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553B1 -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553B1
KR100633553B1 KR1020050062077A KR20050062077A KR100633553B1 KR 100633553 B1 KR100633553 B1 KR 100633553B1 KR 1020050062077 A KR1020050062077 A KR 1020050062077A KR 20050062077 A KR20050062077 A KR 20050062077A KR 100633553 B1 KR100633553 B1 KR 100633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support
jaw
cellularphone
access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to KR1020050062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04M1/13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pantograph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거치대에 휴대기기에 연결된 스트랩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휴대기기 악세사리로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거치대가 용이하게 휴대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DMB, 거치대, 절첩, 거울, 핸드폰줄

Description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 악세사리 {CELLULARPHONE ACCESSARY AND COMBINED CELLULARPHONE REST AND CELLULARPHONE ACCESSAR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악세사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거치대 절첩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핸드폰 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핸드폰 줄을 손가락에 걸어서 휴대한 상태의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부 110 : 지지턱
120 : 핀 130 : 천공
140 : 삽입공 150 : 정지턱
200 : 회동부 210 : 걸림턱
220 : 거울
본 발명은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거치대에 휴대기기에 연결된 스트랩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휴대기기 악세사리로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거치대가 용이하게 휴대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기기 악세사리로써,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등록특허 제477183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핸드폰 줄은,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체의 걸이수단(10)이 걸이줄(20)의 일단에 형성되고, 걸이줄(20)의 타단으로는 연결체(30)에 의하여 핸드폰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줄(40)이 형성된 핸드폰 줄에 있어서, 상기 링체의 걸이수단(10)은 2개의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도록 확장되어진다.
이때 상기 링체의 걸이수단(10)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확장되어 굵은 손가락이 상부에 위치되고 얇은 손가락이 하부에 위치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됨으로서 2개의 손가락(중지와 약지 손가락 또는 약지와 새끼 손가락)이 동시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손가락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회동이 불가능하게 하여 핸드폰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체의 걸이수단(10)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되어지는 절개부(11)와 이 절개부(11)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수단(12)이 형성되어 개폐수단(12)에 의하여 절개부(1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걸이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하고, 절개부(11)가 개구된 상태에서는 걸고리로서의 기능을 갖 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링체의 걸이수단(10)에 형성되어지는 개폐수단(12)은, 링체의 걸이수단(10) 일측을 절개시켜 절개부(11)를 형성시킬 경우 분리되어지는 절개체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시켜 절개부(11)가 개폐수단(12)에 의하여 막혀질 경우 링체의 걸이수단(10)이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개폐수단(12)의 하단부는 절개된 링체의 걸이수단(10) 하단부에 고정핀(13)으로 핀 결합되어 절첩토록 하고, 개폐수단(12)의 상단부는 절개된 링체의 걸이수단(10) 상단부가 외측에서 출입되어 개폐토록 하기 위한 개폐홈(12a)을 갖도록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핀(13)의 결합을 위하여 링체의 걸이수단(10) 하단부와 개폐수단(12)의 하단부에는 구멍(10b)(12b)이 각각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절개된 링체의 걸이수단(10) 상단부는 개폐수단(12)의 개폐홈(12a)에 삽입토록 양측면이 절개된 상태에서 개폐홈(12a)에 걸려지는 경사단턱(10a)을 갖도록 형성되어 개폐수단(12)이 링체의 걸이수단(10)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고, 절개된 링체의 걸이수단(10) 하단부도 개폐수단(12)에 내입된 상태로 핀 결합토록 양측면이 절개된 상태에서 경사단턱(10a)이 형성토록 되어 개폐수단(12)의 하단부에 형성된 내입홈(12c)에 내삽된 스프링(1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어지는 지지편(15)이 걸려지도록 됨으로서 개폐수단(12)의 외측절첩이 방지토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링체의 걸이수단(10)에는 걸이줄(20) 폭 만큼의 안착홈(16)이 형성되어 걸이줄(20)이 링체의 걸이수단(10) 안착홈(16)을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시켜 리벳 등의 고정체(21)를 사용하여 고정토록 함으로서 걸이줄(20)이 링체의 걸이수 단(10) 내에서 유격되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체(30)는 상, 하부로는 걸이줄(20)과 연결줄(40)의 삽입을 위한 구멍(31)(32)이 각각 천공되어, 상부구멍(31)을 통해서는 걸이줄(20)이 내삽되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하부 구멍(32)을 통해서는 연결줄(40)이 내삽되어 매듭을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결합토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체의 걸이수단(10)에 중지와 약지 손가락을 끼워서 핸드폰을 휴대할 경우, 새끼 손가락이 걸이줄(20)을 감싸면서 지지토록 되어 핸드폰이 덜렁거리지 않게 되고, 또한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손가락이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서 핸드폰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핸드폰 줄에는 다양한 구성물이 적용되어 휴대기기 악세사리로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DMB 휴대폰 뿐만 아니라 영상물을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휴대기기가 나오고 있다. 특히나 TV 등을 볼 수 있는 DMB 휴대폰은 TV화면 비율에 맞춰 액정화면이 세로보다 가로가 길게 나온다.
