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522B1 -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522B1
KR101809522B1 KR1020110033763A KR20110033763A KR101809522B1 KR 101809522 B1 KR101809522 B1 KR 101809522B1 KR 1020110033763 A KR1020110033763 A KR 1020110033763A KR 20110033763 A KR20110033763 A KR 20110033763A KR 101809522 B1 KR101809522 B1 KR 101809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tand device
weight member
sta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175A (ko
Inventor
한정은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3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522B1/ko
Priority to US13/433,826 priority patent/US9062822B2/en
Priority to CN201210105558.7A priority patent/CN102734610B/zh
Publication of KR2012011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5/00Other gravity-operated toy fig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스탠드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저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울일 수 외형을 갖는 바디 및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상기 바디를 해당 방향으로 기울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울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STAND DEVIE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세울 수 있는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등의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인터넷을 근간으로 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예 ; 사진, 동영상 등)를 제공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에 취부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그렇지 않을 경우 평평한 바닥에 놓고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제공하는 스탠드 장치에 거치하여 세운 후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스탠드 장치가 사용될 경우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것보다 사용자는 화면을 시선에 맞게 세워서 열람하면서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탠드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탠드 장치(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하여 세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탠드 장치(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시키는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에게 불만족을 준다. 일 예로, 사용자는 일률적인 각도(기울기)로만 세워진 화면을 잘 보기 위하여 시선을 종속적으로 맞출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하여 세울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기울기)로 세울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시켜 여러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견지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를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저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울일 수 외형을 갖는 바디 및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상기 바디를 해당 방향으로 기울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울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여 세우는 각도(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탠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기울기 수단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스탠드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가 구비하는 기울기 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웨이트 부재의 위치가 결정되어 기울어진 스탠드 장치가 흔들리는 것을 제지하기 위한 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이트 부재의 위치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스탠드 장치가 기울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기울기)로 세울 수 있는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200)에 탈착 가능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에 공지된 요소들, 일 예로, 엘씨디, 키패드, 스피커, 마이크 등을 구성한다.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경우 하나의 화면을 통해 열람 및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상기 스탠드 장치(200)에 거치되더라도 화면(21)은 열람할 수 있도록 노출된다.
상기 스탠드 장치(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안착시키는 안착부(211)를 구비하고 저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울일 수 외형을 갖는 바디(21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바디(210)는 전후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고, 이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20) 또한 같은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시선에 맞게 화면을 전후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10)의 저면, 즉 바닥과 맞닿는 면은 전후 방향으로 둥근(라운드) 형상을 가진다. 게다가, 상기 스탠드 장치(200)는 상기 바디(210)를 기울이고 이를 유지하게 하는 기울기 수단을 포함한다. 도 3은 기울기 수단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스탠드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스탠드 장치는 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단말기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조합된 두 기기들, 즉, 단말기가 거치된 스탠드 장치에 상응하는 무게 중심(G)이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가 거치된 스탠드 장치를 앞쪽으로 기울인 후 손을 놓게 되면, 무게 중심(G)이 회전 포인트(P), 즉, 스탠드 장치의 저면과 바닥이 맞닿는 점의 오른쪽에 치우쳐 위치함으로 시계 방향의 모멘트(M)가 발생한다. 상기 오른쪽 모멘트로 인하여 상기 단말기가 거치된 스탠드 장치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안정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 상태에서는 무게 중심(G)과 회전 포인트(P)가 중력 방향으로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단말기가 거치된 스탠드 장치는 오뚝이처럼 전후 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기울어지는 운동을 반복하다 최종적으로 상기 안정 상태로 복귀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가 구비하는 기울기 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수단(220)은 바디(210)의 내면(213)과 함께 소정 공간(222)을 형성하는 하우징(221)과, 상기 공간(222)에서 상기 내면(213)의 곡부(214)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웨이트(weight) 부재(222)를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 장치(200)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웨이트 부재(222)는 상기 곡부(214)를 따라 앞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단말기(20)가 거치된 스탠드 장치(200)가 뒤쪽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웨이트 부재(222)는 상기 곡부(214)를 따라 뒤쪽으로 이동한다.
