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810B1 -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7810B1 KR100967810B1 KR1020080090541A KR20080090541A KR100967810B1 KR 100967810 B1 KR100967810 B1 KR 100967810B1 KR 1020080090541 A KR1020080090541 A KR 1020080090541A KR 20080090541 A KR20080090541 A KR 20080090541A KR 100967810 B1 KR100967810 B1 KR 1009678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upport
- coupled
- assembly
- li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거치대는 회동축에서 제2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는 하우징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제1 위치에서 제2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져 회전되어 있고, 제2 위치에서 제2 플레이트에 인접할 수 있다. 거치대는 제1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조립체는 지지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에서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는 하우징조립체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플레이트와 평면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조립체의 이동이 지지플레이트를 제1 플레이트로부터 회전시켜 지지플레이트가 휴대통신기기를 지지하게 한다.
휴대통신기기, 거치대, 플레이트, 회동축, 하우징조립체, 바이어스부재, 비틀림스프링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통신기기와 같은 단말기를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통신기기(예컨대, 휴대폰, 개인휴대용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등)가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대중화의 증대와 더불어, 다양한 그룹의 사용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시도로서 서로 다른 유형의 휴대통신기기들이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사용자들은 화상통화기능,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기능, 휴대형멀티미디어게임기능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휴대통신기기를 원할 수 있다.
휴대통신기기에 이용가능한 디스플레이 특징의 증대와 더불어, 휴대통신기기를 거치대에 두고 디스플레이를 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대체로,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는 성가시고 크며 휴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휴대통신기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작고 휴대가 용이한 거치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거치대는 회동축에서 제2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는 하우징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제1 위치에서 제2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져 회전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제2 플레이트에 인접할 수 있다. 거치대는 제1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대는 지지조립체에 결합되고 회동축에서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는 하우징조립체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플레이트와 평면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조립체의 이동이 지지플레이트를 제1 플레이트로부터 회전시켜 지지플레이트가 휴대통신기기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거치대는 제1 회동축을 갖는 제1 플레이트조립체와 제2 플레이트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조립체는 제1 플레이트조립체가 제2 플레이트조립체에 인접해 있는 폐쇄위치로부터 제1 플레이트조립체가 제2 플레이트로부터 각도를 갖고 이격되어 있는 개방위치까지 제1 플레이트조립체가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제2 플레이트조립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회동축에서 제1 플레이트조립체에 결합될 수 있다. 거치대는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1 플레이트조립체 및 제2 플레이트조립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는 또한 제1 플레이트조립체, 제2 플레이트조립체, 지지플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에 결합되고 개방위치로의 제1 플레이트조립체의 이동이 지지플레이트를 제1 플레이트조립체로부 터 이동시키게 하여 휴대통신기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거치대는 제1 결합부재를 수용하는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전면 및 제1 표면을 가질수 수 있다. 거치대는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와, 제2 결합부재를 수용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제2 표면과 후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는 폐쇄위치에서 제1 플레이트를 제2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유지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거치대는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제1 플레이트가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제1 회동축에서 제1 지지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대는 또한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여 휴대통신기기를 지지하도록 제1 회동축에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대는 제1 플레이트의 제1 표면과 제2 플레이트의 제2 표면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링크와, 제1 링크 및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는 제2 링크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대는 제1 플레이트의 제1 표면 및 제1 링크에 결합될 수 있는 바이어스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재는 제1 플레이트를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지플레이트를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시켜 지지플레이트를 이동시켜서 지지플레이트가 개방위치에서 휴대통신기기를 지지하게 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다른 응용 분야는 본원에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과제해결수단의 설명 및 구체적 예들은 예시의 목적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대응하는 참조번호는 대응하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면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 구성요소들, 장치들, 방법들의 예와 같이 다수의 구체적 세부요소가 이하의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체적 세부요소들은 채용될 필요가 없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추론되지 않아야 함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실제로 실시하기 위해 개발할 때, 시스템에 관련되는 또는 사업에 관련되는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등 실시에 관련된 많은 구체적 결정들이 행해져야 한다. 그러한 개발 노력이 당업자에게는 복잡하고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설계, 제작 및 제조에 관련된 일상적인 일이다.
