(120)로부터 분리된다. 즉, 제1 위치정렬부(110)를 구성하는 텐션바(112)에 형성된 위치정렬홈(113)에 체결되어 있던 위치정렬돌기(231)는 제1 위치정렬부(110)의 위치정렬홈(113)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위치정렬부(120)를 구성하는 텐션바(122)에 형성된 위치정렬홈(123)에 체결되어 있던 위치정렬돌기(241)는 제2 위치정렬부(12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제3 위치정렬부(230)를 구성하는 위치정렬돌기(231)가 제1 위치정렬부(110)의 위치정렬홈(113)과 분리된 후 제2 위치정렬부(120)의 위치정렬홈(123)과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슬라이딩부재(200)의 이동된 상태는 고정된다.
슬라이딩부재(200)의 노출된 일부분의 내부로 신용카드(10)를 삽입한 후 슬라이딩부재(20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00)는 가이드부재(100) 전체를 덮는 상태가 되고, 신용카드는 슬라이딩부재(200)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때, 도 6과 같이 신용카드(10)는 슬라이딩부재(200)의 물품지지턱(260) 상에 안착되고, 물품지지턱(260)이 만곡된 연결부(250)의 위치에서 커버면(210)보다 높게 위치함에 따라 신용카드(10)와 슬라이딩부재(200)의 커버면(210)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다시 제3 위치정렬부(230)는 제1 위치정렬부(110)에 대응되어 지지되고, 제4 위치정렬부(240)는 제2 위치정렬부(120)에 대응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슬라이딩부재(200)의 이동된 상태는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부재(200)의 내부에 카드타입 물품을 수납하여 스마트폰을 휴대하여 사용하다가 카드타입 물품, 예를 들면, 신용카드(10)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슬라이딩부재(20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0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내부에 수납된 신용카드(10)가 노출될 수 있다. 신용카드(10)의 인출을 위해 사용자는 신용카드(10)의 상면에 손가락을 대고 슬라이딩부재(200)의 외측 방향으로 신용카드(10)를 당길 수 있다.
이때, 신용카드(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200)의 만곡된 연결부(250)의 위치에서 물품지지턱(260) 상에 지지되어 커버면(210)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신용카드(10)의 상면을 아래로 누르면 신용카드(10)는 휘어지면서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향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로 신용카드(10)를 슬라이딩부재(200)의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 신용카드(10)는 슬라이딩부재(200)의 내부에 배치된 인출가이드(400)에 걸림 없이 쉽게 접하여 인출가이드(400)를 따라 슬라이딩부재(200)의 외측으로 가이드되면서 쉽게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200)의 내부에 수납된 카드타입 물품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슬라이딩부재(200)의 만곡된 연결부(250) 및 인출가이드(400)에 의해 카드타입 물품은 슬라이딩부재(200)의 외측으로 쉽게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된 카드타입 물품의 인출과정과 상관 없이 사용자는 빛반사패널(300)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을 빛반사패널(300)에 비추어 보고자 하는 경우 슬라이딩부재(20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부재(100)에 배치된 빛반사패널(300)이 노출되며, 빛반사패널(300)을 통해 사용자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빛반사패널(300)을 거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성인 경우 화장할 때 빛반사패널(300)을 거울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은 웹서핑,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전자제품으로서, 스마트폰(20)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중에, 스마트폰(20)을 책상 등의 상면에 거치하여 웹서핑,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거치부재(600)를 펼쳐서 스마트폰(20)을 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거치부재(600)를 개구부(2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서 펼쳐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스마트폰(20)을 책상의 상면에 놓으면 도 7과 같이 거치부재(600)에 의해 스마트폰(20)이 거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를 이용하면, 신용카드, 명함, 교통카드 등의 카드타입 물품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스마트폰(20)에 부착하여 스마트폰(20)과 함께 사용자가 휴대한 카드타입 물품의 휴대 및 스마트폰(20)을 거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200)의 만곡된 연결부(250) 및 인출가이드(400)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00)에 수납된 카드타입의 물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제1 위치정렬부(110) 내지 제4 위치정렬부(240)에 의해 수납된 물품의 인출을 방지하는 슬라이딩부재(200)가 가이드부재(100)를 완전히 덮은 상태 및 수납된 물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재(200)가 가이드부재(100)의 일부를 덮은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수납된 물품의 안전한 보호가 가능하며,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고자 할 때 슬라이딩부재(200)가 가이드부재(10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된 물품이 필요 없이 인출되어 분실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는 거치부재(600)가 링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링 타입의 거치부재(600)는 슬라이딩부재(20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는 거치부재(600)가 링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와 동일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장축변들 및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단축변들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덮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전체를 덮는 제1 방향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부를 덮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대향하지 않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면에 구비되고, 물품의 표면에 반복 탈부착 가능한 점착성 물질이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탈부착시트;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노출되는 빛반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2개의 장축변들의 전체 길이 중 절반 이하의 길이 범위 내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위치정렬부 및 상기 제1 위치정렬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위치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장축변들에 연결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연장된 연결부를 통해 상기 테두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빛반사패널이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면을 커버하는 