이와같은 DMB 휴대폰와 같은 휴대기기를 통해 영상물을 안정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거치대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휴대기기 거치대의 경우 그 크기나 무게로 인해 휴대하기에 용이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거치대를 항상 따로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빠뜨리게 될 소지가 높아,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성이 중요한 휴대기기에서는 사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거치대에 휴대기기에 연결된 스트랩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휴대기기 악세사리로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거치대가 용이하게 휴대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악세사리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지지턱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에는 휴대기기에 연결된 스트랩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기 악세사리로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거치대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턱은 물결모양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다양한 각도로 휴대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부에는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는 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휴대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턱과 상기 걸림턱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어, 절첩시 거치대의 부피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부에는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천공이 형성되어, 손가락 등을 상기 천공에 끼워 휴대기기를 포함한 거치대가 쉽게 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천공은 상기 회동부가 장착된 측에 형성되어, 무거운 휴대기기를 거치할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에는 거울이 형성되어 자신의 모습을 항상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휴대기기 악세사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거치대 절첩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기기 악세사리는, 지지턱(110)이 형성된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200)와, 상기 회동부(20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부(100)는 상면에 지지턱(110)이 물결모양으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물결모양으로 지지턱(110)이 형성되어 외관이 더욱 미려해진다.
또한, 지지턱(110)은 폭방향으로 다수개 평행하게 형성되어 휴대기기를 다양한 각도로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100) 바닥부분에 고무재질 등으로 마찰부를 형성하여 지지부(100) 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회동부(200)는 지지부(1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지지부(100)와 마주보는 면에 걸림턱(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휴대기기를 통해 TV와 같은 영상물을 볼때, 특히 가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휴대기기의 일단은 지지턱(110)이 지지하고, 타단은 걸림턱(210)에 걸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영상물을 보기 좋은 각도록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는 회동부(200) 장착부에 가깝게 형성된 지지턱(110)에 지지시킬수록 경사는 더욱 커지게 거치되며, 회동부(200) 장착부에 멀게 형성된 지지턱(110)에 지지시킬수록 경사는 더욱 작아지게 거치될 수 있다.
나아가, 걸림턱(210) 및 지지턱(110)을 고무재질로 형성하여 휴대기기를 거치시켜 놓으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걸림턱(210)은 물결모양으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턱(110)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회동부(200)를 절첩하였을 경우 거치대의 부피를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가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회동부(200)는 지지부(100)의 중심부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에 장착된다.
지지부(100)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홈에 회동부(200) 끝단을 삽입한 후, 개구부의 양측과 회동부(200)를 연결하는 핀(120)을 삽입하여 회동부(200)는 지지부(1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20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는 개구부에 의해 형성된 정지턱(150)으로 형성되어 의해 회동부(200)는 일정각도 회동후 더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걸리게 된다.
이로써, 거치대 비 사용시에는 회동부(200)가 지지부(100)에 절첩된 상태가 되며, 거치대 사용시에는 지지부(100)에 대해 회동부(200)를 회동시킨 후 정지턱(150)에 걸리도록 하여 휴대기기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00)에서 회동부(200) 장착부 측에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천공(130)이 형성된다.
천공(130)은 여러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Q'자 형상의 고리가 될 수 있으며, 도너츠 형상과 같이 원형의 고리형상이 될 수도 있다.
천공(130)은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부분으로 거치대에 스트랩 연결시 휴대기기가 쉽게 떨어지는 것 등을 방지한다.
