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041B1 -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041B1
KR101628041B1 KR1020150046664A KR20150046664A KR101628041B1 KR 101628041 B1 KR101628041 B1 KR 101628041B1 KR 1020150046664 A KR1020150046664 A KR 1020150046664A KR 20150046664 A KR20150046664 A KR 20150046664A KR 101628041 B1 KR101628041 B1 KR 10162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ring member
portable terminal
hook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15004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041B1/ko
Priority to PCT/KR2016/003470 priority patent/WO2016159743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1) 또는 그 보호케이스(2)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보호케이스(2)의 배면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오목부(11)가 형성되는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에 매입설치되는 힌지부재(12)와, 이 힌지부재(12)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회동되어 상기 오목부(11)에 수납되는 링부재(20)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Ring holder of portable device and Case having the holder}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를 손가락에 걸어서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인스트루먼트패널 등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고, 휴대용 액자로 사용하거나,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경사지게 안전하게 거치할 수도 있는 다용도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시와 같은 휴대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람들의 필수적인 휴대품이 되었다. 그리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시의 디스플레이가 커짐에 따라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크기고 커지는 추세이며,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일반 전화로서의 기능은 물론 동영상이나 음악재생, 촬영, 인터넷검색, 메모 등이 다양한 기능과 애플리케이션이 부가되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보행 중과 같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휴대단말기를 손에서 떨어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파지하여 휴대하거나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휴대전화의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된 고리홀더를 부착하여, 손가락으로 이 고리홀더를 파지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고리홀더를 받침대로 전용하여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경사지게 배치하여 휴대단말기를 볼 수 있도록 된 것도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는 휴대단말기를 필수품처럼 휴대하여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환경이나 여건에서 사용되는 것에 비해 그 기능이 단순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휴대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들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4-0003807호 (2014. 01, 10)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손가락에 걸어서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인스트루먼트패널 등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고, 휴대용 액자로 사용하거나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경사지게 안전하게 거치할 수도 있는 다용도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휴대단말기(1) 또는 그 보호케이스(2)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보호케이스(2)의 배면과 일체로 이루어진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의 상면에 그림이 인쇄된 시트나 사진(16)을 부착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1)와, 상기 베이스(10)의 오목부(11) 일측에 매입설치되는 힌지부재(12)와, 이 힌지부재(12)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회동되어 상기 오목부(11)에 수납되는 링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0)의 오목부(11)에 그림이 인쇄된 시트나 사진(16)이 부착 또는 삽입설치되면 상기 링부재(20)가 그림이 인쇄된 시트나 사진(16)의 둘레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리홀더의 링부재(20)가 걸리며 차량 실내에 부착하도록 된 후크부재(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30)는 차량의 실내에 양면접착테이프 등으로 부착되는 부착판(31)과, 상기 부착판(31)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링부재(20)를 걸도록 된 걸이부(32)와, 상기 걸이부(32)의 전방에서 걸이부(32)보다 상향 또는 측방으로 확장되어 걸이부(32)에 걸린 링부재(20)가 빠지지 않도록 저지하는 확장걸림턱(34)과, 상기 걸이부(32)의 측하방에 걸이부(32)와 이격되도록 부착판(31)에 돌출설치되며 상기 링부재(20)에 맞닿아 링부재(20)의 요동을 저지하는 