가급적, 상기 스탠드 장치(200)를 원하는 기울기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기울기 수단(220)은 상기 바디(210)의 저면(212)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하고 무게 중심이 상기 기울기 수단(220), 특히, 웨이트 부재(222)로 치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웨이트 부재(222)의 중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상기 웨이트 부재(222)에 무게 중심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기울기 수단(220)을 포함하는 스탠드 장치(200)와 이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20)의 조합된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은 상기 웨이트 부재(222)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웨이트 부재(222)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스탠드 장치(200)의 기울기가 결정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기울기 수단(220)은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상기 바디(210)를 해당 방향으로 기울이게 한다. 상기 웨이트 부재(222)는 미끄러지거나 굴러서 이동할 수 있는 형상(예 ; 구, 원통 등)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탠드 장치(220)는 기울어지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웨이트 부재(222)의 이동을 제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224)을 곡부(214)에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 부재(222)는 움푹 파인 상기 홈(224)에 걸려 이동을 방해받고, 사용자가 상기 스탠드 장치(200)를 좀더 기울이면 다음 또는 이전 홈으로 상기 웨이트 부재(222)가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홈(224)이 없다면 세밀한 각도로 화면을 세울 수 있겠으나, 상기 홈(224)이 없는 상태의 웨이트 부재(222)는 이동이 자유로우므로, 상기 바디(210)의 기울기가 쉽게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224)이 없는 상태에서 기울기 조절시 상기 웨이트 부재(222)는 진자처럼 움직이다 멈출 것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웨이트 부재(222)가 멈출 때까지 스탠드 장치(200)를 붙들고 있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웨이트 부재의 위치가 결정되어 기울어진 스탠드 장치(200)가 흔들리는 것을 제지하는 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웨이트 부재(222)가 상기 홈(224)에 잡혀 있더라도 상기 스탠드 장치(200)의 저면(212)은 둥글기 때문에 오뚝이처럼 기우뚱거릴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200)는 저면(21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215)은 위치가 결정된 상기 웨이트 부재로 인하여 기울어진 상기 스탠드 장치(200)가 흔들리는 것을 제지한다. 이에, 상기 홈(215)은 상기 기울기 수단(220)에 구성된 홈(224)에 상응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화면 세로보기 또는 화면 가로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스탠드 장치(200)는 상기 안착부(211)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시키되 단말기를 피봇(pivot)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는 전후 방향에 국한되지 않고 팔방으로도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른 바디(210)는 팔방으로 기울일 수 있는 외형(예 ; 구)을 가질 것이고,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기울기 수단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동일한 기울기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탠드 장치를 앞쪽, 뒤쪽, 오른쪽, 왼쪽으로 기울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조합된 방향(예 ; 앞쪽 왼쪽 방향 등)으로도 기울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에 외관을 꾸미는 다양한 장식품을 달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기의 중량이 커지게 된다. 중량이 커진 단말기가 상기 스탠드 장치(200)에 거치될 경우, 무게 중심이 기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 장치(200)에 거치된 단말기가 세로보기로 피봇될 경우와 가로보기로 피봇될 경우의 무게중심은 상이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 부재(222)의 중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무게 중심이 항상 웨이트 부재(222)에 치우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이트 부재의 위치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스탠드 장치가 기울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웨이트 부재(222)가 위치하는 홈(224)에 따라, 상기 스탠드 장치에 거치된 화면이 기울어지는 각도(예 ; 0°, 10°, 20°,30°)가 달라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 부재(222)가 이동하면 조합된 단말기와 스탠드 장치에 상응하는 무게 중심이 상기 기울기 수단의 내부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함을 보여준다. 전술하였지만, 상기 웨이트 부재(222)의 중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가급적 무게 중심이 항상 웨이트 부재(222)에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를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저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울일 수 있는 외형을 갖는 바디; 및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상기 바디를 해당 방향으로 기울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울기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 수단은,
    웨이트 부재;
    상기 웨이트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웨이트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 부재의 이동을 방해하는 다수의 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수단은,
    상기 바디의 저면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부재는,
    미끄러지거나 굴러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은,
    상기 웨이트 부재로 치우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가 기울어지는 것을 제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안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피봇시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울기 수단은,
    상기 바디를 팔방으로 기울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장치.