천공(13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진 지지부(100)보다는 더 밀도가 큰 스틸재로 하여 천공(130)의 강성을 크게 하는 동시에 지지부(100)가 안정적으로 휴대기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기술의 연결체(30)와 같이, 지지부(100) 타단에는 핸드폰과 같은 휴대기기에 연결될 수 있도록 스트랩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140)은 지지부(100)의 모서리에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삽입공(140)에 스트랩을 끼워넣으면, 스트랩이 모서리에 걸려 휴대기기와 거치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거치대는 핸드폰과 같은 휴대기기 악세사리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회동부(200)에서 걸림턱(210)이 형성된 면의 배면에는, 즉 상면에는 거울(2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기기는 DMB 휴대폰 뿐만 아니라, PDA, 카메라가 장착된 핸드폰, MP3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기기 거치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지부에는 휴대기기에 연결된 스트랩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거치대를 핸드폰과 같은 휴대기기에 스트랩으로 연결하여 휴대하기에 용이한 이점 이 있으며 휴대기기의 악세사리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턱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그 구조가 단순하여 성형하기에 용이하다. 나아가, 구성요소가 단순하여 중량도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거치대는 삽입공을 통해 휴대기기와 항상 연결되어 있으므로 거치대를 따로 챙겨야 하는 번거러움을 줄이고, 사용대상물과 항상 붙어다니게 되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휴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지지턱이 물결모양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핸드폰을 다양한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더욱 미려해져 악세사리로써의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셋째, 상기 회동부에는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는 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휴대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지지턱과 상기 걸림턱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어, 절첩하였을 경우 거치대 부피가 최소화됨으로써, 거치대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 지지부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천공이 형성되어, 거치대를 스트랩으로 휴대기기와 연결할 경우 휴대기기를 사용할 때 부주의로 인해 휴대기기를 놓치더라도 손가락에 걸려 휴대기기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회동부에는 거울이 형성되어, 장식효과가 커지며 생활에서 필요한 거울이 구비되어 더욱 실용적인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지지턱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에는 휴대기기에 연결된 스트랩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물결모양으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에는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는 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과 상기 걸림턱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에는 거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
  7. 지지턱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 악세사리.
KR1020050062077A 2005-07-11 2005-07-11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KR10063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077A KR100633553B1 (ko) 2005-07-11 2005-07-11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077A KR100633553B1 (ko) 2005-07-11 2005-07-11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553B1 true KR100633553B1 (ko) 2006-10-13

Family

ID=3762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077A KR100633553B1 (ko) 2005-07-11 2005-07-11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5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10B1 (ko) 2008-09-12 2010-07-07 (주)엘티엠에이피 단말기용 거치대
KR101338217B1 (ko) 2012-06-21 2014-01-02 고영봉 휴대형 전자기기의 지지대
WO2014014194A1 (ko) * 2012-07-16 2014-01-23 Noh Seonsu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KR20180059681A (ko) 2016-11-26 2018-06-05 이연정 티링 (tree + ring = t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10Y1 (ko) 2001-08-24 2001-11-26 장대환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핸드폰 홀딩장치
JP2003110679A (ja) 2001-09-28 2003-04-11 Kokuyo Co Ltd 携帯情報端末用ケース
KR200397129Y1 (ko) 2005-07-04 2005-09-29 이호상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10Y1 (ko) 2001-08-24 2001-11-26 장대환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핸드폰 홀딩장치
JP2003110679A (ja) 2001-09-28 2003-04-11 Kokuyo Co Ltd 携帯情報端末用ケース
KR200397129Y1 (ko) 2005-07-04 2005-09-29 이호상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10B1 (ko) 2008-09-12 2010-07-07 (주)엘티엠에이피 단말기용 거치대
KR101338217B1 (ko) 2012-06-21 2014-01-02 고영봉 휴대형 전자기기의 지지대
WO2014014194A1 (ko) * 2012-07-16 2014-01-23 Noh Seonsu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KR20180059681A (ko) 2016-11-26 2018-06-05 이연정 티링 (tree + ring = t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0390B2 (ja) サポート付電子機器用ホルダー
US9128668B2 (en) Multiple suction cup attachment platform: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vertical surface
US9267638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20090218454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US8899415B2 (en)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variable angle stand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8068332B2 (en) Accessory strap fixing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470116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33435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KR100633553B1 (ko)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090008589U (ko) 지지대가 구비된 이중 체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628041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52288Y1 (ko) 핸드폰 거치대
US9706027B1 (en) System and apparatus attaching to a mobile device for providing hands-free use thereof and carrying personal items thereon
KR200490393Y1 (ko) 액세서리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30006934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61864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20003919U (ko) 거치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수납용 지갑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JP2002077347A (ja) 通話機器用スタンド
CN212745705U (zh) 辅助支架及辅助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