이하의 설명이 대체로 휴대통신기기와 같은 단말기를 위한 거치대에 관련되지만, 본원에 설명되고 청구된 거치대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형미디어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PMP), 휴대형텔레비전 등의 경우와 같이, 적절한 시스템, 구성요소 또는 기기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그러한 시스템, 구성요소 또는 기기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논의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휴대폰, 개인휴대용정보단말기(PDA), 카메라폰 등과 같은 휴대통신기기(12)(도 2에 도시됨)에 채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거치대(10)가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로서 도시되어 있다. 대체로, 거치대(10)는 휴대통신기기(12)를 제1 위치(개방위치)(도 1 및 도 2에 도시됨)에서 지지할 수 있고, 제2 위치(폐쇄위치 또는 수납위치)(도 4 및 도 5에 도시됨)로 작게 접혀져 거치대(10)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납위치에서, 거치대(10)는 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사용자가 거치대(10)를 쉽게 운반하게 한다. 거치대(10)는 하우징조립체(14)와 지지조립체(16)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조립체(14)는, 회동축(23)(도 2에 도시됨)과 지지조립체(16)를 통해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조립체(전방 플레이트조립체)(20) 및 제2 플레이트조립체(후방 플레이트조립체)(2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조립체(20)는 제1 플레이트(24), 제1 지지대(26) 및 제1 결합부재(28)를 구비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제1 플레이트(24), 제1 지지대(26) 및 제2 결합부재(28)가 별개의 분리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필요한 경우, 제1 플레이트(24), 제1 지지대(26) 및 제1 결합부재(28) 중 하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24)는 제1 표면(전면)(30), 제2 표면(32) 및 하나 이상의 아암(34)을 가질 수 있다. 제1 표면(30)은 대체로 평평할 수 있고, 휴대통신기기(12)의 표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표면(32)에는 공동(32a), 홈(32b), 및 후크(32c)가 형성될 수 있다. 공동(32a)은 제1 결합부재(28) 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홈(32b)은 지지조립체(16)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후크(32c)가 또한 지지조립체(16)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아암(34)들은 제1 플레이트(24)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지지조립체(16)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지지대(26)는 제1 플레이트(24)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대(26)는 개구(40)를 형성할 수 있는 상부레일(상측레일)(36) 및 하나 이상의 측방아암(38)을 구비할 수 있다. 상측레일(36)은 제1 결합부재(28)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36a)을 구비할 수 있다. 측방아암(38)은 각각 홈(38a)과 회동공(38b)을 구비할 수 있다. 측방아암의 홈(38a)은 지지조립체(16)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공(38b)은 측방아암(38)의 외부로 연장되어 회동축(23)의 일부분을 그를 통과해 수용해 제1 플레이트조립체(20)가 제2 플레이트조립체(22)에 대하여 회전하게 한다. 개구(40)는 거치대(10)가 제2 위치(폐쇄위치)에 있을 때 지지조립체(16)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8)는 임의의 적합한 소형의 결합부재, 예컨대 영구자석과 같은 자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8)는 제1 플레이트(24) 및 제1 지지대(26) 사이에 보유될 수 있으며, 거치대(10)가 제2 위치(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1 플레이트조립체(20)를 제2 플레이트조립체(22)에 결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조립체(22)는 제2 플레이트(50), 제2 지지대(52) 및 제2 결합부재(54)를 구비할 수 있다. 본원에서서는 제2 플레이트(50), 제2 지지대(52) 및 제2 결합부재(54)가 별개의 분리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처 럼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필요한 경우 제2 플레이트(50), 제2 지지대(52) 및 제2 결합부재(54) 중 하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2 플레이트(50)는 제1 표면(56), 제2 표면(후면)(58) 및 하나 이상의 아암(6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0)의 제1 표면(56)에는 공동(56a) 및 홈(56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0)의 공동(56a)은 제2 결합부재(54)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50)의 홈(56b)은 지지조립체(16)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표면(58)은 대체로 평면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를 바닥면(S) 상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0)의 아암(60)들은 제2 플레이트(50)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지지조립체(16)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아암(60)에는 회동축(23)의 일부분을 그를 통과해 수용해 제1 플레이트조립체(20)가 제2 플레이트조립체(22)에 대하여 회전하게 할 수 있는 회동축공(6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대(52)는 제2 플레이트(50)의 제1 표면(56)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대(52)는 개구(66)를 형성할 수 있는 상부레일(상측레일)(62) 및 하나이상의 측방아암(64)을 구비할 수 있다. 