KR1020110033763A 2011-04-12 2011-04-12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 KR101809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763A KR101809522B1 (ko) 2011-04-12 2011-04-12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
US13/433,826 US9062822B2 (en) 2011-04-12 2012-03-29 Stand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201210105558.7A CN102734610B (zh) 2011-04-12 2012-04-11 用于移动终端的支座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763A KR101809522B1 (ko) 2011-04-12 2011-04-12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175A KR20120116175A (ko) 2012-10-22
KR101809522B1 true KR101809522B1 (ko) 2018-01-18

Family

ID=4699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763A KR101809522B1 (ko) 2011-04-12 2011-04-12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62822B2 (ko)
KR (1) KR101809522B1 (ko)
CN (1) CN1027346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4372B2 (en) * 2013-02-28 2015-08-11 Berend Frenzel Multiple footprint stand for a tablet computer
KR20150000632A (ko) * 2013-06-25 2015-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915393B2 (en) * 2015-11-10 2018-03-13 Evan Bingham Grove Mobile device support with finger clearance
US20170127823A1 (en) * 2015-11-10 2017-05-11 Evan Bingham Grove Mobile device support with moveable weight
KR101913002B1 (ko) * 2016-10-14 2018-10-29 진현수 액정 파손 방지용 휴대폰 케이스
KR20180001666U (ko) * 2016-11-27 2018-06-07 양광수 액정 파손 방지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6857A1 (en) * 2004-10-08 2006-04-13 Hannspree, In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1171A (en) * 1929-05-24 1932-05-31 Zimmermann Otto Penholder
US2833244A (en) * 1956-12-07 1958-05-06 Walter S Bohlman Animal toy
US3252242A (en) * 1963-06-14 1966-05-24 Albert M Zalkind Exercise and coordination toy
US4553346A (en) * 1983-07-05 1985-11-19 Dynagraphic Merchandising Corp. Display device
US5100360A (en) 1990-08-07 1992-03-31 Steven Langer Toy with wobbling sliding member
US6454670B1 (en) * 1997-11-18 2002-09-24 Michael Beers Swing practicing apparatus
US6165041A (en) * 1999-09-30 2000-12-26 Lin; Rich Liquid-type rocking ornament
KR100663535B1 (ko) 2004-05-1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의 스피커 겸용 교체성 거치/충전 장치
US7028428B1 (en) * 2004-11-23 2006-04-18 Spencer Lawrence E Self-balancing hunting decoy
TWM295979U (en) * 2005-12-30 2006-08-21 Inventec Appliances Corp Display r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70858B1 (ko) 2006-09-08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접이 거치대
KR20080040917A (ko) 2006-11-06 200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 겸용 충전 거치대
TW201108737A (en) * 2009-08-27 2011-03-01 Hannspree Inc Display with a flow weight structure
KR101805433B1 (ko) 2010-12-07 2017-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6857A1 (en) * 2004-10-08 2006-04-13 Hannspree,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34610A (zh) 2012-10-17
KR20120116175A (ko) 2012-10-22
US20120261542A1 (en) 2012-10-18
CN102734610B (zh) 2016-03-23
US9062822B2 (en)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522B1 (ko)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
CN101754614B (zh) 便携式电子装置
US7614599B2 (en) Portable cradle
KR100770858B1 (ko) 휴대용 접이 거치대
CN105164600B (zh) 可调整的显示器壳体组件
US913751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US20130277991A1 (en) Stepless adjustable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8587933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W201033891A (en) Method for indicating location and direc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
TW201027045A (en)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TW201024976A (en)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1188900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TWI461890B (zh) 可攜式電子系統
US11032403B2 (en) Method to aid the walking-while-texting smart phone user navigate around obstacles in the forward path
JP2022153408A (ja) 保持装置
KR20150087681A (ko)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EP271758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US20120024648A1 (en) Portable device
KR1011057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KR100967810B1 (ko) 단말기용 거치대
KR20100007624A (ko) 휴대 단말기
JP2016206448A (ja) 携帯式電子機器のスタンド構造、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保持方法
JP3125333U (ja) 携帯ゲーム機用スタンド装置
JP6969906B2 (ja) 保持装置
CN209913927U (zh) 相机模组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