측면지지부(3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재(12)는 베이스(10)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10)에 매입결합되며 힌지축(14)이 구비된 대향하는 힌지브라켓(13)로 구성되고, 상기 링부재(20)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축(14)이 삽입되는 힌지공(28)이 형성된 힌지연결편(2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14)과 힌지공(28) 사이에는 마찰링(25)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단말기(1) 또는 그 보호케이스(2)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보호케이스(2)의 배면과 일체로 이루어진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의 상면에 그림이나 사진(16) 등을 부착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10)와, 이 베이스(10)의 오목부(11) 일측에 매입설치되는 힌지부재(12)와, 이 힌지부재(12)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회동되어 상기 오목부(11)에 수납되는 링부재(20)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가 제공되므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의 링부재(20)를 걸도록 된 후크부재(30)의 걸이부(32)의 전방에 확정걸림턱(34)을 형성하고 측하방에 링부재(2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측면지지부(36)를 형성함으로써, 후크부재(30)를 차 실내의 인스트루먼트패널 등에 부착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경우에,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해 휴대단말기가 후크부재(30)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휴대단말기의 시청이 더욱 편리하면서도 휴대단말기의 화면을 흔들림없이 명료하게 볼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링부재(20)를 수납하는 베이스(10)의 오목부(11)에는 사진이(16)나 그림을 부착하거나 삽입할 수 있어서, 이러한 고리홀더를 휴대용 액자로 사용할 수 있어서 연인이나 가족사진 등을 늘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오목부(11)에 삽입되거나 부착된 사진, 그림 등이 베이스(10)의 표면보다 낮은 오목부에 배치되고, 그 둘레부가 링부재(20)에 의해 커버되므로, 사진 등이 손가락이나 포켓 또는 가방 속의 인접한 물체와 접촉되어 마모되거나 긁히지 않아서 사진 등이 장기간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진 등을 교체가능하게 오목부(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하는 경우에도, 링부재(20)가 이러한 사진의 둘레부를 덮어 보호하면서 사진에 대한 액자프레임으로 기능하므로, 착탈가능한 사진을 끼우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끼워서 사용하기에 효과적이다.
아울러, 힌지부재(12)는 힌지축(14)이 구비된 힌지브라켓(13)이 베이스(10) 상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10)에 매입결합되고, 링부재(20)에는 힌지축(14)이 결합되는 힌지공(28)이 형성된 힌지연결편(21)이 형성되고, 힌지축(14)과 힌지공(28) 사이에는 마찰링(25)이 개재됨으로써, 시용자가 링부재(20)를 힌지브라켓(13)과 함께 회전축(22)을 중심으로 베이스(2) 또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2)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힌지축(14)을 중심으로 적당하게 경사지게 꺽어서 마찰링(25)과의 마찰력에 의해 링부재(20)가 임의의 위치에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이 고리홀더를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링부재를 후크부재에 매단 상태의 전후방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힌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휴대폰케이스에 부착한 상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바닥에의 거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링부재를 후크부재와 결합한 상태도이고, 도 3은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 본체(1)의 배면에 양면테이프(15) 등에 의해 부착되는 판형상의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에 매입설치되는 힌지부재(12)와, 이 힌지부재(12)에 축결합되는 링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힌지부재(12)에 인접하게 오목부(11)가 형성되어 링부재(20)가 절첩되어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베이스(2)의 오목부(11)에는 그림이 인쇄된 시트나 사진(16)이 끼워짐으로써, 이 베이스(10)가 일종의 휴대용 액자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의 오목부(11)의 저면 둘레부의 복수의 개소에 걸림턱(18)이나 걸림공을 형성하고, 사진(16)이나 이 사진(16)을 덮는 투명커버판(19)의 대응부위에는 걸림턱(18)이나 걸림공에 탄성결합되는 걸림돌기(19)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링부재(20)가 오목부(11)에 수납되면 링부재(20)가 외관상 액자프레임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10)의 오목부(11)에 그림 인쇄된 시트나 사진(16)을 삽입하거나 부착할 경우에, 이러한 사진(16) 등이 베이스(10)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게 되고, 그 둘레부는 링부재(20)로 커버하여 보호하므로, 사용자가 링부재(20)에 손가락을 끼고 사용하는 경우에 사진이 손바닥 등과 잘 접촉되지 않고, 또한 휴대단말기를 포켓이나 가방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에도 포켓이나 가방에 함께 놓인 물체와 잘 접촉되지 않으므로, 사진 등이 마모, 스크래치 등으로 인한 훼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어서, 사진을 장시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사진(16)을 