상측레일(62)은 제2 결합부재(54)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62a)을 구비할 수 있다. 측방아암(64)은 각각 회동하우징(64a)을 구비할 수 있다. 회동하우징(64a)은 측방아암(64)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아암(60)의 회동축공(60a)을 감싸서 제1 플레이트조립체(20)가 제2 플레이트조립체(2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개구(66)는 거치대(10)가 제2 위치(폐 쇄위치)에 있을 때 지지조립체(16)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54)는 임의의 적합한 소형의 결합부재, 예컨대 영구자석과 같은 자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54)는 제2 플레이트(50) 및 제2 지지대(52) 사이에 보유될 수 있으며, 거치대(10)가 제2 위치(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2 플레이트조립체(22)를 제1 플레이트조립체(2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조립체(16)는 제1 플레이트조립체(20) 및 제2 플레이트조립체(22) 사이에 결합될 수 있고, 거치대(10)가 제2 위치(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1 지지대(26) 및 제2 지지대(52) 각각에 형성된 개구(40, 66) 내에 각각 보유될 수 있다. 지지조립체(16)는 지지플레이트(70), 제1 링크(linkage)(72), 제2 링크(linkage)(74) 및 바이어스부재(biasing member)(76)를 구비한다.
지지플레이트(70)는 거치대(10)가 제1 위치(개방위치)에 있을 때 휴대통신기기(12)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10)가 제1 위치(개방위치)에 있을 때, 지지플레이트(70)가 제1 위치(개방위치)에 있을 수 있다(도 1 및 도 2에 도시됨). 거치대(10)가 제2 위치(폐쇄위치)에 있을 때(도 4 및 도 5에 도시됨), 지지플레이트(70)는 제2 위치(폐쇄위치)에서 제1 플레이트(24)의 아암들(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플레이트(70)에는 제1 회동축공(70a) 및 제2 회동축공(70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축공(70a)은 제2 링크(74)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지지플레이트(70)가 제1 위치(개방위치)와 제2 위치(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한다. 제2 회동축공(70b)은 회동축(23)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지 지플레이트(70)를 제1 플레이트조립체(20) 및 제2 플레이트조립체(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링크(72)는 제1 링크부재(80), 제2 링크부재(82) 및 하나 이상의 회동축(86)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80)에는 제1 단부(80b)에 제1 회동축공(80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링크부재(82)에는 제1 단부(82b)에 제1 회동축공(8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80) 및 제2 링크부재(82)는 제2 회동축공(80d, 82d)이 각각 형성되는 제2 단부(80c, 82c)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제2 회동축공(80d, 82d)은 제1 링크부재(80)가 회동축(86)들 중 하나를 통해서 제2 링크부재(82)에 결합될 수 있게 하여 제1 링크부재(80)가 제2 링크부재(82)에 대하여 이동되게 하는 힌지를 형성한다. 제1 링크부재(80)는 또한 제1 링크부재(80)의 제1 단부(80b)에 형성될 수 있는 후크(80e)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80e)는 바이어스부재(76)를 제1 링크(72)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부재(80) 또는 제2 링크부재(82)에는 오목부(88)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88)는 제2 링크(74)가 제1 링크(72)에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회동축(86)은 제1 회동축(86a), 제2 회동축(86b) 및 제3 회동축(86c)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동축(86a)은 제1 링크부재(80)의 제1 회동축공(80a)를 통과해 수용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24)의 홈(32b)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제2 회동축(86b)은 제2 링크부재(82)의 제1 회동축공(82a)을 통과해 수용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50)의 홈(56b) 내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링크(72)는 제1 플레이트(24)를 제2 플레이트(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회동 축(86c)은 제2 회동축공(80c, 82c) 내로 제2 링크(74)의 일부분을 통과해 수용될 수 있다. 제3 회동축(86c)은 지지플레이트(70)가 제2 링크(74)를 통해 제1 플레이트(2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링크(74)는 제3 회동축(86c)을 통해서 제1 링크(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제2 링크(74)는 링크부재(90) 및 적어도 하나의 회동축(92)을 구비할 수 있다. 링크부재(90)에는 제1 회동축공(90a) 및 제2 회동축공(90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축공(90a)은 제3 회동축(86c)의 일부분을 그를 통과해 수용하여 제2 링크(74)를 제1 링크(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 회동축공(90b)은 그를 통과하는 제2 링크(74)의 회동축(92)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링크(74)의 회동축(92)은 지지플레이트(70)의 제1 회동축공(70a)을 통과해 또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축(92)은 지지플레이트(70)를 제1 링크(72) 및 제2 링크(74)를 통해서 제1 플레이트(24) 및 제2 플레이트(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바이어스부재(76)는 제1 플레이트(24)의 후크(32c) 및 제1 링크부재(80)의 후크(80d)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바이어스부재(76)는 