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장축변들과 평행하여 상기 장축변들과 결합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3 위치정렬부 및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4 위치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위치정렬부 및 제2 위치정렬부는, 상기 장축변들로부터 상기 장축변들에 연결된 면(面)들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절개홈, 상기 절개홈과 이웃하고 상기 절개홈 방향으로 수축된 후 복원 가능하게 구성된 텐션바 및 상기 텐션바의 일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위치정렬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3 위치정렬부 및 제4 위치정렬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위치정렬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위치정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정렬부의 텐션바는 제1 위치정렬부의 절개홈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 위치정렬부의 위치정렬돌기가 상기 제2 위치정렬부의 텐션바에 형성된 위치정렬홈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위치정렬부의 텐션바는 상기 제1 위치정렬부의 절개홈 방향으로 수축하여 상기 제3 위치정렬부의 위치정렬돌기를 가압하는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정렬부의 위치정렬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 위치정렬부의 위치정렬돌기가 상기 제1 위치정렬부의 텐션바에 형성된 위치정렬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4 위치정렬부의 위치정렬돌기가 상기 제2 위치정렬부의 텐션바에 형성된 위치정렬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고정되게 개폐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커버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및 슬라이딩부재를 세운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커버면보다 높게 위치하여 물품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안쪽면에서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커버면에 연장되고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커버면을 향해 구배져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커버면의 일부가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되어 구비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일측이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 인접하게 배치된 물품지지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품지지턱은 상기 연결부의 위치에서 커버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링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케이스.
KR2020170000081U 2017-01-04 2017-01-04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KR200487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081U KR200487647Y1 (ko) 2017-01-04 2017-01-04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081U KR200487647Y1 (ko) 2017-01-04 2017-01-04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58U KR20180002158U (ko) 2018-07-12
KR200487647Y1 true KR200487647Y1 (ko) 2018-10-16

Family

ID=6290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081U KR200487647Y1 (ko) 2017-01-04 2017-01-04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808B1 (ko) * 2021-08-11 2022-05-30 최범용 빨대를 통해 음료수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마스크용 캡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978B1 (ko) * 2014-09-02 2015-05-15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휴대폰 케이스 조립체
KR101588222B1 (ko) * 2015-02-02 2016-01-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폰 케이스
KR101635152B1 (ko) * 2016-01-14 2016-06-30 (주)잉켐테크 이동 단말기 보호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64B1 (ko) 2003-01-07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바스켓 구조
KR100751804B1 (ko) 2004-04-29 2007-08-23 박환진 경사진 플랜지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접속장치
KR20130077421A (ko) * 2011-12-29 2013-07-09 원성연 휴대폰 케이스
KR101440917B1 (ko) * 2014-04-10 2014-09-18 주식회사 앤비츠 카드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978B1 (ko) * 2014-09-02 2015-05-15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휴대폰 케이스 조립체
KR101588222B1 (ko) * 2015-02-02 2016-01-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폰 케이스
KR101635152B1 (ko) * 2016-01-14 2016-06-30 (주)잉켐테크 이동 단말기 보호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58U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94821B (zh) 带支架的智能电话携带套
US9031623B2 (en) Cellular phone case
US20170187410A1 (en) Cellular-phone case having retractable card holding structure
US20150230570A1 (en) Long wallet capable of carrying smart phone while exposing camera
US20130334070A1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KR101355772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US20220183431A1 (en) Slidable accessor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519978B1 (ko) 휴대폰 케이스 조립체
KR200483756Y1 (ko) 슬라이드식 카드 수납 휴대폰 케이스
KR200475991Y1 (ko) 인출식 카드 수납 케이스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7647Y1 (ko)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US10511342B1 (en) Cell phone case with card storage capability
KR101530212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102290791B1 (ko) 폴더블 폰 케이스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US11350725B2 (en) Auto-foldable pouch
KR200487743Y1 (ko) 다용도 수납 케이스
KR2008003649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착탈장치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102177667B1 (ko)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수첩
KR102133135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101529168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0997894B1 (ko) 화장품이 구비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