교체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오목부(11)에 부착하지 않고 단순히 착탈가능하게 끼우는 경우에는 사진(16)이 오목부(11)에 끼워져 그 둘레부가 액자프레임처럼 링부재(20)에 의해 커버되므로, 사진이 쉽사리 이탈되지 않아서 양호하게 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16)을 직접 오려서 오목부(11)에 끼우는 경우에, 사진(16)을 오목부(11)의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되지 못하게 절단하거나 단정하지 못하게 절단하여 오목부(11)에 끼우더라도 사진(16)의 둘레부를 링부재(20)로 덮어서 은폐하므로, 링부재(20)의 구멍을 통해 단정한 사진을 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힌지부재(12)의 구성을 살펴보면, 베이스(10)에 매입되며 대향하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13)과 이 힌지브라켓(1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축(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브라켓(13)은 그 저면에 돌출된 회전축(22)이 베이스(10)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결합공(23)에 끼워지며, 베이스(10)의 배면에서 삽입되는 워셔부재(24)와 가압결합된다. 이에 따라 힌지브라켓(13)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베이스(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링부재(20)의 일단에는 힌지공(28)이 형성된 힌지연결편(21)이 일체로 구비된다. 이 힌지공(28)은 상기 힌지브라켓(13)의 힌지축(14)에 결합된다. 이때 힌지축(14)과 힌지공(28) 사이에는 슬리브형상의 마찰링(25)이 끼워진다. 이 마찰링(25)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마찰력을 가지는 플라스틱재료로 제작되어 힌지축(12)과 힌지공(28) 사이에 억지끼움됨으로써, 사용자가 링부재(20)를 베이스(10)의 힌지축(12)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로 접으면, 그 위치에서 링부재(20)에 마찰력에 의해 위치고정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힘을 가해 접으면 링부재(20)가 베이스(10) 또는 휴대단말기 본체(2)에 대하여 각도조절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재(20)가 휴대단말기를 세로 또는 가로로 테이블 등의 바닥에 적당하게 경사지도록 거치하는 거치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와 결합되어 사용하는 후크부재(30)를 더 포함한다. 이 후크부재(30)는 주로 차량의 실내 인스트루먼트패널이나 도어트림 등에 양면테이프(38)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판(31)과 이 부착판(31)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걸이부(32)를 포함하고, 이 걸이부(32)의 전방에서 상향 및 측방으로 확장되는 확장걸림턱(34)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부(32)의 돌출길이는 상기 링부재(20)의 전후 두께 보다 약간 커서, 링부재(20)가 걸이부(32)에 걸리면 링부재(20)가 전후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 걸이부(32)의 측하방에 걸이부(32)와 이격되도록 측면지지부(36)가 돌출형성된다. 이 측면지지부(36)는 링부재(20)가 걸이부(32)에 걸리면 링부재(20)의 측하방에 근접되어 링부재(20)의 요동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차 실내에서 휴대단말기를 후크부재(30)에 걸어서 차를 운전하는 경우에 휴대단말기(1)가 흔들리거나 떨어지지 않아서 편리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링부재(20)의 윤곽형태가 라운드된 삼각형으로 제작되었으나, 그 형태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형태가 하트모양이나 원형 등의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휴대가능한 액세서리나 패션에 어울리는 장신구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10)가 휴대단말기(1) 보호케이스(2)의 배면에 이 보호케이스(2)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리홀더는 휴대단말기(1)와 별체로 제작되어 휴대단말기(1)나 그 보호케이스(2)에 부착될 수도 있고, 보호케이스(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휴대단말기(1) 또는 그 보호케이스(2)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보호케이스(2)의 배면과 일체로 이루어진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의 상면에 그림이 인쇄된 시트나 사진(16)을 부착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1)와, 상기 베이스(10)의 오목부(11) 일측에 매입설치되는 힌지부재(12)와, 이 힌지부재(12)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회동되어 상기 오목부(11)에 수납되는 링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0)의 오목부(11)에 그림이 인쇄된 시트나 사진(16)이 부착 또는 삽입설치되면 상기 링부재(20)가 그림이 인쇄된 시트나 사진(16)의 둘레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링부재(20)가 걸리며 차량 실내에 부착하도록 된 후크부재(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30)는 차량의 실내에 양면접착테이프 등으로 부착되는 부착판(31)과, 상기 부착판(31)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링부재(20)를 걸도록 된 걸이부(32)와, 상기 걸이부(32)의 전방에서 걸이부(32)보다 상향 또는 측방으로 확장되어 걸이부(32)에 걸린 링부재(20)가 빠지지 않도록 저지하는 확장걸림턱(34)과, 상기 걸이부(32)의 측하방에 걸이부(32)와 이격되도록 부착판(31)에 돌출설치되며 상기 링부재(20)에 맞닿아 링부재(20)의 요동을 저지하는 측면지지부(3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12)는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10)에 매입결합되며 힌지축(14)이 구비된 대향하는 힌지브라켓(13)로 구성되고, 상기 링부재(20)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축(14)이 삽입되는 힌지공(28)이 형성된 힌지연결편(2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14)과 힌지공(28) 사이에는 마찰링(25)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3. 삭제