제2 위치(폐쇄위치)에서 제1 위치(개방위치)까지 거치대(10)를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할 수 있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제1 플레이트조립체(20)와 제2 플레이트조립체(22)가 회동축(23)과 지지조립체(16)를 통해서 함께 결합되어 있어서, 제1 결합부재(28) 및 제2 결합부재(54) 사이의 힘이 바이어스부재(76)로부터의 힘을 극복하여 제2 위치(폐 쇄위치)(도 4 및 도 5에 도시됨)에 거치대(10)를 고정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거치대(10)가 제1 위치(개방위치)에 있도록 제1 플레이트조립체(20) 및 제2 플레이트조립체(22)가 이격되어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한 힘이 제1 플레이트조립체(20) 또는 제2 플레이트조립체(22)에 인가되어 거치대(10)를 제2 위치(폐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인가된 힘은 제1 링크부재(80)가 제2 링크부재(82) 쪽으로 이동되도록 제1 링크부재(80) 및 제2 링크부재(82)에 회동축(86)을 통해 형성된 힌지를 젖힐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2 링크(74)의 회동축(92)은 제1 링크(72)와 협력하여 제1 지지플레이트(80)를 제1 플레이트조립체(20) 쪽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에 의해 힘이 계속 인가되면 바이어스부재(76)의 힘을 이겨낼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8)와 제2 결합부재(54)는 제1 플레이트조립체(20)를 제2 플레이트조립체(22)에 제2 위치(폐쇄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거치대(10)를 제2 위치(폐쇄위치)로부터 제1 위치(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초기힘(F)을 인가하여 제1 플레이트조립체(22)를 제2 플레이트조립체(2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도 4에 도시됨). 초기힘(F)이 인가되면, 결합부재들(28, 54)의 자력이 극복될 수 있고, 바이어스부재(76)의 힘이 거치대(10)를 실질적으로 자동으로 제1 위치(개방위치)(도 1 및 도 2에 도시됨)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바이어스부재(76)의 힘이 제1 플레이트(24)를 제1 링크(72)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제1 링크가 제2 링크(74)를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지지플레이트(70)를 이동시켜서, 사용자가 거치대(10)에 휴대통신기기(12)를 거치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거치대(10)는 휴대통신기기(12)를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지지해 휴대통신기기(12)를 손에 들지 않고 볼 수 있게 한다(도 2에 도시됨).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대(10)가 제1 위치(개방위치)에 있을 때, 제1 플레이트(24)는 제2 플레이트(50)에 대하여 약 45도 내지 약 75도의 각도(A)로 있을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70)는 제2 플레이트(50)에 대하여 약 100도 내지 약 140도의 각도(B)로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거치대(10)의 사용을 마치면, 사용자는 제1 플레이트조립체(20)를 제2 플레이트조립체(22) 쪽으로 바이어스부재(76)의 힘을 이기면서 이동시킬 수 있고, 결합부재(28, 54)의 힘이 거치대(10)를 제2 위치(폐쇄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위쪽", "아래쪽", "안쪽", "바깥쪽", "안쪽으로", "바깥쪽으로" 등과 같은 용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보여지는 대로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위치를 말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위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제1", "제2"와 같은 용어와 다른 서수적 용어는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순서나 순번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구성요소나 특징부 및 예시적 실시예를 소개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수식어는 그러한 구성요소나 특징부가 하나 이상 있음을 의미한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가지는" 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 이외에 부가되는 구성요소나 특징부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 단계, 공정 및 작용은 실행 순서로서 특별히 확인되지 않는 한 반드시 논해지거나 예시된 특별한 순서로 이들이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추론되지 않아야 함이 더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되거나 대안적인 단계가 채용될 수 있음이 또한 이 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었으며, 포괄적인 것으로 또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특정 실시예의 개별 구성요소들 또는 특징부들은,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응용 가능한 경우, 호환가능하며 선택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1의 전개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예시적 휴대통신기기를 거치시킨 도 1의 거치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1의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제2의 폐쇄위치에서 도 1의 거치대를 도시한 개략도, 그리고
도 5는 제2의 폐쇄위치에서 도 1의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거치대
12: 휴대통신기기
14: 하우징조립체
16: 지지조립체
20: 제1 플레이트조립체
22: 제2 플레이트조립체
23: 회동축
24: 제1 플레이트
26: 제1 지지대
28: 제1 결합부재
30: 제1 플레이트의 제1 표면
32: 제1 플레이트의 제2 표면
34: 제1 플레이트의 아암
36: 제1 플레이트의 상부레일
38: 제1 플레이트의 측방아암
40: 제1 플레이트의 개구
50: 제2 플레이트
52: 제2 지지대
54: 제2 결합부재
56: 제2 플레이트의 제1 표면
58: 제2 플레이트의 제2 표면
60: 제2 플레이트의 아암
62: 제2 플레이트의 상부레일
64: 제2 플레이트의 측방아암
66: 제2 플레이트의 개구
70: 지지플레이트
72: 제1 링크
74: 제2 링크
76: 바이어스부재
80: 제1 링크부재
82: 제2 링크부재
86: 회동축
Claims (20)
- 회동축에서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회전되어 있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가 상기 회동축에서 결합되는, 하우징조립체와;상기 제1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조립체와;상기 지지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조립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평면을 이루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이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회전시켜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휴대통신기기를 지지하게 하며,상기 지지조립체는,일단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링크와;일단에서 상기 제1 링크에 결합되고 타단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링크와;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링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회전과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회전을 돕도록 작동가능한 바이어스부재를 더 포함하는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삭제
- 회동축에서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회전되어 있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가 상기 회동축에서 결합되는, 하우징조립체와;상기 제1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조립체와;상기 지지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조립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평면을 이루는 지지플레이트와,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며,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이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회전시켜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휴대통신기기를 지지하게 하는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재는 비틀림스프링을 포함하는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1 지지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 및상기 제2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지지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한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는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링크는 제2 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 회동축을 갖는 제1 플레이트조립체와;제2 플레이트조립체로서, 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가 상기 제2 플레이트조립 체에 인접하는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가 상기 제2 플레이트조립체로부터 각도를 가지고 이격되어 있는 개방위치로 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가 상기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회동축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에 결합되는 상기 제2 플레이트조립체와;상기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조립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 상기 제2 플레이트조립체,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위치로의 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의 이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부터 이동시켜서 휴대통신기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는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조립체에 결합되는 제2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회동축에서 결합되는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의 표면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조립체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1 링크와;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링크를 더 포함하는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의 표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바이어스부재를 더 포함하는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재는 비틀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 또는 상기 제1 지지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와;상기 제2 플레이트조립체 또는 상기 제2 지지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조립체를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조립체에 인접하게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한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는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링크는 제2 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 결합부재를 수용하고 전면 및 제1 표면을 갖는 제1 플레이트와;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와;제2 결합부재를 수용하고 제2 