  4. 삭제
KR1020150046664A 2015-04-02 2015-04-02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62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64A KR101628041B1 (ko) 2015-04-02 2015-04-02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CT/KR2016/003470 WO2016159743A2 (ko) 2015-04-02 2016-04-04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64A KR101628041B1 (ko) 2015-04-02 2015-04-02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287A Division KR101733435B1 (ko) 2016-04-04 2016-04-04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041B1 true KR101628041B1 (ko) 2016-06-21

Family

ID=5635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664A KR101628041B1 (ko) 2015-04-02 2015-04-02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8041B1 (ko)
WO (1) WO2016159743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239A (ko) * 2016-12-05 2018-06-14 강현욱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KR20180077981A (ko) * 2016-12-29 2018-07-09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90011932A (ko) 2017-07-26 2019-02-08 김현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8237A (ja) * 2009-05-14 2010-11-25 Rockridgesound Japan Co Ltd 携帯情報機器用ケース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40003807A (ko) 2012-06-29 2014-01-10 유근황 고리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200476134Y1 (ko) * 2013-12-31 2015-02-0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ko)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200470116Y1 (ko) * 2012-08-20 2013-11-28 백종덕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8237A (ja) * 2009-05-14 2010-11-25 Rockridgesound Japan Co Ltd 携帯情報機器用ケース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40003807A (ko) 2012-06-29 2014-01-10 유근황 고리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6134Y1 (ko) * 2013-12-31 2015-02-0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239A (ko) * 2016-12-05 2018-06-14 강현욱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KR101888490B1 (ko) 2016-12-05 2018-08-21 강현욱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KR20180077981A (ko) * 2016-12-29 2018-07-09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90011932A (ko) 2017-07-26 2019-02-08 김현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9743A3 (ko) 2016-11-24
WO2016159743A2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435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JP4927699B2 (ja) スタンドとして使用できる回転式及び軸回転式ベルトクリップ
KR101062557B1 (ko)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US10001243B2 (en) Flexible kickstand and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218454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30661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AU2006201834B2 (en) Attachment mechanism for us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TWI483660B (zh) 用於可攜式電子裝置之保護外殼
JP3170743U (ja) 携帯情報端末用スタンド付きホルダー
US20210106106A1 (en) Cellular Device Case Having a Built-In Mount
US8998161B2 (en)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KR101628041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JP2002539721A (ja) 個人用電子装置の支持組立体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KR10183731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40007050A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US5337906A (en) Wall secretary
KR101866881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220006890A1 (en) Wearable mobile phone holder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KR100633553B1 (ko)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KR101980833B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