표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가 폐쇄위치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한 제2 플레이트와;상기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동축에서 상기 제1 지지대 에 결합되는 제2 지지대와;상기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여 휴대통신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제1 회동축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2 표면에 결합되는 제1 링크와;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링크와;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1 링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이동시켜서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휴대통신기기를 개방위치에서 지지하게 하도록 작동가능한 바이어스부재를 포함하는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재는 비틀림스프링인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100도 내지 140도로 기울어지는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45도 내 지 75도로 기울어지는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0541A KR100967810B1 (ko) | 2008-09-12 | 2008-09-12 | 단말기용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0541A KR100967810B1 (ko) | 2008-09-12 | 2008-09-12 | 단말기용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1424A KR20100031424A (ko) | 2010-03-22 |
KR100967810B1 true KR100967810B1 (ko) | 2010-07-07 |
Family
ID=4218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0541A KR100967810B1 (ko) | 2008-09-12 | 2008-09-12 | 단말기용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781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35304B2 (en) | 2013-09-05 | 2018-11-20 | Lg Innotek Co., Ltd. | Suppor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5603A (ko) * | 2013-07-31 | 2015-0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접이식 거치대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3553B1 (ko) | 2005-07-11 | 2006-10-13 | 주식회사 아트랑 |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
-
2008
- 2008-09-12 KR KR1020080090541A patent/KR10096781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3553B1 (ko) | 2005-07-11 | 2006-10-13 | 주식회사 아트랑 |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35304B2 (en) | 2013-09-05 | 2018-11-20 | Lg Innotek Co., Ltd. | Supporter |
US10923965B2 (en) | 2013-09-05 | 2021-02-16 | Lg Innotek Co., Ltd. | Suppor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1424A (ko) | 2010-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32141B1 (en) | Protective case for folding screen phone | |
US7614599B2 (en) | Portable cradle | |
KR101927201B1 (ko) |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
JP5841456B2 (ja) | クレードル装置 | |
US20120168577A1 (en) | Shell for electronic device | |
US8032192B2 (en) |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swing-type cradling apparatus thereof | |
US8587933B2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 |
US20080314941A1 (en) | Dual function clip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creen | |
CN101005523A (zh) | 便携式通信设备 | |
US20230223976A1 (en) | Mobile phone protective housing | |
EP1569421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riple-axis hinge folder and rotation locking device thereof | |
KR100652570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 |
EP1928158A1 (en) | Mobile phone for multimedia with self-cradling function | |
US8192861B2 (en) |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 |
JP2022153408A (ja) | 保持装置 | |
KR100967810B1 (ko) | 단말기용 거치대 | |
KR101809522B1 (ko) |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 | |
US8248787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lidable cover | |
KR100770829B1 (ko) |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그의 슬라이딩 가이드 모듈 및 슬라이딩 가이드 모듈의 장착 장치 | |
CN114844964A (zh) | 壳体组件及电子设备 | |
EP1523155A1 (en) | Swivel-type mobile terminal apparatus | |
JP2007215157A (ja) | 折り畳み式ヒンジ装置及び折り畳み式ヒンジ装置を用いた個人携帯端末 | |
US20070009250A1 (en) |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 |
JP4640027B2 (ja) | 携帯型情報端末装置 | |
JP2005201317A (ja) | 開閉装置及びその装着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